학위논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위논문은 학위 취득을 위해 제출하는 연구 보고서 또는 논문을 의미한다. 어원은 그리스어 '테시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일반적인 의견과 다른 가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정의했다. 논문은 학위 과정에 따라 'thesis'와 'dissertation'으로 구분되며, 구조는 서론, 문헌 고찰, 방법론, 결과, 논의, 결론 등으로 구성된다. 학위 논문은 심사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수정 또는 불합격될 수 있으며, 최종 제출을 통해 학위를 취득하게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학원 - 대학원대학
대학원대학은 학부 과정 없이 대학원 과정만 운영하는 대학으로, 일본 「학교교육법」에 따라 설립되며, 2003년 전문직대학원 설치 인정 이후 일본에서 증가하는 추세이고, 일본 외 프랑스,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각국의 교육 시스템에 맞춰 운영되며, 설립과 운영은 각국의 교육 정책 및 사회적 요구와 관련이 있다. - 대학원 -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는 하임 바이츠만이 설립한 이스라엘의 연구 기관으로, 유기 화학 연구로 시작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며, 연구 성과를 상업화하고,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 논문 - 에밀 (책)
《에밀》은 장 자크 루소가 쓴 교육 소설로, 자연성을 존중하는 소극적 교육을 통해 유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의 교육 방법을 제시하며, 개인과 사회, 인간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제기하여 근대 교육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논문 - 논리철학 논고
《논리철학 논고》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세계, 사고, 언어 간의 논리적 관계를 분석하고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한 철학 저서로, 언어의 그림 이론, 논리 원자론 등의 핵심 개념을 담고 있어 철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학술지 - 아서 태펀 피어슨
아서 태펀 피어슨은 19세기 복음주의 선교 운동의 이론가이자 목사로, 《세계선교논평》 편집장, 학생자원운동 창시자이며 《선교의 위기》 저술가로서 "이 세대 안에 세계 복음화"를 통해 선교 운동을 고취하고, 한국 선교에도 기여했으며, 피어선성경기념학원을 설립하여 한국 기독교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 학술지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는 국내 학술 정보 검색, 대학도서관 소장 자료 이용,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 원문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대학 도서관의 학술 자원 공유 및 협력 지원, 해외 전자저널 이용, 학술연구 동향 분석, 글로벌 학술 정보 유통망 구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학위논문 |
---|
2. 어원
'논문'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thesis'는 그리스어 θέσις|테시스gr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제시된 것" 또는 "무엇인가 제시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적인 명제를 가리킨다.[6] '학위논문'을 뜻하는 또 다른 영어 단어 'dissertation'은 라틴어 dissertātiō|디세르타티오lat에서 왔는데, 이는 "길" 또는 "토론"을 의미한다.[6]
일부 문맥, 특히 미국 영어권에서는 'thesis'라는 단어가 학사 또는 석사 과정의 일부로 사용되는 반면, 'dissertation'은 일반적으로 박사 학위에 적용된다. 반면, 영국이나 아일랜드 공화국 등 다른 지역의 대부분 기관에서는 그 반대가 사실이다.[31] 'Graduate thesis'라는 용어는 때때로 석사 논문과 박사 논문을 모두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32]
학위 논문의 형식이나 서식 등은 각 대학, 학부, 학과, 전공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IMRAD(서론-방법-결과-토론) 형식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논문(thesis)'이라는 용어를 정의한 최초의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논문을 "일반적인 의견과 상반되는 저명한 철학자의 가정"이라고 보았다. 그는 "평범한 사람이 사람들의 일반적인 의견과 반대되는 견해를 표현할 때 주목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6]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논문'은 일반적인 의견과 상반되거나 다른 철학자들과 명백히 의견이 다른 가정을 의미했다. 이러한 가정은 제시된 증거나 증명에 따라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따라서 논문의 목적은 저자가 다른 철학자 또는 일반적인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었다.[6]
3. 논문과 학위논문의 차이
'Dissertation'이라는 단어는 학위 취득과 관련 없는 논고(treatise)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Thesis'라는 용어는 에세이나 유사한 저작물의 일반적인 주장을 가리키는 데에도 쓰인다.
한편, 학술 논문은 'paper' 또는 'article'이라고 부른다.
4. 구조 및 작성 방식
학위 논문은 출판 논문이나 단행본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단행본 형식의 논문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출판 논문 형식의 경우, 각 장은 이미 발표되었거나 아직 발표되지 않은 개별 논문들에 대한 소개 및 포괄적인 검토로 구성되며, 실제 논문들은 부록으로 첨부된다.
과거에는 원고지에 직접 손으로 쓰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워드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졸업논문을 전문 업자에게 맡겨 대신 작성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여, 최근 대학에서는 논문 심사를 더욱 엄격하게 진행하고 있다.
학위 논문 작성 시 따라야 할 스타일 가이드는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 외에도 논문 작성 및 발표에 대한 여러 분야별, 국가별, 국제적 표준 및 권장 사항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ISO 7144가 있다.[3] 섹션 번호 매기기에 대한 ISO 2145, 참고 문헌 표기에 대한 ISO 690, 수량 및 단위 표기에 대한 ISO 31 또는 이를 개정한 ISO 80000 등도 관련 국제 표준이다.
일부 오래된 스타일 가이드에서는 표지, 초록, 목차 등 논문의 앞부분(앞부분)에 본문과는 다른 로마 숫자로 페이지 번호를 매기도록 규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국제 표준[3]이나 많은 최신 스타일 가이드에서는 이러한 방식이 전자 문서 환경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고, 첫 번째 인쇄 페이지(표지의 오른쪽 면)부터 전체 문서에 걸쳐 아라비아 숫자로 페이지 번호를 매기도록 권장하고 있다.
논문 제출 시에는 페이지 번호 매김 방식, 레이아웃, 용지 종류 및 색상, 중성지 사용 여부(특히 도서관 영구 보존용 사본의 경우), 용지 크기, 구성 요소의 순서, 인용 스타일 등이 규정에 맞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
하지만 모든 대학에서 엄격한 표준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이탈리아 대학에서는 문자 크기나 페이지 서식에 대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만 제시하며, 서지 정보 작성 등에 있어서는 비교적 자유를 허용한다.[9]
5. 심사 위원회 및 지도교수
'''학위 논문 심사 위원회'''(또는 '''논문 심사 위원회''')는 학생의 학위 논문을 감독하는 위원회이다. 미국에서 이 위원회는 보통 주 지도교수 또는 지도교수와 2명 이상의 위원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논문의 진행 상황을 감독하고 논문의 구두 시험에서 심사 위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위원회는 학생이 주 지도교수와 협력하여 선택하며, 보통 종합 시험 또는 연구 계획 발표회를 마친 후에 구성된다. 위원회는 종합 시험 위원회의 구성원일 수도 있다. 위원회 위원은 해당 분야의 박사 학위 소지자이며, 논문을 읽고 변경 및 개선에 대한 제안을 하고, 논문 방어에 참석하는 역할을 한다. 때로는 위원회의 적어도 한 명은 학생의 소속 학과와 다른 학과의 교수여야 한다.
학위논문 지도교수의 역할은 학생의 연구를 지원하고 돕는 것이며, 학위논문이 심사를 받을 준비가 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10] 학위논문은 지도교수가 아닌 학생이 작성한다. 학위논문 지도교수의 의무에는 저작권 준수 여부 확인과 학생이 학위논문에 자신이 학위논문의 유일한 저자임을 증명하는 진술서를 포함했는지 확인하는 것도 포함된다.[11]
6. 국가별 관행
학위 논문에 대한 명칭, 요구 사항, 절차 등은 국가별로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영어권 국가 내에서도 'thesis'와 'dissertation' 같은 용어의 쓰임새가 다를 수 있다.[31]
6. 1. 한국
한국에서는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에서 학위 취득을 위해 논문을 제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논문의 형식이나 서식은 각 대학, 학부, 학과, 전공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서론(Introduction), 방법(Methods), 결과(Results), 토론(And Discussion)으로 구성되는 IMRAD 형식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과거에는 원고지에 직접 손으로 쓰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는 대부분 워드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작업한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졸업논문을 전문 업자에게 맡겨 대신 작성하게 하는 대필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최근 대학에서는 논문 심사를 엄격하게 진행하고, 표절이나 대필 등 연구 부정행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추세이다.
6. 2. 아르헨티나
라틴 아메리카의 "학술적 도서" 개념 안에서, 아르헨티나의 학위 논문은 학생이 공인된 아르헨티나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 중 여러 단계에서 요구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학생들은 여러 논문과 에세이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분야에 독창적인 기여를 해야 하며, 이것이 "논문"의 핵심 내용을 이룬다.[12]학위 논문의 최종 심사 단계는 취득하려는 학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불린다. 학사 학위 과정의 경우 '데펜사 데 그라도'(defensa de grado|데펜사 데 그라도es), 석사 과정은 '데펜사 마히스트랄'(defensa magistral|데펜사 마히스트랄es), 박사 과정은 '데펜사 독토랄'(defensa doctoral|데펜사 독토랄es)이라고 한다.
논문은 학술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승인되거나 거부된다. 이 위원회는 논문 지도교수와 최소 한 명 이상의 평가자로 구성된다. 심사위원들은 모두 논문 제출자가 취득하려는 학위와 같거나 그 이상의 학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13]
6. 3. 캐나다
캐나다의 영어를 사용하는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제출되는 글은 일반적으로 '논문', '텀 페이퍼' 또는 '에세이'라고 불린다. 4년제 학사 학위 취득을 위해 제출되는 더 긴 논문이나 에세이는 때때로 '주요 논문'이라고 불린다. 연속 학사 우등 또는 Baccalaureatus Cum Honore 학위의 실증 연구 결과를 담아 제출하는 고품질 연구 논문은 '논문'(우등 세미나 논문)이라고 부른다. 석사 학위의 최종 프로젝트로 제출되는 주요 논문은 일반적으로 '논문'이라고 불리고, 박사 학위를 위한 학생의 연구를 제시하는 주요 논문은 '논문' 또는 '학위논문'이라고 불린다.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대학교에서는 석사 학위 취득을 위해 학생들이 '메모아' 또는 더 짧은 '에세이'를 제출할 수 있다(후자는 학생이 더 많은 과목을 수강해야 함).[14] 박사 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테즈' 또는 '에세이 박사'를 제출할 수 있다(여기서도 후자는 더 많은 과목을 수강해야 함).[15] 이 모든 문서는 일반적으로 학생의 연구 작업과 관련된 종합적인 단행본이다.
전형적인 학부 논문이나 에세이는 40페이지 정도이다. 석사 논문은 약 100페이지이다. 박사 학위 논문은 일반적으로 200페이지가 넘는다. 이는 학문 분야, 프로그램, 단과 대학 또는 대학교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 2021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퀘벡의 대학교에서는 2000년에서 2020년 사이에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의 평균 페이지 수가 각각 127.4페이지와 245.6페이지였다.[16]
Theses Canada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캐나다 대학교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캐나다 국립 도서관 및 문서 보관소(LAC)에서 캐나다 논문의 포괄적인 컬렉션을 확보하고 보존한다.[17] 대부분의 논문은 학생이 졸업한 대학교의 기관 저장소에서도 찾을 수 있다.[18]
6. 4. 크로아티아, 체코,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인도네시아, 이란,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필리핀, 폴란드, 포르투갈, 브라질,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스웨덴
대부분의 크로아티아 단과대학에서는 학위 프로그램에 명시된 모든 수업을 통과한 후 논문을 성공적으로 방어해야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볼로냐 프로세스 시스템 하에서는 학사 학위 논문을 završni radhr(직역하면 "최종 작업" 또는 "결론 작업")라고 부르며, 3년간의 학습 후에 방어하고 분량은 약 30페이지 정도이다. 학사 학위를 취득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석사 과정으로 진학하며, 이때 제출하는 논문은 diplomski radhr(직역하면 "졸업 논문" 또는 "석사 논문")이라고 한다. 박사 학위 논문은 doktorska disertacijahr(박사 학위 논문)라고 불린다.체코 공화국에서는 해당 학위의 교육 과정에 포함된 모든 수업을 이수하고 논문을 성공적으로 방어해야 고등 교육을 마칠 수 있다. 학사 프로그램의 논문은 bakalářská prácecs(학사 논문)라고 하며, 석사 학위, 의학 박사 또는 치의학 박사 학위의 논문은 diplomová prácecs(석사 논문)이다. 철학 박사(PhD) 학위 논문은 dizertační prácecs(논문)라고 한다. 소위 고등 전문 학교(Vyšší odborná škola, VOŠ)에서 제출하는 논문은 absolventská prácecs(졸업 논문)라고 불린다.
핀란드에서 사용되는 학위 논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핀란드어/스웨덴어 이름):
- ''Kandidaatintutkielma/kandidatavhandling''는 학사 학위와 응용과학대학교의 하위 학위와 관련된 논문이다.
- ''Pro gradu(-tutkielma)/(avhandling) pro gradu''는 흔히 'gradu'라고 불리며, 현재 많은 학위 수여 기관에서는 ''maisterintutkielma''라고 부른다.[19] 이 논문은 석사 학위를 위한 것으로, 핀란드에서 수여되는 학위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핀란드에서 가장 흔하게 제출되는 논문 유형이다. 공학 및 건축학 학생들의 경우 이에 해당하는 논문은 ''diplomityö/diplomarbete''이다. 많은 핀란드 대학교에서는 21세기에 들어 이 논문 수준의 요구 사항이 상당히 완화되었다.
- 최상위 논문은 각각 licentiate 및 박사 학위를 위한 ''lisensiaatintutkielma/licentiatavhandling'' 및 ''(tohtorin)väitöskirja/doktorsavhandling''라고 불린다.

프랑스에서 학위 논문 또는 논문은 thèse프랑스어라고 불리며, 박사 과정 후보자의 최종 연구 결과물을 지칭한다. 최소 페이지 길이에 대한 공식적인 규정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100페이지(약 40만 자) 이상이며, 기술 논문이나 물리학, 수학 같은 "정확 과학" 분야를 제외하면 보통 이보다 훨씬 길다.
연구 석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다른 고등 교육 시스템의 석사 논문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mémoire를 작성해야 한다.
프랑스어에서 dissertation프랑스어이라는 단어는 더 짧고(1,000~2,000 단어) 일반적인 학술 논문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논문 방어는 soutenance프랑스어라고 불린다.
2023년부터 박사 과정 학생은 입학 절차가 끝나면 과학적 진실성의 원칙에 대한 서약을 한다.[20]
> 내 동료들 앞에서. [연구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마치고 지식을 탐구하면서, 나는 까다로운 연구를 수행하고 지적 엄격함, 윤리적 성찰, 그리고 연구 진실성의 원칙에 대한 존중을 보여주었습니다. 제가 선택한 분야가 무엇이든, 전문적인 경력을 쌓아가는 동안, 저는 최선을 다해 지식과의 관계, 제 방법, 그리고 결과에 있어 진실성을 유지할 것을 약속합니다.
독일에서 학위 논문은 Abschlussarbeitde라고 하거나, 더 구체적으로는 학위의 기본 이름 뒤에 -arbeitde(대략 "작업"으로 번역됨. 예: Diplomarbeitde, Masterarbeitde, Doktorarbeitde)를 붙여 부른다. 학사 및 석사 학위의 경우, 이름 뒤에 -thesisde(예: Bachelorthesisde)를 덧붙일 수도 있다.
논문의 길이는 종종 페이지 수로 표시되며, 학과, 단과대, 연구 분야에 따라 다르다. 학사 논문은 보통 40~60페이지, '''디플롬 논문'''과 석사 논문은 대개 60~100페이지이다. 박사 학위를 위해 제출하는 논문은 Dissertationde 또는 Doktorarbeitde라고 한다. 학위가 아닌 학문적 자격인 하빌리타치온을 위한 제출물은 Habilitationsschriftde라고 하며, Habilitationsarbeitde라고는 하지 않는다.[21][22]
박사 학위는 종종 논문에 대해 ''summa cum laude''(최우수)에서 ''rite''(보통)까지 여러 등급의 라틴어 우등으로 평가된다. 논문이 거부될 경우 라틴어 비고(''non-rite'', ''non-sufficit'' 또는 최악의 경우 ''sub omni canone'')가 붙을 수도 있다. 학사 및 석사 논문은 1.0(최우수)에서 5.0(낙제)까지의 수치 등급으로 평가받는다.
인도에서는 학위 논문 방어 시험을 비바 보체(viva vocela, 라틴어로 "생생한 목소리로") 시험(줄여서 ''비바'')이라고 부른다. ''비바''에는 두 명의 시험관, 한 명의 지도교수(학생 지도교수) 및 응시자가 참여한다. 한 명의 시험관은 응시자의 소속 대학 부서의 교수(응시자의 지도교수 중 한 명은 아님)이고, 다른 한 명은 다른 대학의 외부 시험관이다.[23]
인도에서는 이학 석사(MSc) 물리 학위와 같은 대학원 자격은 파트 1에서 논문 제출과 파트 2에서 프로젝트(혁신의 작동 모델) 제출을 동반한다. 공학 및 디자인 자격(예: BTech, B.E., B.Des, MTech, M.E. 또는 M.Des) 역시 논문 제출을 포함한다. 모든 경우에 논문은 특정 연구 개발 기관에서 하계 인턴십을 위해 또는 박사 학위 개요로 연장될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thesis"라는 용어가 석사 학위 논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학부 논문은 스끄립시(Skripsiid)라고 불리며, 박사 학위 논문은 디세르타시(Disertasiid)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이 세 용어는 대개 tugas akhirid(최종 과제)라고 통칭하며, 이는 대부분의 학위 취득에 필수적이다. 학부생들은 대개 3학년, 4학년 또는 5학년에 최종 과제를 쓰기 시작하며, 이는 각 전공 및 대학교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르다. 일부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최종 과제를 쓰기 전에 proposal skripsiid 또는 proposal tesisid(논문 제안서)를 작성해야 한다. 논문 제안서가 학문적 심사위원에 의해 자격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되면, 학생들은 최종 과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란에서는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석사 학위 과정에서 논문(پایاننامه|pāyān-nāmehfa)을, 박사 학위 과정에서는 학위 논문(رساله|resālehfa)을 제출해야 한다. 두 경우 모두 학생은 위원회 앞에서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논문 또는 학위 논문 작성에 관한 대부분의 규범과 규칙은 프랑스 고등 교육 시스템의 영향을 받았다.
이탈리아에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유형의 학위 논문이 있다. 복잡성 순서대로 나열하면, Laurea(영국의 학사 학위에 해당), Laurea Magistrale(영국의 석사 학위에 해당), 그리고 Dottorato di Ricerca(박사 학위)를 마치기 위한 논문이다. 논문 요건은 학위 및 전공 분야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3~4 ECTS 크레딧에서 30 크레딧 이상까지 요구될 수 있다. 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논문 작성이 필수적이다.
카자흐스탄에서 학사 학위는 일반적으로 ''학사 논문''(카자흐어: бакалаврдың дипломдық жұмысы)을 요구하며, 석사 학위 및 박사 학위는 ''석사/박사 학위 논문''(카자흐어: магистрлік/докторлық диссертация)을 요구한다. 모든 논문은 교육 과정이 끝날 때 특별 위원회에 공개적으로 발표되며, 위원회는 논문을 면밀히 검토한다. 박사 학위 후보자는 해당 분야의 주요 저널에 충분한 수의 논문을 게재하고, 그중 하나가 특별 검토 논문일 경우, 서면 논문 없이 발표를 허용받을 수도 있다.[24]
말레이시아 대학교는 종종 학위논문 및 학위에 관하여 영국식 모델을 따른다. 하지만, 일부 대학교는 논문 및 학위논문에 관하여 미국식 모델을 따른다. 일부 국립 대학교는 영국식 및 미국식 박사 과정 프로그램을 모두 운영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 있는 영국, 호주 및 중동 대학교의 분교 캠퍼스는 본교 캠퍼스의 각 모델을 사용한다.
파키스탄에서는 학부 수준에서 논문을 보통 졸업 논문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학위 과정의 마지막 학년에 완료되기 때문이다. '프로젝트'라는 명칭은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이 논문보다 덜 광범위하고 학점도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부 수준의 프로젝트는 상세한 보고서와 지도교수, 교수진 및 학생들로 구성된 위원회 앞에서 발표를 통해 진행된다. 그러나 석사(MS) 과정의 대학원 수준에서는 일부 대학에서 학생들이 6학점의 프로젝트 또는 9학점의 논문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며, 프로젝트로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최소 한 편의 출판물이 일반적으로 충분한 것으로 간주되며, 논문으로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필수 요건으로 간주된다. 외부 기관 또는 대학의 구성원으로 구성된 선임 연구원 위원회 앞에서 서면 보고서와 공개 논문 방어가 필수적이다. 박사(PhD) 과정의 후보자는 논문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국제적인 출판물이 필수 요건이다. 연구 작업의 방어는 공개적으로 이루어진다.
필리핀에서는 학위 논문을 학위에 따라 명명하며, 학사 논문 또는 석사 논문과 같이 불린다. 그러나, 필리핀 영어에서는 "doctorate"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doctoral"로 대체되어 사용된다 (예: "doctoral dissertation" 대신 "doctoral thesis"). 비록 공식 문서에서는 전자가 여전히 사용되지만, 일상적인 언어에서는 "thesis"와 "dissertation"이라는 용어가 흔히 서로 바꿔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thesis"는 학사/학부 및 석사 학업을 지칭하는 반면, "dissertation"은 박사 학위 논문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필리핀 시스템은 미국 대학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논문을 작성하기 전에 "연구 프로젝트"를 제출해야 한다. 이 프로젝트는 대부분 실제 논문에 앞서 필수 선행 작성 과정으로 제공되며, 이전 학기 기간 동안 수행된다; 감독은 한 반에 배정된 한 명의 교수가 맡는다. 이 프로젝트는 나중에 학술 패널, 종종 학과 전체 교수진 앞에서 발표되며, 그들의 권고는 초기 주제의 수용, 수정 또는 거부에 기여한다. 또한, 연구 프로젝트 발표는 후보자가 주요 논문 지도교수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학부 논문은 기존의 세미나 (강의) 또는 실험 과정과 함께 학위의 마지막 해에 완료되며, 종종 "제안서"와 "논문" 발표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이는 대학마다 다르지만). 반면 석사 논문 또는 박사 학위 논문은 마지막 학기에 단독으로 수행되며, 한 번의 방어 발표를 거친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후보자에게 학위를 수여하기 위해서는 학업 기간 동안 취득한 여러 학점과 함께 논문이 필요하다. 단, 실습 및 기술 기반 학위의 경우 "실습"과 서면 보고서로 대체될 수 있다. 시험 위원회는 종종 대학의 시험 규칙에 따라 3~5명의 시험관으로 구성되며, 대개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가진 대학 교수들이다. 요구되는 단어 길이, 복잡성 및 학문에 대한 기여도는 국가 내 대학에 따라 크게 다르다.
폴란드에서 학사 학위는 일반적으로 praca licencjackapl(학사 논문)을 요구하며, 이와 유사한 수준의 공학 학위는 praca inżynierskapl(공학 논문/학사 논문)을 요구하며, 석사 학위는 praca magisterskapl(석사 논문)을 요구한다. 박사 학위 논문은 dysertacjapl 또는 praca doktorskapl라고 불린다. 하빌리타치온을 위한 제출은 praca habilitacyjnapl 또는 dysertacja habilitacyjnapl라고 불린다. 따라서 dysertacjapl라는 용어는 박사 학위와 하빌리타치온 학위에 사용된다. 모든 논문은 해당 학위에 대한 특별 시험 동안 저자에 의해 "변호"되어야 한다. 박사 및 하빌리타치온 학위 시험은 공개적으로 진행된다.
포르투갈과 브라질에서는 석사 학위 취득을 위해 논문(dissertaçãopt)이 요구된다. 발표는 교사, 학생 및 일반 대중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개 발표 형태로 진행된다. 박사 학위의 경우, 논문(tesept)을 공개 시험을 통해 발표한다. 시험은 일반적으로 3시간 이상 진행된다. 시험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5~6명의 학자(지도교수 포함) 또는 박사 학위를 가진 다른 전문가로 구성된다(일반적으로 최소 절반은 후보자가 논문을 발표하는 대학교 외부 인물이어야 하지만, 대학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각 대학교/학부에서는 이러한 문서의 길이를 정의하며, 분야에 따라 다를 수 있다(철학, 역사, 지리 등과 같은 분야의 논문은 수학, 컴퓨터 과학, 통계 등과 같은 분야의 논문보다 페이지 수가 더 많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석사 학위 논문은 60~80페이지, 박사 학위 논문은 150~250페이지 정도이다.
브라질에서는 학사 논문을 TCCpt 또는 Trabalho de Conclusão de Cursopt(최종 학기 / 학부 논문 / 최종 보고서)라고 부른다.[25]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에서는 학위 논문 또는 논문을 문자 그대로 "석사 학위 논문"으로 번역할 수 있으며, 여기서 "논문"이라는 단어는 박사 학위 논문(학위 후보)에 사용된다. 학부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려면 학생은 논문을 작성하고 공개적으로 발표해야 한다. 이 원고의 길이는 보통 페이지 수로 표시되며 교육 기관, 학과, 학부 및 전공 분야에 따라 다르다.
슬로베니아의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마치기 위해서는 diplomska nalogasl(학위 논문)이라고 불리는 학술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이 논문은 이전에는 40~60페이지 분량이었으나, 새로운 볼로냐 프로세스 프로그램에서는 20~30페이지로 줄었다. 석사 과정을 마치기 위해서는 학부 논문보다 더 길고 상세한 magistrsko delosl(석사 논문)를 작성해야 한다. 박사 학위 취득을 위해서는 doktorska disertacijasl(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볼로냐 프로세스 이전에는 학생들이 석사 논문을 준비하고 발표하는 과정을 건너뛰고 바로 박사 과정으로 진학할 수 있었다.
슬로바키아에서 고등 교육은 학사 학위 프로그램의 경우 학위 논문 bakalárska prácask로, 석사 학위 및 의학 또는 치의학 박사 학위의 경우 석사 학위 논문 또는 diplomová prácask로, 철학 박사(PhD) 학위의 경우 논문 dizertačná prácask를 방어함으로써 완료된다.

스웨덴에는 다양한 유형의 논문이 존재한다. 관행과 정의는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5 HP 또는 10주간의 독립적인 연구에 해당하는 ''C 논문''/학사 논문, 15 HP 또는 10주간의 독립적인 연구에 해당하는 ''D 논문''/마스터/1년 석사 논문, 30 HP 또는 20주간의 독립적인 연구에 해당하는 ''E 논문''/2년 석사 논문이 있다. 학부 논문은 uppsatssv("에세이")라고 불리며, 특히 기술 프로그램에서는 examensarbetesv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 후, 두 가지 유형의 대학원 논문이 있다: 석사 논문(licentiatuppsatssv)과 박사 학위 논문(doktorsavhandlingsv). 석사 학위는 논문의 규모와 범위 측면에서 "반 박사" 정도이다. 스웨덴 박사 과정은 이론적으로 4년 동안 지속되어야 하며, 여기에는 수강 과목과 논문 작업이 포함되지만, 많은 박사 과정 학생들이 강의를 하기 때문에 박사 학위 취득에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 논문은 단행본으로 작성하거나, 취합 논문으로 작성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서론은 kappasv(문자 그대로 "외투")라고 불린다.[26]
6. 5. 영국
영국의 대학에서는 '논문'(thesis)과 '학위 논문'(dissertation)이라는 용어가 미국 영어와는 다르게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31] 학계 외부에서는 두 용어가 혼용되기도 하지만, 영국 대학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논문 (Thesis): 박사 학위(PhD/EngD)나 연구 석사 학위와 같이 연구 중심 학위 과정의 결과물을 지칭할 때 주로 사용된다.
- 학위 논문 (Dissertation): 강의식 석사 학위(MSc 등)나 학부 학위(BA, BSc, BMus, BEd, BEng 등) 과정의 일부로 제출하는 상당한 분량의 연구 프로젝트를 가리킬 때 더 흔하게 쓰인다.
논문의 요구 분량은 학부나 학과에 따라 다르며,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기준을 정한다.
영국 학계의 논문 지도 방식은 다양하다. 학부나 석사 과정에서는 지도교수 한 명이 학생을 지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박사 과정 등에서는 최대 3명으로 구성된 지도교수 팀이 운영되기도 한다. 지도팀에는 보통 연구 경험이 풍부하고 성공적인 지도 경력을 갖춘 연구 책임자가 포함된다. 연구 책임자는 직접 지도에 참여하거나, 다른 지도교수들이 일상적인 지도를 담당하도록 감독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다.
6. 6. 미국
미국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dissertation영어'이라는 단어는 박사 학위를 위한 연구 결과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thesis영어'는 학사 또는 석사 과정의 일부로 제출되는 논문을 의미한다. 이는 영국이나 아일랜드 공화국 등 다른 영어권 국가들과는 반대되는 용법이다.[31] 때때로 'graduate thesis영어'라는 용어는 석사 논문과 박사 논문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32]미국의 일부 박사 과정에서는 학위논문(dissertation영어) 작성이 전체 학업 기간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2~3년의 수업 이수와 별도로 수년간의 전일제 연구 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학위논문은 박사 학위 취득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논문(thesis영어)은 주로 석사 학위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연구물을 가리킨다.
논문(thesis영어)이라는 용어는 학사 학위 과정의 최종 결과물(capstone project|캡스톤 프로젝트영어)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는 특히 선별적인 대학에서, 또는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거나 라틴어 명예 학위 취득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더 흔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학부 논문은 "senior thesis영어" 또는 "senior paper영어" 등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다른 필수 과목 이수, 독립 연구, 인턴십 또는 교육 실습 등을 마친 후 졸업이 가까워지는 4학년 시기에 작성된다. 학부 논문은 박사 학위논문이나 석사 논문처럼 반드시 새로운 학문적 기여를 하거나 매우 세부적인 주제를 다룰 필요는 없지만, 상당한 분량(수개월의 작업 필요)과 지도교수의 감독, 특정 지식 분야에 대한 집중, 그리고 학술적 인용을 요구한다. 학부 논문의 경우, 위원회 앞에서 발표하고 방어(defense)하는 절차가 있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이지는 않다. 또한 논문 작성 전에 별도의 시험을 치르는 경우도 극히 드물다. 대학원 수준의 논문이나 학위논문은 독창적인 연구 결과를 담고 있기 때문에 다른 자료에서 인용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지만, 전체적인 분량이 길어 총 인용 횟수는 더 많을 수 있다.
특정 학부 과정, 특히 글쓰기 중심 과정이나 고학년 대상 과정에서는 'thesis영어', 'essay영어', 또는 'paper영어' 등으로 불리는 하나 이상의 심도 있는 서면 과제를 요구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미국의 고등학교에서도 졸업 요건으로 학생들이 선택한 주제에 대해 'senior project영어' 또는 'senior thesis영어'를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국제 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BDP)의 확장 에세이( Extended Essay영어 ) 역시 이러한 경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일반적으로 박사 학위논문(dissertation영어)은 해당 학문 분야에 독창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했는지 여부로 평가받는다. 반면, 석사 논문(thesis영어)과 같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연구는 주어진 주제에 대한 학생의 학문적 이해도와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데 중점을 둔다. 논문 연구의 필수적인 복잡성이나 요구되는 질적 수준은 대학이나 학문 프로그램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
7. 논문 심사
고급 학위를 취득하기 위한 요건 중 하나로 구두 시험(영국 등 일부 영어권 국가에서는 viva voce|비바 보체la 또는 줄여서 'viva'라고도 함)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이 시험은 일반적으로 학위 논문이 완성되어 대학에 제출되기 전에 진행되며, 학생의 발표와 심사 위원회의 질의응답으로 구성된다. 북미 지역에서는 논문 작업 시작 전에 전공 분야에 대한 예비 구두 시험이 있을 수 있으며, 논문 완료 후에는 '논문 방어' 또는 '학위 논문 방어'로 알려진 최종 구두 시험이 진행된다. 이 최종 시험은 대학에 따라 형식적인 절차일 수도 있고, 상당한 수정을 요구받는 중요한 과정일 수도 있다.
심사 결과는 심사 위원회의 심의 후 즉시 발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학생은 바로 학위를 인정받을 수 있다. 또는 심사관들이 논문 방어 보고서를 작성하여 대학원 연구 위원회 등에 전달하고, 위원회가 공식적으로 학위 수여를 추천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논문 심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
결과 유형 | 설명 |
---|---|
합격 (수정 없음) | 제출된 논문 그대로 통과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등급을 부여하기도 하지만, 박사 학위의 경우 등급 없이 합격/불합격만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
수정 후 합격 | 문법 오류 수정, 내용 명확화, 일부 내용 추가 등 논문에 대한 수정이 요구된다. 수정 사항이 완료되면 심사위원이나 지도교수가 확인 후 최종 승인한다. 비교적 간단한 수정의 경우, 지도교수와 함께 수정본을 검토하는 조건으로 심사위원 전원이 미리 서명하기도 한다. |
광범위한 수정 필요 | 이론이나 방법론 등 중대한 문제가 있어 논문을 대폭 수정하고, 동일한 심사위원들에게 처음부터 다시 심사 및 구두 시험을 받아야 한다. 두 번째 시도에서도 통과하지 못하면 학위 과정을 중단해야 할 수 있다. |
불합격 | 논문의 질이 현저히 낮고, 심사 과정에서 학생이 요구되는 수정을 수행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때 내려진다. 이 경우 학생은 학위 과정을 중단해야 한다. |
북미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광범위한 수정 필요'나 '불합격' 판정은 드물다. 이는 박사 과정 후보자가 되기 위해 이미 자격 시험(종합 시험)을 통과하여 연구 능력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며, 지도교수와 자문 위원들이 논문 제출 전에 내용을 충분히 검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결과는 학생뿐 아니라 지도교수의 실패로도 간주된다. 수정 없이 바로 합격하는 경우도 드물며, 가장 흔한 결과는 사소한 수정을 요구하는 것이다.
영국식 대학에서는 구두 시험 단계에서 상당한 재작성이 필요한 주요 수정 사항이 요구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으며, 때로는 재심사를 위한 구두 시험이 다시 열리기도 한다. 매우 드물게는 박사 학위 대신 상대적으로 낮은 단계인 철학 석사(M.Phil.) 학위를 수여하고 논문 재제출을 막는 경우도 있다.
호주에서는 박사 학위 논문 심사가 대부분 구두 시험 없이 3명(일부 대학은 2명)의 심사위원에 의해 서면으로 이루어진다. 심사위원 중 한 명은 보통 학생의 소속 학과 외부(다른 대학 또는 해외 대학)에서 위촉된다. 연구 석사 학위 논문은 일반적으로 2명의 심사위원이 심사한다.
독일에서는 거의 모든 학위(디플롬, 마기스터, 석사, 박사, 대부분의 학사) 논문에 대해 구두 시험이 실시된다. 구두 시험 방식은 다양하며, 논문 주제에 집중하는 공개적인 'Disputation|디스푸타치온de'(또는 Verteidigung|페어타이디궁de, '방어')과 논문 외 분야까지 다루는 비공개적인 'Rigorosum|리고로숨la'(주로 박사 과정) 등이 있다. 'Kolloquium|콜로퀴움de'이라는 용어도 쓰이는데, 이는 공개적인 과학 토론을 의미하며 종종 Disputation|디스푸타치온de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영국, 호주, 중동 대학의 분교들이 본교의 심사 모델을 따른다. 일반적으로 2~3명의 심사위원(국내, 타 대학, 해외 대학 소속 포함)이 논문을 심사하고 구두 시험을 진행한다. 일부 국립대학에서는 학술지 논문 게재를 요구하기도 한다.
필리핀에서는 학사, 석사, 박사 학위 모두 논문 심사를 위해 구두 시험을 거친다. 시험은 학기 중 특정 기간에 열리며, 박사 학위의 경우 공개적인 콜로퀴움 형식을 취하기도 한다.
포르투갈에서도 후보자의 발표와 질의응답으로 구성된 구두 방어를 통해 논문을 심사한다.
북미의 '학위 논문 방어' 또는 '구두 방어'는 박사 학위 후보자(때로는 석사 학위 후보자)의 최종 시험이다. 시험 위원회는 보통 학생의 지도교수를 포함한 소속 대학 교수진, 외부 심사관, 그리고 의장으로 구성된다. 후보자는 자신의 연구에 대해 발표(약 20~40분)하고, 이후 1~2시간 동안 심사위원들의 질문에 답한다. 석사 논문 방어는 비공개인 경우가 많지만, 박사 논문 방어는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기도 한다.
노르웨이의 박사 과정 최종 시험은 disputas|디스푸타스no라고 불린다.[27] 후보자는 공개 강연 후 두 명의 '반대자'(opponenter|오포넨테르no)의 질문에 답해야 한다. 시험 전에는 연구와 관련 없는 주제에 대한 예비 강연을 통과해야 할 수도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는 학생이 소속 학과 앞에서 논문을 발표하고 변호해야 한다. 심사는 해당 교육 기관 전문가들로 구성되며, 동료 학생들도 참관할 수 있다. 최종 결정은 교육 기관의 총장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스페인에서는 석사 과정 이수 후 박사 과정(programa de doctorado|프로그라마 데 독토라도es)에 등록하여 논문(tesis doctoral|테시스 독토랄es)을 작성한다. 논문은 보통 출판된 학술지 논문 1편과 함께 제출되며, 2명의 외부 학자(evaluadores externos|에발루아도레스 엑스테르노스es)의 평가 후 3인 위원회(tribunal|트리부날es) 앞에서 공개적으로 방어(defensa|데펜사es)해야 한다.
홍콩, 아일랜드, 영국에서는 학위 논문 방어 시험을 viva voce|비바 보체la 시험(줄여서 'viva')이라고 부른다. 보통 3시간 정도 소요되며, 2명의 심사관(내부 1명, 외부 심사관 1명)과 학생이 참여한다. 때로는 공정한 진행을 감독하는 '의장'이 추가될 수 있다.[28] 영국에서는 심사가 비공개인 경우가 많으나, 옥스퍼드 대학교처럼 대학 구성원 전체에게 공개하는 경우도 있다(단, 정해진 복장을 갖춰야 함).[29]
8. 제출
논문 제출은 대부분의 학생에게 논문 심사 이후 학위 취득을 위한 마지막 공식적인 절차이다. 최종 마감일까지 학생은 완성된 논문과 함께 필요한 서류를 소속 기관의 해당 부서에 제출해야 한다. 이 서류에는 일반적으로 주 지도교수, 심사위원, 그리고 경우에 따라 학과장의 서명이 포함된 양식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대학 도서관이 논문을 자료로 소장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도서관 이용 허가서'와, 논문에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사용했을 경우 필요한 '저작권 허가서' 등이 요구될 수 있다. 테일러 앤 프랜시스(Taylor & Francis), 엘스비어(Elsevier) 등 일부 대형 과학 출판사는 저자가 이미 출판한 논문을 별도 허가 없이 학위논문에 포함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저작권 계약을 사용하기도 한다.
모든 서류 절차가 완료되면, 논문 사본은 해당 대학 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전문 초록 서비스를 통해 논문 내용이 해당 기관 외부로 홍보되기도 한다. 최근 많은 기관에서는 인쇄본과 함께 디지털화된 논문 제출을 요구하며, 이렇게 제출된 디지털 논문은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간행물
The medieval ''disputatio''
http://www.ascleiden[...]
Leiden University Library
2005
[2]
웹사이트
Subject Guides: Citation Help: Dissertations & Theses
https://guides.lib.u[...]
2021-02-15
[3]
간행물
Presentation of theses and similar documents
http://www.iso.org/i[...]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86
[4]
간행물
Hora est! On dissertations
http://www.ascleiden[...]
Leiden University Library
2005
[5]
웹사이트
The Graduate Thesis
https://web.archive.[...]
2014-10-22
[6]
서적
The Works of Aristotle
Clarendon Press
[7]
서적
Your Research Project
Sage
[8]
서적
Surviving your dissertation.
Sage
[9]
웹사이트
Italian Studies MA Thesis Work Plan
https://italian.geor[...]
[10]
간행물
Imperial College London, 'Roles and Responsibilities: Research Degree Supervision'. July 2014. Accessed 17 March 2020
https://www.imperial[...]
[11]
간행물
Organisational narratives vs the lived neoliberal reality
[12]
웹사이트
Argentina
https://web.archive.[...]
2010-04-28
[13]
웹사이트
CONEAU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Terminologie universitaire
https://etudier.uqam[...]
Université du Québec à Montréal (UQAM)
2012-08-02
[15]
웹사이트
Terminologie universitaire
https://etudier.uqam[...]
Université du Québec à Montréal (UQAM)
2012-08-02
[16]
웹사이트
Les thèses et les mémoires publiés au Québec raccourcissent...
https://www.acfas.ca[...]
Acfas
[17]
웹사이트
Theses Canada
https://library-arch[...]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22-08-29
[18]
웹사이트
List of institutional digital repositories in Canada
https://www.carl-abr[...]
Canadian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19]
웹사이트
Tutkielma ja kypsyysnäyte maisteri- ja lisensiaattiohjelmissa
https://studies.hels[...]
2023-12-02
[20]
뉴스
Recherche : les docteurs ès sciences prêtent désormais aussi serment
https://www.lemonde.[...]
2022-09-13
[21]
웹사이트
A habilitation: Arabic translation, meaning, synonyms, antonyms, pronunciation, example sentences, transcription, definition, phrases
https://en.englishli[...]
[22]
웹사이트
Habilitation and equivalent qualification
https://www.uni-jena[...]
[23]
웹사이트
MSc Engg and PhD in IISc
https://web.archive.[...]
Ece.iisc.ernet.in
2010-11-24
[24]
웹사이트
On approval of the Model Regulations on the Dissertation Council
https://adilet.zan.k[...]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25]
웹사이트
Como dizer "TCC – Trabalho de Conclusão de Curso" em inglês
https://www.englishe[...]
2008-05-16
[26]
웹사이트
introductory chapter of a compilation thesis
https://www.uhr.se/p[...]
Universitets- och högskolerådet
[27]
웹사이트
disputas
https://snl.no/dispu[...]
2024-10-07
[28]
서적
How to Examine a Thesis
McGraw-Hill International
[29]
웹사이트
Oxford University Examination Regulations, 2007
https://web.archive.[...]
Admin.ox.ac.uk
2010-11-24
[30]
웹인용
학위논문을 저널 출판용 논문으로 변경하는 방법
https://www.enago.co[...]
2023-04-05
[31]
간행물
Hora est! On dissertations
http://www.ascleiden[...]
Leiden University Library
2005
[32]
웹인용
The Graduate Thesis
https://www.grad.ubc[...]
2024-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