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원격대학으로, 2016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1997년 가상대학 시범운영 대학으로 선정되어, 1998년 시범 개교 후 2001년 정식 개교했다. 사회복지학과 등 13개 학과를 운영하며, 총장 아래 부총장, 학장 등의 보직과 4처, 4센터, 부설기관 및 연구기관을 갖춘 조직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국내 86개 대학과의 학술 교류를 통해 컨소시엄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랑구의 학교 - 서일대학교
    서일대학교는 1974년 배성실업학교로 설립되어 서울 면목동에 위치한 사립 전문대학교로, 7개 학부 29개 학과를 운영하며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D등급을 받았으나 재정 지원 제한이 해제된 바 있다.
  • 원격 교육 - 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공간 제약 없이 교육을 제공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 대한민국에서는 고등교육법에 따라 학사 학위 수여 기관으로 인정받으며 다양한 교육 과정과 유연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성인 학습자에게 고등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한다.
  • 원격 교육 - 온라인 강의
    온라인 강의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교육 서비스로, 대한민국에서는 EBSi 개설 이후 증가하여 유료와 무료 형태로 제공되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학교 수업을 대체하는 중요한 교육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 사이버 대학 - 서울디지털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는 2001년 대한민국 최초로 개교한 온라인 사립 사이버대학교로, 다양한 학부와 학과를 운영하며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통해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여러 해외 대학과 교류 협력을 진행한다.
  • 사이버 대학 - 한양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초의 사이버대학교 중 하나로,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한양대학교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높은 교육의 질을 유지하고 시대적 요구에 맞춰 교육 과정을 개편하며 학생들을 지원하는 공유전공 제도와 부/복수전공 인정 제도를 운영한다.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문 이름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영문 이름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종류사립 사이버대학
설립일1997년
개교일2001년 3월 1일
설립자열린대학 교육협의회
건학 이념인본주의
표어더 큰 배움의 길을 열다
위치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353
학교 법인열린학원
상징부엉이
웹사이트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홈페이지
조직
총장장일홍
교직원 수전임교원: 17명(2022년)
기타교원: 248명(2022년)
학생
학부생 수6,283명(2022년)

2. 연혁

1997년 12월 4일, 교육부의 가상대학(사이버대학) 시범운영대학 계획 발표에 따라 성균관대학교를 주축으로 강릉대학교, 고려대학교, 공주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인하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가 열린대학교육협의회 설립에 합의한다.[8] 이에 따라 가상대학 시범 운영 대학으로 협의회가 설립한 '''열린사이버대학교'''가 선정되었고, 1998년 9월 1일 시범적으로 개교하였다.[8]

2000년 2월 29일, 시범 운영 기간이 종료되고 열린대학교육협의회를 해산하고 강릉대학교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용인대학교, 인제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충북대학교 등 14개 대학이 협의회를 재조직하였다. 이에 따라 협의회 산하에 재단법인 열린사이버대학을 설립하고, 2000년 11월 30일 대한민국 최초의 원격대학인 '''열린사이버대학교'''를 설립했다. 이듬해인 2001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016년 7월 1일,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8월 27일 현재의 위치로 대학본부를 이전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설립 초기 (1997년 ~ 2000년)

1997년 12월 4일, 교육부의 가상대학(사이버대학) 시범운영대학 계획 발표에 따라 성균관대학교를 주축으로 강릉대학교, 고려대학교, 공주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인하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가 열린대학교육협의회 설립에 합의한다.[8] 이에 따라 가상대학 시범 운영 대학으로 협의회가 설립한 '''열린사이버대학교'''가 선정되었고, 1998년 9월 1일 시범적으로 개교하였다.[8]

2. 2. 재단 설립 및 정식 개교 (2000년 ~ 2001년)

1997년 12월 4일, 교육부의 가상대학(사이버대학) 시범운영대학 계획 발표에 따라 성균관대학교를 주축으로 하여 강릉대학교, 고려대학교, 공주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인하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가 열린대학교육협의회 설립에 합의하였다.[8] 이에 따라 가상대학 시범 운영 대학으로 협의회가 설립한 '''열린사이버대학교'''가 선정되었고, 1998년 9월 1일 시범적으로 개교하였다.[8]

2000년 2월 29일, 시범 운영 기간이 종료되고 열린대학교육협의회를 해산하고 강릉대학교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용인대학교, 인제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충북대학교 등 14개 대학이 협의회를 재조직하였다. 이에 따라 협의회 산하에 재단법인 열린사이버대학을 설립하고, 2000년 11월 30일 대한민국 최초의 원격대학인 '''열린사이버대학교'''를 설립했다. 이듬해인 2001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 3. 교명 변경 및 발전 (2016년 ~ 현재)

2016년 7월 1일,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8] 같은 해 8월 27일에는 대학본부를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8]

3. 교육편제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13개 학과를 설치하여 학사 학위 과정을 교수하고 있다. 설치된 학과는 다음과 같다.


  • 사회복지학과
  • 상담심리학과
  • 통합치유학과
  • 자연숲치유산업학과
  • 국방상담리더십학과
  • 아동보육학과
  • 실용영어학과
  • 부동산금융자산학과
  • 디지털비즈니스학과
  • 뷰티건강디자인학과
  • 소방방재안전학과
  • 인공지능융합학과
  • HR산업경영학과

3. 1. 학과 목록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현재 사회복지학과, 상담심리학과, 통합치유학과, 자연숲치유산업학과, 국방상담리더십학과, 아동보육학과, 실용영어학과, 부동산금융자산학과, 디지털비즈니스학과, 뷰티건강디자인학과, 소방방재안전학과, 인공지능융합학과, HR산업경영학과 등 13개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4. 대학조직 구성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총장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총장 아래 부총장, 학장, 처장, 원장, 센터장 등의 보직을 두고 있다. 행정부서 조직은 4처 4센터와 부설기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4처는 기획처, 입학처, 교학처, 행정지원처로 구성된다. 기획처 산하에는 기획팀과 신사업실이, 입학처 산하에는 입학팀이 있다. 교학처 산하에는 교무팀과 교수학습지원팀이, 행정지원처 산하에는 시스템관리팀, 행정지원팀, 학사지원팀이 있다.

부설기관으로는 평생교육원, 컨소시엄센터, 산학협력단, 군학습지원센터, 인권센터 등이 있다. 부설연구기관으로는 창업컨설팅연구소, 뷰티건강산업연구소, 숲생태복지연구소, 한국복지경영연구소, 열린심리상담센터, 통합예술치료연구소, 도시부동산연구소, 미래안전연구소, 디지털융합연구소, 인공지능융합연구소, 부사관발전연구소, 열린아동복지연구소가 있다.

또한, 성균관대, 중앙대, 홍익대 등 국내 유수 86개 명문대학이 참여한 학술 교류를 통해 매년 12만 명, 누적 수강생 300만 명(2023년 기준)인 컨소시엄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4. 1. 행정 조직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총장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총장 아래 부총장, 학장, 처장, 원장, 센터장 등의 보직을 두고 있다. 행정부서 조직은 4처 4센터와 부설기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4처는 기획처, 입학처, 교학처, 행정지원처로 구성된다. 기획처 산하에는 기획팀과 신사업실이, 입학처 산하에는 입학팀이 있다. 교학처 산하에는 교무팀과 교수학습지원팀이, 행정지원처 산하에는 시스템관리팀, 행정지원팀, 학사지원팀이 있다.

부설기관으로는 평생교육원, 컨소시엄센터, 산학협력단, 군학습지원센터, 인권센터 등이 있다. 부설연구기관으로는 창업컨설팅연구소, 뷰티건강산업연구소, 숲생태복지연구소, 한국복지경영연구소, 열린심리상담센터, 통합예술치료연구소, 도시부동산연구소, 미래안전연구소, 디지털융합연구소, 인공지능융합연구소, 부사관발전연구소, 열린아동복지연구소가 있다.

또한, 성균관대, 중앙대, 홍익대 등 국내 유수 86개 명문대학이 참여한 학술 교류를 통해 매년 12만 명, 누적 수강생 300만 명(2023년 기준)인 컨소시엄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4. 2. 부설 기관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부설기관으로 평생교육원, 컨소시엄센터, 산학협력단, 군학습지원센터, 인권센터 등을 두고 있다. 부설연구기관으로 창업컨설팅연구소, 뷰티건강산업연구소, 숲생태복지연구소, 한국복지경영연구소, 열린심리상담센터, 통합예술치료연구소, 도시부동산연구소, 미래안전연구소, 디지털융합연구소, 인공지능융합연구소, 부사관발전연구소, 열린아동복지연구소가 있다.

4. 3. 부설 연구 기관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창업컨설팅연구소, 뷰티건강산업연구소, 숲생태복지연구소, 한국복지경영연구소, 열린심리상담센터, 통합예술치료연구소, 도시부동산연구소, 미래안전연구소, 디지털융합연구소, 인공지능융합연구소, 부사관발전연구소, 열린아동복지연구소를 부설연구기관으로 두고 있다.

4. 4. 학술 교류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홍익대학교 등 국내 86개 대학과 학술 교류 협정을 맺고 컨소시엄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매년 12만 명, 누적 수강생 300만 명이 컨소시엄 캠퍼스를 이용하고 있다.

5. 학교 동문


6. 역대 역임 교수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의 역대 역임 교수에 대한 정보는 분류: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교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Global Perspectives, Local Desig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5-12-30
[2] 서적 Education in a Digital World: Global Perspectives on Technology and Educ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서적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 of Online Learning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1-04-22
[4] 서적 Computer Applications for Web, Human Computer Interaction, Signal and Image Processing, and Pattern Recognition: International Conferences, SIP, WSE, and ICHCI 2012, Held in Conjunction with GST 2012, Jeju Island, Korea, November 28-December 2, 2012. Proceeding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11-07
[5] 서적 Learning Languages Through Technology https://books.google[...] Teachers of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6] 서적 Handbook of Research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01-25
[7] 웹인용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대학정보공시 https://academyinfo.[...] "2022"
[8] 웹인용 연혁: 1997~2023 https://www.ocu.ac.k[...] 2022-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