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충북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충북대학교는 1951년 청주초급농과대학으로 개교하여 197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국립대학교이다. 15개의 단과대학, 일반대학원, 전문·특수대학원을 운영하며, 학부 과정으로 인문, 사회, 자연과학, 경영, 공학, 전자정보, 농업생명환경, 법학, 사범, 생활과학, 수의학, 약학, 의학, 자율전공, 융합학과군 등의 다양한 전공을 제공한다. 39개국 113개 대학과 교류하며 학생 및 학술 교류를 진행하고,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국가고객만족도와 청렴도 조사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시의 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는 198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로, 유치원부터 중등학교까지의 교원 양성, 교원 연수, 교육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높은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과 활발한 학술 교류, 저렴한 등록금 및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특징으로 한다.
  • 청주시의 학교 - 충청대학교
    충청대학교는 1982년 설립되어 충청전문대학과 충청대학을 거쳐 2012년 교명을 변경한 사립 전문대학으로, 헬스케어, 스마트바이오 등 5개 계열 33개 학과를 운영하며 중국 북경전력대학교와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충청북도의 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는 198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로, 유치원부터 중등학교까지의 교원 양성, 교원 연수, 교육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높은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과 활발한 학술 교류, 저렴한 등록금 및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특징으로 한다.
  • 충청북도의 대학교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조선정치학관을 모체로 하여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과 충주에 캠퍼스를 두고 13개 학부와 13개 대학원, 7개 학부와 4개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 청원구 - 청주대학교
    청주대학교는 1924년 대성보통학교로 시작하여 청주상과대학을 거쳐 1980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8개의 단과대학과 5개의 대학원 및 다양한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 청원구 - 내수읍
    내수읍은 1914년 청주군 북일면으로 설치되어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2000년에 읍으로 승격되었고, 2014년 청주시와 통합되어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이 되었으며, 청주국제공항, 내수역, 초정약수 등의 시설과 여러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충북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충북대학교 로고
표어개신(開新)
표어 (라틴어)Nova aperio
표어 (영어)I uncover new things
설립일1951년
개교일1953년
학교 종류국립
총장고창섭
캠퍼스개신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충대로 1)
오송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생명1로 194-21)
오창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4길 45)
마스코트
웹사이트충북대학교 홈페이지
소속 및 협력
학술 협력국가거점국립대학교
대학 순위
QS 국내 순위32–37위
THE 국내 순위28–38위
ARWU 국내 순위19–23위
QS 아시아 순위281–290위
THE 아시아 순위351–400위
QS 세계 순위1001–1200위
THE 세계 순위1201–1500위
USNWR 세계 순위1553위
ARWU 세계 순위701–800위
규모 및 구성
교원 수 (2022)551명
재학생 수 (2022)18,334명
학부생 수 (2022)12,818명
대학원생 수 (2022)3,354명
단과대학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
전자정보대학
농업생명환경대학
사범대학
생활과학대학
융합학과군
의과대학
약학대학
수의과대학
자율전공대학
바이오헬스대학
바이오헬스공유대학
대학원9개 대학원

2. 연혁


  • 1951년 9월 27일: 충청북도립 '''청주초급농과대학'''으로 개교하였다. 당시에는 2년제였다.
  • 1956년 4월 23일: '''충북대학'''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 1962년 3월 1일: 충남대학교와 통합되어 국립대학인 '''충청대학교'''의 농과대학이 되었다.
  • 1963년 3월 1일: 충남대학교와 분리되어 '''충북대학'''으로 다시 환원되었다.
  • 1968년: 대학원을 설립하였다.
  • 1977년 12월 31일: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고 '''충북대학교'''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4단과대학: 공과대학, 농과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
  • 1978년: 약학대학·자연과학대학을 설치하였다.
  • 1979년: 인문대학을 설치하였다.
  • 1986년: 경영대학·의과대학을 설치하였다.
  • 1988년: 법과대학을 설치하였다.
  • 1991년: 생활과학대학을 설치하였다.
  • 1993년: 수의과대학을 설치하였다.
  • 2000년: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를 설치하였다.
  • 2002년: 의학전문대학원 설립 인가를 받고, 나노과학기술연구소를 설치하였다.
  • 2003년: 동물생명과학연구소를 설치하고,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를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 2004년: 동물의료센터를 설치하였다.
  • 2005년: 농과대학이 농업생명환경대학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 2006년: 국가위기관리연구소를 설치하였다.
  •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을 설립하였다.
  • 2010년: IDEC충북대학교 지역센터를 설치하였다.
  • 2011년: 의과대학 부속 의학교를 설립하고, 자율전공학부·융합학과군을 신설하였다.
  • 2012년: 교육인증원·사회봉사센터·노화연구소·과학영재교육원·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단을 설치하였다.
  • 2013년: 창업지원단·한국&독일 줄기세포재생의학 국제공동연구소를 설치하였다.
  • 2014년: 생태환경독성연구소를 설치하였다.
  • 2015년: 체육진흥원·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창의융합교육본부를 신설하였다.

3. 교육 및 연구

충북대학교는 1951년 도립 청주초급농과대학으로 개교한 이래 여러 차례 통합과 분리, 교명 변경 및 승격을 거쳐 현재의 종합대학교가 되었다. 1977년 국립 충북대학교로 승격되면서 공과대학, 농과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이 설립되었고, 이후 약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인문대학 등이 추가로 설립 인가되었다.[1] 1994년에는 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반도체과학과, 전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전파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컴퓨터과학과가 반도체 및 정보 분야 특성화 국책공과대학으로 선정되었고, 기계공학과, 재료공학과, 경영정보학과가 관련 계열 지원 학과로 선정되었다.[1] 1996년에는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가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지역협력연구센터(RRC)로 지정되었고, 농업생명환경대학이 농림·수산계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1999년에는 교육부 두뇌한국21 사업 수행 대학으로 선정되었다.[1]

2000년대 이후에는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전자정보대학 등이 신설되었으며,[1] 2010년에는 반도체설계교육센터(IDEC) 충북대지역센터가 설치되었다. 최근에는 창업지원단,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창의융합교육본부 등이 설치되었다.[1]

3. 1. 학부

충북대학교한국어는 15개의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과대학학부 및 학과
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러시아언어문화학과, 철학과, 사학과, 고고미술사학과
사회과학대학심리학과, 사회학과, 행정학과,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자연과학대학수학·정보통계학부(수학전공, 정보통계학전공), 생명과학부(생물학전공, 미생물학전공, 생화학전공), 화학과, 물리학과, 지구환경과학과, 천문우주학과
경영대학경영학부, 국제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공과대학토목공학부, 기계공학부, 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과, 건축공학과, 안전공학과, 환경공학과, 공업화학과, 도시공학과, 건축학과
전자정보대학전기공학부, 전자공학부, 정보통신공학부,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지능로봇공학과
농업생명환경대학식물자원환경화학부(식물자원학전공, 환경생명화학전공), 식품생명·축산과학부(식품생명공학전공, 축산학전공), 응용생명공학부(특용식물학전공, 원예과학전공, 식물의학전공), 산림학과, 지역건설공학과, 목재·종이과학과, 바이오시스템공학과, 농업경제학과
법과대학법학[7]
사범대학교육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 사회교육과, 윤리교육과, 수학교육과, 생물교육과,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체육교육과
생활과학대학식품영양학과, 아동복지학과, 주거환경학과, 소비자학과, 패션디자인정보학과
수의과대학수의예과, 수의학과
약학대학약학과, 제약학과
의과대학의예과, 의학과, 간호학과
자율전공학부(해당 학부에는 학과가 없음)
융합학과군조형예술학과, 디자인학과


3. 2. 대학원

충북대학교는 1951년 도립 청주초급농과대학으로 개교한 이래, 여러 차례의 통합과 분리, 교명 변경 및 승격을 거쳐 현재의 종합대학교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77년 국립 충북대학교로 승격되면서 공과대학, 농과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이 설립되었고, 이후 약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인문대학 등이 추가로 설립 인가되었다.[1] 1990년대에는 반도체 및 정보 분야 특성화 국책공과대학으로 선정되는 등 발전을 이루었다.[1]

충북대학교는 일반대학원 외에도 법학전문대학원, 교육대학원, 행정대학원, 산업대학원, 경영대학원, 법무대학원, 의생명과학경영융합대학원, 세종국가정책대학원 등 다양한 전문·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1] 2000년대 이후에는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전자정보대학 등이 신설되었으며,[1] 최근에는 창업지원단,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창의융합교육본부 등이 설치되었다.[1]

3. 2. 1. 일반대학원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은 다양한 학문 분야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대학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인문사회계열
  •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노어노문학과
  • 사학과, 철학과, 고고미술사학과
  • 행정학과, 정치외교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경제학과, 회계학과, 농업경제학과
  • 국제경영학과, 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 #법학과
  • 교육학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역사·지리교육과, 사회교육과, 윤리교육과
  • 아동복지학과, 소비자학과

  • 자연과학계열
  •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통계학과, 미생물학과, 생화학과, 지구환경과학과, 천문우주학과
  • 축산·원예·식품공학부, 지역건설공학과, 농학과, 산림학과, 임산공학과, 농화학과, 농생물학과, 특용식물학과,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 주거환경학과, 식품영양학과,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약학부, #임상약학과

  • 공학계열
  • 화학공학과, 토목공학과, 토목시스템공학과, 건축공학과, 재료공학과
  • 기계공학과, 안전공학과, 공업화학과, 정밀기계공학과
  • 환경·도시·화학공학부, #건축학과
  • 전기·전자·정보·컴퓨터학부
  • 디지털정보융합학과

  • 예체능계열
  • 체육학과, #조형예술학과, #디자인학과

  • 의학계열
  • 의학과, 수의학과, 간호학과

  • 학과간 협동과정
  • 합성생물학, 바이오산업, 문화재과학, 산림치유학, 보건의생명융합학, 정보산업공학, 빅데이터, 의용생체공학, #그린에너지공학, #미래사회융합과정, #국제경영정보학(GLOMIS)

  • 계약학과
  • 전기전자반도체공학과, 정보보호경영학과, 비즈니스데이터융합학과

3. 2. 2. 전문·특수대학원

4. 국제 교류

충북대학교는 세계 여러 대학과 교류 협정을 맺고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학생 교류와 학술 교류 협정은 구분되어 있으며, 전자는 비교적 적은 수의 대학과, 후자는 더 많은 수의 대학과 이루어지고 있다.[8][9]


4. 1. 학생 교류

충북대학교는 학생과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하여, 총 9개국 18개 학교와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학생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4. 2. 자매 결연 대학

2011년 5월 25일 기준으로 충북대학교와 학술교류 증진을 위해 자매결연을 맺은 학교는 세계 34개국 93개 대학 2개 기구이다.[8] 2013년 12월 31일 기준으로는 39개국 113개 대학과 교류하고 있다.[9]

2011년 기준 학술교류협정 체결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국가대학/기관 수대학/기관 목록
미국11메인 대학교, 세인트 존스 대학교, 콜로라도 주립 대학교, 럿거스 대학교, 워싱턴 주립 대학교, 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서던일리노이 대학교 카본데일, 아이다호 주립 대학교, 미주리 주립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켄터키 주립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세드,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로스쿨[10]
중국19난징 사범대학, 시안 교통대학, 지린 사회과학원, 화중 과기대학, 다롄 이공대학, 상하이 대학, 베이징 사범대학, 옌볜 대학, 화둥 사범대학, 허난 이공대학, 선전 대학, 베이징 제2외국어학원, 하얼빈 공정대학, 후난 농업대학, 중국 사회과학원, 톈진 상업대학, 베이징 사범대학-홍콩 침례 대학 연합국제대학, 서북 정법대학, 수도 사범대학 과덕학원
영국4글래스고 대학교, 웨일스 대학교, 레딩 대학교,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프랑스2마른라발레 대학교, 파리테크 국립고등기술공예학교
캐나다2빅토리아 대학교, 캘거리 대학교
일본6이바라키 대학, 도쿄 농공대학, 메이지 대학, 홋카이도 대학, 야마가타 대학, 아이즈 대학
폴란드3바르샤바 대학교, 마리 퀴리-스클로도프스카 대학교, 우치 대학교
벨라루스2벨라루스 국립 대학교, 벨라루스 국립 기술대학교
대만1중국 문화 대학
러시아11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이르쿠츠크 주립 대학교, 모스크바 철강대학, 블라디보스토크 주립 경제대학교, 크라스노야르스크 주립 사범대학교, 크라스노야르스크 주립 기술대학교, 크라스노야르스크 주립 경제통상대학, 크라스노야르스크 주립 대학교, 크라스노야르스크 주립 의과대학, 크라스노야르스크 주립 항공우주대학교, 크라스노야르스크 주립 예술대학
우즈베키스탄2타슈켄트 국립 사범대학교, 타슈켄트 국립 동방학대학교
키르기스스탄1비슈케크 인문대학교
오스트레일리아2그리피스 대학교, 퀸즐랜드 대학교
베트남1하노이 국립 대학교
인도1굴바가 대학교
몽골2몽골 국립 대학교, 몽골 국립 농업대학교
우크라이나2우크라이나 국립 기술대학교, 오데사 국립 해양대학교
스페인1카스티야라망차 대학교
독일1하노버 대학교
칠레1발파라이소 가톨릭대학교
카자흐스탄1아블라이한 국제외국어대학교
아르헨티나1코르도바 국립 대학교
에티오피아1아디스아바바 대학교
탄자니아1다르에스살람 대학교
나이지리아1조스 대학교
태국1킹 몽꿋 기술대학교 톤부리
헝가리1부다페스트 기술경제대학교
필리핀7벵게트 주립 대학교, 불라칸 주립 대학교, 팜팡가 주립 농업대학교, 라살레아라네타 대학교, 세부 의학종합대학교, 비사야스 대학교, 돈 호노리오 주립 공과대학교
남아프리카 공화국1남아프리카 대학교
케냐1나이로비 대학교
인도네시아1반둥 공과대학교
핀란드2오울루 대학교, 오스트로보스니아 중앙 대학교
오스트리아1인스브루크 대학교
에스토니아1탈린 대학


5. 특징 및 성과


  • 충북대학교병원이 바로 옆에 있다.
  •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주국제공항, 경부고속철도가 지나는 교통의 요지에 있다.
  • 20km 이내에 청주산업단지·청주테크노폴리스·오송바이오산업단지·오창과학산업단지 뿐 아니라 대전광역시대덕연구개발특구도 위치해 있어, 여러 산-학-연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 2008년 3월 1일 전국 국립 대학 최초로 임대형 민자사업(BTL)으로 학생생활관 '양성재'가 개관되었으며, 외국인 학생들이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150여 명 규모의 유학생 생활관 '등용관'이 별도로 마련되었다. 2015년 기준으로 의과대학 인근에 BTL 생활관 '양진재'가 추가 완공되어, 2015년 1학기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양진재의 개관으로 충북대학교 학생생활관은 총 4,100여 명의 학생을 수용하게 되었다.
  •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BK21) 종합평가에서 충북대학교 4개 사업단이 ‘매우우수’평가를, 5개 사업단이 ‘우수’평가를 받아, 11개 사업단 중 9개 사업단이 ‘우수’이상의 평가를 받았다.
  • 2015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사립 대학 포함) 서울대학교에 이어 전국 종합 2위로 A등급에 선정되었다.
  • 2016년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단(코어사업)에 선정되어 향후 3년간 260억씩 총 780억의 예산을 지원받게 되었다.
  • 2017년 한국생산성본부 평가 국가고객만족도(NCSI)조사에서 국립대학교 부문 4년 연속 1위에 선정되었다.
  • 2017년 국가 청렴도 조사에서 4년 연속 거점국립대학교 1위에 선정되었다.
  • 2018년 정시 경쟁률 (7.02:1)로 거점국립대학교 중 최고 경쟁률을 기록하였다.

6. 주요 동문

충북대학교 학부 출신 중 차관급 이상 공직을 지낸 동문으로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도종환(국어교육과), 유한식 제1대 세종특별자치시장(축산학과), 박경국안전행정부 제1차관(농업경제학과), 신원섭 제30대 산림청 청장(산림학과), 김병우 제16대 충청북도교육감(국어교육과) 등이 있다.

참조

[1] 웹인용 충복대학교 대학헌장 https://www.chungbuk[...] 2023-07-01
[2] 뉴스 ‘NOVA APERIO’의 정신이 예술로 다시 태어나다 https://www.ccdn.co.[...] 충청매일 2021-09-26
[3] 일반텍스트
[4] 일반텍스트
[5] 웹인용 대학알리미 http://academyinfo.g[...] 2023-04-18
[6] 일반텍스트
[7] 일반텍스트
[8] 웹사이트 충북대학교 대외협력과 http://www.chungbuk.[...]
[9] 웹인용 대학정보공시 - 충북대학교, 12-라. 외국대학과 교류 현황 http://www.academyin[...] 2014-12-21
[10] 웹인용 대학정보공시 -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12-라. 외국대학과 교류 현황 http://www.academyin[...] 2014-12-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