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7200호대 디젤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72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80년대 한국 철도 고속 여객 열차 운송에 기여한 디젤 기관차이다. GT26CW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2행정 16기통 V형 터보 디젤 엔진을 사용하여 3000마력의 출력을 낸다. 2000년대 후반부터 노후화와 신형 기관차 도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총 40량이 7500호대 디젤 기관차로부터 개조되어 도입되었다. 2008년부터 2019년 사이에 대부분 퇴역하였고, 일부는 해외 수출 및 국내 보존되었다. 현재는 7212호가 진해선 경화역에 보존되어 있으며, 과거 보존되었던 차량들은 고철 매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70년대부터 도입된 미국의 EMD GT26CW 모델 기반 디젤 기관차로, 국산화, 여객용 개조, 재생 작업, 재도색 등을 거쳐 일부 차량이 2025년 현재까지 운행 중이며 노후화로 인한 퇴역 및 대체가 진행되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노후 디젤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해 2014년부터 도입된 GE PowerHaul 기반의 전기식 디젤 기관차로, 대한민국 특대형 디젤 기관차 최초로 양방향 운전실을 갖추고 VVVF 인버터 제어를 통해 연료 효율을 높여 총 25량이 화물 수송에 투입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7200호대 디젤 기관차 | |
---|---|
기본 정보 | |
![]() | |
차량 종류 | 디젤 기관차 |
제작 회사 | GMC EMD 현대차량 (→현대로템) 현대정공 (→현대로템) |
제작 년도 | 1971년~1980년 |
생산 대수 | 40대 |
운영 회사 | 한국철도공사 |
퇴역 | 퇴역 |
기술 사양 | |
형식 | GT26CW |
동력 방식 | 디젤 |
차륜 배열 | Co-Co |
엔진 형식 | 16-645E3 |
전동기 형식 | D77B |
기어비 | 57:20 |
차륜 직경 | 1,016 |
전장 | 20,787 |
전폭 | 3,127 |
전고 | 4,254 |
차량 중량 | 132톤 |
축중 | 22톤 |
궤간 | 1,435 |
최고 속도 | 150km/h |
견인력 | 46,750lbf (207,954N) |
출력 | 3,000 |
보안 장치 | ATS |
제동 방식 | 공기 제동 발전 제동 |
도입 가격 | |
1971년 | 338,187달러 |
1975년 | 540,000달러 |
1979년/1980년초 | 650,000,000원 |
1980년말 | 880,000,000원 |
용도 | |
용도 | 화물 견인 |
2. 기술적 사양
7200호대 디젤 기관차의 원래 모델명은 '''GT26CW'''이다. 이 모델은 본래 미국에서 주로 중단거리 화물에 사용되던 것으로, 대한민국에서 고속 여객 열차를 끌기 위해 알맞게 조정하여 도입되었다. 2행정 160리터급 16기통 V형 하이브리드 터보 디젤 엔진을 얹어 3000마력의 출력을 내며, 전동기 구성은 2직3병렬로 기동하여 50~60km/h에서 6직렬 회로로 전이된다. 따라서 이 속도대역에서 회로변경으로 인한 전이충격 현상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차의 차륜 배열은 전형적인 C-C축으로 되어 있으며, 제어대는 오른쪽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야가 제한되어 부기관사가 반드시 동승하도록 되어 있다. 1986년 철도청의 열차 고속화 정책에 의하여 7500호대 디젤 기관차를 고속 여객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기어비만 7100호대 디젤 기관차와 동일하게 개조하였기 때문에 7100호대와 사양이 같다.
1986년 철도청의 열차 고속화 정책에 따라 7500호대 디젤 기관차를 고속 여객용으로 개조하면서 7200호대 디젤 기관차가 탄생하였다. 기어비를 7100호대 디젤 기관차와 동일하게 개조하여 7100호대와 사양이 같다. 총 40량이 7500호대로부터 개조되어 도입되었다.[3][4][5]
3. 개조 및 도입
3. 1. 세부 도입 내역
wiki
차호 | 시리얼[3][4][5]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7201 | 713550 | 1975년 9월 30일 | 2008년 10월 31일 | 구 7576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고철 매각. |
7202 | 37261 | 1971년 7월 26일[6] | 2009년 1월 31일 | 구 7548호에서 개번.[7] 2011년 고철 매각. |
7203 | 37262 | 구 7549호에서 개번.[7]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고철 매각. | ||
7204 | 37263 | 2008년 12월 31일 | 구 7550호에서 개번.[7]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고철 매각.[9] | |
7205 | 713525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51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 |
7206 | 713526 | 구 7552호에서 개번. 2020년 고철 매각.[8] | ||
7207 | 713527 | 2009년 1월 31일 | 구 7553호에서 개번.[7]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고철 매각.[9] | |
7208 | 713528 | 2013년 6월 30일 | 구 7554호에서 개번.[7] 2022년 고철 매각. | |
7209 | 713529 | 2008년 10월 31일 | 구 7555호에서 개번.[7] 2010년 고철 매각. | |
7210 | 713530 | 2009년 1월 31일 | 구 7556호에서 개번.[7]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고철 매각.[9] | |
7211 | HDRS7901 | 1979년 9월 20일[6] | 구 7581호에서 개번.[7][14] 현대차량에서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디젤 기관차.[10] 1979년 제작, 1년간 시운전.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 |
7212 | 713532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58호에서 개번.[7] 진해선 경화역에 새마을호 객차 2량과 함께 보존 중.[11] |
7213 | 713533 | 구 7559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12] | ||
7214 | 713534 | 구 7560호에서 개번.[7] 2022년 고철 매각. | ||
7215 | 713535 | 2009년 1월 31일 | 구 7561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13] | |
7216 | 713536 | 2013년 6월 30일 | 구 7562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12] | |
7217 | 713537 | 2009년 12월 31일 | 구 7563호에서 개번.[7] 경북선 점촌역에 보존, 2012년 고철 매각. | |
7218 | 713538 | 2013년 6월 30일 | 구 7564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12] | |
7219 | HDRS8003 | 1980년 1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84호에서 개번.[14] 2010년 고철 매각. |
7220 | 713540 | 1975년 9월 30일 | 2008년 12월 31일 | 구 7566호에서 개번. 2010년 고철 매각. |
7221 | HDRS8006 | 1980년 12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87호에서 개번. 2018년 고철 매각.[13] |
7222 | HDRS8007 | 구 7588호에서 개번. 1993년 8월 21일 경전선 벌교역-순천역 사이 산사태로 대파, 1995년 10월 26일 복구 완료.[15] 2018년 고철 매각.[13] 영화 부산행에 나온 차량. | ||
7223 | 713543 | 1975년 9월 30일 | 2008년 10월 31일 | 구 7569호에서 개번.[7] 2010년 고철 매각. |
7224 | 713544 | 구 7570호에서 개번.[7]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고철 매각. | ||
7225 | HDRS89 | 1980년 12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89호에서 개번. 2012년 파키스탄으로 수출 매각. |
7226 | HDRS90 | 2008년 12월 31일 | 구 7590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고철 매각.[9] | |
7227 | 713547 | 1975년 9월 30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73호에서 개번.[7] 영주역에 보존, 2012년 고철 매각. |
7228 | 713548 | 2013년 6월 30일 | 구 7574호에서 개번.[7] 2022년 고철 매각. | |
7229 | HDRS91 | 1980년 12월 31일 | 2008년 3월 24일 | 구 7591호에서 개번.[14] 2010년 고철 매각. |
7230 | HDRS92 | 2009년 1월 31일 | 구 7592호에서 개번. 2010년 고철 매각. | |
7231 | HDRS93 | 구 7593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고철 매각. | ||
7232 | 713553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79호에서 개번.[7] 2022년 고철 매각. |
7233 | 713551 | 구 7577호에서 개번. 2018년 고철 매각.[12] | ||
7234 | 713549 | 2009년 1월 31일 | 구 7575호에서 개번. 2011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 후 운행 만료, 고철 매각. | |
7235 | HDRS94 | 1980년 12월 31일 | 1994년 12월 30일 | 구 7594호에서 개번. 1994년 12월 4일 경부선 성환역 구내 두포건널목 유조트럭 충돌 사고로 대파, 폐차. |
7236 | 713531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57호에서 개번.[7] 철도청 구 도색 적용 최후 차량. 2022년 고철 매각. |
7237 | 713552 | 구 7578호에서 개번. 2018년 고철 매각.[12] | ||
7238 | HDRS95 | 1980년 12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95호에서 개번. 영주역에 보존, 2018년 고철 매각.[13] |
7239 | 713554 | 1975년 9월 30일 | 2017년 4월 4일[16] | 구 7580호에서 개번. 심한 노후화로 조기 폐차. 2018년 고철 매각.[13] |
7240 | HDRS96 | 1980년 12월 31일 | 2019년 7월 10일 | 구 7596호에서 개번. 심한 노후화로 조기 폐차. 2019년 유일한 쪽문(부기관사 문) 기관차. 2021년 고철 매각.[17] |
4. 운행 및 퇴역
72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총 40량이 7500호대 디젤 기관차로부터 개조되어 새마을호 등 여객 열차를 견인했다. 노후화 및 신형 기관차 도입으로 2000년대 후반부터 운행이 중단되어, 2008년부터 2019년 사이에 대부분 퇴역했다. 일부는 이란, 파키스탄 등으로 수출되거나 국내에 보존되었으며, 7212호 1량이 보존 중이다.
차량별 운행 중단 시기 및 비고는 다음과 같다.
차호 | 시리얼[3][4][5]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7201호 | 713550 | 1975년 9월 30일 | 2008년 10월 31일 | 구 7576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 수출, 현지 운행 만료 후 고철 매각. |
7202호 | 37261 | 1971년 7월 26일[6] | 2009년 1월 31일 | 구 7548호에서 개번.[7] 2011년 고철 매각. |
7203호 | 37262 | 1971년 7월 26일[6] | 2009년 1월 31일 | 구 7549호에서 개번.[7] 2010년 이란 수출, 현지 운행 만료 후 고철 매각. |
7204호 | 37263 | 1971년 7월 26일[6] | 2008년 12월 31일 | 구 7550호에서 개번.[7] 2010년 이란 수출.[9] 현지 운행 만료 후 고철 매각. |
7205호 | 713525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51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 |
7206호 | 713526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52호에서 개번. 2020년 고철 매각.[8] |
7207호 | 713527 | 1975년 9월 30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53호에서 개번.[7] 2011년 이란 수출.[9] 현지 운행 만료 후 고철 매각. |
7208호 | 713528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54호에서 개번.[7] 김천기관차 사업소 보존 무산, 2022년 고철 매각. |
7209호 | 713529 | 1975년 9월 30일 | 2008년 10월 31일 | 구 7555호에서 개번.[7] 2010년 고철 매각. |
7210호 | 713530 | 1975년 9월 30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56호에서 개번.[7] 2010년 이란 수출.[9] 현지 운행 만료 후 고철 매각. |
7211호 | HDRS7901 | 1979년 9월 20일[6] | 2009년 1월 31일 | 구 7581호에서 개번.[7][14] 대한민국 최초 국산 디젤 기관차.[10] 2011년 이란 수출, 현지 운행 만료. |
7212호 | 713532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58호에서 개번.[7] 진해선 경화역에 새마을호 객차 2량과 보존.[11] |
7213호 | 713533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59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12] |
7214호 | 713534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60호에서 개번.[7] 김천기관차 사업소 보존 무산, 2022년 고철 매각. |
7215호 | 713535 | 1975년 9월 30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61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13] |
7216호 | 713536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62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12] |
7217호 | 713537 | 1975년 9월 30일 | 2009년 12월 31일 | 구 7563호에서 개번.[7] 경북선 점촌역 보존, 2012년 고철 매각. |
7218호 | 713538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64호에서 개번.[7] 2018년 고철 매각.[12] |
7219호 | HDRS8003 | 1980년 1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84호에서 개번.[14] 2010년 고철 매각. |
7220호 | 713540 | 1975년 9월 30일 | 2008년 12월 31일 | 구 7566호에서 개번. 2010년 고철 매각. |
7221호 | HDRS8006 | 1980년 12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87호에서 개번. 2018년 고철 매각.[13] |
7223호 | 713543 | 1975년 9월 30일 | 2008년 10월 31일 | 구 7569호에서 개번.[7] 2010년 고철 매각. |
7224호 | 713544 | 1975년 9월 30일 | 2008년 10월 31일 | 구 7570호에서 개번.[7] 2010년 이란 수출, 현지 운행 만료 후 고철 매각. |
7225호 | HDRS89 | 1980년 12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89호에서 개번. 2012년 파키스탄 수출. |
7226호 | HDRS90 | 1980년 12월 31일 | 2008년 12월 31일 | 구 7590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 수출.[9] 현지 운행 만료 후 고철 매각. |
7227호 | 713547 | 1975년 9월 30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73호에서 개번.[7] 영주역 보존, 2012년 고철 매각. |
7228호 | 713548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74호에서 개번.[7] 김천기관차 사업소 보존 무산, 2022년 고철 매각. |
7229호 | HDRS91 | 1980년 12월 31일 | 2008년 3월 24일 | 구 7591호에서 개번.[14] 2010년 고철 매각. |
7230호 | HDRS92 | 1980년 12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92호에서 개번. 2010년 고철 매각. |
7231호 | HDRS93 | 1980년 12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93호에서 개번. 2010년 이란 수출, 현지 운행 만료 후 고철 매각. |
7232호 | 713553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79호에서 개번.[7] 김천기관차 사업소 보존 무산, 2022년 고철 매각. |
7233호 | 713551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77호에서 개번. 2018년 고철 매각.[12] |
7234호 | 713549 | 1975년 9월 30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75호에서 개번. 2011년 이란 수출, 현지 운행 만료 후 고철 매각. |
7236호 | 713531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57호에서 개번.[7] 철도청 구 도색 최후 적용 차량. 김천기관차 사업소 보존 무산, 2022년 고철 매각. |
7237호 | 713552 | 1975년 9월 30일 | 2013년 6월 30일 | 구 7578호에서 개번. 2018년 고철 매각.[12] |
7238호 | HDRS95 | 1980년 12월 31일 | 2009년 1월 31일 | 구 7595호에서 개번. 영주역 보존, 2018년 고철 매각.[13] |
7239호 | 713554 | 1975년 9월 30일 | 2017년 4월 4일[16] | 구 7580호에서 개번. 노후화로 조기 폐차, 2018년 고철 매각.[13] |
7240호 | HDRS96 | 1980년 12월 31일 | 2019년 7월 10일 | 구 7596호에서 개번. 노후화로 조기 폐차, 2019년 유일한 쪽문 기관차. 2021년 고철 매각.[17] |
4. 1. 사고 및 폐차
7235호는 1980년 12월 31일에 7594호에서 개번되어 도입되었다.[3][4][5] 1994년 12월 4일 경부선 성환역 구내 두포건널목에서 유조트럭과 충돌하는 사고로 대파되어 1994년 12월 30일 폐차되었다.[3][4][5]7222호는 1980년 12월 31일에 7588호에서 개번되어 도입되었다.[3][4][5] 1993년 8월 21일 경전선 벌교역-순천역 사이에서 산사태로 대파되었으나,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1995년 10월 26일에 복구되었다.[15] 이후 2009년 1월 31일에 운행이 중단되었고,[3][4][5] 2018년에 고철 매각되었다.[13]
5. 보존
7212호는 진해선 경화역에 새마을호 객차 2량과 함께 보존 중이다.[11] 7217호는 경북선 점촌역에 보존되었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 7227호와 7238호는 영주역에 보존되었다가 각각 2012년, 2018년에 고철 매각되었다.[13] 7208, 7214, 7228, 7232, 7236호는 김천기관차 사업소에 보존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백지화되어 신창원으로 회송 후 대차와 내부 부품은 수출하고 차체는 2022년에 고철 매각되었다.
6. 기타
참조
[1]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2]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3]
웹인용
EMD 37200 to 37299
http://www.trainweb.[...]
2016-07-03
[4]
웹인용
EMD 713500 to 713599
http://www.trainweb.[...]
2016-07-03
[5]
웹인용
Korean National Locomotives
https://www.thediese[...]
2018-06-05
[6]
웹인용
헌디젤기관차 55량 현차매각 공고
http://www.onbid.co.[...]
2016-07-03
[7]
웹인용
비공개 포스트 입니다.
http://blog.naver.co[...]
2016-07-04
[8]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921,293KG (10량)
http://www.onbid.co.[...]
2020-01-03
[9]
웹인용
Project - p strong 2011 may strong locomotives shipment from south korea to iran 5 units 1 350 cbm p
http://www.etamad.co[...]
2020-02-15
[10]
뉴스
철도사의 새 장-국산 디젤 기관차 운행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9-09-18
[11]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철도차량 3량 원형매각(기관차1량, 객차2량)
http://www.onbid.co.[...]
2018-03-29
[12]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98,454kg (7량)
http://www.onbid.co.[...]
2018-05-23
[13]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14량) 1,048,895
http://www.onbid.co.[...]
2018-07-03
[1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utahrails.net[...]
2016-07-31
[15]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16]
웹사이트
디젤 전기 기관차 운행 중지 및 폐차 완료 알림(7239호)
https://www.open.go.[...]
[17]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폐 디젤기관차 8량 749,138kg 매각
http://www.onbid.co.[...]
2021-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