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 자유 무역 협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영 자유 무역 협정은 대한민국과 영국 간의 자유 무역 협정으로, 브렉시트 이후 유럽 연합-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을 기반으로 한 연속 무역 협정을 대체하기 위해 체결되었다. 2022년 12월 현대화된 자유 무역 협정 회담을 시작할 의사를 발표하고, 2023년 11월 22일 협상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주요 협상 라운드는 서울과 런던에서 진행되었으며, 2024년 11월 5일 협상이 재개될 예정이다. 협정은 상품 무역, 서비스 무역 및 투자, 정부 조달, 지식재산권 보호, 경쟁 정책, 투명성, 무역과 지속 가능한 발전, 분쟁 해결 절차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9년 체결된 조약 - 엘리제 조약
엘리제 조약은 2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와 서독이 적대 관계를 끝내고 정치, 경제, 문화,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1963년에 체결한 협력 조약으로, "본-파리 축" 또는 "프랑스-독일 동맹"의 기반이 되었으며 유럽 통합의 중요한 동력으로 평가된다. - 2019년 체결된 조약 - 폭력 및 괴롭힘 협약
폭력 및 괴롭힘 협약은 국제노동기구(ILO)의 협약으로, 직장 내 폭력과 괴롭힘을 근절하고 피해자 보호 및 권리 구제 수단을 마련하여 폭력과 괴롭힘 없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21년 6월 25일 발효되어 2024년 현재 39개국이 비준하였다. - 대한민국-영국 관계 -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는 한국전쟁 설마리 전투에서 전사한 영국군 글로스터셔 연대와 왕립 포병대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파주에 건립된 기념비로, 기념 공원 확장과 '글로스터 영웅교' 출렁다리를 통해 한국과 영국의 우호 관계를 상징한다. - 대한민국-영국 관계 - 주한 영국 대사관
주한 영국 대사관은 한국과 영국 간 외교 관계를 수행하며 양국 관계는 조약 체결로 시작되었으나 단절 후 재개되었고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 교류 증진 및 비자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영국의 경제 - 브렉시트
브렉시트는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를 의미하며, 2016년 국민투표로 결정되어 2020년 1월 31일 공식 탈퇴 후 영국 경제,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영국의 경제 - 금융정책위원회
금융정책위원회(MPC)는 영국의 통화 정책을 책임지는 기구로, 물가 안정을 목표로 연 8회 회의를 통해 금리 결정 등 통화 정책을 결정한다.
한영 자유 무역 협정 | |
---|---|
협정 개요 | |
명칭 | 한-영 자유 무역 협정 |
유형 | 자유 무역 협정 |
협정 상황 | 협상 중 |
위치 | 영국, 대한민국 |
![]() | |
협상 담당자 | |
대한민국 | 방문규 (2023년 9월 20일까지) 안덕근 (2023년 9월 20일부터) |
영국 | 케미 바데노크 (2024년 7월 5일까지) 조너선 레이놀즈 (2024년 7월 5일부터) |
협정 관련 정보 | |
서명일 | 미정 |
발효일 | 미정 |
언어 | 한국어 영어 |
참여 국가 |
2. 역사적 배경
유럽 연합-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은 2011년 7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0일까지 대한민국과 영국 간의 무역의 기반이 되었다. 영국은 유럽 연합 회원국이었기 때문에 이 협정의 적용을 받았다.[3] 브렉시트로 인해 영국이 유럽 연합을 탈퇴하면서, 영국과 대한민국은 2019년 8월 22일 유럽 연합-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을 기반으로 한 연속 무역 협정에 서명했고, 2021년 1월 1일에 발효되었다.[4][5]
2. 1. EU-대한민국 FTA 시기 (2011년 ~ 2020년)
2011년 7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0일까지 대한민국과 영국 간의 무역은 유럽 연합-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에 따라 규제되었다. 이 시기 영국은 유럽 연합 회원국으로서 유럽 연합의 공동 통상 정책에 따라 한국과 무역 관계를 맺었다.[3]2. 2. 한-영 FTA 체결 및 발효 (2021년 ~ 현재)
2011년 7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0일까지 대한민국과 영국 간의 무역은 유럽 연합-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에 따라 규제되었다. 이는 영국이 유럽 연합의 회원국이었기 때문이다.[3] 브렉시트로 인한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 이후, 영국과 대한민국은 유럽 연합-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을 기반으로 한 연속 무역 협정에 2019년 8월 22일 서명했으며, 이 협정은 2021년 1월 1일에 발효되었다.[4][5]3. 협상 과정
2024년 영국 총선 이후 협상은 2024년 11월 5일에 재개될 예정이다.[11]
3. 1. 협상 개시 (2022년 ~)
2022년 12월 9일, 대한민국과 영국은 현대화된 자유 무역 협정(FTA)에 대한 회담을 시작할 의사를 발표했다. 이 협정은 한-영 무역 연속성 협정을 대체하게 된다.[6] 무역 협상은 2023년 11월 22일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1][2]
1차 협상은 2024년 1월 25일에 종료되었다.[7][8] 2차 협상은 2024년 3월 22일에 종료되었다.[9][10]
3. 2. 협상 진행
2022년 12월 9일, 대한민국과 영국은 현대화된 자유 무역 협정에 대한 회담을 시작할 의사를 발표했다. 이 협정은 한-영 무역 연속성 협정을 대체하게 된다.[6] 2023년 11월 22일에 양국은 무역 협상을 공식적으로 시작하였다.[1][2]라운드 | 날짜 | 장소 |
---|---|---|
1 | 2024년 1월 23일–25일 | 서울 |
2 | 2024년 3월 19일–22일 | 런던 |
1차 협상은 2024년 1월 25일에 종료되었다.[7][8] 2차 협상은 2024년 3월 22일에 종료되었다.[9][10] 2024년 영국 총선 이후 협상은 2024년 11월 5일에 재개될 예정이다.[11]
4. 협정 구성
한-영 자유 무역 협정(FTA)은 서문과 총 15개의 장, 그리고 각 장에 대한 부속서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은 상품, 서비스, 투자, 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7]
장 | 제목 | 내용 |
---|---|---|
제1장 | 목적 및 일반 정의 | 협정의 목적과 적용 범위, 용어 정의 등을 규정한다. |
제2장 | 상품에 대한 내국민대우 및 시장접근 | 상품 관세 철폐 및 전자제품, 자동차 및 부품, 의약품 및 의료기기, 화학물질 관련 내용을 담고 있다. |
제3장 | 무역구제 | 농업 긴급수입제한조치 등 무역 구제 조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제4장 | 무역에 대한 기술장벽 | 무역에 대한 기술 장벽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
제5장 | 위생 및 식물위생 조치 | 위생 및 식물 위생 조치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
제6장 | 관세 및 무역 원활화 | 관세 행정 협력, 통관 절차 간소화 등 무역 원활화 조치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
제7장 | 서비스 무역·설립 및 전자상거래 | 서비스 시장 개방, 투자 자유화, 금융 서비스 및 통신 서비스에 대한 추가 약속을 담고 있다. |
제8장 | 지급 및 자본 이동 | 투자와 관련된 자금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제9장 | 정부조달 | 정부 조달 시장 개방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제10장 | 지식재산 | 지식재산권 보호와 관련된 규정을 다룬다. |
제11장 | 경쟁 | 공정거래 및 독과점 규제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
제12장 | 투명성 | 협정 이행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규정을 다룬다. |
제13장 | 무역과 지속가능한 발전 |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협력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
제14장 | 분쟁해결 | 협정 당사국 간 분쟁 발생 시 해결 절차에 대한 규정을 다룬다. |
제15장 | 제도·일반 및 최종 규정 | 협정의 발효, 개정, 종료 등 협정 운영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규정한다. |
4. 1. 상품 무역
한영 자유 무역 협정에서 상품 무역 분야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구성 | 내용 |
---|---|
관세 철폐 및 인하 | 부속서 2-가에 해당하며, 전자제품, 자동차 및 부품, 의약품 및 의료기기, 화학물질 등 특정 품목에 대한 별도 부속서는 각각 부속서 2-나, 2-다, 2-라, 2-마에 해당한다. |
무역 구제 조치 | 제3장, 부속서 3에 해당한다. |
무역에 대한 기술 장벽 | 제4장, 부속서 4에 해당한다. |
위생 및 식물위생 조치 | 제5장에 해당한다. |
4. 2. 서비스 무역 및 투자
한영 자유 무역 협정(FTA)의 제7장은 서비스 무역, 설립 및 전자상거래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7] 부속서 7-라는 금융 서비스 및 통신 서비스에 대한 추가적인 약속을 포함한다.[7]서비스 시장 개방 및 투자 자유화
- 서비스 시장 개방: 양국은 서비스 시장을 상호 개방하여, 상대국 서비스 공급자에게 자국 서비스 공급자와 동등한 대우를 제공한다.
- 투자 자유화: 양국은 상대국 투자자의 투자를 자유화하고, 투자자에게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투자 환경을 제공한다.
금융 서비스 및 통신 서비스에 대한 추가 약속 (부속서 7-라)
- 금융 서비스: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양국은 시장 접근 확대, 규제 투명성 제고 등 추가적인 약속을 통해 금융 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협력한다.
- 통신 서비스: 통신 서비스 분야에서 양국은 경쟁 촉진, 상호 접속 개선 등 추가적인 약속을 통해 통신 시장의 발전과 소비자 편익 증진을 위해 노력한다.
4. 3. 기타 분야
한영 자유 무역 협정에서 다루는 기타 분야는 다음과 같다.- 정부 조달 (제9장, 부속서 9): 정부 조달 시장 개방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지식재산권 보호 (제10장, 부속서 10-가, 10-나): 지식재산권 보호와 관련된 규정을 다룬다. 농산물 및 식품, 포도주, 방향 포도주 및 증류주의 지리적 표시에 대한 내용도 포함된다.
- 경쟁 정책 (제11장): 공정거래 및 독과점 규제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 투명성 (제12장): 협정 이행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규정을 다룬다.
- 무역과 지속 가능한 발전 (제13장, 부속서 13):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협력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 분쟁 해결 절차 (제14장, 부속서 14-가, 14-나, 14-다): 협정 당사국 간 분쟁 발생 시 해결 절차에 대한 규정을 다룬다. 비관세조치에 대한 중개 매커니즘, 중재 절차 규칙, 중재 패널 구성원과 중개인에 대한 행동 규범 등이 포함된다.
참조
[1]
뉴스
UK and South Korea to launch talks on new trade deal as Korean businesses back Britain with £21 billion of investment
https://www.gov.uk/g[...]
2023-11-21
[2]
뉴스
South Korea's Yoon to Talk AI in UK as Trade Negotiations Begin
https://www.bloomber[...]
2023-11-20
[3]
웹사이트
EU - Korea, Republic of
https://rtais.wto.or[...]
2024-03-16
[4]
웹사이트
UK and Korea to sign trade continuity deal to ensure businesses are ready to trade post-Brexit
https://www.gov.uk/g[...]
2024-03-16
[5]
웹사이트
South Korea agrees deal with UK for post-Brexit trade
https://www.ft.com/c[...]
2024-03-16
[6]
뉴스
UK kicks off process to negotiate new trade deal with South Korea
https://www.gov.uk/g[...]
2024-03-16
[7]
뉴스
Republic of Korea Trade Negotiations Update
https://questions-st[...]
2024-03-19
[8]
뉴스
1st round of Korea-UK FTA upgrade negotiation
https://www.koreatim[...]
2024-03-19
[9]
뉴스
Korea and UK to hold 2nd official negotiating round on upgrading bilateral FTA
https://english.moti[...]
2024-04-08
[10]
뉴스
S.Korea's Yoon vows more cooperation with Britain as trade talks resume
https://www.reuters.[...]
2024-04-08
[11]
웹사이트
Negotiations on UK-South Korea trade deal resume under new government
https://www.gov.uk/g[...]
2024-12-16
[12]
웹인용
FTA 강국, KOREA
https://www.fta.go.k[...]
2024-03-02
[13]
웹인용
FTA 포털
https://www.customs.[...]
2024-03-02
[14]
저널
한·영 FTA 체결의 효과 분석과 협력분야 확대 방안
https://www.dbpia.co[...]
20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