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하 몽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하 몽골어는 몽골국의 표준어가 기반이 되는 몽골어 방언으로, Juha Janhunen의 저서에 따르면 19개의 방언으로 분류된다. 주요 방언으로는 외몽골의 할하 고유 방언, 호토고이트 방언, 다르하드 방언, 다리강가 방언 등이 있으며, 러시아에서는 총골 방언과 사르툴 방언이 사용된다. 내몽골 지역에서는 울란차브 방언과 실링골 방언이 사용되며, 몽골어족의 현대 몽골어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어족 - 칼미크어
칼미크어는 유럽의 칼미크인들이 사용하는 몽골어족 언어로, 러시아어와 튀르크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교착어와 모음조화의 특징을 지니고, 토도 비치그를 거쳐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소멸 위기를 겪었으나 부흥 운동이 있었다. - 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 할하 몽골어 | |
|---|---|
| 언어 정보 | |
| 언어 이름 | 할하 몽골어 |
| 다른 이름 | 할흐 아얄구(Халх аялгуу), Halh ayalguu |
| 사용 국가 | 몽골 |
| 사용자 | 할하족 |
| 사용자 수 (2010년) | 3,000,000명 |
| 언어 계통 | 알타이어족 |
| 어족 | 몽골어족 |
| 하위 어족 | 중앙 몽골어 |
| 세부 분류 | 부랴트어-몽골어 > 몽골어 |
| 언어 코드 (ISO 639-3) | khk |
| 언어 코드 (Glottolog) | halh1238 |
| 고유 명칭 | 할흐 아얄구(Халх аялгуу)/Halh ayalguu/ᠬᠠᠯᠬᠠ ᠠᠶᠠᠯᠭᠤ |
| 발음 (IPA) | /χaɬχ ajɮˈɢʊ/ |
| 문자 | 키릴 문자 |
2. 방언
Juha Janhunen의 저서 『몽골어』에서 할하 방언을 다음과 같이 19개로 분류했다.[13]
- 외몽골:
- * 중앙
- ** 할하 고유 방언
북부 할하
남부 할하
울란바토르 할하 방언
- * 북부:
- ** 호트고이트 (Xotgaid) 방언
- ** 다르하드 (Darxed) 방언
- * 남동부:
- ** 다리강가 (Darygengg) 방언
- 러시아:
- * 총골 (ru) (Tzonggel)
- * 사르툴 (Sartool)
- ** 공식적으로 둘 다 "부랴트" 방언으로 분류된다.
- 내몽골:
- * 울란차브 방언:
- ** 차하르 (Tzaxer) 방언
- ** 우라트(Ourd) 방언
- ** 다르한(Darxen) 방언
- ** 되르벤 후헤트(Deurben Xuuxed) 방언
- ** 무밍간(Moo Minggen) 방언
- ** 케시그텐 (Xeshegten) 방언
- 실링골(Shiilin Gol) 방언:
- * 우줌친(Udzencem) 방언
- * 후치트(Xooced) 방언
- * 아바가 (Abegh) 방언
- * 아바가나르 (Abeghner) 방언
- * 수니트 (Seund) 방언
2. 1. 할하 방언
몽골국의 표준어 기반이 되는 방언은 할하 방언이다.[13]Juha Janhunen의 저서 『몽골어』에서 할하 방언을 다음과 같이 19개로 분류했다.
- 외몽골:
- * 중앙
- ** 할하 고유 방언
북부 할하
남부 할하
울란바토르 할하 방언
- * 북부:
- ** 호트고이트 (Xotgaid) 방언
- ** 다르하드 (Darxed) 방언
- * 남동부:
- ** 다리강가 (Darygengg) 방언
- 러시아:
- * 총골 (ru) (Tzonggel)
- * 사르툴 (Sartool)
- ** 공식적으로 둘 다 "부랴트" 방언으로 분류된다.
- 내몽골:
- * 울란차브 방언:
- ** 차하르 (Tzaxer) 방언
- ** 우라트(Ourd) 방언
- ** 다르한(Darxen) 방언
- ** 되르벤 후헤트(Deurben Xuuxed) 방언
- ** 무밍간(Moo Minggen) 방언
- ** 케시그텐 (Xeshegten) 방언
- 실링골(Shiilin Gol) 방언:
- * 우줌친(Udzencem) 방언
- * 후치트(Xooced) 방언
- * 아바가 (Abegh) 방언
- * 아바가나르 (Abeghner) 방언
- * 수니트 (Seund) 방언
2. 1. 1. 호토고이트 방언
호트고이트 (Xotgaid) 방언은 외몽골 북부 지역에서 사용된다.[13]2. 1. 2. 다르하드 방언
다르하드 (Darxed) 방언은 외몽골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13]2. 2. 다리강가 방언
다리강가 방언은 몽골국 남동부 지역에서 사용된다.[13]2. 3. 내몽골 방언
내몽골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군이다.[13]- 울란차브 방언:
- 차하르 (Tzaxer) 방언
- 우라트(Ourd) 방언
- 다르한(Darxen) 방언
- 되르벤 후헤트(Deurben Xuuxed) 방언
- 무밍간(Moo Minggen) 방언
- 케시그텐 (Xeshegten) 방언
- 실링골(Shiilin Gol) 방언:
- 우줌친(Udzencem) 방언
- 후치트(Xooced) 방언
- 아바가 (Abegh) 방언
- 아바가나르 (Abeghner) 방언
- 수니트 (Seund) 방언
2. 4. 기타 방언
러시아에서는 총골 방언과 사르툴 방언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공식적으로 "부랴트" 방언으로 분류된다.[13]3. 몽골어족
3. 1. 현대 몽골어
3. 1. 1. 중앙 몽골어
중앙 몽골어는 부랴트어, 몽골어, 오이라트어 등을 포함한다.3. 1. 2. 남부 몽골어
남부 몽골어는 동부 유구르어, 시롱골어 등을 포함한다.3. 1. 3. 기타 몽골어
다구르어, 모골어 등이 있다.3. 2. 준몽골어
3. 3. 역사 언어
4. 참고 문헌
- 아마르자갈, B. (1988): ''BNMAU dah' mongol helnij nutgijn ajalguuny tol' bichig: halh ajalguu'' (몽골 인민 공화국 몽골어 지역 방언 사전: 할하 방언). 울란바토르: ŠUA.
- 비르탈란, 아그네스 (2003): 오이라트. In: 얀후넨 (편) 2003: 210-228.
- 블래싱, 우베 (2003): 칼미크. In: 얀후넨 (편) 2003: 229-247.
- 얀후넨, 유하 (편) (2003): ''몽골어''. 런던: 루트리지.
- 얀후넨, 유하 (2003a): 몽골 방언. In: 얀후넨 2003: 177-191.
- 올제이이뷔린 (2001): 쉰이드 아마안 아이알군-우 게이길루그치 아비알라부리-인 시스템. In: ''몽골어 문학 2001/1'': 16-23.
- 포페, 니콜라스 (1951): ''할하-몽골어 문법''. 비스바덴: 프란츠 슈타이너.
- 세첸바가투르, 카스게렐, 투야가, B. 지란니게, 우 잉 제 (2005): ''몽골 켈렌-위 누투그-운 아이알군-우 신질렐-운 우드리드갈'' (몽골어 지역 방언 연구 가이드). 쾨케호타: inner 몽골 자치구 인민 출판사.
- 스트리트, 존 (1957): ''몽골 비밀사(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의 언어''. 미국 오리엔탈 시리즈 42.
- 스반테손, 얀-올로프, 안나 첸디나, 아나스타샤 칼손, 비반 프란젠 (2005): ''몽골어의 음운론''. 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Census 2010 of Mongolia
http://www.toollogo2[...]
2011-09-15
[2]
논문
Svantesson et al. 2005: 143. Janhunen 2003: 179-180 mentions that such an approach might be possible. Sečenbaγatur et al. 2005: 207 without further discussion include at least Shiliin gol and Ulaanchab into the Chakhar dialect.
[3]
논문
Sečenbaγatur et al. (2005): 372, also see Svantesson et al. (2005): 36
[4]
웹사이트
Törijn alban josny helnij tuhaj huul’
http://www.edulaws.p[...]
Mongolian State
2009-03-27
[5]
문서
cp. Street (1957): 88, IPA in accordance with Svantesson et al. (2005): 2,6-7, 91, but it follows Ölǰeyibürin (2001) in writing {{IPA|[ʉ]}} instead of {{IPA|[u]}}.
[6]
논문
Birtalan (2003): 220, Bläsing (2003): 239
[7]
논문
Poppe (1951): 72
[8]
문서
See Sečenbaγatur et al. (2005): 237. While this reference is a bit fuzzy as it includes parts of Southern Khalkh into Chakhar, it does not mention stems like {{IPA|ʉːn-}}.
[9]
문서
See the same sources as for {{IPA|/in/}}
[10]
논문
Svantesson et al. (2005): 143, 206
[11]
논문
e.g. Sečenbaγatur et al. (2005): 207, 372-373, probably also Amaržargal (1988): 22-25
[12]
논문
Ölǰeyibürin (2001): 17-18. He assumes voicing to be distinctive, while the above transcription follows Svantesson et al. (2005) in assuming only aspiration as distinctive.
[13]
서적
Mongolian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