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하르 몽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하르 몽골어는 중국 내몽골 자치구의 시린골 맹과 우란차부 시 등에서 사용되는 몽골어의 방언이다. 차하르 몽골어는 크게 세 가지 정의로 나뉘는데, 좁은 의미로는 시린골 맹과 우란차부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넓은 의미로는 이 지역 방언 외에 우라트, 다르한 등의 방언을 포함하며, 가장 넓은 의미로는 시린골 맹의 여러 방언까지 포함한다. 음운론적으로는 모음 조화, 장모음, 이중 모음 등의 특징을 가지며, 형태론적으로는 할하 몽골어와 유사한 격 체계를 보인다. 통사론에서는 동사 활용 및 연결 어미에서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주요 차용어는 중국어와 만주어에서 유래했으며, 시린골, 투메트, 차하르 등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어족 - 칼미크어
칼미크어는 유럽의 칼미크인들이 사용하는 몽골어족 언어로, 러시아어와 튀르크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교착어와 모음조화의 특징을 지니고, 토도 비치그를 거쳐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소멸 위기를 겪었으나 부흥 운동이 있었다. - 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차하르 몽골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차하르 몽골어 |
다른 이름 | 차하르 |
사용 국가 | 중국 내몽골 자치구 |
사용자 | 약 100,000명 (2003년 기준, 차하르 고유 방언 사용자) |
언어 계통 | 알타이 제어 몽골어족 중앙 몽골어 부랴트어 - 몽골어 몽골어 내몽골 몽골어 |
문자 | 몽골 문자 |
국가 | 중국 내몽골 자치구 |
소수 언어 | 내몽골 자치구 |
언어 관리 기구 | 언어 및 문학 작업 협의회 |
ISO 639-3 | 방언 (dialect) |
IETF 언어 태그 | mn-u-sd-cnnm |
Glottolog | chah1241 |
지리적 분포 | |
![]() |
2. 위치 및 분류
'''차하르어'''는 세 가지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첫째, 차하르 고유어는 시린골 맹과 우란차부 등지에서 사용되며 약 10만 명의 화자가 있다.[2]
더 넓은 정의에서 차하르어는 차하르 고유어, 우라트, 다르한, 무밍간, 뒬벤 큐켓, 우란차부의 케시그텐 방언을 포함한다.[3] 가장 넓은 정의에서는 시린골 맹의 우짐친, 소니트, 아바가, 시린호트 등의 방언도 포함되나, 이는 논쟁적인 분류이다.[4]
2. 1. 지리적 분포
차하르어는 주로 내몽골 자치구의 시린궈러 맹, 우란차부 시 등에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람기, 정백기, 상황기, 타이부스 기 (돌론누르), 차하르 우익후기, 차하르 우익중기, 차하르 우익전기, 상두, 화더에서 사용되며, 화자는 약 10만 명이다.[2] 내몽골 몽골어의 표준 발음은 술룬 쾨케 기에서 사용되는 차하르 고유어를 기반으로 한다.[5]2. 2. 언어학적 분류
'''차하르어'''는 세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첫째, 좁은 의미의 차하르 고유어는 시린골 맹의 정람기, 정백기, 상황기, 타이부스 기 (돌론누르)과 우란차부의 차하르 우익후 기, 차하르 우중 기, 차하르 우전 기, 샹두, 화더에서 사용되며, 약 10만 명의 화자가 있다.[2]둘째, 넓은 의미의 차하르어는 차하르 고유어, 우라트, 다르한, 무밍간, 뒬벤 큐켓, 우란차부의 케시그텐 방언을 포함한다.[3] 셋째, 매우 광범위하고 논쟁적인 정의로는 시린골 맹의 우짐친, 소니트, 아바가, 시린호트 등의 방언도 포함한다.[4] 내몽골 몽골어의 표준 발음은 술룬 쾨케 기에서 사용되는 차하르 고유어를 기반으로 한다.[5]
3. 음운론
차하르 몽골어는 모음 조화와 장단 모음 구별 등 몽골어의 일반적인 음운론적 특징을 보인다. 모음 체계, 자음 체계, 음절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볼 수 있다.
3. 1. 모음 체계
차하르 몽골어는 최근 차용어의 음운론을 제외하고, 모음 조화를 따르는 인두 모음 음소 와 비인두 모음 음소 를 가지고 있다.[6] 이들은 모두 장모음을 가지며, 일부 이중 모음도 존재한다. 는 '이기다' (vs. '죽이다')와 같이 단어의 첫머리에 오는 모음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음소의 지위를 갖는다.[6] 따라서 (<*i) 또한 인두 단어에서 발생한다. 어휘 확산을 통해, < *e는 '연(새)'가 아닌 < *ene ‘이것’과 같은 일부 단어에서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장 단모음 모음은 < *ei를 포함한다.[7]모음에는 장단 구분이 있으며, 단어 내부의 공기 제약인 모음 조화가 인정된다.
단모음은 , , , , , , , , , , 의 11개이며, 그 중 , , , , , 는 다음절어의 첫 음절에는 절대 나타나지 않고, 연쇄음으로 나타난다. , , , , 의 5개 단모음은 다음절어 뒤에 이어질 경우, 모음은 약모음이 되어 , , , , 가 된다.
장모음은 , , , , , , , , , , , 의 12개가 있으며, 장단 모음에 각각 대응한다. 그러나 와 의 장모음은 없으므로 10개의 장모음은 단음절 또는 다음절어 내에 나타나지만 제한을 가지지 않는다.
8개의 복합 모음은 (, , , ), 그 뒤에 (, , , ) 4개가 온다.
3. 2. 자음 체계
차하르 몽골어의 자음 음소(차용어 제외)는 아래 표와 같다.rowspan=2 colspan=2| | 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평음 | 구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
비음 | ||||||||
파열음 | 유성음 | |||||||
무성음 | () | |||||||
마찰음 | ||||||||
파찰음 | , | |||||||
유음 | () | |||||||
탄음 |
구개음화된 자음은 인두 단어에서만 음소 지위를 갖는다.[11][12]
기본 자음은 , , , , , , , , , , , , , , , , , , 의 19개이다. 경구개음화 자음은 , , , , , , , , , 의 10개이며, 어두에 나타나는 일은 없다. 이 외에 언어음으로는 인정하기 어렵지만 감탄사에 나타나는 흡기음 , 등이 있다.
3. 3. 음절 구조
차하르 몽골어의 최대 음절 구조는 CVCC이다.[8] 단어의 마지막 위치에서 비음소 모음은 유기 자음 뒤, 때로는 무기 자음 뒤에 나타난다. 이는 남성 화자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며, 복합어에서는 거의 완전히 사라진다.[9]4. 형태론
차하르 몽골어는 몽골어의 교착어적 특징을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소를 가진다.
차하르 방언에는 향격 접미사로 *ödö (өгүдэ|외데mn)에서 유래한 '-ʊd/-ud'가 있다. 이는 할하 몽골어의 '-rʊ/-ru'에 해당하며, 자유 교체형으로 '-rʊ/-ru'가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할하 몽골어에서 '-ɑ' 형태로 나타나는 재귀 접미사(ᠪᠠᠨ|반mn)가 '-ŋ/-ɑŋ' 형태를 취한다.[13]
분사는 할하 몽골어와 거의 동일하지만, '-mar'는 욕망이 아닌 잠재성을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xar'가 그 자유 이형태로 기능한다.[17] '만약'을 의미하는 '-ba'(중국어 吧 ba에서 유래)와 '비록'을 의미하는 '-ja'(중국어 也 yè에서 유래)와 같은 몇몇 독특한 연결 어미가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몽골어 기원의 접미사 '-bal'과 '-bt͡ʃ'의 이형태로 보인다.[18] 유한 접미사 '-la'는 연결 어미 지위를 획득했을 수 있다.[19] '-xlar' ('만약 ... 그렇다면 ...')는 '-xnar'로 바뀌었고, 할하 몽골어에는 없는 형태 '-man' ~ '' '만약에만'이 가끔 나타난다.[20] 차하르 몽골어는 할하 몽골어와 동일한 핵심 서술형 유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강한 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xui'와 '-lgui'를 추가로 사용한다.[21]
4. 1. 격 체계
차하르 몽골어의 격 체계는 할하 몽골어와 형태소의 수나 형태가 거의 같다.[13] *ödö (몽골 문자 <ödege> '위로')에서 유래한 특이한 향격 접미사 '-ʊd/-ud'가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rʊ/-ru'의 자유 이형태인 것으로 보인다. 재귀 소유 접미사는 마지막 '-ŋ'을 유지한다(따라서 '-ɑŋ'<*-ban 등, 할하는 '-ɑ'를 가진다).[13]4. 2. 수사 체계
큰 숫자는 중국식 계산법에 따라 10,000의 거듭제곱으로 계산된다. 집합 수사는 근사 수사 접미사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약 10'을 의미하는 ''ɑrwɑd''와 '10개의 그룹으로'를 의미하는 ''ɑrwʊl''은 몽골어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ɑrwɑdʊl'' '약 10개의 그룹으로'는 차하르 몽골어에서 특이한 것으로 보인다.[14]4. 3. 대명사 체계
차하르 몽골어의 대명사 체계는 할하 몽골어와 매우 유사하다.[15] 인칭 단수 대격의 구어체 형태(여기서 특이한 대격 어간이 대체됨)는 nadïmnc가 nadïɡmnc 대신 사용될 수 있으며, ''i'' ~ ''ig''의 교체는 다른 대명사 어간에서도 발생한다. 이것은 소유격이 닫힌 전설 모음 대신 중간 열린 모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혼란을 일으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2인칭 단수 소유격 존칭은 차하르 몽골어에서는 tanɛmnc이고 할하 몽골어에서는 일반적으로 tʰanɪmnc이다. 3인칭 어간은 어떠한 사격 어간도 사용하지 않는다. 포괄성 1인칭 복수 배타 'man-'은 주격을 제외하고 거의 완전한 격 변화를 가지는 반면, 적어도 할하 몽골어에서는 소유격 형태5. 통사론
문어에서는 할하 몽골어와 다르지 않지만, 구어에서는 중국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차하르 고유의 어미로는 [-xar]가 있는데, 이는 할하 몽골어의 [-mar]에 해당한다.[1]
5. 1. 동사 활용
차하르 몽골어는 할하 몽골어와 거의 동일한 분사를 가지지만, '-mar'는 욕망이 아닌 잠재성을 나타낸다. '-xar'는 '-mar'의 자유 이형태로 기능한다.[1]중국어의 영향으로 생긴 부동사형으로, '-ba' (중국어 吧 ba)나 '-ja' (중국어 也 yè, '~도') 등이 '-val'이나 '-wc' 대신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1] 또한 '-xlar'가 '-xnar', '-man' ~ '-manjï̆n'과 같이 어미가 변하는 특징이 있다.[1]
비교적 강한 명령을 나타내는 접사로는 '-xui'나 '-lgui'가 있다.[1]
5. 2. 연결 어미
중국어의 영향으로 생겨난 것으로 보이는 부동사형으로, '-ba' (중국어 吧 ba)나 '-ja' (중국어 也 yè, '도') 등이 -val이나 -wc 대신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1] 또한, '-xlar'가 '-xnar', '-man' ~ '-mand͡ʒï̆n'과 같이 어미가 변하는 특징이 있다.[1]5. 3. 서술형 유한 형태
차하르 몽골어는 할하 몽골어와 동일하게 서술형 유한 형태를 가지며, 강한 가능성을 나타낼 때 '-xui'와 '-lgui'를 추가로 사용한다.[1]6. 어휘
7. 방언
방언 이름 | ISO 639-3 코드 |
---|---|
시린골 방언 | mvf-shi |
투메트 방언 | mvf-tum |
조오다 방언 | mvf-jou |
차하르 방언 | mvf-cha |
조소토 방언 | mvf-jos |
오르도스 방언 | mvf-ord |
제림 방언 | mvf-jir |
우란차브 방언 | mvf-ula |
에지네 방언 | mvf-eji |
참조
[1]
서적
Mongγul kele bičig-ün aǰil-un ǰöblel
2005
[2]
서적
2003
[3]
서적
2003
[4]
서적
2003
[5]
서적
2005
[6]
논문
2005
[7]
서적
2005
[8]
서적
2005
[9]
서적
1996
[10]
서적
2001
[11]
간행물
2003
[12]
간행물
2003
[13]
서적
2003
[14]
서적
2003
[15]
서적
2005
[16]
서적
2003
[17]
서적
2003
[18]
서적
2003
[19]
서적
2003
[20]
서적
2003
[21]
서적
2003
[22]
서적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