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미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미크어는 오이라트어의 방언으로, 칼미크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1943년 칼미크인 강제 이주로 인해 쇠퇴했다. 1957년 칼미크 자치주 복원 후 칼미크어 부흥 노력이 있었으나 러시아어 사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영화 '스타워즈 에피소드 6: 제다이의 귀환'에서 이워크족의 언어가 칼미크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현재 칼미크 공화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지만, 사용 인구는 감소 추세이며, 소멸 위기에 놓여있다. 칼미크어는 교착어이며 모음 조화가 특징이다. 표기 문자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과거에는 토도 비치그 문자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미크 공화국 - 칼미크인
    칼미크인은 중앙아시아 유목 민족으로,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지배를 거쳐 칼미키아 공화국으로 독립했으며, 티베트 불교를 믿고 몽골어족에 속하며, 토르구트인과 도르베트인 등의 하위 집단이 있다.
  • 칼미크 공화국 - 칼미키야 공화국
    칼미키야 공화국은 유럽 러시아 남서부에 위치하며 몽골 계통의 칼미크인이 거주하고, 유럽에서 유일하게 불교를 국교로 삼으며, 목축업, 농업, 석유 가스 산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 몽골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몽골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몽골어족 - 오이라트어
    오이라트어는 러시아, 몽골, 중국의 오이라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칼미크 공화국에서는 공용어이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어 방언으로 취급되지만 독자적인 문어(토도 문자)를 유지하며 소멸 위기에 처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
칼미크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칼미크어
다른 이름칼미크 몽골어
사용 국가러시아
사용 지역칼미크 공화국
사용자칼미크인
사용자 수110,000명 (2021년)
언어 계통알타이어족 (논쟁 중)
공용어 지정 국가칼미크 공화국 (러시아)
문자키릴 문자, 라틴 문자, 토도 문자
언어 코드 (ISO 639-2)xal
언어 코드 (ISO 639-3)xal
언어 코드 (Glottolog)kalm1244
언어 코드 (Linguist List)xal-kal
언어 생존력사멸 위기
기타 정보
분류오이라트어 방언
UNESCO 위험 언어Oirad-Kalmyk-Darkhat is classified as Definitely Endangered by the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2. 언어 명칭

칼미크어는 유럽 오이라트, 칼미크, 칼무크, 칼마크, 할리, 볼가 오이라트, 서몽골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3. 역사

칼미크어는 현재 칼미크 인구의 소수만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 생존 언어로서의 쇠퇴는 1943년 12월, 칼미크인들이 나치와 제한적인 협력을 했다는 이유로 강제 이주되면서 시작되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 칼미크 언어학자들은 칼미크 정부와 협력하여 칼미크어 부흥을 계획하고 실행하려 했다. 이는 칼미크 문화의 재천명과 뗄 수 없는 부분으로 여겨졌다. 칼미크어는 공화국의 공식 언어로 선포되어 러시아어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공식 정부 사용 및 언어 교육에서 동일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영화 ''스타워즈 에피소드 6: 제다이의 귀환'' 제작 당시, 음향 디자이너 라페 머시에카는 벤 커티스와 함께 다큐멘터리에서 칼미크어를 듣고 그 음운론에 감명을 받아 이워크족의 언어를 칼미크어에 기반하여 만들었다.[5]

3. 1. 칼미크인 강제 이주와 언어 쇠퇴 (1943년 ~ 1957년)

칼미크어는 현재 칼미크 인구의 소수만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 생존 언어로서의 쇠퇴는 1943년 12월, 칼미크인들이 나치와 제한적인 협력을 했다는 이유로 집단적으로 고향에서 강제 이주되면서 시작되었다. 그 쇠퇴에 기여한 주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 이주 과정과 중앙 아시아, 시베리아 남부, 소련 극동의 외딴 유배지 정착지에 도착했을 때 질병과 영양실조로 인한 상당한 비율의 칼미크인 사망
  • 칼미크 인구의 광범위한 분산
  • 1957년에 종료된 유배 기간
  • 반역 혐의와 관련된 낙인
  • 더 크고 지배적인 문화로의 동화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세대 간 언어 전승이 중단되었다.

1957년, 소련 정부는 칼미크 자치주를 복원했고, 이후 칼미크 자치 공화국을 재건했다. 칼미크인들은 유배 14년 만인 1957년에 공화국으로 돌아가는 것이 허용되었다. 그러나 러시아어가 공화국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고, 칼미크인들에게 소련화가 강요되어 칼미크어 교육이 대폭 축소되었다. 키릴 문자는 칼미크인(및 다른 민족)에게 확고히 자리 잡았다. 예를 들어, 책, 정기 간행물, 신문 등이 이 문자를 사용하여 출판되었다. 1970년대 후반까지 러시아어는 공화국의 모든 학교에서 주요 교육 언어가 되었다.

3. 2. 칼미크 자치 공화국 재건과 언어 부흥 노력 (1957년 ~ 현재)

1957년, 소련 정부는 칼미크 자치주를 복원했고, 이후 칼미크 자치 공화국을 재건했다. 칼미크인들은 14년간의 유배생활 끝에 1957년에 공화국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러시아어가 공화국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고, 칼미크인들에게는 소련화가 강요되어 칼미크어 교육은 대폭 축소되었다. 키릴 문자는 칼미크인(및 다른 민족)에게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예를 들어, 책, 정기 간행물, 신문 등이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출판되었다. 1970년대 후반까지 러시아어는 공화국의 모든 학교에서 주요 교육 언어가 되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시대 동안, 칼미크 언어학자들은 칼미크 정부와 협력하여 칼미크어 부흥을 계획하고 실행하고자 했다. 이 부흥은 칼미크 문화의 재천명과 뗄 수 없는 부분으로 여겨졌다. 중요한 상징적 조치로 칼미크어는 공화국의 공식 언어로 선포되어 러시아어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공식 정부 사용 및 언어 교육에서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영화 ''스타워즈 에피소드 6: 제다이의 귀환'' 제작 당시, 음향 디자이너 라페 머시에카는 평생의 파트너인 벤 커티스와 함께 다큐멘터리에서 칼미크어를 듣고 그 음운론에 감명을 받아 이워크족의 언어를 칼미크어에 기반하여 만들었다.[5]

4. 사용 지역

칼미크어 사용자의 대다수는 칼미크 공화국에 거주하며, 이곳에서 칼미크어는 공용어이다. 소수의 칼미크어 사용자는 프랑스미국에도 거주하지만, 칼미크어 사용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세 지역 모두에서 실제 화자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칼미크어는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이다.[6]

2012년 기준으로, 1950년대에 미국으로 이주한 뉴저지의 칼미크 공동체는 Enduring Voices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칼미크어와 문화를 장려할 계획이었다.[7]

5. 언어 분류

칼미크어는 공시적 관점에서 오이라트어의 가장 두드러진 변종이다. 몽골중화인민공화국에서 발견되는 오이라트 방언과 음운론형태론 모두에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방언의 차이점은 어휘와 관련이 있는데, 칼미크어는 러시아어와 다양한 튀르크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아 단어를 차용했기 때문이다.

칼미크어를 특징짓는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은 교착어와 모음조화이다. 교착어에서 단어는 기존 단어에 접사를 추가하여 형성되며, 이를 어간 또는 어근이라고 한다. 하지만 접두사는 몽골어족 언어에서 흔하지 않다. 모음 조화는 단어의 어근에 있는 모음과 단어의 접미사 또는 접미사에 있는 모음 사이의 일치를 의미한다. 다른 특징으로는 문법적 성이 없다는 점이 있다.

우랄어족위구르어와 공통적인 요소가 있는데, 이는 서쪽으로 확장하는 동안 일부 우랄 및 튀르크 부족을 흡수한 4개의 오이라트 부족의 연합인 오이라트 공통 언어에서 기원했음을 반영한다.

6. 방언

현대 칼미크어는 데르베트, 투르구드 방언을 바탕으로 성립되었다.

7. 문자

칼미크어는 몽골 문자를 사용하다가 1938년에 키릴 문자로 표기 방식을 바꾸었다.

키릴 문자IPA라틴 표기키릴 문자IPA라틴 표기
АаaaОоɔo
ƏəəäӨөoö
Ббp, pʲbПп(pʰ), (pʰʲ)p
Ввw, wʲv, wРрr, rʲr
Ггɡ, ɡʲ, ɢgСсss
Һһalign="center"|ghТтtʰ, tʰʲt
Ддt, tʲdУуʊu
ЕеjeyeҮүuü
ЁёyoФф( f )f
ЖжʧzhХхx, xʲh
Җҗalign="center"|dzh, jЦцʦʰts
Ззʦ(d)zЧчʧʰch
ИиiiШшʃsh
ЙйjyЩщ(sʧ)shch
Кк( k ), (kʲ)kЫыiy
Ллɮ, ɮʲlЬьʲ'
Ммm, mʲmЭэee
Ннn, nʲnЮюyu
Ңңalign="center"|ngЯяjaya


7. 1. 토도 비치그 (17세기 ~ 1924년)

오이라트의 문학 전통은 고대 위구르 문자가 사용되었던 11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공식적인 칼미크 문자인 토도 비치그는 17세기에 자야 판디타(Zaya Pandita)라는 칼미크 불교 승려에 의해 만들어졌다.

토도 비치그


고대 몽골 문자와 마찬가지로 토도 비치그는 위에서 아래로 썼다. 기록된 오이라트어에는 몽골어에서 차용되어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단어가 많았으며, 기록된 표준어와 구어체를 가깝게 만들려는 많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미 18세기 초에 칼미크어의 두 가지 기록 형태가 기록되었다. 즉, 종교적 관습에 사용되었고 많은 몽골어 및 티베트어 차용어를 포함하며 고어 형태를 보존하는 "서적" 형태와 개인 서신에 사용되었으며 언어의 변화를 반영하는 "회화체" 형태가 그것이다.[25]

자야판디트 문자라고도 불리는 토도 비치그는 창시자의 이름을 따서 1924년까지 칼미크족 사이에서 소소한 변화를 겪으며 존재했다. 중국의 오이라트족은 현재까지도 이 문자를 사용한다.[26]

7. 2. 키릴 문자 (1924년 ~ 현재)

1924년에 칼미크족은 토도 비치그를 대신하여 키릴 문자를 개량한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930년에는 로마자를 선호하여 키릴 문자를 버렸으나, 1938년에 다시 키릴 문자로 키릴 문자화되었다. 최초 칼미크 키릴 문자는 러시아 문자의 모든 문자와 함께 '''Ä ä, Гъ гъ, Дж дж, Нъ нъ, Ö ö, Ӱ ӱ'''를 포함했다. 1941년에 알파벳이 다시 개혁되어 추가 문자의 윤곽이 변경되었다.[33]

칼미크어에 사용되는 현대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문자А аӘ әБ бВ вГ гҺ һД д
Е еЁ ёЖ жҖ җ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
П пР рС сТ тУ уҮ үФ ф
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타타르어 알파벳이 칼미크 알파벳과 동일하기 때문에, Windows를 사용하는 칼미크인은 타타르어 키보드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칼미크어를 입력한다.

8. 음운

칼미크어는 중세 몽골어, 문자 오이라트어와 같이 혀 뿌리에 따른 모음 조화를 보인다. 모음 조화 쌍은 /a/~/æ/, /o/~/ø/, /u/~/y/, imnmn이며, 마지막 쌍은 이음이다.[8]

비첫음절(단어의 첫 음절이 아닌 음절)의 역사적 장모음은 단모음으로 짧아졌고, 역사적 단모음은 슈와로 약화된 후, 몽골어와 마찬가지로 언어의 음운론에 따라 바뀌었다. 한 음절 단어의 장모음과 이중모음도 단모음으로 짧아졌다. 하지만, 그러한 단어의 굴절 형태에서는 단모음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예: сән /sæn/ "좋은" → сәәг /sæːgə/ "좋은-", күн /kyn/ "남자" → күүнә /kyːnæ/ "남자-") 그러나 3음절 단어에서 두 번째 음절에 모음 /a/ 또는 /æ/가 있고 세 번째 음절에 축소된 모음 /ə/가 있는 경우에는 비첫음절에서도 장모음이 발음될 수 있다.

단어의 첫 음절 구조는 (C)V(C)인데, 이는 고유어에서는 단어의 첫머리에 닿소리가 겹쳐 나는 자음군이 올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첫 음절이 아닌 음절에서는 최대 4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첫머리 자음군이 허용되어 최대 음절은 CCCCVC가 된다. /tl tn dn dl/과 같은 일부 자음군에서는 공명음이 음절 자음이 된다. 이 자음군은 또한 비음 해제된다.

모음 축약 /ə/는 규칙적으로 보존되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음절 핵이 될 수 있다.[18]

# 단어의 마지막 위치: ик /i.kə/ "큰", 아рат /a.ra.tə/ "여우", чон /t͡ɕo.nə/ "늑대";

# 단어 마지막에 폐쇄 음절이 있거나 자음군이 있는 마지막 개음절이 있는 경우: эцкнр /et͡s.kə.nər/ "아버지-", келчксн /kelʲ.t͡sək.sən/ "말하다--", соңсгдна /soŋk.sə.gdna/ "듣다--";

# 다음절 단어의 폐쇄된 비말음절에서: шорһлҗн /ʃor.ɣəlʲ.d͡ʑən/ "개미", әәмшгтә /æ:m.ʃək.tæ/ "위험한";

# 다음과 같은 접미사에서 단어 마지막에:[19]

## 탈격 -ас /-asə/;

## 대격 -иг /-igə/, -г /-gə/;

## 형용사 접미사 -к /-kə/;

## 문법적 양상 완료상 -чк /-t͡ɕkə/;

## 연결어미 미완료 연결어미, 감탄 및 증거 접미사 -җ /-dʑə/;

## 여격 -д /-də/;

## 부정 입자 эс /esə/;

## 현재 시제 부정 입자 (또는 접미사) биш, -ш /biʃə/ /-ʃə/;

## 미래 시제 분사 -х /-xə/.

반면에, 다음과 같은 경우 /ə/ 모음은 그 자체로 음절을 형성할 수 없다.[20]

# 다음 음절이 개음절인 경우: бичх /bi.t͡ɕxə/ "쓰다", өгх /øk.kxə/ "주다";

# 두 음절 단어의 굴절에서, 굴절된 단어의 두 번째 음절이 축약되지 않은 모음을 갖는 경우 (예: мөрн /mørən/ "말" > мөрта mørtæ "말과 함께", церг /t͡se.rək/ "군대" > церглә /t͡serglæ/ "군대와 함께");

# 다음 음절이 개음절이고 축약되지 않은 모음을 갖는 경우: тоһрун */to.ɣə.run/ > /to.ɣrun/ "두루미"; шамдһа */ʃam.də.ɣa/ > /ʃam.dɣa/ "교활한". 그러나 이 경우 축약된 음절은 음성적으로 해제될 수 있지만, 음절 핵을 형성하는 데 역할을 하지 않는다.

두 번째 음절의 음절 핵으로 슈와를 가진 두 음절 단어는 전위 현상 (언어학)을 겪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개음절을 만들 수 있다. (예: 문자 오이라트 ''oros'' "러시아어" > /orəs/ > /orsə/; ''ulus'' "국가, 사람들" > /uləs/ > /ulsə/; ''oyirad'' "오이라트" > /øːrət/ > /øːrdə/).[21]

칼미크어는 마지막 음절(슈와로 끝나는 경우에도)에 강세가 있는 음운론적 강세를 나타내지 않는다.[22]

8. 1. 자음

칼미크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칼미크어 화자들은 이중 언어 사용자이기 때문에, 최근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들은 음운론적 변화 없이 러시아어 음운론 규칙에 따라 발음된다.

칼미크어의 자음
colspan=2|순음치경음후치경음연구개음
비음мнньң
파열음пттьк
бддьг
파찰음цч
җ
마찰음(ф)сшх
зһ
접근음влльй
전동음р



정자법상의 유성 파열음 d, g는 무성음화된다. (예: келәд "말하다-", бөлг "장") 무성음화는 또한 두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군에서 자음 중 하나가 무성음일 때 발생한다. (예: "아닐지도 모른다", таңһч "공화국") 자음군은 다른 유형의 동화를 보인다.

# /kx/, /gx/, /xx/ > /kk/, /kk/, /xk/: (예: закх "명령하다"; өргх "들어올리다"; хатхх "찌르다")

# /n/ + /b/ > /mb/: (예: кен "누구" + б "" > кемб "누구-")

# /w/ + /n/ > /mn/: (예: тәв- "두다" + /-næ/ "" > тәмнә "두다-")

# /w/ + 무성 자음 > /p/: (예: ав- "가지다" + чк "> апчк "두다-")

# /t͡ɕ/ + /l/ or /t/ > /ʃl/, /ʃt/: (예: көвүчлх > көвүшлх "채택하다", ачтн > аштн "싣다-")

# /n/ > /ŋ/ 자음 /ɣ, g, x, k, s/ 앞에서: (예: 문어 오이라트어 ''sonosxu'' "듣다" > соңсх, түрүн "처음" + к "" > түрүңк "처음-")

# /l/은 구개음화되어 구개음 파찰음 /t͡ɕ d͡ʑ/ 앞에서 /lʲ/가 된다: (예: болҗ "되다-")

유성 양순 파열음 /b/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만 제한되어 구에서 로 발음될 수 있다. (예: келҗ бәәнә > [kelʲd͡ʑ βæːnæ] "말하다- ~이다-")

유성 순음-연구개 접근음 또는 유성 양순 마찰음 /w/는 다음과 같이 발음될 수 있다.

# 과거 시제 굴절에서 닫힌 둥근 모음 또는 : (예: кел- "말하다" + -в "" + -в "" > келүв "나는 말했다") 또는 자음군에서: (예: тарвс > тарус "수박")

# 유성 양순 파열음 [b] 과거 시제 굴절에서, 동사 어간이 /-w/로 끝나는 경우: (예: ав- "가지다" + -в "" > "가졌다")[17]

8. 2. 모음

칼미크어는 중세 몽골어와 문자 오이라트어처럼 혀 뿌리 모음 조화를 보인다. 모음 조화 쌍은 /a/~/æ/, /o/~/ø/, /u/~/y/, imnmn이며, 마지막 쌍은 이음이다.[8]

모음[11][12][13]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xalxal и ииyxalxal ү үү( ɨxal )uxalxal у уу
중모음exalxal е ееøxal øːxal ө өөəxaloxalxal о оо
저모음æxal æːxal ә әәaxalxal а аа


  • 중간 중설 모음 /ə/는 표기되지 않는다.
  • 열린 후설 모음은 음성적으로도 중설 모음인 ämn이다.
  • (역사적으로 축약된) 모음 /ə/는 조화롭게 전설 모음 단어에서는 ə̟mn, 후설 모음 단어에서는 ə̠mn로 나타나며, 경구개음 및 후치경 자음 /nʲ tʲ dʲ t͡ɕ d͡ʑ ʃ lʲ j/ 뒤에서는 ɪmn로 나타난다.[14]
  • 항상 표기되지는 않지만, ɨmn는 청유법, 속격, 대격 접미사에서만 나타나는 /i/의 후설 모음 단어 이음이다.[15]
  • 고유어에서 모음 /o oː/와 /ø øː/는 단어 첫 음절에만 나타날 수 있다.[16]


비초성 음절의 역사적 장모음은 단모음으로 축소되었고, 역사적 단모음은 슈와로 축소된 후, 몽골어와 마찬가지로 언어의 음운론에 따라 대체되었다. 한 음절 단어의 장모음과 이중모음도 단모음으로 축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단어의 굴절 형태에서는 단모음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сән /sæn/ "좋은"에서 сәәг /sæːgə/ "좋은-"으로, күн /kyn/ "남자"에서 күүнә /kyːnæ/ "남자-"로 변하는 것과 같다. 단, 3음절 단어에서 두 번째 음절에 모음 /a/ 또는 /æ/가 있고 세 번째 음절에 축소된 모음 /ə/가 있는 경우에는 비초성 음절에서도 장모음이 발음될 수 있다.

9. 문법

칼미크어는 다른 몽골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교착어이며, 어미가 붙는 언어이고, 성이 없는 언어이다. 칼미크어 구문론의 일부는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전통적으로 좌분지를 특징으로 하고 동사의 분사 형태(일본어 문법과 유사)를 사용하는 관계절은 현재 러시아어 관계 대명사 который를 사용하여 우분지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은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은 미래 분사를 문장의 술어로 사용하여 미래 시제를 표현하는 것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다.[23] 동사 굴절과 명사 활용에는 보충 (불규칙 형태)이 거의 또는 전혀 없다.

칼미크어의 격은 전통적으로 3개의 활용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주로 철자상의 특징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고 격 어미가 모음으로 시작하면 (1) 보조 /g/ 또는 /ʁ/가 추가되거나 (2) 격 어미에서 모음이 삭제된다.

칼미크어 명사 격 [24]
어미 (키릴 문자)어미 (IPA)토도 문자 표기
주격-∅-∅-
소유격-ин; -һин; -н; -а; -ә; -i-in; -ʁin; -n; -a; -æ; -iᡅᡕᡅᠨ|-iyinxwo; ᡎᡅᡕᡅᠨ|-giyinxwo; ᠨ|-nxwo; ᠠᡅ|-aixwo; ᡅ|-ixwo
여격-д; -т-də; -təᡑᡇ|-duxwo / ᡑᡉ|-düxwo (모음 조화에 따라) ᡐᡇ|-tuxwo / ᡐᡉ|-tüxwo
대격-иг; -г; ∅-igə; -gə; ∅ᡕᡅᡎᡅ|-yigixwo; ᡎᡅ|-gixwo; -
탈격-ас; -әс; -һас; -һәс-asə; -æsə; -ʁasə; -ʁæsəᠠᡃᠰᠠ|-āsaxwo, ᡄᡃᠰᡄ|-ēsexwo (후기 표기, 단어와 함께 표기); ᡄᡃᡔᡄ|-ēcexwo (초기 표기, 단어와 별도로 표기)
도구격-ар; -әр; -һар; -һәр-ar; -ær; ʁar; ʁærᠠᡃᠷ|-ārxwo, ᡄᡃᠷ|-ērxwo; ᡅᡕᠠᠷ|-iyarxwo (초기 표기)
공동격-та; -тә-ta; -tæᡐᠠᡅ|-taixwo; ᡐᡄᡅ|-teixwo
지향격-ур; -үр; -һур; -һүр-ur; -yr; -ʁur; -ʁyrᡇᡇᠷ|-uurxwo; ᡇᡇᠷᡇ|-uuruxwo (초기 표기; 단어와 별도로 표기)



소유격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뒤에는 접미사 -ин ()을,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뒤에는 -һин () 또는 -н ()을, /n/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뒤에는 -ә (), -a 또는 -и ()를 사용한다. 여격 접미사는 유성 파열음 /b/ (/β/) /d/ /g/, 무성 치찰음 /s/ /ʃ/, 그리고 /r/로 시작하는 단어 뒤에는 -т ()을 사용한다. 대격은 대상이 정해져 있는 경우 (접미사 포함) 표시되고, 대상이 불확실한 경우 표시되지 않는다. -n으로 끝나는 명사는 다르게 활용된다. -n은 대격, 도구격 및 공동격에서 삭제된다. 다른 모든 격에서는 변경되지 않는다. (예: kelʲən "언어-주격", kelʲnæ "언어-소유격", kelʲəndə "언어-여격", kelʲə/kelʲigə "언어-대격", kelʲnæsə "언어-탈격", kelʲær "언어-도구격", kelʲtæ "언어-공동격", kelʲnyr "언어-지향격")

여격은 또한 향격과 처격의 기능을 한다. 지향격과의 차이점은 명확하지 않으며, 일부 방언에서는 여격이 향격 사용에 더 많이 사용된다.

9. 1. 명사

전통적으로 칼미크어의 격은 3개의 활용을 가진다고 말해지지만, 이것은 주로 철자상의 특징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고 격 어미가 모음으로 시작하면 (1) 보조 /g/ 또는 /ʁ/가 추가되거나 (2) 격 어미에서 모음이 삭제된다.

칼미크어 명사 격 [24]
어미 (키릴 문자)어미 (IPA)토도 문자 표기
주격-∅-∅-
소유격-ин; -һин; -н; -а; -ә; -i-in; -ʁin; -n; -a; -æ; -iᡅᡕᡅᠨ|-iyinxwo; ᡎᡅᡕᡅᠨ|-giyinxwo; ᠨ|-nxwo; ᠠᡅ|-aixwo; ᡅ|-ixwo
여격-д; -т-də; -təᡑᡇ|-duxwo / ᡑᡉ|-düxwo (모음 조화에 따라) ᡐᡇ|-tuxwo / ᡐᡉ|-tüxwo
대격-иг; -г; ∅-igə; -gə; ∅ᡕᡅᡎᡅ|-yigixwo; ᡎᡅ|-gixwo; -
탈격-ас; -әс; -һас; -һәс-asə; -æsə; -ʁasə; -ʁæsəᠠᡃᠰᠠ|-āsaxwo, ᡄᡃᠰᡄ|-ēsexwo (후기 표기, 단어와 함께 표기); ᡄᡃᡔᡄ|-ēcexwo (초기 표기, 단어와 별도로 표기)
도구격-ар; -әр; -һар; -һәр-ar; -ær; ʁar; ʁærᠠᡃᠷ|-ārxwo, ᡄᡃᠷ|-ērxwo; ᡅᡕᠠᠷ|-iyarxwo (초기 표기)
공동격-та; -тә-ta; -tæᡐᠠᡅ|-taixwo; ᡐᡄᡅ|-teixwo
지향격-ур; -үр; -һур; -һүр-ur; -yr; -ʁur; -ʁyrᡇᡇᠷ|-uurxwo; ᡇᡇᠷᡇ|-uuruxwo (초기 표기; 단어와 별도로 표기)


  • 소유격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뒤에는 접미사 -ин ()을,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뒤에는 -һин () 또는 -н ()을, /n/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뒤에는 -ә (), -a 또는 -и ()를 사용한다.
  • 여격 접미사는 유성 파열음 /b/ (/β/) /d/ /g/, 무성 치찰음 /s/ /ʃ/, 그리고 /r/로 시작하는 단어 뒤에는 -т ()을 사용한다.
  • 대격은 대상이 정해져 있는 경우 (접미사 포함) 표시되고, 대상이 불확실한 경우 표시되지 않는다.
  • -n으로 끝나는 명사는 다르게 활용된다. -n은 대격, 도구격 및 공동격에서 삭제된다. 다른 모든 격에서는 변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kelʲən "언어-주격" kelʲnæ "언어-소유격" kelʲəndə "언어-여격" kelʲə/kelʲigə "언어-대격" kelʲnæsə "언어-탈격" kelʲær "언어-도구격" kelʲtæ "언어-공동격" kelʲnyr "언어-지향격"
  • 여격은 또한 향격처격의 기능을 한다. 지향격과의 차이점은 명확하지 않으며, 일부 방언에서는 여격향격 사용에 더 많이 사용된다.

10. 현대적 응용

칼미크어는 칼미크 공화국의 공용어이지만, 프랑스미국 등지에서 사용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소멸 위기에 처해있다.[6] 2012년에는 뉴저지의 칼미크 공동체가 Enduring Voices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칼미크어와 문화를 장려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7]

10. 1. 언어 보존 노력

칼미크어 사용자의 대다수는 칼미크 공화국에 거주하며, 이곳에서 칼미크어는 공용어이다. 소수의 칼미크어 사용자는 프랑스미국에도 거주하지만, 칼미크어 사용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세 지역 모두에서 실제 화자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칼미크어는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이다.[6]

2012년 기준으로, 1950년대에 미국으로 이주한 뉴저지의 칼미크 공동체는 Enduring Voices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칼미크어와 문화를 장려할 계획이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Oirad-Kalmyk-Darkhat in Russian Federation {{!}} UNESCO WAL https://en.wal.unesc[...]
[2] 문서
[3]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2-10-31
[4] 웹사이트 Kalmyk-Oirat https://www.ethnolog[...] 2022-03-12
[5] Youtube Star Wars: Return of the Jedi sound design explained by Ben Burtt
[6] 서적 Oirat and Kalmyk Identity in the 20th and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ätsverlag Göttingen 2022-05-01
[7] 뉴스 Cultural Revival in Europe's Only Buddhist Region – News Watch http://newswatch.nat[...] 2012-05-27
[8]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калмыцки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и графика Калмыц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68
[9] 간행물 Языковая ситуация в Калмыкии: социо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очерк 2009
[10]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калмыцки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и графика Калмыц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68
[11] 서적 Vowel Contrast and Vowel Harmony Shift in the Mongolic Languages
[12] 서적 Калмыцкий язык за 400 лет Джангар 2009
[13] 서적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 грамматике калмыцкого языка Наука 2009
[14] 서적 Калмыцкий язык за 400 лет Джангар 2009
[15]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калмыцки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и графика Калмыц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68
[16]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калмыцки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и графика Калмыц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68
[17]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калмыцки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и графика Калмыц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68
[18]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калмыцки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и графика Калмыц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68
[19] 서적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 грамматике калмыцкого языка Наука 2009
[20]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калмыцки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и графика Калмыц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68
[21]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калмыцки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и графика Калмыц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68
[22] 서적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 грамматике калмыцкого языка Наука 2009
[23] 간행물 Языковая ситуация в Калмыкии: социо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очерк 2009
[24] 간행물 Языковая ситуация в Калмыкии: социо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очерк 2009
[25] 서적 Языковое строительство в СССР «Наука» 1979
[26] 서적 Языки и письменности народов Евразии «Гылым» 1993
[27] 서적 Букварь для калмыцких улусных школ Православное миссионерское общество 1892
[28] 서적 Букварь для калмыков (опыт) Православное миссионерское общество 1902
[29] 뉴스 Первые калмыцкие буквари как источники духовной культуры калмыков https://cyberleninka[...]
[30] 서적 Письменные языки мира: Язы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000
[31] 서적 Сарул мӧр СССР келен улсин аха издательство 1925
[32] 서적 Новый член алфавитной унии
[33] 서적 Определитель языков мира по письменностям Изд-во вост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1961
[34] 웹사이트 Noves Sl. Hivern-Primavera 2001. Language Policy and Minority Language Planning in Russia (4) http://www6.gencat.n[...] 2022-01-11
[35] 웹사이트 ГОСТ 7.79-2000 http://www.ifap.ru/l[...] Меж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совет по стандартизации, метрологии и сертификации
[36] 문서 중설 비원순 저모음 /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