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이라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이라트어는 주로 러시아 칼미크 공화국, 몽골 서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간쑤성에 거주하는 오이라트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러시아에서는 칼미크어로 불리며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어 표준화되지 않았다. 오이라트어는 몽골 문자에서 파생된 토도 문자로 표기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몽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문법은 명사와 동사의 활용,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이 특징이며, 러시아어 차용어를 포함한 어휘를 사용한다. 오이라트어는 사용 지역에서 소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정부 정책 및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사용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타이 제어 - 우랄알타이어족
    우랄알타이어족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19세기 중반에 제시된 가설적인 어족이었으나, 알타이어족 자체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현재는 주류 언어학계에서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 알타이 제어 - 몽골어족
    몽골어족은 몽골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를 아우르는 어족으로, 알타이어족과의 관련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몽골 제국 시대 이후 언어 분화가 이루어졌고, 튀르크어족과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 오이라트 - 굴리치 울루그테무르 칸
    굴리치 울루그테무르 칸은 15세기 초 몽골 고원에서 키르기스족을 규합하여 대칸의 자리에 올랐으나, 명나라와의 관계 문제로 몽골 귀족들의 반발을 사 측근에게 암살당했으며, 그의 출신과 가계는 불분명하다.
  • 오이라트 - 토목의 변
    토목의 변은 1449년 환관 왕진의 전횡과 잘못된 판단으로 명나라 정통제가 오이라트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힌 사건으로, 명나라의 정치적 혼란과 북방 민족에 대한 영향력 약화를 초래했다.
  • 몽골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몽골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오이라트어
개요
언어 이름오이라트어
다른 이름오이라트 몽골어
고유 이름
오이라트 켈렌


몽골 켈렌-위 오이라트 아얄구
사용 국가몽골, 러시아, 중국, 키르기스스탄
사용 지역호브드 주, 오브스 주, 바얀울기 주, 칼미크 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간쑤성
모어 화자 수약 368,000명 (오이라트족의 58%)
사용자 수655,372명 (오이라트족)
언어 분류알타이어족
몽골어족
중앙 몽골어군
부랴트어-몽골어
몽골어
문자토도 문자 (중국, 비공식)
키릴 문자 (러시아, 공식)
공인러시아 칼미크 공화국 (칼미크어 형태)
중국 칭하이성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바잉골린 몽골 자치주 및 보르탈라 몽골 자치주
ISO 639-1없음
ISO 639-2xal
ISO 639-3xal
Glottologkalm1243
방언
주요 방언칼미크 오이라트어
언어 활성화 정도
상태취약
지도 정보
음운 정보
일본어 정보 (オイラト語)
사용 국가

사용 지역중앙아시아
화자 수518,500명
문자키릴 문자(러시아)
라틴 문자(1930년 - 1938년, 러시아)
토도 문자(중국)
공용 국가칼미크 공화국
한국어 정보 (오이라트어)
사용 국가몽골, 러시아, 중국, 키르기스스탄
사용 지역허브드 주, 오브스 주, 바잉울기 주, 칼미크 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간쑤성
사용자 수약 37만명
어순SOVanPo
문자키릴 문자(칼미크 공화국)
토도 문자(중화인민공화국, 비공식)
공용 국가러시아 칼미크 공화국

2. 화자 분포

오이라트어는 소멸 위기 언어로, 특히 러시아 칼미크 공화국에서는 1943년 칼미크인 강제 이주와 그 후 러시아어만을 공용어로 사용하게 되면서 쇠퇴하였다. 칼미크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거의 노년층뿐이다.[14]

중국에서는 오이라트어가 전통적인 지역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단일 언어 사용자가 많지만,[15] 정부 정책과 사회적 현실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 당국은 내몽골어를 표준어 몽골어로 채택했으며,[16]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몽골어 학교를 사실상 폐지하는 새로운 교육 정책(2009년 현재 두 곳만 남음), 유목 제한 정책, 몽골어 학교 졸업생의 중국 사회 내 제한적인 직업 전망 등이 그 예이다.[17]

몽골에서는 할하 몽골어가 우세해지면서 다른 모든 몽골어 변종이 할하화되고 있다.[18]

2. 1. 지역별 현황

오이라트어 화자는 주로 러시아 연방 칼미크 공화국, 몽골 서부(허브드주오브스주),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간쑤성에 거주하는 오이라트족이다.

칼미크어를 제외한 오이라트어의 분포


칼미크인은 칼미크 공화국 인구의 절반을 점하며, 1630년대내전을 피해 볼가강 유역으로 이동한 오이라트족의 토르구트부의 후예이다. 러시아에서 오이라트족과 오이라트어는 하나의 민족, 하나의 언어로 간주되어 칼미크인, 칼미크어로 지칭된다. 칼미크 공화국에서 오이라트어는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몽골과 중국에서 오이라트족은 몽골 민족에 포함되어 독립적인 하나의 민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원래 오이라트족의 문화, 관습 등은 몽골족과 차이가 있다. 오이라트어도 행정상 각각의 국가에서 표준어(몽골에서는 몽골어의 할하 방언, 중국에서는 몽골어의 차하르 방언을 표준어의 기반으로 삼았다)와 다른 방언으로 여겨지며, 실제 각각의 표준어의 영향을 받은 중간적인 언어(또는 방언)으로 변질되었다. 몽골과 중국의 오이라트어 화자는 문어로는 각각의 표준어를 사용하지만, 유일하게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오이라트족은 1648년몽골 문자를 기초로 만들어진 토도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 오이라트 문어를 사용한다. 현재 학교 기관에서 오이라트 문어의 교육은 사라졌고, 몽골 문자로 표기된 몽골어 문어가 교육된다. 그러나 신문, 잡지, 서적 등에서는 아직도 오이라트 문어가 사용되고 있다.[10]

지역문어 (문자)구어 표준어
칼미크 공화국칼미크어 (키릴 문자)칼미크어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오이라트 문어 (토도 문자)
중국 칭하이성, 간쑤성



칼미크 공화국, 몽골, 중국에서 오이라트어는 문화적으로 하나의 언어권을 형성하지 못하며, 발음, 문법, 어휘 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몽골에는 7개의 역사적인 오이라트 방언이 있으며, 각 방언은 서로 다른 부족에 해당한다.[10]

방언사용 지역
도르베트우브스주의 절반(몽골의 )과 허브드주의 도르곤 솜
바야트우브스주의 말친, 키르가스, 테스, 쥰고비 솜
토르구트허브드주의 불간 솜
알타이 우리아크하이허브드주의 두트와 몽크하이르한 솜과 바양울기주의 알타이, 부얀트, 불간 솜
외욀드허브드주의 에르데네부렌
자흐친허브드주의 만칸, 알타이, 위엔치, 체레그, 뫼스트 솜
코톤우브스주의 타리알란



분류하기 어려운 몇몇 오이라트 변종이 있다. 내몽골 자치구 알라산 맹의 알라샤 방언은 원래 오이라트에 속했으며,[11]음운론 때문에 일부 학자들에 의해 그렇게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그 형태론 때문에 제대로 된 몽골어로 분류해 왔다.[12] 몽골 훕스굴주의 다르하드 방언은 오이라트, 제대로 된 몽골어 또는 (덜 빈번하게) 부랴트어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왔다.[13]

오이라트어는 사용되는 모든 지역에서 소멸 위기 언어이다. 러시아에서는 1943년 칼미크인 강제 이주의 결과로 칼미크인 인구의 상당 부분이 학살되고 사회가 파괴되었으며, 그 후 러시아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강요하면서 이 언어가 쇠퇴했다. 칼미크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거의 노년층뿐이다.[14] 중국에서는 오이라트어가 전통적인 지역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단일 언어 사용자가 많지만,[15] 정부 정책과 사회적 현실의 결합으로 인해 이 언어 사용에 해로운 환경이 조성되었다. 중국 당국은 내몽골어를 표준어 몽골어로 채택했으며,[16]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몽골어 학교를 사실상 폐지하는 새로운 교육 정책(2009년 현재 두 곳만 남음), 유목 제한 정책, 몽골어 학교 졸업생의 중국 사회 내 제한적인 직업 전망 등이 그 예이다.[17] 몽골의 경우, 할하 몽골어가 우세해지면서 다른 모든 몽골어 변종이 할하화되고 있다.[18]

3. 표준어와 방언

오이라트어의 표준어를 규정한 곳은 칼미크 공화국뿐이며, 몽골중국에서는 오이라트어가 몽골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어 표준화되지 않았다. 내몽골 자치구 알라산 맹의 알라샤 방언은 원래 오이라트어에 속했으며,[11]음운론 때문에 일부 학자들에 의해 그렇게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그 형태론 때문에 몽골어로 분류해 왔다.[12]

3. 1. 칼미크 공화국의 방언

칼미크 공화국의 오이라트어 표준어는 기본적으로 토르구트 방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도르베트 방언의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칼미크 공화국의 주요 방언은 토르구트 방언과 도르베트 방언이다. 이 둘은 음성과 어휘 면에서 사소한 차이를 보인다.

  • 몽골 문어의 제2음절 이후의 -ayi-, -oyi-에 대해 칼미크 방언에서는 /aː/가, 도르베트 방언에서는 /æː/가 대응된다.
  • 토르구트 방언의 제1음절에서 b, m에 선행하는 모음 /u, y/가 도르베트 방언에서는 /o, ø/가 된다.


돈강 유역의 칼미크어를 개별적인 방언(부자와 방언)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기타 지역의 방언은 조사가 불충분하며 자세한 분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3. 2. 몽골의 방언

몽골에는 7개의 역사적인 오이라트 방언이 있으며, 각 방언은 서로 다른 부족에 해당한다.[10]

방언사용 지역
도르베트우브스주의 절반(몽골의 )과 호브드주의 도르곤 솜
바야트우브스주의 말친, 키르가스, 테스, 쥰고비 솜
토르구트호브드주의 불간 솜
알타이 우리아크하이호브드주의 두트와 몽크하이르한 솜과 바양울기주의 알타이, 부얀트, 불간 솜
외욀드호브드주의 에르데네부렌
자흐친호브드주의 만칸, 알타이, 위엔치, 체레그, 뫼스트 솜
코톤우브스주의 타리알란



분류하기 어려운 몇몇 오이라트 변종이 있다. 몽골 훕스굴주의 다르하드 방언은 오이라트어, 몽골어 또는 부랴트어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왔다.[13]

3. 3. 기타 방언

돈강 유역의 칼미크어를 개별적인 방언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기타 지역의 방언은 조사가 불충분하며 자세한 분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몽골에는 7개의 역사적인 오이라트 방언이 있으며, 각 방언은 서로 다른 부족에 해당한다.[10]

방언사용 지역
도르베트우브스주의 절반(몽골의 )과 호브드주의 도르곤 솜
바야트우브스주의 말친, 키르가스, 테스, 쥰고비 솜
토르구트호브드주의 불간 솜
알타이 우리아크하이호브드주의 두트와 몽크하이르한 솜과 바양울기주의 알타이, 부얀트, 불간 솜
외욀드호브드주의 에르데네부렌
자흐친호브드주의 만칸, 알타이, 위엔치, 체레그, 뫼스트 솜
코톤우브스주의 타리알란



분류하기 어려운 몇몇 오이라트 변종이 있다. 내몽골 자치구 알라산 맹의 알라샤 방언은 원래 오이라트에 속했으며,[11]음운론 때문에 일부 학자들에 의해 그렇게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그 형태론 때문에 제대로 된 몽골어로 분류해 왔다.[12] 몽골 훕스굴주의 다르하드 방언은 오이라트, 제대로 된 몽골어 또는 (덜 빈번하게) 부랴트어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왔다.[13]

4. 음운

칼미크 공화국에서 쓰이는 오이라트어, 즉 칼미크어의 음운은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에서 칼미크어의 모음과 자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4. 1. 모음

칼미크어의 단모음에는 의 여덟 종류가 있다.

전설 모음후설 모음
평순원순평순원순
고모음и|이mnү|위mnу|우mn
중모음е|에mnө|외mnо|오mn
저모음ә|애mnа|아mn



단모음은 첫 번째 음절에서는 8개가 음소로 구별되지만, 두 번째 음절 이후에서는 단일 음소 로 중화된다. 장모음은 각 단모음에 대응하는 형태로 8개가 음소로 존재한다. 이중 모음은 존재하지 않으며, 몽골 문어의 ayi, uyi, oyi에는 각각 가 대응된다.

4. 1. 1. 모음조화

모음은 장단에 관계 없이 후설모음 a|아mn, o|오mn, u|우mn와 전설모음 æ|애mn, ø|외mn, e|에mn, y|위mn, i|이mn로 분류된다. 제1음절의 모음이 후설모음인 경우, 제2음절부터의 장모음은 aː|아mn, uː|우mn, iː|이mn 중 하나로 한정되며, 제1음절의 모음이 전설모음인 경우, 제2음절부터의 장모음은 æː|애mn, øː|외mn, iː|이mn 중 하나가 된다. 제2음절부터의 단모음은 모음조화와는 별개로 하나의 음소로 중화되었다. 또한 몽골어 할하 방언 등에서는 원순모음 o|오mn, ɵ|으mn 뒤의 aː|아mn, eː|에mn가 각각 oː|오mn, ɵː|으mn로 동화되어 순행적인 원순화가 일어났으나, 오이라트어에서는 이러한 개신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음조화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

첫 음절의 모음둘째 음절 이후의 장모음
a|아mn, aː|아mn
o|오mn, oː|오mn
u|우mn, uː|우mn
aː|아mn, uː|우mniː|이mn
æ|애mn, æː|애mn
ø|외mn, øː|외mn
e|에mn, eː|에mn
y|위mn, yː|위mn
i|이mn, iː|이mn
æː|애mn, yː|위mn



이러한 모음 조화는 하나의 형태소 내에만 머무르지 않고, 접미사까지 미친다. 따라서 접미사 중에는 a|아mn~æ|애mn 및 u|우mn~ø|외mn의 모음 교체에 의한 이형태를 가진 것이 많다.

4. 2. 자음



는 어두 및 의 직후에서 , 어중과 어말에서는 마찰음으로 나타나며, 무성자음 앞에서는 , 그 이외에서는 로 실현된다.

는 어두와 의 직후에서는 , 어중·어말에서는 마찰음으로 나타나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 그 외에는 가 된다.

5. 표기 체계

오이라트어는 몽골 문자키릴 문자를 포함한 두 가지 문자 체계로 표기되어 왔다.

현재 오이라트 문어를 사용하는 화자 집단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오이라트족뿐이다.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내몽골어가, 몽골에서는 몽골어가 문어로서 통용되며 오이라트어의 표준화된 정서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에서는 부랴트어와 오이라트어가 내몽골어에 비해 비표준어로 간주되어, 글을 쓸 때 몽골 문자와 내몽골어 문법을 사용해야 한다고 여겨진다. 실제로는 이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중국 표준어를 배우고 한자를 사용하여 중국 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한다.

몽골에서는 중앙 몽골의 소수 방언이 지위가 없어, 오이라트인들은 몽골 키릴 문자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사실상 할하 몽골어만을 표기한다.

5. 1. 토도 문자

토도 문자로 적힌 칼미크어 주기도문의 한 구절 (1870년)


"토도 비치그"(clear script)로 쓰인 오이라트어 필사본
[19]

본래 오이라트족은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몽골 제국 시기에 몽골에 지배당하면서 몽골 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1648년 자야 판디타가 몽골 문자를 개량한 토도 문자를 고안한 이래, 오이라트어는 토도 문자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적힌 오이라트 문어는 오이라트어의 구어를 완전히 반영한 것이 아니며, 지금까지 사용해온 몽골 문어의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오이라트어는 역사적으로 몽골 문자에서 파생된 토도 비치그를 사용했다. 이는 서로 다른 둥근 모음을 구별하기 위해 수정된 문자 모양을 사용하며, 모음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오른쪽에 작은 획을 사용한다. 토도 비치그는 중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유지되어 가끔 저널 기사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5. 2. 키릴 문자

칼미크 공화국에서는 1924년키릴 문자를 활용한 정서법을 제정했다. 1931년에는 몽골 인민공화국, 칼미크 공화국, 부랴트 공화국 공통의 셀렝게 방언을 기초로 한 라틴 문자 기반으로 전환되었으나, 1937년소련 내의 라틴 문자화 운동의 노선 변경의 영향으로, 칼미크 공화국에서 독자적인 키릴 문자 기반의 정서법을 제정했다. 이 정서법은 오이라트어의 토르구트 방언을 기초로 한다.

칼미크어에서 쓰이는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에서 쓰이는 33문자에 ә, һ, җ, ң, ө, үmn의 6자를 더한 39자이며, 모음은 13자, 자음은 23자, 반모음 1자, 기호 2자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в, ё, ж, ф, щmn는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대문자АӘБВГҺДЕЁЖҖЗИЙКЛМНҢО
소문자аәбвгһдеёжҗзийклмнңо
음가
대문자ӨПРСТУҮФХЦЧШЩЪЫЬЭЮЯ
소문자өпрстуүфхцчшщъыьэюя
음가



첫 음절의 단모음은 모음자 하나, 장모음은 모음자를 두 개 겹쳐 쓰는 것으로 나타낸다. 단, 둘째 음절 이후에서는 단모음은 약모음화되기 때문에 표기하지 않고 장모음은 모음자 하나로 나타낸다. 예: →баатр

5. 3. 라틴 문자

1931년 몽골 인민공화국, 칼미크 공화국, 부랴트 공화국 공통의 셀렝게 방언을 기초로 한 라틴 문자 기반 정서법이 제정되었으나, 1937년 소련 내 라틴 문자화 운동 노선 변경의 영향으로 칼미크 공화국에서 독자적인 키릴 문자 기반 정서법을 제정하면서 폐지되었다.[1]

6. 문법

오이라트어는 문법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명사는 단수/복수, , 재귀소속어미, 인칭소속어미의 네 가지 방식으로 곡용한다. 에는 할하 몽골어에 없는 동반격이 존재한다.
  • 동사는 명령형, 종지형, 형동사형, 부동사형 등의 활용어미를 통해 활용한다.
  • 기본 어순은 SOV(주어-목적어-동사)형이며, 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위치한다. 이는 한국어와 어순이 매우 비슷하다.
  • 술어에는 인칭어미가 붙는다. 인칭어미는 주어의 인칭과 수를 나타내며, 할하 몽골어에는 없는 문법 요소이다.

7. 어휘

칼미크어는 몽골어족 기초어휘 외에 러시아어로부터 유입된 차용어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1]

8. 소멸 위기

오이라트어는 사용되는 모든 지역에서 소멸 위기 언어이다. 러시아에서는 1943년 칼미크인 강제 이주의 결과로 칼미크인 인구의 상당 부분이 학살되고 사회가 파괴되었으며, 그 후 러시아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강요하면서 이 언어가 쇠퇴했다. 칼미크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은 거의 노년층뿐이다.[14] 중국에서는 오이라트어가 전통적인 지역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단일 언어 사용자가 많지만,[15] 정부 정책과 사회적 현실의 결합으로 인해 이 언어 사용에 해로운 환경이 조성되었다. 중국 당국은 내몽골어를 표준어 몽골어로 채택했으며,[16]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몽골어 학교를 사실상 폐지하는 새로운 교육 정책(2009년 현재 두 곳만 남음), 유목 제한 정책, 몽골어 학교 졸업생의 중국 사회 내 제한적인 직업 전망 등이 그 예이다.[17] 몽골의 경우, 할하 몽골어가 우세해지면서 다른 모든 몽골어 변종이 할하화되고 있다.[18]

참조

[1] 논문 Svantesson et al. 2005
[2] 논문 Coloo 1988
[3] 논문 Svantesson et al. 2005
[4] 논문 Birtalan 2003
[5] 논문 Sečenbaγatur et al. 2005
[6] 논문 Sečenbaγatur et al. 2005
[7] 논문 Sečenbaγatur et al. 2005
[8] 논문 Svantesson et al. 2005
[9] 논문 Birtalan 2003
[10] 논문 Coloo 1988
[11] 논문 Sečenbaγatur et al. 2005
[12] 논문 Sečenbaγatur et al. 2005
[13] 논문 Sanžaa and Tujaa 2001
[14] 논문 Bitkeeva 2007
[15] 논문 Bitkeeva 2007
[16] 논문 Sečenbaγatur et al. 2005
[17] 논문 Indjieva 2009
[18] 논문 Coloo 1988
[19] 논문 Chuluunbaatar 2008
[20] 논문 Lewis et al. 2015
[21] 논문 Hammarström 2016
[22] 논문 Svantesson et al. 2005
[23] 논문 Svantesson et al.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