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란어는 몽골어와 퉁구스어족 언어와 유사한 어휘를 공유하는 언어이다. 오늘날 학계에서는 몽골어족에 가깝고 몽골어와 친연관계를 가진다는 데에 동의하며, 몽골조어에서 파생된 방계 친족어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거란어는 거란 대자와 소자 두 종류의 문자를 사용했으며, 요나라 멸망 이후에도 일정 기간 사용되었다. 《요사》에는 거란어 단어 모음집인 〈국어해〉가 수록되어 있으며, 몽골어와 유사한 어휘 체계를 가진 단어들이 존재한다. 계절, 동물, 방위, 자연 현상, 숫자, 친족 관계 등 다양한 범주의 단어들이 몽골어 및 다우르어와 비교 분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란어 - 거란 문자
거란 문자는 10세기 요나라에서 사용된 문자로, 한자의 영향을 받은 표의 문자인 거란 대자와 위구르 문자를 참고한 표음 문자인 거란 소자로 구분되며 요나라 멸망 후 사용이 금지되었다. - 선비몽골어족 - 선비어
선비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이며, 선비족이 사용했고, 거란어와 몽골어의 유사성을 보이며, 현재 연구가 미흡하고, 토욕혼 묘지명에서 토욕혼문으로 추정되는 문자가 발견되었다. - 선비몽골어족 - 토욕혼어
토욕혼어는 선비오환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몽골어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나 몽골조어의 직계 후손은 아니고,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등의 음운 체계를 가지며 모음 조화 현상이 존재했던 멸망한 언어이다. - 몽골어족 - 칼미크어
칼미크어는 유럽의 칼미크인들이 사용하는 몽골어족 언어로, 러시아어와 튀르크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교착어와 모음조화의 특징을 지니고, 토도 비치그를 거쳐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소멸 위기를 겪었으나 부흥 운동이 있었다. - 몽골어족 - 오이라트어
오이라트어는 러시아, 몽골, 중국의 오이라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칼미크 공화국에서는 공용어이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어 방언으로 취급되지만 독자적인 문어(토도 문자)를 유지하며 소멸 위기에 처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
거란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거란어 |
다른 이름 | 키탄어 |
고유 이름 | [[File:Khitan (Large Script).svg|51px]] [[File:Khitan (Small Script).svg|50px]] |
사용 지역 | 중국 북동부 몽골 남동부 동시베리아 |
사용권 | 북부 |
사멸 시기 | 1244년 (야율초재 사망, 거란어 구사 및 기록 마지막 인물) |
문자 | 거란대자 거란소자 |
언어 분류 | |
어족 | 알타이어족 |
세부 분류 (추정) | 측몽골어족? 파라몽골어족? 선비어? 키탄어족? |
ISO 639-3 | zkt |
Glotto 코드 | kita1247 |
LingList 코드 | zkt |
역사 및 사회 | |
사용 국가 | 요나라 서요 |
2. 계통
거란 문자의 연구를 통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거란어는 몽골어와 퉁구스어족 언어와 유사한 어휘를 공유한다. 오늘날 주요 학자들은 거란어가 퉁구스어족보다 몽골어족에 가까우며 몽골어와 친연관계를 가진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11][12] 핀란드의 언어학자 유하 얀후넨은 거란어가 현대 몽골어족의 하위에 분류된다기보다는 선비오환어파(Para-Mongolic)에 속하는 것이라고 여기며, 이에 따르면 거란어는 모든 몽골어족 언어의 공통 근원인 몽골조어에서 파생된 방계(傍系) 친족어일 수 있다.[13]
거란어의 자음 음소는 몽골어, 다우르어와 비교될 수 있다. 다음은 중세 거란어의 음운 체계이다.[15]
거란 문자는 거란 대자와 거란 소자 두 종류가 있다. 요사의 기록에 따르면, 거란 대자는 920년에[1], 거란 소자는 야율질라가 창제하였고 925년경으로 추정된다.[2] 요나라 기록이나 각종 비문 등 일부 한정된 분야에서 거란어에 대한 기록이 발견되었으며, 거란어는 거란 문자로 표기된 적은 수의 자료로 남아 있다.
《요사》(遼史) 열전 권116은 〈국어해〉로, 거란어 단어를 한자로 음사한 자료가 실려 있다.[17][18][19][20]
거란 문자 연구를 통해 알려진 거란어는 몽골어 및 퉁구스어족 언어와 유사한 어휘를 공유한다.[11][12] 특히 몽골어족에 가깝다는 것이 다수 학자들의 견해이며, 유하 얀후넨은 거란어가 몽골조어에서 파생된 방계 친족어인 선비오환어파(Para-Mongolic)에 속한다고 주장한다.[13]
한편 알렉산더 보빈은 거란어 속에서 발견되는 일부 한국어족과 유사한 단어를 차용어라고 주장하며, 한국어족 언어와 거란어 사이의 언어접촉을 근거로 미해독 거란 문자를 설명하기도 했다.[14] 한국의 고려 왕조와 거란의 요나라 모두 고구려의 후계자를 자처했기 때문에, 거란어의 한국어족 단어는 고구려어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3. 음운
4. 문자
1125년 금나라가 요나라를 멸망시킨 뒤에도 거란어와 거란 문자는 여전히 일정 범위 내에서 사용되었다. 12세기 초에 창제된 여진 문자는 거란 문자를 참고하여 만들어졌으므로, 금나라 때에도 거란 문자는 해독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거란 소자는 여진어를 사용하는 금나라가 1191년에 여진 문자로 대체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거란 대자는 한자와 마찬가지로 표어 문자였다.
5. 기록
청나라 건륭제는 거란인과 거란어를 솔론인과 솔론어로 오인했기 때문에, 《흠정요금원삼사국어해》(欽定遼金元三史國語解)를 편찬할 당시에 《요사》에 등장하는 거란인의 인명의 한자 음사를 솔론어로 바꾸었다.
요나라에서는 거란어를 '국어(國語, "국가 언어")'라는 용어로 지칭했는데, 이는 청나라의 만주어, 원나라 시대의 고전 몽골어, 금나라 시대의 여진어, 북위 시대의 선비어와 같이 중국의 다른 비한족 왕조가 그들의 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한 용어였다. 오늘날에도 타이완에서는 표준 중국어를 국어라고 부른다.
6. 단어
알렉산더 보빈은 거란어에서 발견되는 일부 한국어족 계통 단어들을 차용어로 보았으며, 고구려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14]
거란어 어휘는 체계적인 정보를 가진 여러 개의 닫힌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7] 몽골어와 유사한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거란어 번역 몽골 문자 현대 몽골어 발음 다우르어 un.n/un.e 지금, 현재 önömn önöö nee c.i.is 피 čisumn tsus qos mo ku 여성 em-emn em emwun deu 손아래 형제, 누이 degüümn düü deu n.ai.ci 친구 nayiǰamn naiz guq na.ha.an 삼촌 naɣačamn nagats naoq s.ia/s.en 좋음 sayinmn sain sain g.en.un 슬픔, 후회 genümn (아르군 칸의 편지에 "후회하다"라는 뜻으로 쓰임) genen, gem gemxbei ku 사람 kümünmn hün, hümün huu cau.ur 전쟁 čagurmn ("차구르갈란 다이라흐"와 같음) quagur nai/nai.d 수장, 관리 노얀(복수의 경우 노야드) 노인 t.em- 칭호를 수여하다 temdegmn '표시' 템게트 k.em 칙령 kemmn 켐지에 '법/규범' 헤스 us.gi 편지 üsegmn 지에겐 ui 문제 üyilemn 우르길 qudug 축복받은 qutuɣmn 히레베이 xe.se.ge 부분, 구역, 지방 kesegmn 메옌 ming.an 천호대 mingganmn 미안간 p.o 되다, ~이 되다 bol-mn p.o.ju 일으키다(자동사) bos-mn on.a.an 떨어지다, 떨어지다 una-mn x.ui.ri.ge.ei 이동하다, 옮기다 kür-ge-mn u- 주다 ög-mn sa- 거주하다 sagu-mn a- 존재하다, ~이다 a-mn 살다, "aj ahui"와 같이
거란어의 자음 및 모음 음소는 몽골어, 다우르어와 비교될 수 있다. 다음은 중세 거란어의 음운 체계이다.[15]
거란어의 음절구조는 CVN 또는 CVG로 구성될 수 있다.[16]
6. 1. 계절
거란어[21] | 뜻 | 몽골 문자 | 현대 몽골어 | 다우르어 |
---|---|---|---|---|
𘰬𘮒|hau.urkht | 봄 | ᠬᠠᠪᠤᠷ|qaburmn | хавар|kavarmn | haor |
𘲮𘳕|dʒu.unkht | 여름 | ᠵᠤᠨ|junmn | зун|zunmn | najir |
𘰭𘯴𘮒|n.am.urkht | 가을 | ᠨᠠᠮᠤᠷ|namurmn | намар|namarmn | namar |
𘲚𘲀|u.ulkht | 겨울 | ᠡᠪᠦᠯ|ebülmn | өвөл|övölmn | uwul |
6. 2. 동물
6. 3. 방위
6. 4. 자연
요사 53권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國語謂是日爲「討賽咿兒」。「討」五;「賽咿兒」,月也。"
이는 국어(거란어)로 이 날(음력 5월 5일)을 '타오 사이얼'이라고 부르는데, '타오'는 다섯을 의미하고, '사이얼'은 달/월을 의미한다는 뜻이다. '타오 사이얼'은 몽골어 'tavan sar'(다섯 번째 달/월)에 해당한다.
참조
[1]
웹사이트
Khitan
https://omniglot.com[...]
2021-08-24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3: Sui and T'ang China, 589–906. Part 1
[3]
웹사이트
遼史/卷116 卷116
https://zh.wikisourc[...]
[4]
저널
The Northern Frontagers of China. Part V. The Khitai or Khitans
https://zenodo.org/r[...]
1881
[5]
서적
Chinese History: A Manual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0
[6]
서적
Chinese Lexicography: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7]
서적
The Kitan language and script
Brill
2009
[8]
웹사이트
Bolor Dictionary
https://bolor-toli.c[...]
2024-10-27
[9]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Routledge
2003
[10]
웹사이트
遼史 巻一百一十六 国語解
https://zh.wikisourc[...]
[11]
문서
Cf. Franke. In Sinor ed., 1990, p. 407, and note. 6; Liu, Fengzhu 1992, p. 1; Janhunen 1996, p. 143.
[12]
서적
契丹小字研究
http://worldcat.org/[...]
[13]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Routledge
2003
[14]
저널
Koreanic loanwords in Khitan and their importance in the decipherment of the latter
http://dx.doi.org/10[...]
2017-06
[15]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http://worldcat.org/[...]
[16]
저널
Sino-Khitan Phonology
Brill
2007-01-24
[17]
웹사이트
遼史/卷116 卷116
https://zh.wikisourc[...]
[18]
저널
The Northern Frontagers of China. Part V. The Khitai or Khitans
1881
[19]
서적
Chinese History: A Manual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0
[20]
서적
Chinese Lexicography: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1]
서적
거란소자 사전
http://worldcat.org/[...]
조선뉴스프레스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