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양옹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양옹주는 조선 정종의 딸로, 전주 이씨 왕족이다. 시가는 밀양 박씨로, 지돈녕부사 박갱에게 하가했다. 박갱과의 사이에서 장남 박서창을 두었으며, 박서창은 함길도관찰사를 지냈다. 관련 인물로는 박서창의 장인인 하효명과 하효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정종의 자녀 - 무림군
    무림군은 조선 세조의 아들 정종과 숙의 기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정부인 홍씨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으며, 세조의 순행을 호종하고 문폐사로 활동하며 지방 실정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조선 정종의 자녀 - 도평군
    도평군은 조선 정종의 아들로, 기생 첩을 사랑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의 비호를 받았고, 예종 즉위년에 군호를 하사받았으며 147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조선의 공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공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함양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군주, 옹주
왕조조선 왕조
미상
시호미상
가족 관계
아버지정종
어머니숙의 지씨
배우자밀령위(密寧尉) 박갱(朴賡)
자녀1남
- 박서창(朴徐昌)
친척태조(조부), 태종(숙부), 세종(사촌) 등
생애
출생지조선
출생일미상
사망지조선
사망일미상
기타 정보
능묘미상
매장지미상
거주지미상
국적조선
종교미상

2. 가족 관계

친정 전주 이씨
조부태조 (1335~1408, 재위: 1392~1398)
조모신의왕후 안변 한씨 (1337~1391)
아버지정종 (1357~1419, 재위: 1398~1400)
외조부문하찬성사 지윤 (1321?~1377)
외조모순흥 안씨
어머니숙의 충주 지씨 (생몰년 미상)
이모 겸 백모삼한국대부인 충주 지씨
이모부 겸 백부진안대군 이방우 (1354~1393)
이모 겸 서모성빈 충주 지씨 (생몰년 미상)
이종사촌 겸 이복오빠덕천군 이후생 (1397~1465), 도평군 이말생 (1402~1439)
친오빠의평군 원생 (?~1461), 선성군 무생 (생몰년 미상), 임성군 호생 (생몰년 미상)
시가 밀양 박씨
시아버지문하시중 개국공신 박득중 (생몰년 미상)
시어머니국부인 함양 박씨, 국부인 문화 유씨 (지후 유계고의 딸)
부마지돈녕부사 밀령위 박갱 (?~1427)
장남함길도관찰사 박서창
며느리정경부인 진양 하씨 (훈련원 부사 하효명의 딸)
손자박집, 박경, 박위, 박유 (1449~?), 박찬
손녀흥양 이씨 지평 이걸의 처
(첩)며느리미상
서손자박뉴


2. 1. 친정 전주 이씨(全州 李氏)

정종의 왕비인 정안왕후는 김천서의 딸로, 슬하에 자녀가 없었다.[1] 정종은 성빈 충주 지씨, 숙의 충주 지씨를 비롯한 7명의 후궁에게서 15남 8녀를 두었는데,[1] 함양옹주는 이 중 숙의 충주 지씨에게서 태어났다. 숙의 충주 지씨는 함양옹주 외에 의평군, 선성군, 임성군을 낳았다.[1]

2. 1. 1. 조부모


  • 조부: 태조 (1335~1408, 재위: 1392~1398)
  • 조모: 신의왕후 (1337~1391)

2. 1. 2. 부모

함양옹주의 부친은 태조의 둘째 아들인 조선 제2대 왕 정종(재위 1398년 ~ 1400년)이다. 정종은 왕위에 올랐으나 동생인 이방원(태종)에게 양위하였다.[1]

함양옹주의 모친은 숙의 충주 지씨(생몰년 미상)이다. 숙의 지씨의 부친(함양옹주의 외조부)은 문하찬성사를 지낸 지윤(1321? ~1377)이며, 모친(함양옹주의 외조모)은 순흥 안씨이다.[1]

2. 1. 3. 형제자매


  • 의평군 원생(義平君 元生, ? ~ 1461)
  • 선성군 무생(宣城君 茂生, 생몰년 미상)
  • 임성군 호생(任城君 好生, 생몰년 미상)

2. 1. 4. 이모 및 이종사촌

함양옹주의 이모는 삼한국대부인 충주 지씨성빈 충주 지씨이다.[1] 이모부이자 백부는 진안대군 이방우이다.[1] 이종사촌이자 이복오빠는 덕천군 이후생과 도평군 이말생이다.[1]

2. 2. 시가 밀양 박씨(密陽 朴氏)

밀양 박씨는 고려 말, 조선 초 문신 가문으로, 왕실과의 혼인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함양옹주의 배우자는 박갱(朴賡)으로 지돈녕부사를 지냈다.

2. 2. 1. 시부모


  • 시아버지 : 문하시중 개국공신 박득중(門下侍中 開國功臣 朴得中, 생몰년 미상)
  • 시어머니 : 국부인 함양 박씨(國夫人 咸陽 朴氏)
  • 시어머니 : 지후 유계고(祗侯 柳繼高)의 딸 국부인 문화 유씨(國夫人 文化 柳氏)

2. 2. 2. 부마

함양옹주는 지돈녕부사 밀령위 박갱(密寧尉 朴賡, ? ~ 1427)과 혼인하였다. 박갱은 밀양 박씨로, 왕실과의 혼인을 통해 가문의 위상을 높였다.[1]

2. 2. 3. 자녀


  • 장남 : 함길도관찰사 박서창(朴徐昌)
  • 며느리 : 훈련원 부사를 지낸 하효명(河孝明)의 딸 정경부인 진양 하씨(貞敬夫人 晋陽 河氏)
  • * 손자 : 박집(朴緝)
  • * 손자 : 박경(朴經)
  • * 손자 : 박위(朴緯)
  • * 손자 : 박유(朴維, 1449 ~ ?)
  • * 손자 : 박찬(朴纘)
  • * 손녀 : 흥양 이씨 지평(持平) 이걸(李傑)의 처
  • (첩)며느리 : 미상
  • * 서손자 : 박뉴(朴紐)

3. 관련 인물

함양옹주와 관련된 인물로는 하연과 하효명이 있다. 하연은 조선 초의 문신으로 함양옹주의 손자며느리 친정 쪽과 관련된 인물이며, 하효명은 박서창의 장인이자 함양옹주의 손자며느리의 친정아버지이다.

3. 1. 하연 (河演)

하연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박서창의 장인인 하효명의 아버지이다. 왕녀의 손자며느리 친정과 관련된 인물이다.

3. 2. 하효명 (河孝明)

하효명(河孝明)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박서창의 장인이며, 함양옹주의 손자며느리의 친정아버지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