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안대군은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안변 한씨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이다.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지냈으며, 위화도 회군 이후 고려에 대한 충성심으로 은거하다가 조선 건국 후 사망했다. 사후 진안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정조가 묘비문을 통해 효성과 학문에 힘썼음을 기렸다. 드라마 《개국》, 《용의 눈물》 등 여러 사극에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54년 출생 - 류량
류량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1382년 장원 급제 후 형조판서, 이조전서를 거쳐 우의정을 지냈으며, 정1품 공신으로 문성부원군에 봉해지고 시호는 충경이다. - 1354년 출생 - 이천우 (조선)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인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 조선 건국에 참여한 공신으로서 왜구 토벌에 공을 세웠고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지지하여 공신에 책록, 완산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사후 태종 묘정에 배향, 시호는 양도이다. - 조선의 공작 - 회안대군
태조 이성계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 이방간은 조선 건국 공신으로 회안군에 봉해졌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유배 생활을 하다 병사했고, 사후 고종 때 신원 회복되어 시호를 받았다. - 조선의 공작 - 익안대군
익안대군은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아들로, 조선 건국 후 익안군에 봉해지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온후하고 검소한 성품으로 마한 공정공에 추봉, 정종의 묘정에 배향, 영종정경부사에 추증되었다. - 1394년 사망 - 존 호크우드
존 호크우드는 1323년경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백년 전쟁 참전 후 이탈리아에서 용병으로 활동하며 백색 용병대를 이끌고 카시나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며, 1394년 피렌체에서 사망하였다. - 1394년 사망 - 쩐 예종 (9대)
쩐 예종은 쩐 왕조의 제9대 황제로, 양일례를 폐위시키고 즉위하여 쩐 왕조 질서 회복을 시도했으나, 잦은 외침과 신하들의 배반, 호꾸이리의 득세로 쇠퇴를 가속화시키고 태상황으로 실권을 장악하며 쩐 왕조 멸망의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 진안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한글) | 진안대군 |
| 원래 이름 (한글) | 이방우 |
| 이름 (한자) | 李芳雨 |
| 로마자 표기 | I Bangu |
| 호 | 청덕 |
| 시호 | 경효, 정의 |
| 출생 및 사망 | |
| 출생일 | 1354년 |
| 출생지 | 원 간섭기 고려 함경도 화령군 영흥면 흑석리 |
| 사망일 | 1394년 1월 23일 |
| 사망지 | 조선 동북면 함주부 함흥목 (과음으로 인한 주독) |
| 신분 및 가계 | |
| 왕가 | 전주 이씨 |
| 왕조 | 조선 |
| 아버지 | 태조 |
| 어머니 | 신의왕후 한씨 |
| 가족 관계 | |
| 동복 형제 | 정종 (조선) 익안대군 회안대군 조선 태종 덕안대군 |
| 이복 형제 | 무안대군 의안대군 |
| 사촌 형 | 완원부원군 이양우 완산부원군 이천우 |
| 조카 | 양녕대군 경녕군 효령대군 세종대왕 덕천군 등 |
| 배우자 및 자녀 | |
| 배우자 | 정부인: 삼한국대부인 충주 지씨 측실: 해주 왕씨 |
| 자녀 | 2남 2녀 |
| 아들 | 봉녕군 이복근(奉寧君 李福根) 순녕군 이덕근(順寧君 李德根) |
| 딸 | 경혜옹주(敬惠翁主) 옹주(翁主) |
| 작위 및 시호 | |
| 작위 | 진안공(鎭安公) 증(贈) 진한 정효공(辰韓 定孝公) 진안군(鎭安君) 증(贈) 진안대군(鎭安大君) |
| 기타 | |
| 종교 | 불교 → 한국 유교(성리학) |
2. 생애
태조와 신의왕후(神懿王后) 안변 한씨(安邊韓氏)[1] 사이의 장남으로 함경도 화령군 영흥면 흑석리에서 태어났다.
태조의 다섯째 아들 태종(이방원)이 세자로 선택된 이복형제 방석을 죽인 후, 서자가 아닌 본처에게서 낳은 아들이 후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
태조실록의 '진안군 이방우의 졸기'에는 ‘진안군은 성질이 술을 좋아하여 날마다 많이 마시는 것으로써 일을 삼더니, 소주를 마시고 병이 나서 졸하였다.’고 적고 있다.[1]
진안대군은 여러 드라마에서 다양한 배우들이 연기했다.
고려 말에 과거(문과)에 급제하여 예의판서[2](禮儀判書)와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냈다. 부인은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충주 지씨(忠州池氏)[3]이다.
고려 우왕 14년(1388년)에 아버지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장악하자 처자를 데리고 교주 강릉도 철원 보개산에 들어가 은거하였다. 조선 건국 후에도 국가 일에는 일체 간여하지 않고 서해도 해주로 옮겨 가서 서너달 살다가, 아버지 태조 이성계로부터 동북면 고원 땅 전사(田舍)를 하사받은 후에는 고향인 동북면 함흥으로 다시 옮겨 간 후 1년 여 만에 사망하였다.
조선 태조 1년(1392년)에 여러 왕자를 군으로 봉할 때 진안군(鎭安君)에 책봉되었으며, 1년 후인 태조 2년(1393년) 음력 12월 13일 향년 4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의 졸기에는 술병으로 인해 사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후 정종 (조선) 2년(1400년)에 진안대군(鎭安大君)으로 진봉되었고, 조선 태종 18년(1418년)에 진한 정효공(辰韓 定孝公)에 추증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진안대군을 술을 즐기는 인물로 묘사하며, 그가 죽을 때까지 술을 과도하게 마셨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1789년에 제작된 진안대군의 묘비에 따르면 "진안대군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자매를 잘 보살피는 모범적인 아들이었다. 나이가 들면서 학문에 힘썼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했으며 부귀와 권세를 탐하지 않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
3. 왕위 계승에서의 배제
그리하여 태조의 둘째 아들인 정종(이방과)가 즉위하게 되었다.[1] 장남인 진안대군(이방우)가 왕이 되지 않은 이유는, 아버지와 달리 고려에 대한 충성심으로 위화도 회군을 반대했고, 고려가 망하고 태조 이성계가 왕이 되자 약 1년간 술만 마시고 슬퍼하다가 조선 건국 직후 사망했기 때문이다.[1] 또한, 스스로 조선의 왕이 되기를 싫어했다.[1]
하지만 이방우가 고려에 대한 충성심으로 1년간 술만 마셨다는 이야기는 이지란이 서술한 '청해백집'이라는 야사에 나오는 이야기일 뿐이다.[1] 공식 기록인 태조 실록에 의하면, 개국 이후 장남으로서 태조의 4대 선조를 제향하는 일을 맡는 등 멀쩡히 활동했다.[1]
이성계의 적장자인 이방우가 세자나 왕이 될 수 없었던 이유는 단지 1차 왕자의 난 이전에 사망했기 때문이다.[1] 이방우는 조선 태조 2년인 1393년에 사망했고, 제1차 왕자의 난은 1398년에 발생했다.[1]
동복 동생인 정종이 남긴 묘비문에 의하면 부귀영화에 관심이 없었다고 쓰여 있으나, 이 묘비문만으로 스스로 왕이 되기를 싫어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1]
4. 사후 평가 및 기록
조선 정조 13년(1789년) 정조가 지은 '진안대군 이방우 묘비문'에는 ‘어려서 태조를 섬길 때 효자로 칭송받았고, 형제 사이에도 우애가 돈독했으며, 점점 자라면서는 시서(詩書)에 마음을 쓰고 검약을 실천하면서 부귀영화 따위에는 마음이 없었다.’고 적고 있다.[2]
그는 고려 왕조 마지막 왕의 비서실장이 되었다. 1388년, 그의 아버지인 태조가 고려 왕조를 전복시킨 사건을 목격한 후, 철원의 보개산으로 들어가 은거했다. 이후 그는 현재 북한에 위치한 함흥으로 가서 4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1392년, 태조가 작위를 수여했을 때 그의 맏아들은 진안대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
조선왕조실록에는 진안대군을 술을 즐기는 인물로 묘사하며, 그가 죽을 때까지 술을 과도하게 마셨다고 기록하고 있다.[5] 그러나 1789년에 제작된 진안대군의 묘비에는 "진안대군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자매를 잘 보살피는 모범적인 아들이었다. 나이가 들면서 학문에 힘썼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했으며 부귀와 권세를 탐하지 않았다."라고 상반된 기록이 있다.[6]
5.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조부 환조 조모 의혜왕후 부왕 태조 조선 제1대 국왕 모후 신의왕후 정부인 삼한국대부인 충주 지씨[3] 장남 봉녕군 이복근(奉寧君 李福根)[4] 장녀 경혜옹주[5][6][7] 한산군주[8], 영동 현주[9] 첫째 사위 이숙묘 지돈녕부사, 한산 이씨 외손자 이원증[10] 외손자 이형증[10] 첩부인 해주 왕씨 차남 순녕군 이덕근 둘째 며느리 개성 왕씨 정양군 왕우의 딸 손녀 전주 이씨[11] 차녀 옹주[5] 둘째 사위 안종렴 첨지돈녕부사, 순흥 안씨 외손자 안숙[12] 동생 영안대군 이방과 조선 제2대 국왕 동생 익안대군 이방의 동생 회안대군 이방간 동생 정안대군 이방원 조선 제3대 국왕 동생 덕안대군 이방연 동생 경신공주 동생 경선공주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6. 1. 드라마
참조
[1]
문서
증(贈) 문하부사(門下府事) 한경(韓卿)의 딸
[2]
문서
고려시대 예의사(禮儀司)의 으뜸 벼슬
[3]
문서
찬성사(贊成事) 지윤(池奫)의 딸. 다른 딸들은 성빈 지씨와 숙의 지씨로 정종의 후궁이 되었다.
[4]
조선왕조실록
효령 대군·충녕 대군 등 종친의 봉작을 내리다.
http://sillok.histor[...]
[5]
조선왕조실록
종친의 딸을 옹주로 봉하다.
http://sillok.histor[...]
[6]
문화재청 조선왕릉
태조 손녀 경혜옹주 · 이숙묘묘
http://royaltombs.ch[...]
[7]
문서
부군 지돈녕부사 한산 이씨 이숙묘(첨서밀직사사 이종학의 아들, 조부 목은 이색)
[8]
조선왕조실록
박갱·변상복 등의 아내에게 군주의 호를 내리다.
http://sillok.histor[...]
[9]
조선왕조실록
영동 현주가 죽자 치부(致賻)·치전(致奠)케 하다.
http://sillok.histor[...]
[10]
조선왕조실록
지돈녕부사 이숙묘 졸기
http://sillok.histor[...]
[11]
조선왕조실록
원윤 이덕근의 딸 박행의 아내가 죄를 범하나 종친이므로 벌하지 않다.
http://sillok.histor[...]
[12]
조선왕조실록
계모를 고소하려고 계획한 부사직 안숙에게 2등을 감하다.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