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열역은 1912년 3월 6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화물 및 소화물 취급을 거쳐 1975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호남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인접한 역으로는 강경역과 익산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용동역
용동역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했던 호남선의 역으로, 개업 후 여러 변경을 거쳐 화물과 여객 취급 중지 후 2006년 폐역되었으며, 단선과 섬식 승강장을 갖춘 2면 3선의 지상역으로 강경역과 함열역 사이에 있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초강역
초강역은 호남선에 위치했던 역으로, 신태인역과 정읍역 사이에 있었으며, 1953년 배치간이역으로 시작하여 여객 취급 중지로 2004년 폐지되었다. - 익산시의 건축물 - 익산역
익산역은 1912년 이리역으로 개통하여 1995년 역명을 변경한 전라북도 익산시의 철도역으로, 이리역 폭발 사고 후 재건, KTX, SRT 운행 등을 거쳐 다양한 여객열차가 정차하는 교통 허브이며 호남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이 연결된 5면 10선의 지상역이다. - 익산시의 건축물 - 황등역
황등역은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에 위치한 호남선 철도역으로, 1912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쇠퇴기를 거쳤으나 2012년 화물 취급 재개와 함께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나훈아의 "고향역" 배경이자 이리역 폭발 사고 당시 유조열차 대피시킨 역으로도 알려져 있다. - 호남선 - 백양사역
백양사역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호남선 지상역으로, 1914년 사거리역으로 개업하여 1967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 호남선 - 극락강역
극락강역은 1922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38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함열역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역 이름 | 함열역 |
| 한자 표기 | 咸悅驛 |
| 로마자 표기 | Hamyeol Station |
| 모국어 표기 | 함열역 |
| 소속 노선 | 호남선 (KTX 포함) |
| 이전 역 | 용동역 |
| 다음 역 | 황등역 |
| 역간 거리 (이전 역) | 5.1 km |
| 역간 거리 (다음 역) | 9.4 km |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함열읍 함열로 71 |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KORAIL) |
| 역 종류 | 보통역 |
| 역 등급 | 3급 |
| 영업 거리 | 대전조차장역 기점 71.8 km |
| 기점역 | 대전조차장 |
| 역사 구조 | 지상역 |
| 승강장 | 섬식 2면 4선 |
| 개업일 | 1912년 3월 6일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역사 사진 | |
![]() | |
| 철도역 정보 | |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익산관리역 |
| 승강장 구조 | 2면 6선 |
| 단말기 | 28 |
2. 역사
- 1912년 3월 6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1]
- 1912년 10월 1일 : 화물 및 소화물 취급 개시[2]
- 1975년 10월 29일 : 역사 신축 착공
- 1975년 12월 30일 : 현재의 역사 준공
- 1991년 9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3]
- 2007년 11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4]
- 2016년 12월 9일 : 하루 1회 왕복 운행했던 장항선 무궁화호 열차가 이 역에 운행하지 않게 됨 및 누리로 운행 개시
- 2020년 3월 1일 : 누리로 운행 종료
- 2020년 3월 2일 : 태백선 누리로 운행으로 호남선 1421, 1424, 1425, 1426 열차는 무궁화호로 변경 운행 개시
3. 역 구조
함열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1]
3. 1. 승강장
함열역은 호남선 강경 방면과 익산 방면 승강장 사이에 4개의 선로가 있는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하행 열차는 주로 본선인 2번 승강장에 정차하지만, 상행 열차는 대피선인 4번 승강장에 정차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3번 승강장에 열차가 정차하면 건널목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