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호남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까지 연결하는 간선 철도로, 1914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이후 복선화, 전철화 사업이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 2004년 KTX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다. 현재 KTX,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하며,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 - 전라선
    전라선은 익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까지 연결되는 간선 철도 노선으로, 1914년 개통되어 국유화와 개량을 거쳐 현재 전철화되었으며, KTX가 운행되고, 노선 번호는 309번이며 총 길이는 180.4km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 - 장항선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사설 철도 충남선으로 개통 후 국유화되어 장항선으로 개칭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을 통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서해선과 연결되어 여객 및 화물 수송의 주요 노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 충청남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충청남도의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광주광역시의 철도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광주광역시의 철도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1996년에 착공하여 2004년과 2008년에 걸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광주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며, 광주시는 노선 연장 계획을 추진한다.
호남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호남선
원어 이름호남선(湖南線)
원어 이름 (언어)ko
이미지 파일
노선 종류중전철, 여객/화물 철도, 광역철도, 간선철도
상태운영 중
지역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기점대전조차장
종점목포
역 수48
개통1911년 ~ 1914년 단계적 개통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길이 (km)252.5
선로 수복선
궤간1,435 mm
전철화25 kV/60 Hz 교류 가공 전차선
지도 상태축소됨
한국어 이름
한글호남선
한자湖南線
로마자 표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Honamseon
매큔-라이샤워 표기법Honamsŏn
일본어 정보
노선 이름湖南線
푸른 선이 호남선
이미지 크기300px
이미지 설명푸른 선이 호남선
국가대한민국
기점대전조차장
종점목포역
역 수48역 (기종점역 포함)
개통일1914년 1월 11일 (조선총독부 철도)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거리252.5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교류 25,000볼트 60헤르츠
추가 한국어 정보
제목호남선
한글호남선
한자湖南線
히라가나こなんせん
가타카나호남선
알파벳 (영어)Honam Line
철도 노선 정보
노선 이름호남선
호남선의 위치
그림 크기190px
종류간선철도
나라대한민국
상태영업 중
기점대전조차장역 (대전광역시 대덕구)
종점목포역 (전라남도 목포시)
역 수48
노선 번호304
개통일1911년 7월 10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SR
영업 거리252.5 km
궤간1,435 mm
선로2 (전 구간)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헤르츠
신호ATS
주석광주송정~목포 SRT 열차만 운행

2. 역사

광무 연간, 대한제국 정부는 서울에서 목포까지 철도를 부설하려 했으나, 경부선 부설권이 일본 제국 측에 넘어가면서 독자적인 간선 철도 부설에 실패했다. 이후 조선총독부 주관하에 경부선의 지선 형식으로 호남선이 1914년 전 구간 개통되었다.[53]

1910년 1월, 대전~연산 간 24.3 구간을 비롯한 8개 공사 구간이 설정되었다. 1911년 3월, 군산과 강경 간 31.2리 구간이 착공되어 1912년 3월 6일 완공되었고,[50] 같은 해 12월에는 김제와 이리(현 익산) 간 11.1리 구간이 착공, 1912년 10월 1일에 개통되었다.[51] 1914년 1월 11일, 전북 정읍과 전남 광주송정 간 35.5리 구간[52]을 끝으로 대전과 목포 간 호남선 철도 부설 공사가 완료되었다. 궤도 연장거리는 198.3리였으며, 터널 9개소, 교량 193개소, 구교 286개소가 설치되었고, 경부선 연결역인 대전역을 개축 확장하고 27개 역사가 설치되었다.[53]

일제강점기 이후 호남선은 단선 철도로 운영되다가, 1978년부터 복선화 사업이 시작되었다. 1978년 3월 대전조차장역-이리역 구간을 시작으로, 1988년 9월 송정리역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54] 1995년 9월 송정리-목포역 구간 복선화 공사가 착공되어, 2003년 12월 전철화 사업과 함께 완료되었다.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호남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KTX가 운행되기 시작했다.[55] 그러나 서대전역~논산역 구간 선형 불량 문제로 호남고속선 건설이 추진되었고, 2015년 4월 호남고속선이 개통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1910년 프랑스 회사가 서울-목포 간 호남선을 최초로 제안했으나, 1904년 러일전쟁 이후 일본 제국이 강제로 협정을 체결시켜 철도 부설권을 강탈하고 호남평야를 징발하여 쌀 수탈을 위한 철도 건설을 추진했다.[1]

1910년 호남선 건설이 시작되어,[1] 1911년 7월 10일 대전-연산 구간이 개통되었다.[1][11] 이후 구간별 개통은 다음과 같다.



1914년 1월 11일 정읍-송정리(현 광주송정) 구간 개통으로 호남선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2] 조선총독부호남평야에서 생산되는 쌀을 일본으로 수송하기 위해 호남선 철도를 단기간에 완공하였다. 당시 호남선은 대전역에서 경부선 김천, 부산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1925년 6월 5일 이리-군산 구간은 군산선으로 분리되었고, 대전-목포 구간은 '''호남본선'''으로 개칭되었다.[20]

2. 2. 해방 이후 단선철도

해방 이후에도 호남선은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히 운영되었다. 한국 전쟁 중인 1953년에는 초강역이 개업했고, 같은 해 용동역감곡역이 문을 열었다.[27][28] 1955년에는 와룡역, 부황역, 원정역이 차례로 개업했다.[29][30]

이후 채운역(1958년),[31] 안평역옥정역(1959년),[32] 신도역하남역(1966년),[33] 채화역(1967년),[34] 다산역(1967년),[35] 노령역(1970년),[36] 북송정역(1973년)이[36] 새롭게 여객을 맞이했다. 그러나 1974년에는 채화역이 폐지되기도 했다.

이 시기 호남선은 여러 역들이 신설되거나 폐지되면서 변화를 겪었다.

2. 3. 복선화 시대

1978년 3월 30일 대전조차장역에서 서대전역을 거쳐 이리역(현 익산역) 구간이 복선화되었다.[56] 당시에는 현재의 대전선 구간인 대전역-서대전역 구간이 호남선이었는데, 이 구간은 복선화되지 않았다. 이리역 이남 구간 복선화 공사는 1981년 2월부터 시작되었으며, 1988년 9월 6일 송정리역(현 광주송정역)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54]

1995년 9월 20일 송정리(현 광주송정)-목포 구간 복선화 공사가 착공되었다. 이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송정리에서 임성리역까지는 2001년 12월 17일에,[54] 임성리역-목포 시내 구간은 2003년 12월 9일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61]

복선화와 함께 선형 개량도 시행되었는데, 특히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선형 개량은 상당히 큰 폭으로 이루어졌다.

다음은 호남선 복선화 연혁이다.


2. 4. 전철화 시대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호남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KTX 운행이 시작되었다.[55] 이와 동시에 기점이 대전역에서 대전조차장역으로 변경되었고, 대전역-서대전역 구간이 대전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호남고속철도는 기존선을 운행하고, 특히 서대전역~논산역 구간 선형이 불량하여 소요 시간이 경부고속철도와 큰 차이를 보여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이 제기되었다. 이는 호남고속선 건설 추진의 한 원인이 되었고,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선이 개통되었다.

2018년 7월 1일 누리로 운행이 재개되었으나 2020년 3월 1일 운행이 종료되었고,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이 시작되었다.

3.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소재지↑ 경부선 용산역 방면대전조차장Daejeon jochajang大田操車場





유||||대전북연결선
경부선-0.0대전광역시대덕구서대전Seodaejeon西大田●●●●대전선5.75.7중구가수원Gasuwon佳水院||||6.111.8서구흑석리Heukseok-ri黑石里||||5.517.3계룡Gyeryong鷄龍●●●▲8.125.4충청남도계룡시개태사Gaetaesa開泰寺||||9.334.7논산시연산Yeonsan連山||▲|4.939.6부황Buhwang夫皇||||4.944.5논산Nonsan論山●●●●6.350.8채운Chaeun彩雲||||강경선6.757.5강경Ganggyeong江景|▲▲|3.260.7용동Yongdong龍東||||6.066.7전북특별자치도익산시함열Hamyeol咸悅|▲●|5.171.8황등Hwangdeung黃登||||9.481.2연결선 (분기)--||||호남고속선3.784.9익산Iksan益山●●●●●전라선
장항선3.087.9연결선 (분기)--





유||||호남고속선0.4182.9부용Buyong芙蓉||||7.495.3김제시김제Gimje金堤●●▲▲7.1105.6감곡Gamgok甘谷||||6.8112.4정읍시신태인Sintaein新泰仁|▲▲|5.5117.9연결선 (분기)--||||호남고속선6.9130.4정읍Jeongeup井邑▲▲●▲▲1.0131.4연결선 (분기)--





유||||호남고속선1.0132.4천원Cheonwon川原||||5.0137.4노령Noryeong蘆嶺||||4.2141.6백양사Baegyangsa白羊寺||●|7.0148.6전라남도장성군안평Anpyeong安平||||장성화물선11.5160.1장성Jangseong長城●●●▲3.7163.8임곡Imgok林谷||||10.9174.7광주광역시광산구하남Hanam河南||||6.5181.2연결선 (분기)--||||호남고속선1.0182.2북송정Buksongjeong北松汀|||||북송정삼각선, 광주선1.8184.0광주송정Gwangjusongjeong光州松汀●●●●▲광주선, 경전선
1호선한국어 광주송정역1.7185.7노안Noan老安|||||9.3195.0전라남도나주시나주Naju羅州●▲●●▲6.5201.5다시Dasi多侍|||▲|7.4208.9고막원Gomagwon古幕院||||3.2212.1함평Hampyeong咸平||●●▲6.8218.9함평군무안Muan務安|||▲|7.6226.5무안군몽탄Mongtan夢灘||▲▲|3.8230.3일로Illo一老||▲●▲대불선9.6239.9임성리Imseong-ri任城里|||▲|5.3245.2목포시목포Mokpo木浦●●●●▲7.3252.5


4. 지선 노선

호남선에는 총 4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30401강경선채운역연무대역5.8
30402북송정삼각선북송정역(호남선)북송정역(경전선)1.0
30403대불선일로역대불역12.0
30404장성화물선안평역장성화물역3.6



; 강경선

; 북송정삼각선

'''북송정삼각선'''은 경전선과 호남선을 연결하는 삼각선으로, 호남선 북송정역과 경전선 북송정분기를 잇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402이다.

; 대불선

; 장성화물선

5. 교통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호남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69]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새마을무궁화일반화물운행총계
대전조차장 - 익산180101112336
익산 - 광주송정163288220
광주송정 - 목포1912746037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69]

구분이용 인원수 (명)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비둘기0000000000000000
통일(통근)698,664588,131518,489569,024351,830273,067222,535000000000
무궁화5,087,7335,279,8924,973,7114,793,6534,288,6724,144,4803,907,4573,956,6604,004,2943,838,5554,040,5694,457,0204,459,7804,480,4384,303,6423,942,264
새마을773,081821,986776,436720,828691,534614,371594,889653,266659,359698,636820,118771,437607,801585,154721,5541,028,223
KTX미개통1,320,9902,379,9572,720,4302,728,6412,875,3432,890,4893,078,4503,314,9263,250,0153,272,7753,245,1702,101,986
건설154,712156,022159,221147,276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90,673108,987149,730156,256
합계6,804,8636,955,0186,577,5876,387,0376,653,0267,411,8757,445,3117,338,5677,538,9967,427,6807,939,1378,543,3838,317,5968,338,3678,270,3667,072,473


6. 미래

서대전역~논산역 구간 호남선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며, 2021년 7월 5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도 포함되었다. 2022년 8월 24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70] 이 사업은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에도 기존선 경유로 인해 발생했던 시간 지연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또한, 호남선의 여유 선로 용량을 활용하여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이 추진 중이다.[71] 이는 호남선이 지역 경제 활성화와 균형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광주송정역에서 고막원역까지 구간은 KTX와 SRT 운행을 위해 시속 230km로 개량되었다. 총 공사 길이는 25.9km이며 2020년 6월에 완료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전라지방–교통∙통신체계의 발달 http://www.land.go.k[...] Land Portal 2010-12-04
[2] 웹사이트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영업거리현황 http://info.korail.c[...] Korail 2010-11-27
[3] 웹사이트 Rail service to be upgraded this year https://koreajoongan[...] JoongAng Daily 2003-01-03
[4] 웹사이트 Electricity Almanac 2009 http://www.epic.or.k[...] Korea Electric Association 2010-10-21
[5] 논문 High Speed Rail Construction of Korea and Its Impact http://168.126.177.5[...]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0-08-30
[6] 웹사이트 호남고속2단계, 인천발, 수원발 KTX 공사 본격 추진 http://www.molit.go.[...] MOLIT 2020-12-20
[7] 간행물 明治45年3月6日ヨリ湖南線ノ内江景群山間鐵道運輸營業ヲ開始ス其ノ哩程左ノ通但シ咸悦及地境停車場ニ於テハ大小荷物ノ取扱ヲ爲サス 朝鮮総督府 1912-02-06
[8] 간행물 大正元年10月1日ヨリ湖南線ノ内裡里金堤間鐵道運輸營業ヲ開始ス新設停車場及哩程左ノ通但シ芙蓉停車場ニ於テハ大小荷物ノ取扱ヲ爲サス 朝鮮総督府 1912-09-12
[9] 간행물 大正3年1月11日ヨリ湖南線井邑松汀里間鐵道運輸營業ヲ開始ス新設停車場及哩程左ノ如シ但シ四街里及林谷停車場ニ於テハ大小荷物ノ取扱ヲ爲サス 朝鮮総督府 1913-12-26
[10] 웹사이트 익산의 교통통신 http://home.cein.or.[...]
[1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205号 1911-06-28
[1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319号 1911-10-26
[1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29号 1912-02-06
[14]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30号 1912-09-12
[15]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95号 1912-11-20
[1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113号 1913-04-19
[17]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180号 1913-06-12
[18]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282号 1913-09-08
[19]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121号 1913-12-26
[20]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152号 1925-06-05
[2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371号 1931-07-21
[2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48号 1934-02-08
[2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295号 1935-05-15
[24]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554号 1936-10-10
[25]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97号 1938-02-07
[2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338号 1945-05-30
[27] 간행물 交通部告示第291号 1953-07-12
[28] 간행물 交通部告示第317号 1953-11-02
[29] 간행물 交通部告示第419号 1955-07-11
[30] 간행물 交通部告示第429号 1955-08-20
[31] 간행물 交通部告示第525号 1958-05-14
[32] 간행물 交通部告示第559号 1959-06-17
[33] 간행물 鉄道庁告示第258号 1966-08-01
[34] 간행물 鉄道庁告示第325号 1967-04-26
[35] 간행물 鉄道庁告示第333号 1967-06-05
[36] 간행물 鉄道庁告示第2号 1970-01-13
[37] 웹사이트 호남선(대전~이리)복선화의 의의 https://www.mk.co.kr[...]
[38] 간행물 鉄道庁告示第20・21号 1982-07-05
[39] 웹사이트 이리∼정주 복선화 완공 https://www.joongang[...]
[40] 웹사이트 정주∼장성 철도 35.2㎞ 복선개통 https://www.joongang[...]
[41] 뉴스 복선화 완성된 호남선, 호남권 발전에 기여 https://imnews.imbc.[...]
[42]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4-67호 1995-01-04
[43] 뉴스 호남선 복선전철 준공식 https://imnews.imbc.[...]
[44] 간행물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5-284호 2005-09-12
[45] 간행물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215호 2006-06-23
[46] 간행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2019-04-17
[47] 문서 광주송정~목포 SRT 열차 운행
[48] 웹사이트 구 호남선 노선 http://map.ngii.go.k[...]
[49] 문서 2001년 폐지
[50] 간행물 조선총독부 고시 제29호 조선총독부 1912-02-06
[51] 간행물 조선총독부 고시 제30호 조선총독부 1912-09-12
[52] 간행물 조선총독부 고시 제421호 조선총독부 1913-12-26
[53] 웹사이트 익산의 교통통신 http://home.cein.or.[...] 2007-09-27
[54] 뉴스 호남선 복선 완전개통 https://news.kbs.co.[...] KBS 9시뉴스 1988-09-06
[55] 일반 2004-03-24
[56] 뉴스 호남선(대전~이리)복선화의 의의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78-03-30
[57] 뉴스 이리∼정주 복선화 완공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85-11-15
[58] 뉴스 정주∼장성 철도 35.2㎞ 복선개통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87-12-04
[59] 뉴스 복선화 완성된 호남선, 호남권 발전에 기여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88-09-06
[60]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http://theme.archive[...] 1997-05-22
[61] 뉴스 호남선 복선화 선로 개통 https://news.kbs.co.[...] 2003-12-15
[62] 뉴스 호남선 복선전철 준공식 https://imnews.imbc.[...] 2004-03-24
[63]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http://gwanbo.mois.g[...] 2004-11-29
[6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84호 2005-09-12
[6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215호 http://gwanbo.mois.g[...] 2006-06-23
[66]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853호 http://gwanbo.mois.g[...] 2012-12-05
[6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http://gwanbo.mois.g[...] 2017-12-08
[6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69]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70] 뉴스 호남선 고속화 사업 예타 통과…지역균형발전 기대 https://www.youtube.[...] 2022-08-24
[71] 뉴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연내 착공 등 본격화 https://www.newsis.c[...] 2023-01-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