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익산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익산역은 1912년 호남선과 군산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95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KTX를 포함한 모든 여객열차가 필수적으로 정차하는 역으로,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의 노선이 지나간다. KTX, SRT, ITX-마음 등의 복합열차 운행과 KTX-산천의 연결/분리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익산시의 건축물 - 함열역
    함열역은 1912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화물, 소화물 취급을 중단하고 현재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강경역과 익산역을 통해 각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철도역이다.
  • 익산시의 건축물 - 황등역
    황등역은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에 위치한 호남선 철도역으로, 1912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쇠퇴기를 거쳤으나 2012년 화물 취급 재개와 함께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나훈아의 "고향역" 배경이자 이리역 폭발 사고 당시 유조열차 대피시킨 역으로도 알려져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군산역
    군산역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2008년 신군산역에서 개칭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ITX-새마을, 무궁화호, 서해금빛열차가 정차하고 화물 취급도 가능하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역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익산역
지도
기본 정보
역 이름익산역
로마자 표기Iksan yeok
한자 표기益山驛
위치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익산대로 153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역 등급1급
구조지상역
주차 시설있음
승강장6개
선로18개
개업일1915년 1월 1일
재건축2015년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전철화 여부있음
노선 정보
노선호남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승강장 정보
승강장 구조섬식 4면 8선
승차 인원 (2009년)4,906명
승강 인원 (2009년)9,753명
인접 역
KTX 호남선왼쪽: 공주역
오른쪽: 정읍역
오른쪽 종착: 목포역
KTX 전라선왼쪽: 공주역
오른쪽: 전주역
오른쪽 종착: 여수엑스포역
왼쪽 종착: 행신역 또는 용산역
새마을호왼쪽: 군산역
왼쪽 종착: 용산역
ITX-새마을 (강경 방면)왼쪽: 강경역
오른쪽: 김제역
왼쪽 종착: 용산역
ITX-새마을 (김제 방면)왼쪽: 강경역
오른쪽: 김제역
왼쪽 종착: 용산역
ITX-새마을 (전주 방면)왼쪽: 강경역
오른쪽: 전주역
왼쪽 종착: 용산역
호남선왼쪽: 황등역
오른쪽: 부용역
전라선오른쪽: 동익산역
장항선왼쪽: 목천신호소
기타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비치

2. 연혁


  • 1912년 3월 6일: 호남선(대전~이리 간) 및 군산선 개통으로 보통역 등급의 '''이리역'''으로 영업 개시[2]
  • 1929년 9월 20일: 역사 준공
  • 1976년 1월 1일: 민수용 무연탄도착취급역 지정[3]
  • 1977년 11월 11일: 역 구내 폭발사고 발생 여파로 대파
  • 1978년 11월 10일: 구 역사 준공
  • 1993년 5월 1일: 유료휴게실 운영 개시[4]
  • 1995년 7월 1일: 유료휴게실 폐지[5]
  • 1995년 9월 1일: '''익산역'''으로 역명 변경[6]
  • 2000년 1월 1일: 익산지역관리역으로 승격
  • 2004년 4월 1일: KTX 운행 개시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 2006년 7월 1일: 지역관리역제 폐지로 보통역으로 조정 및 전북지사의 관할역이 됨
  • 2008년 1월 1일: 장항선의 종착역이 됨
  • 2009년 10월 31일: 화물취급 중지[7]
  • 2010년 10월 14일: 선상역사 공사로 구역사 중간 부분 철거, 임시역사에서 영업 개시
  • 2013년 7월 26일: 신 역사 신축 착공[8]
  • 2014년 11월 29일: 선상역사 영업 개시(철거되지 않은 현 역사 좌우측 부분 포함)
  • 2015년 2월 13일: 호남고속철도 역사 사용개시 고시[9]
  •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선 개통
  • 2015년 9월 30일: 신 역사 준공[8]
  • 2016년 12월 9일: SRT 및 누리로 운행개시
  • 2018년 7월 1일: 충북선 누리로 재운행으로 전라선 1501, 1512열차는 무궁화호로 변경 운행 개시
  • 2020년 3월 2일: 호남선 누리로 운행 종료
  • 2020년 3월 2일: 태백선 누리로 운행으로 호남선 1421, 1424, 1425, 1426열차는 무궁화호로 변경 운행 개시
  •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 개시
  • 2024년 5월 1일: 계룡 경유 당역 시종착 ITX-마음 열차 운행 개시

3. 역 구조

익산역은 5면 10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KTX를 포함한 모든 여객열차가 필수 정차하는 역으로, KTX 통과선은 따로 없다. 일부 KTX 열차는 이 역에서 호남선 방면 열차와 전라선 방면 열차를 분할하거나 결합한다.[1]

호남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이 지난다.

3. 1. 승강장

익산역은 5면 10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 복합열차 운행

익산역에서는 목포발/행 호남고속선 KTX-산천여수EXPO발/행 전라선 KTX-산천이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또한, 광주송정행/발, 목포행/발 호남고속선 SRT와 여수EXPO행/발 전라선 SRT가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목포역으로 가거나 목포역에서 출발하는 호남선 ITX-마음여수엑스포역으로 가거나 여수엑스포역에서 출발하는 전라선 ITX-마음도 이 역에서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4. 1. KTX-산천 복합열차

이 역에서는 목포발/목포행 400번대 호남고속선 KTX-산천여수EXPO발/여수EXPO행 500번대 전라선 KTX-산천이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17]

상행 열차의 경우, 호남고속선 KTX-산천열차가 먼저 도착해 승객들을 승하차시키는 동안 자동병결장치를 돌출하고 대기한다. 뒤이어 전라선 KTX-산천열차가 익산역 구내에 진입하면 호남고속선 KTX-산천 열차는 잠시 출입문을 닫는다. 전라선 KTX-산천열차는 앞 열차와 2m 정도 떨어진 상태로 도착한 후, 전공일체 자동연결기 가림막을 열고 직원이 기기 점검을 마친 뒤 무전 지시를 한다. 전라선 KTX-산천열차는 시속 2km 이내로 진입하면서 호남고속선 KTX-산천 열차와 합병된다.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15초 후에 두 열차의 뒤쪽 집전장치가 올라가면, 두 열차의 출입문이 열리고 승객들을 승하차시킨 후 정시에 다음 정차역으로 출발한다.[17]

하행 열차의 경우, 호남고속선 KTX-산천 열차가 앞에 있고 전라선 KTX-산천 열차가 뒤에 연결된 상태로 익산역까지 운행된다. 도착 후 출입문이 열리고 승객들을 승하차시키는 도중에,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유압으로 분리 작업이 잘 되는지 직원이 확인한 후 무전으로 앞 열차에 분리 양호를 알린다. 이후 선행 호남고속선 KTX-산천 열차가 집전장치를 올린 뒤 정시에 문을 닫고 자동연결장치로 분리되어 출발한다. 뒤에 있는 전라선 KTX-산천 열차는 자동병결장치 가림막을 닫고 집전장치를 올린 뒤 문을 닫고 출발한다. KTX-산천은 1~8호차까지 운행되지만, 복합열차의 경우에는 1~18호차까지 운행된다.[17] 또한, 교류 25000V 고전압이 사람에게 직접 닿을 위험이 있어 두 편성 간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4개의 팬터그래프 중 상행은 52로, 하행은 51로 끝나는 차량의 2개 팬터그래프만 올린 채 운행한다.[17]

4. 2. SRT 복합열차

이 역에서는 광주송정행/광주송정발, 목포행/목포발 600, 650번대 호남고속선 SRT와 여수EXPO행/여수EXPO발 680번대 전라선 SRT가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18]

상행 열차의 경우, 호남고속선 SRT 열차가 먼저 도착해 승객들을 승하차시키는 동안 자동병결장치를 돌출하고 대기한다. 뒤이어 오는 전라선 SRT 열차가 익산역 구내에 진입하면, 호남고속선 SRT 열차는 잠시 출입문을 닫는다. 전라선 SRT 열차는 앞차와 2m 정도 떨어진 상태로 도착한 후, 전공일체 자동연결기 가림막을 열고 직원이 기기 점검을 마친 뒤 무전 지시를 한다. 전라선 SRT 열차는 시속 2km 이내로 진입하면서 호남고속선 SRT 열차와 합병된다.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15초 후 두 열차의 뒤쪽 집전장치가 올라가면, 두 열차의 출입문이 개방되어 승객들이 승하차한 후 정시에 다음 정차역으로 출발한다.

하행 열차의 경우, 호남고속선 SRT 열차가 앞에 있고 전라선 SRT 열차가 뒤에 연결된 상태로 익산역까지 운행된다. 도착 후 출입문이 열리고 승객들이 승하차하는 도중,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유압으로 분리 작업이 잘 되는지 직원이 확인한 후, 무전으로 앞차에 분리 양호를 알린다. 이후 선행 호남고속선 SRT 열차가 집전장치를 올린 뒤 정시에 문을 닫고 자동연결장치로 분리되어 출발한다. 뒤에 있는 전라선 SRT 열차는 자동병결장치 가림막을 닫고 집전장치를 올린 뒤 문을 닫고 출발한다. SRT는 1~8호차까지 운행되지만, 복합열차의 경우에는 1~18호차까지 운행된다.[18] 또한, 교류 25000V 고전압이 사람에게 직접 닿을 위험이 있어, 두 편성 간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4개의 팬터그래프 중 상행은 52로, 하행은 51로 끝나는 차량 2개의 팬터그래프가 올라간 채로 운행한다.

4. 3. ITX-마음 복합열차

이 역에서는 목포역으로 가거나 목포역에서 출발하는 1160번대 호남선 ITX-마음여수엑스포역으로 가거나 여수엑스포역에서 출발하는 1180번대 전라선 ITX-마음이 하나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19]

상행 열차의 경우에는 호남선 ITX-마음 열차가 먼저 도착해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는 중 자동병결장치를 돌출하고 대기한다. 뒤에 오는 전라선 ITX-마음 열차가 익산역 구내에 진입하면 호남선 ITX-마음 열차는 잠시 출입문을 닫는다. 전라선 ITX-마음 열차는 앞차와 2m 정도 떨어진 상태로 도착 후 전공일채 자동연결기 가림막을 열고 직원이 기기 점검을 마친 후 무전 지시를 한다. 전라선 ITX-마음 열차는 시속 2km 이내로 진입하면서 호남선 ITX-마음 열차와 하나로 합병된다.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15초 후에 두 열차의 뒤쪽 집전장치가 올라가면 두 열차의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승객들을 승하차시킨 후 정시가 되면 다음 정차역으로 출발한다.[19]

하행 열차의 경우에는 호남선 ITX-마음 열차가 앞에 있고 전라선 ITX-마음 열차는 뒤에 연결되어 익산역까지 운행된다. 도착 후 출입문이 열리면 승객들을 승하차시키는 도중에 두 열차는 집전장치를 내리고 유압으로 분리 작업이 잘 되는지 직원이 지켜본 후 무전으로 앞차에 분리 양호를 알린다. 이후 선행 호남선 ITX-마음 열차가 집전장치를 올린 뒤 정시가 되면 문을 닫고 자동연결장치로 분리되어 출발한다. 뒤에 있는 전라선 ITX-마음 열차는 자동병결장치 가림막을 닫고 집전장치를 올린 뒤 문을 닫고 출발한다. ITX-마음은 1~4호차까지 있는데, 복합열차의 경우에는 1~8호차까지 있게 된다.[19]

5. 이용 현황

전라선과 군산선의 통근열차는 계속해서 하나의 운행 계통이었으며, 이에 따라 전라선 통일/통근 전주 방면 열차의 하차자 수는 군산선의 익산 방면 하차자 수와 동일하다.[20]

연도와 승하차 방향이용 인원[20]
호남선전라선군산선
KTX새마을호무궁화호통일호총계새마을호무궁화호통일호총계총계
2001년하행승차미개통38,569206,78749,128314,42116,144145,16450,873242,803129,872
하차미개통150,153874,75116,1301,051,674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상행 하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하행 승차
상행승차미개통161,835866,59613,2821,051,875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하행 승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상행 하차
하차미개통42,266209,50135,638307,29419,770145,39678,602272,808168,135
2002년하행승차미개통35,647189,78741,738296,73614,938130,32943,937213,882104,037
하차미개통133,155825,55314,135981,514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상행 하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하행 승차
상행승차미개통147,193817,18810,461983,607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하행 승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상행 하차
하차미개통37,921194,50531,152293,21417,067128,66867,481237,769130,196
2003년하행승차미개통30,135174,76943,652274,14913,502118,43242,501193,36294,322
하차미개통112,078757,58213,540893,503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상행 하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하행 승차
상행승차미개통129,086742,22410,281891,719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하행 승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상행 하차
하차미개통32,599178,15234,229272,08715,015115,97159,130211,618135,748
2004년하행승차33,50534,301216,85310,807295,46618,647185,09136,653240,391104,092
하차287,997113,546563,6253,625968,793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상행 하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하행 승차
상행승차320,540101,543567,7022,454992,239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하행 승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상행 하차
하차36,99633,225214,4238,916293,56029,716186,41353,735269,864136,665
2005년하행승차83,70324,515223,760폐지331,97833,300221,97465,491320,765118,800
하차480,02898,436513,278폐지1,091,742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상행 하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하행 승차
상행승차566,23382,907513,084폐지1,162,224호남선에 포함호남선에 포함군산선 하행 승차호남선에 포함전라선 상행 하차
하차88,56526,441212,623폐지327,62941,899280,59156,278378,768157,206


6. 인접한 역


7. 기타


  • skyTV의 레일로드에 익산역이 소개되었다. 서해열차 장항~익산역 편에서도 소개되었다.
  • 2008년에는 KBS 2TV다큐멘터리 3일에서도 이 역사가 소개된 적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시대의 이리역 역사(1938년)


한국전쟁 중인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의 기만 작전을 위해 이리역 야드를 폭격하는 미군 B-26 폭격기()


구 역사(2009년)


호남선전라선이 분기하는 역이며, 호남고속선장항선도 들어오는 교통의 요충지로, 모든 노선의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호남고속선, 호남선 용산역 방면에서 전라선으로 직통하는 열차가 있다.

또한, 서울역에서 장항선을 경유해 온 관광열차 "서해금빛열차(G-Train)"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참고로, 호남고속선은 이 역에서 역 남쪽 평화육교 부근까지 호남선과 선로를 공용하는 구간(선적상으로는 중복 취급)이며, 향후 별선화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익산역 주변 시설
시설명
매일중앙시장
익산역 시외버스 정류소
중앙동주민센터
이리중앙초등학교
이리여자중학교
익산중앙동우체국
NH농협은행 익산중앙지점
우리은행 익산지점
중소기업은행 익산중앙지점
신한은행 익산중앙지점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익산지점


참조

[1] 웹사이트 익산역 https://terms.naver.[...] 2019-06-14
[2] 간행물 조선총독부고시 제1912-29호 1912-02-06
[3]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43호 1975-12-29
[4]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3-19호 1993-04-17
[5]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5-24호 1995-06-17
[6]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5-27호 http://theme.archive[...] 1995-07-28
[7]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06호 2009-10-20
[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53호 http://gwanbo.mois.g[...] 2015-10-23
[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0호
[10] 일반 전라선 (#1531, #1533, #1535) 열차가 많이 출발한다.
[11] 일반 익산행 KTX열차는 익산역 종착시 3번 승강장이 아닌 1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12] 일반 KTX 대다수는 4번 승강장에 정차하고 일부 서대전경유 KTX가 주로 3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호남-전라 복합열차 또한 4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13] 일반 김제역에 정차하는 KTX는 기존선을 이용한다.
[14] 일반 전라선 KTX(여수엑스포발 열차)는 선로 구조상 100% 대피선인 6번 승강장에 정차한다. 왜냐하면 익산역 진입 전에 본선인 5번 승강장으로 바로 넘어가는 건넘선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익산역 진입 전 본선에서 대피선으로 넘어가는 건넘선은 있기 때문에 호남-전라 복합열차 또한 결합할 때 100% 6번 승강장에 정차할 수밖에 없다.
[15] 일반 서대전역에 정차하는 KTX는 고속선이 아닌 기존선을 이용한다.
[16] 일반 남도해양열차(S train) 한정으로만 용산역 통과/서울역에 정차하고 나머지 일반열차는 모두 용산역 종착이다.
[17] 일반 전라선 열차는 1~8호차이고 호남고속선 열차는 11~18호차인데 이는 9, 10호차는 동차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숫자를 건너뛴다.
[18] 일반 전라선 열차는 1~8호차이고 호남고속선 열차는 11~18호차인데 이는 9, 10호차는 동차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숫자를 건너뛴다.
[19] 일반 전라선 열차는 1~4호차이고 호남선 열차는 5~8호차인데 이는 4, 5호차는 객실간의 동차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숫자가 합쳐졌다.
[20] 웹사이트 철도통계연보 http://www.korail.go[...] 2007-02-05
[21] 뉴스 [책갈피 속의 오늘] 1977년 이리역 폭발사고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11-11
[22] 뉴스 [새로 나온 책] 기찻길 옆동네 http://news.mk.co.kr[...] 뉴시스 2013-11-04
[23] 뉴스 익산 모현아파트 재건축 시행인가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3-11-04
[24] 뉴스 익산 e편한세상 계약률 93%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9-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