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청역 (서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청역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다.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시청앞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83년 6월 30일 현재의 시청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호선은 1984년 5월 22일 개통되었다. 주변에는 서울특별시청, 덕수궁, 서울광장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대사관, 상업 시설이 위치해 있으며, 1호선과 2호선은 긴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구의 전철역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명동 거리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중구의 전철역 - 명동역
    명동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의 지하역으로, 개통 이후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 명동 상권, 남대문시장 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2000년대 초반 최고점을 기록한 일평균 이용객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명동 거리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종각역
    종각역은 서울 종로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74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주변에 보신각, 영풍문고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장소가 있고, SC제일은행이 부역명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야의 종 행사 때는 무정차 통과한다.
시청역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시청역
로마자 표기Sicheongyeok
한자 표기市廳驛
소재지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31 (1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지하 127 (2호선)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개업일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1984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2면 2선 (수도권 전철 1호선)
1면 2선 (서울 지하철 2호선)
노선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1호선 정보
역 번호132
이전 역종각역
다음 역서울역
영업 거리 (서울역 기점)1.1km
영업 거리 (소요산 기점)67.2km
2호선 정보
역 번호201
이전 역충정로역
다음 역을지로입구역
영업 거리 (시청 기점)0.0km
영업 거리48.8km
승객 정보
일일 승객 수 (2012년)1호선: 44,594명
2호선: 51,185명
일일 승차 인원 (2018년)49,396명
일일 승하차 인원 (2018년)97,422명
기타 정보
시청역 승강장 (2호선)
승강장 (2호선)
5번 출입구 (2013년 촬영)
5번 출입구 (2013년 촬영)
1호선 역명판
1호선 역명판
2호선 역명판
2호선 역명판

2. 역사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시청앞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이후 1983년 6월 30일 역명을 '''시청역'''으로 변경했으며[4], 1984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2. 1. 1호선

2. 2. 2호선

1984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대입구역~을지로입구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3. 역 구조

1호선태평로 지하를 남북으로, 2호선서소문로 지하를 동서로 지나는 지하역이다. 이 역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사이는 2호선을 따라 연결된 을지로지하상가 통로가 있다.

출입구는 총 12개가 있으며, 위치는 다음과 같다.

출입구 번호소재지
1번 ~ 3번, 6번 ~ 12번소공동
4번, 5번명동



1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위치한 상대식 승강장이며, 2호선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이다.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환승이 가능하다.

화장실은 1호선 개찰구 밖, 2호선 개찰구 안, 9번 출구 부근에 총 3곳이 있다.

3. 1. 1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6]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위치한다.

개찰구는 지하 1층에 있으며, 북쪽과 남쪽에 각각 있다. 각 승강장에서 해당 방향 개찰구로 연결되는 계단이 2개씩 설치되어 있고, 상행선과 하행선의 개찰구는 분리되어 있다. 2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승강장 남쪽 끝에 있는 환승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특히 하행(인천/신창 방면) 승강장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려면 계단을 통해 1호선 선로 위를 건너가야 하는 구조이다.

1호선 승강장(2009년 촬영)


승강장 정보
방향노선행선지
상행● 수도권 전철 1호선종각 · 종로3가 · 동대문 · 청량리 · 연천 방면 (일반, 급행)
하행서울역 · 부천 ·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방면 (일반, 급행)


3. 2. 2호선 승강장

2호선 승강장(2009년 촬영)


1면 2선의 곡선 형태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7]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위치한다.

개찰구는 지하 2층에 있으며, 동쪽과 서쪽 두 곳에 있다. 1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지하 2층 개찰구 층에서 동쪽으로 이동하여 환승 통로를 이용하면 된다. 다만, 1호선 하행(인천/신창 방면) 승강장으로 가려면 계단을 오르내려야 한다.

구분노선방면
외선서울 지하철 2호선충정로 · 신촌 · 홍대입구 · 영등포구청 · 신도림 방면
내선을지로입구 · 신당 · 성수 · 잠실 방면


3. 3. 환승

2호선의 환승 통로는 내선순환 열차의 가장 앞 칸, 외선순환 열차의 가장 뒷 칸에 위치한다. 1호선의 환승 통로는 소요산·광운대 방면 열차의 뒷 칸, 인천·서동탄·신창 방면 열차의 앞 칸에 있다.

  • 1호선 → 2호선: 지하 2층에 있는 1호선 승강장의 남쪽 끝에 있는 환승 통로를 이용한다. 단, 하행(인천·서동탄·신창 방면) 승강장에서 환승할 경우, 역 구조상 1호선 선로 위를 지나야 하므로 계단을 오르내려야 한다.
  • 2호선 → 1호선: 지하 3층에 있는 2호선 승강장에서 지하 2층 개찰구 층으로 올라와 동쪽에 있는 환승 통로를 이용한다. 1호선 하행 승강장으로 가려면 마찬가지로 계단을 오르내려야 한다.

4. 역 주변

역 이름 그대로 서울특별시청과 가장 가까운 역이다. 역 주변에는 덕수궁, 환구단 등의 유적이 있으며, 조금만 걸어가면 명동, 남대문시장, 청계천에 10분 정도면 도착할 수 있다. 교통이 편리하고 호텔도 많아 외국인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오래전부터 서울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1970년대 경제 성장기에 건물과 지하 상가 건설이 추진되었다. 이 때문에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개발된 지역에 비해 도시 경관이 다소 오래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년 5월부터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에 반대하는 촛불집회가 거의 매일 역 주변 서울광장에서 열렸고, 이로 인해 경찰이 역 출입구를 폐쇄하기도 했다.

1호선 역과 2호선 역은 긴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2호선 역은 덕수궁 남쪽에 위치한다. 시청역이 가장 가깝다고 안내되는 시설 중 일부는 2호선 이용 시 을지로입구역이 더 가까운 경우도 있다.

서울시립미술관도 가까이에 있으며, 이 미술관에서는 반 고흐, 모네, 르네 마그리트 등의 작품을 포함한 많은 특별 전시회를 개최했다.[2] 시청 근처에는 주요 일간신문사인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의 본사가 있다. 서울플라자호텔은 시청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

주요 기관 및 시설
구분시설명
공공기관서울특별시청, 서울특별시의회, 서울도서관, 서울광장, 서울시민대학, 서울지방국세청 남대문별관, 광화문우체국, 국가인권위원회,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고충처리위원회,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대한민국헌정회, 상업등기소, 중부등기소, 한국산업안전공단, 한국은행
언론사경향신문, 동아일보, 서울신문, 조선일보 (TV조선 포함), 중앙일보
문화/유적덕수궁, 덕수궁미술관, 덕수궁 중명전, 환구단, 숭례문, 구러시아공사관,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대한성공회 성가수도회, 서울시립미술관, 정동극장, 세종문화회관, 유관순기념관, 청계광장
기업/금융빙그레 본사, 부산은행 서울영업부, 서울파이낸스센터
쇼핑/시장남대문시장, 신세계백화점
주요 거리무교동, 을지로
의료중앙적십자혈액원
호텔서울플라자호텔, 프레지던트호텔, 뉴서울호텔, 뉴국제호텔, 롯데호텔, 웨스틴조선호텔, 코리아나호텔, 상철호텔즈 더 스플라지르 서울명동
외국 공관 및 기관주한 영국 대사관,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주한 싱가포르 대사관, 주한 캐나다 대사관, 주한 러시아 대사관, 주한 호주 대사관,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 주한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 주한 엘살바도르 대사관, 주한 코트디부아르 대사관, 주한 볼리비아 대사관, 일본정부관광국


5. 대중 문화

김광석이 참여했던 동물원1990년 발매 3집 앨범에 '''시청앞 지하철역(에서)'''라는 제목의 노래가 있다. 노래 제목에 등장하는 '시청앞역'이라는 명칭은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성북역~인천역 구간 개통 당시부터 사용되었던 이름이었으나, 1983년 6월 30일에 현재의 '''시청역'''으로 변경되었다.

6. 이용객 변동

wikitext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호선승차22,55222,35622,62122,30923,11922,55723,16323,70624,23123,249[8]
하차24,16424,12823,75123,16323,72923,85524,39824,59425,24523,962
승하차46,71546,48446,37245,47146,84846,41247,56148,29949,47647,211
2호선승차22,05623,14724,19324,12224,61323,90524,27425,08725,19724,089
하차22,18223,45025,02124,82725,45025,73326,49027,15627,26626,050
승하차44,23846,59749,21448,95050,06349,63850,76352,24352,46350,138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1호선승차22,83122,84222,49224,24724,47124,65025,89225,06224,856
하차23,29123,02922,27624,25324,67224,76426,14425,29724,631
승하차46,12245,87144,76848,50049,14349,41452,03650,35949,487
2호선승차24,69325,17125,09826,70725,65325,35825,89224,04924,540
하차26,18426,48526,25427,79525,28524,81524,90723,01823,395
승하차50,87751,65651,35254,50250,93850,17350,79947,06747,935


7. 인접한 역

연천 방면
광운대 방면
청량리 방면
시청 (132)서울 (133)
인천 방면
서동탄·신창 방면
신창 방면
경원선-경인선 완행 · 경원선 급행
경부선 완행 · 경부선 급행



서울 지하철 2호선
충정로 (243)
외선순환
시청 (201)을지로입구 (202)
내선순환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2] 웹사이트 Seoul Museum of Art(SeMA) in Seoul Korea http://seoulmoa.seou[...] 2008-01-24
[3]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seoulmetro.co[...]
[4] 뉴스 지하철역 이름 24년만에 바뀐다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5] 웹사이트 舊.서울메트로
[6] 일반
[7] 일반
[8]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