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머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핫머니는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는 자본을 의미하며, 주로 포트폴리오 투자, 단기 외국 은행 대출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1970년대 이후 국제 금융 자유화와 기술 발달로 핫머니의 이동이 가속화되었으며, 핫머니의 대량 유출은 경제 위기를 초래하기도 했다. 핫머니는 자산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환율 변동성, 금융 시스템 취약성 증대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핫머니 유입을 통제하기 위해 환율 절상, 금리 인하, 자본 통제, 통화 정책, 재정 긴축 등의 정책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금융 - 유로본드
유로본드는 발행국 통화가 아닌 다른 통화로 표시되거나 역외 시장에서 발행되는 채권으로, 1963년 최초 발행 후 시장 확대와 발전을 거쳐 현재는 전자 형태로 거래된다. - 국제금융 - 외환위기
외환 위기는 한 국가의 통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는 현상으로, 과도한 재정 적자, 금융 시스템 취약성, 외부 경제 충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여러 형태의 금융 위기로 나타난다. - 금융시장 - 2023년 미국 은행 위기
2023년 미국 은행 위기는 금리 인상, 채권 가격 하락, 암호화폐 시장 붕괴를 주요 원인으로, 실리콘밸리 은행 등 여러 은행의 파산으로 이어졌으며 미국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금융 규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금융시장 - 투기
투기는 단기 시세 차익을 노리는 자산 매매 행위로, 투자 및 도박과의 경계가 모호하며 시장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지만 유동성 확보에 기여하기도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핫머니 | |
|---|---|
| 핫머니 | |
| 정의 | 국제 금융시장을 이동하는 투기적 성격의 단기 자금 |
| 다른 이름 | 투기 자본, 단기 투기 자금 |
| 특징 | |
| 이동성 | 매우 빠르고 대규모로 이동 |
| 투기성 | 단기적 이익을 추구하며 환율, 금리 변동에 민감 |
| 변동성 | 경제 불안정 야기 가능성 |
| 발생 원인 | |
| 금리 차이 | 국가 간 금리 차이를 이용한 수익 추구 |
| 환율 변동 | 환율 변동을 이용한 차익 거래 |
| 정치적 불안정 | 정치적 위험 회피 및 자본 도피 |
| 문제점 | |
| 경제 불안정 | 급격한 자금 유출입으로 인한 경제 변동성 확대 |
| 금융 위기 | 자산 버블 형성 및 금융 위기 촉발 가능성 |
| 정책 어려움 | 통화 정책 및 환율 정책 수행의 어려움 |
| 대응 방안 | |
| 자본 통제 | 자금 유출입에 대한 규제 강화 |
| 금리 정책 | 금리 인상 또는 인하를 통한 자금 유출입 조절 |
| 외환 시장 안정화 | 외환 시장 개입을 통한 환율 안정화 |
| 국제 협력 | 국가 간 정보 공유 및 정책 공조 강화 |
| 추가 설명 | |
| 위기 발생 사례 |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1998년 러시아 금융 위기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
| 핫머니의 양면성 | 긍정적 기능 (국제 자금 흐름 원활화) 과 부정적 기능 (투기적 공격, 경제 불안정 유발) 을 동시에 가짐 |
| 주요 출처 | 헤지 펀드, 투기적 금융기관 |
| 관련 용어 | |
| 단기 외채 | 만기 1년 이내의 외국 부채 |
| 외환 보유액 | 국가가 보유한 외국 통화 및 금 |
| 자본 유출입 | 국가 간 자금 이동 |
| 환율 | 자국 통화와 외국 통화의 교환 비율 |
| 참고 문헌 | |
2. 핫머니의 유형
2011년 초 미국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0.95%였던 반면, 중국의 1년 만기 기준 예금 금리는 3%였다. 중국 통화는 주요 거래 통화에 대해 저평가되어 있었고, 미국 달러에 대해서는 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아, 미국 투자자가 중국 은행에 돈을 예치하면 더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어 중국은 핫머니 유입의 주요 목표가 되었다. [2]
핫머니는 다양한 형태의 투자를 하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다. [2]
- 포트폴리오 투자를 포함한 단기 외국인 투자, 주식, 채권, 파생상품 투자 등
- 단기 외국 은행 대출
- 단기 투자 목표를 가진 외국 은행 대출
이러한 자본 유형은 투자 기간이 짧고 신속하게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핫머니는 1971년 닉슨 쇼크(Nixon Shock) 이후 갈 곳을 잃은 유로화(ユーロカレンシー)로 구성된 국제 자본이다. 대부분 실물 경제에 불필요한 화폐이기 때문에 각국의 자산 시장과 금융 시장을 계속 이동하며, 레버리지 효과에 의해 원금의 수 배로 불어나 영향력이 크다.
2. 1. 포트폴리오 투자
포트폴리오 투자를 포함한 단기 외국인 투자, 주식(주식), 채권(채권), 파생상품(파생상품) 투자 등이 핫머니로 간주될 수 있다. 단기 외국 은행 대출, 단기 투자 목표를 가진 외국 은행 대출도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유형의 자본은 투자 기간이 짧고 신속하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2. 2. 단기 대출
포트폴리오 투자를 포함한 단기 외국인 투자, 주식, 채권, 파생상품 투자 등과 단기 외국 은행 대출, 단기 투자 목표를 가진 외국 은행 대출은 모두 핫머니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자본 유형은 투자 기간이 짧고 신속하게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2. 3. 기타 단기 투자
포트폴리오 투자를 포함한 단기 외국인 투자, 주식, 채권, 파생상품) 투자, 단기 외국 은행 대출, 단기 투자 목표를 가진 외국 은행 대출 등이 핫머니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자본 유형은 투자 기간이 짧고 신속하게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한다.3. 핫머니의 추정
단기 자본의 유입량을 추정하는 명확한 방법은 없다. 단기 자본은 빠르게 이동하고 제대로 감시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추정치가 산출된 후에도 자금 흐름을 주도하는 경제 여건에 따라 단기 자본량이 급증하거나 급감할 수 있다. 단기 자본 흐름을 어림잡는 일반적인 방법은 외환보유고 변화에서 무역수지(흑자 또는 적자)와 순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뺀 것이다.[1]
단기 자본 (추정) = 외환보유고 변화 - 순수출 - 순 외국인 직접투자
핫머니는 1971년 닉슨 쇼크 이후 갈 곳을 잃은 유로화로 구성된 국제 자본이다.
대부분이 실물 경제에 불필요한 화폐이기 때문에 각국의 자산 시장과 금융 시장을 계속 이동하고 있다. 또한 레버리지 효과에 의해 원금의 수 배로 불어나기 때문에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4. 핫머니의 원인
핫머니는 일반적으로 금리가 낮고 경제 성장률이 낮은 선진국에서 금리가 높고 경제 성장률이 높은 개발도상국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발생한다.[2]
> 세계 경제의 특정 국가 또는 부문이 금융 위기를 겪습니다. 자본이 공황 상태에서 빠져나갑니다. 투자자들은 더 매력적인 투자처를 찾습니다. 다음 투자처에서 자본 유입은 부채 증가, 자산 가격 상승, 소비 급증을 동반하는 호황을 가져옵니다 – 일정 기간 동안. 그러나 너무 자주 이러한 자본 유입은 또 다른 위기를 불러옵니다. 일부 해설가들은 이러한 자본 흐름 패턴을 한 부문이나 국가에서 다른 부문이나 국가로 이동하고 파괴의 흔적을 남기는 '핫머니'라고 설명합니다. [2]
핫머니는 1971년 닉슨 쇼크(Nixon Shock) 이후 갈 곳을 잃은 유로달러로 구성된 국제 자본이다. 대부분 실물 경제에 불필요한 화폐이기 때문에 각국의 자산 시장과 금융 시장을 계속 이동하며,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원금의 수 배로 불어나 영향력이 크다.
화폐경제가 충분히 성장한 후 축적된 화폐에 의해 유사한 자본이 형성되기도 한다. 20세기 초 금본위제 시대에도 런던을 중심으로 한 국제 금융 체제 내에서 핫머니와 유사한 형태의 자본 이동이 있었다.
1970년대 이후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발달, 국제 금융 자유화에 따라 국제 자본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서 핫머니의 본질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났다. 초기에는 선진국 간 외환시장에서 주로 활동하며 여러 차례의 달러 위기를 초래했고, 신흥국에도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 초 고금리 정책으로 핫머니의 달러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남미에서 대규모 핫머니 유출이 발생했다. 1960년대부터 자본 수입으로 산업화를 추진해왔던 남미는 1970년대 석유 파동 등으로 경제 불황을 겪고 있었고, 핫머니 유출로 인해 경제 위기와 국제채무불이행 문제를 겪었다.
1994년 FRB의 금리 인상으로 핫머니의 달러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멕시코에서 대규모 핫머니 유출이 발생했다. 멕시코는 자본 수입으로 산업화를 추진하여 선진국 진입을 눈앞에 두었다고 평가받았지만, 핫머니 유출로 인해 경제 위기에 직면했다.
4. 1.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금리 차이
2011년 초, 미국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0.95%였다. 반면 중국의 1년 만기 기준 예금 금리는 3%였다. 중국 통화는 주요 거래 통화에 대해 가치가 낮게 평가되어 있었고, 따라서 향후 몇 년 동안 미국 달러에 대해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투자자가 중국 은행에 돈을 예치하면 미국 은행에 예치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중국을 핫머니 유입의 주요 목표로 만들었다.일반적으로 핫머니는 개발도상국 경제(인도, 브라질, 중국, 터키, 말레이시아 등)의 GDP 성장률과 금리에 비해 GDP 성장률과 금리가 낮은 자본이 풍부한 선진국에서 유래한다.[3] 핫머니 유입의 구체적인 원인은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3]
- 고도로 산업화된 선진국의 지속적인 금리 하락. 선진국의 낮은 금리는 투자자들을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의 높은 투자 수익률과 개선되는 경제 전망으로 이끌었다.
- 주요 금융 중심지에 대한 투자의 국제적 다변화 및 세계 자본시장의 통합 심화에 대한 일반적인 추세.
- 개발도상국들은 무역 및 자본시장 자유화를 포함한 시장 지향적 개혁과 함께 건전한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정책 개혁은 투자 수익률의 신뢰할 수 있는 증가를 가져왔다.
핫머니는 헤지펀드, 기타 포트폴리오 투자 펀드 및 국내 금융기관의 국제 차입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997년 동아시아 금융 위기와 1998년 러시아 금융 위기에서 핫머니는 주로 포트폴리오 투자자들이 아닌 은행에서 유입되었다.[4][5]
4. 2. 국제 금융 시장의 통합
2011년 초, 미국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0.95%였던 반면, 중국의 1년 만기 기준 예금 금리는 3%였다. 중국 통화는 주요 거래 통화에 비해 저평가되어, 향후 미국 달러 대비 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투자자가 중국 은행에 예치하면 더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었고, 이는 중국을 핫머니 유입의 주요 대상으로 만들었다.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이며, 실제 핫머니는 다양한 형태의 투자를 한다.[2]핫머니는 일반적으로 GDP 성장률과 금리가 낮은 선진국에서 GDP 성장률과 금리가 높은 개발도상국 경제(인도, 브라질, 중국, 터키, 말레이시아 등)로 유입된다. 핫머니 유입의 구체적인 원인은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3]
- 고도로 산업화된 선진국의 지속적인 금리 하락: 선진국의 낮은 금리는 투자자들을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의 높은 투자 수익률과 개선되는 경제 전망으로 이끌었다.
- 주요 금융 중심지에 대한 투자의 국제적 다변화 및 세계 자본시장의 통합 심화.
- 개발도상국들의 시장 지향적 개혁(무역 및 자본시장 자유화 포함)과 건전한 통화 및 재정 정책 채택: 이러한 정책 개혁은 투자 수익률의 신뢰성 있는 증가를 가져왔다.
핫머니는 헤지펀드, 기타 포트폴리오 투자 펀드, 국내 금융기관의 국제 차입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997년 동아시아 금융 위기와 1998년 러시아 금융 위기에서 핫머니는 주로 은행에서 유입되었다.[4][5]
4. 3.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
2011년 초, 미국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0.95%였던 반면, 중국의 1년 만기 기준 예금 금리는 3%였다. 중국 통화는 주요 거래 통화에 비해 가치가 낮게 평가되어 있었기 때문에, 향후 미국 달러 대비 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투자자가 중국 은행에 돈을 예치하면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었고, 이는 중국이 핫머니 유입의 주요 대상이 되는 이유 중 하나였다. [2]핫머니는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 경제(인도, 브라질, 중국, 터키, 말레이시아 등)의 GDP 성장률과 금리에 비해 GDP 성장률과 금리가 낮은 선진국에서 유래한다. 핫머니 유입의 구체적인 원인은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3]
- 고도로 산업화된 선진국의 지속적인 금리 하락: 선진국의 낮은 금리는 투자자들을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의 높은 투자 수익률과 개선되는 경제 전망으로 이끌었다.
- 주요 금융 중심지에 대한 투자의 국제적 다변화 및 세계 자본시장의 통합 심화.
- 개발도상국들의 시장 지향적 개혁: 무역 및 자본시장 자유화를 포함한 시장 지향적 개혁과 건전한 통화 및 재정 정책 채택은 투자 수익률의 신뢰성을 높였다.
핫머니는 헤지펀드, 기타 포트폴리오 투자 펀드 및 국내 금융기관의 국제 차입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997년 동아시아 금융 위기와 1998년 러시아 금융 위기에서 핫머니는 주로 은행에서 유입되었다.[4][5]
5. 핫머니의 영향
핫머니는 단기적인 투자 수익을 목표로 국경을 넘나드는 자금을 말하며, 유입되는 국가와 빠져나가는 국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한 가지 예로, 2011년 초 미국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0.95%였던 반면, 중국은 3%였다. 위안화는 저평가되어 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아, 미국 투자자가 중국에 투자하면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을 핫머니 유입의 주요 대상으로 만들었다.[2]
금융 위기가 발생하면 자본이 빠져나가고 투자자들은 더 매력적인 투자처를 찾는다. 자본 유입은 호황을 가져오지만, 이는 또 다른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 이러한 자본 흐름을 '핫머니'라고 부르며,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2]
5. 1. 긍정적 영향
자본 이동은 가계가 시간에 따른 소비를 원활하게 하고 더 높은 수준의 소비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생을 증진시킬 수 있다. 자본 이동은 선진국이 포트폴리오를 국제적으로 다양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일부 경제학자와 금융 전문가들은 외환 보유고가 비교적 낮은 국가에서는 핫머니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자본 유입은 이들 국가가 중앙은행의 외환 보유액을 늘릴 수 있는 유용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9]
5. 2. 부정적 영향
핫머니는 단기적인 투자 수익을 목표로 국경을 넘나드는 자금으로, 유입되는 국가의 경제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핫머니는 1971년 닉슨 쇼크 이후 갈 곳을 잃은 유로화(유로달러)로 구성된 국제 자본이다. 대부분 실물 경제에 불필요한 화폐이기 때문에 각국의 자산 시장과 금융 시장을 계속 이동하고 있다. 또한 레버리지 효과에 의해 원금의 수 배로 불어나기 때문에 영향력이 절대적이다.[2] 화폐경제가 충분히 성장한 후에는 유사한 자본이 축적되어 20세기 초 금본위제 시대에도 런던을 중심으로 한 국제 금융 체제 내에서 핫머니에 가까운 형태의 자본이 이동했다.
1970년대 이후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발달, 국제 금융의 자유화에 따라 국제 자본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서, 핫머니의 본질이 드러나게 되었다. 초기에는 핫머니가 선진국 간 외환시장에서 크게 활동하며 여러 차례의 달러 위기를 초래했고, 신흥국에도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1980년대 초 고금리 정책으로 핫머니의 달러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남미에서는 핫머니의 대량 유출이 발생했다. 남미는 1960년대부터 자본 수입으로 산업화를 추진해왔지만, 1970년대 석유 파동 등으로 경제 불황을 겪고 있었고, 이 핫머니 유출로 인해 순식간에 경제 위기에 빠져 국제채무불이행 문제를 일으켰다.
1994년 FRB의 금리 인상으로 핫머니의 달러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멕시코에서는 핫머니의 대량 유출이 발생했다. 멕시코는 자본 수입으로 산업화를 추진하여 선진국 진입을 눈앞에 두었다고까지 평가받았지만, 이 핫머니 유출로 인해 경제 위기에 봉착했다.
5. 2. 1. 거시경제 불안정성 심화
단기 투자 목표를 가진 대규모의 갑작스러운 자본 유입은 급격한 통화 팽창, 인플레이션 압력, 실질 환율 상승 및 경상수지 적자 확대를 포함한 부정적인 거시경제적 효과를 초래한다.[6] 특히, 소규모이고 얕은 국내 금융시장으로 대량의 자본이 유입될 경우 환율이 상승하고 자산 가격이 급등하며 국내 상품 가격이 급등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유리한 자산 가격 변동은 국가 재정 지표를 개선하고 국내 신용 확장을 촉진한다. 이는 다시 국내 은행 부문의 구조적 취약성을 악화시킨다. 신흥 시장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심리가 변하면 자본 유입이 역전되고 자산 가격이 상승분을 반납하며, 종종 경제에 고통스러운 조정을 강요한다.[6]- '''단기 투자 목표를 가진 대규모 자본 유입(핫머니)'''은 자산 가격 상승[6] 및 인플레이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대량의 외국 자금이 갑자기 유입되면 (중앙은행이 통화가치를 고정하는 경우) 수취국의 통화량 기저가 증가하여 신용 호황을 일으킨다. 이는 다시 "돈이 너무 많고 상품이 너무 적은" 상황을 초래하여 인플레이션을 야기한다.
또한, 핫머니는 환율 상승 또는 환율 과잉 조정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환율 상승이 지속될 경우, 해당 국가의 수출품을 유사한 외국 상품 및 서비스보다 더 비싸게 만들어 해당 국가의 수출 경쟁력을 저해한다.[7]
- '''핫머니의 갑작스러운 유출'''은 항상 발생하며, 자산 가격을 하락시키고 해당 국가 통화 가치 폭락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국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자산을 보유한 국가에서 더욱 그렇다. 이것이 1997년 동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의 상황이었다는 데 점차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위기 직전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의 기업들은 대규모의 단기 외채(핫머니의 한 유형)를 축적했다. 이 세 나라는 단기 외채 대 외환 보유액 비율이 높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자본이 유출되기 시작하자 자산 가격과 환율이 폭락했다. 금융 공황은 자체적으로 악화되어 외국 채권자가 대출을 회수하고 예금자가 은행에서 자금을 인출하게 했다. 이 모든 것이 국내 금융 시스템의 유동성을 더욱 악화시켜 또 다른 라운드의 고비용 자산 처분과 가격 하락을 강요했다. 세 나라 모두 국내 금융 기관은 단기 외채 상환 직전까지 몰렸다.[8]
그러나 일부 경제학자와 금융 전문가들은 외환 보유고가 비교적 낮은 국가에서는 핫머니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자본 유입은 이들 국가가 중앙은행의 외환 보유액을 늘릴 수 있는 유용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9]
5. 2. 2. 금융 시스템 취약성 증대
단기 투자 목표를 가진 대규모의 갑작스러운 자본 유입은 급격한 통화 팽창, 인플레이션 압력, 실질 환율 상승 및 경상수지 적자 확대를 포함한 부정적인 거시경제적 효과를 초래한다.[6] 특히, 소규모이고 얕은 국내 금융시장으로 대량의 자본이 유입될 경우 환율이 상승하고 자산 가격이 급등하며 국내 상품 가격이 급등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유리한 자산 가격 변동은 국가 재정 지표를 개선하고 국내 신용 확장을 촉진하며, 이는 다시 국내 은행 부문의 구조적 취약성을 악화시킨다. 신흥 시장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심리가 변하면 자본 유입이 역전되고 자산 가격이 상승분을 반납하며, 종종 경제에 고통스러운 조정을 강요한다.[6]핫머니(단기 투자 목표를 가진 대규모 자본 유입)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자산 가격 상승[6] 및 인플레이션 상승: 대량의 외국 자금이 갑자기 유입되면 (중앙은행이 통화가치를 고정하는 경우) 수취국의 통화량 기저가 증가하여 신용 호황을 일으킨다. 이는 다시 "돈이 너무 많고 상품이 너무 적은" 상황을 초래하여 인플레이션을 야기한다.
- 환율 상승 또는 환율 과잉 조정: 핫머니는 환율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환율 상승이 지속될 경우, 해당 국가의 수출품을 유사한 외국 상품 및 서비스보다 더 비싸게 만들어 해당 국가의 수출 경쟁력을 저해한다.[7]
핫머니의 갑작스러운 유출은 항상 발생하며, 자산 가격을 하락시키고 해당 국가 통화 가치 폭락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국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자산을 보유한 국가에서 더욱 그렇다. 이것이 1997년 동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의 상황이었다는 데 점차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위기 직전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의 기업들은 대규모의 단기 외채(핫머니의 한 유형)를 축적했다. 이 세 나라는 단기 외채 대 외환 보유액 비율이 높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자본이 유출되기 시작하자 자산 가격과 환율이 폭락했다. 금융 공황은 자체적으로 악화되어 외국 채권자가 대출을 회수하고 예금자가 은행에서 자금을 인출하게 했다. 이 모든 것이 국내 금융 시스템의 유동성을 더욱 악화시켜 또 다른 라운드의 고비용 자산 처분과 가격 하락을 강요했다. 세 나라 모두 국내 금융 기관은 단기 외채 상환 직전까지 몰렸다.[8]
6. 핫머니 관련 경제 사건 (한국 포함)
1970년대 이후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발달, 국제 금융 자유화에 따라 국제 자본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서 핫머니의 본질이 드러나게 되었다. 초기에는 핫머니가 선진국 간 외환시장에서 크게 활동하며 여러 차례의 달러 위기를 초래했다. 또한 신흥국에도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다.[2]
1980년대 초 고금리 정책으로 핫머니의 달러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남미에서는 핫머니의 대량 유출이 발생했다. 남미는 1960년대부터 자본 수입으로 산업화를 추진해왔지만, 1970년대 석유 파동 등으로 경제 불황을 겪고 있었고, 이 핫머니 유출로 인해 순식간에 경제 위기에 빠져 국제채무불이행 문제를 일으켰다.
1994년 FRB의 금리 인상으로 핫머니의 달러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멕시코에서는 핫머니의 대량 유출이 발생했다. 멕시코는 자본 수입으로 산업화를 추진하여 선진국 진입을 눈앞에 두었다고까지 평가받았지만, 이 핫머니 유출로 인해 경제 위기에 봉착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경제 사건들이 핫머니와 관련이 있다.
- 1987년 블랙먼데이
- 1992년 파운드화 위기
-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 1998년 러시아 금융 위기
- 2000년 IT 버블
7. 핫머니 통제 방안
일반적으로 신흥 시장 경제는 선진 시장 경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단기 자본(핫머니)의 유입이 집중되는 곳이다. 신흥 시장 국가들은 외국인 직접 투자와 같은 자본 유입은 환영하지만, 단기 자본의 부정적 경제 효과 때문에 이러한 자본 유입을 막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여 부정적 결과를 제거하려 한다.[9]
다양한 국가들이 단기 자본의 대량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요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9]
-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 및 불황형 통화정책(sterilization)''': 일부 국가는 고정 환율 정책을 추구한다. 대규모 순자본 유입에 직면했을 때, 이러한 국가들은 환율 절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환 시장에 개입한다. 그런 다음 공개 시장 조작과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을 통해 개입의 통화적 영향을 불황형 통화정책(sterilization)으로 중화한다.[14] 예를 들어, 미국발 단기 자본이 중국에 유입될 때 투자자들은 미 달러를 매도하고 중국 위안(Chinese yuan)을 외환 시장에서 매수한다. 이는 위안화 가치 상승 압력을 야기한다. 중국 중앙은행은 위안화 절상을 방지하기 위해 위안화를 발행하여 미 달러를 매입한다. 이는 중국의 통화 공급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야기한다. 그러면 중국 중앙은행은 환율 개입 조치에서 이전에 시장에 유입했던 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은행 지급준비율을 인상하거나 중국 정부 채권을 발행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접근 방식과 마찬가지로 이 접근 방식에도 한계가 있다. 첫째, 중앙은행은 은행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급준비율을 계속해서 인상할 수 없다. 둘째, 신흥 시장 경제에서 국내 금융 시장은 공개 시장 조작이 효과적일 만큼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다.
7. 1. 환율 정책
환율은 단기 자본 유입을 통제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통화가 저평가되었다고 여겨진다면 단기 자본 유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학자들은 점진적인 환율 변동보다는 상당한 일시적 절상을 제안하는데, 점진적인 환율 절상은 더 많은 단기 자본을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법의 단점 중 하나는 환율 절상이 수출 부문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9]7. 2. 금리 정책
일반적으로 신흥 시장 경제는 선진 시장 경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단기 자본(핫머니)이 집중되는 곳이다. 신흥 시장 국가들은 외국인 직접 투자와 같은 자본 유입은 환영하지만, 단기 자본의 부정적 경제 효과 때문에 이러한 자본 유입을 막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여 부정적 결과를 제거하려 한다.[9]이러한 단기 자본 문제 해결의 주요 방법 중 하나는 '''금리 인하''' 정책이다. 이 정책을 채택하는 국가들은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를 낮춰 자본 유입에 대한 유인을 줄인다. 예를 들어, 2010년 12월 16일 터키 중앙은행(Central Bank of the Republic of Turkey)은 인플레이션 상승과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 성장 시기에 금리 인하를 발표하여 시장을 놀라게 했다. 터키 중앙은행 부총재인 에르뎀 바시(Erdem Basci)는 점진적인 금리 인하가 자산 버블과 통화 절상을 부채질하는 과도한 자본 유입을 방지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주장했다.[10] 2011년 2월 14일, 터키 재무장관 메흐메트 쉬멕(Mehmet Simsek)은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고 신용 성장 억제 조치를 취한 후 80억달러가 넘는 단기 투자가 터키에서 빠져나갔다. 터키가 단기 자본 유입을 원하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시장에 전달되었다"고 말했다.[11]
7. 3. 자본 통제
일반적으로 신흥 시장 경제는 선진 시장 경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단기 자본의 유입이 집중되는 곳이다. 신흥 시장 국가들은 외국인 직접 투자와 같은 자본 유입은 환영하지만, 단기 자본의 부정적 경제 효과 때문에 이러한 자본 유입을 막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여 부정적 결과를 제거하려 한다.다양한 국가들이 단기 자본의 대량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다.[9] 단기 자본 문제 해결의 주요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 '''환율 절상''': 환율은 단기 자본 유입을 통제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통화가 저평가되었다고 여겨진다면 단기 자본 유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점진적인 환율 변동보다는 상당한 일시적 절상을 제안하는데, 점진적인 환율 절상은 더 많은 단기 자본을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법의 단점 중 하나는 환율 절상이 수출 부문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 '''금리 인하''': 이 정책을 채택하는 국가들은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를 낮춰 자본 유입에 대한 유인을 줄인다. 예를 들어, 2010년 12월 16일 터키 중앙은행(Central Bank of the Republic of Turkey)은 인플레이션 상승과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 성장 시기에 금리 인하를 발표하여 시장을 놀라게 했다. 터키 중앙은행 부총재인 에르뎀 바시(Erdem Basci)는 점진적인 금리 인하가 자산 버블과 통화 절상을 부채질하는 과도한 자본 유입을 방지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주장했다.[10] 2011년 2월 14일, 터키 재무장관 메흐메트 쉬멕(Mehmet Simsek)은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고 신용 성장 억제 조치를 취한 후 80억 달러가 넘는 단기 투자가 터키에서 빠져나갔다. 터키가 단기 자본 유입을 원하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시장에 전달되었다"고 말했다.[11]
- '''자본 통제''': 중국이 채택한 일부 자본 통제 정책이 이 범주에 속한다. 예를 들어, 중국 정부는 외국 자금이 중국의 자본 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중국의 중앙은행은 국내 금융 기관의 단기 외채 사용에 대한 할당량을 설정하고 은행이 할당량을 초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한다.[12] 1991년 6월, 칠레 정부는 외화로 직접 차입하는 기업에 대해 1년 동안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무보수(무이자) 20% 준비금 요건을 도입했다.[13]
-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 및 불황형 통화정책(sterilization)''': 일부 국가는 고정 환율 정책을 추구한다. 대규모 순자본 유입에 직면했을 때, 이러한 국가들은 환율 절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환 시장에 개입한다. 그런 다음 공개 시장 조작과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을 통해 개입의 통화적 영향을 불황형 통화정책(sterilization)으로 중화한다.[14] 예를 들어, 미국발 단기 자본이 중국에 유입될 때 투자자들은 미 달러를 매도하고 중국 위안(Chinese yuan)을 외환 시장에서 매수한다. 이는 위안화 가치 상승 압력을 야기한다. 중국 중앙은행은 위안화 절상을 방지하기 위해 위안화를 발행하여 미 달러를 매입한다. 이는 중국의 통화 공급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야기한다. 그러면 중국 중앙은행은 환율 개입 조치에서 이전에 시장에 유입했던 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은행 지급준비율을 인상하거나 중국 정부 채권을 발행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접근 방식과 마찬가지로 이 접근 방식에도 한계가 있다. 첫째, 중앙은행은 은행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급준비율을 계속해서 인상할 수 없다. 둘째, 신흥 시장 경제에서 국내 금융 시장은 공개 시장 조작이 효과적일 만큼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다.
- '''재정 긴축''': 비교역재에 대한 지출 삭감의 형태로 재정 긴축을 사용하여 총수요를 낮추고 자본 유입의 인플레이션 효과를 억제하는 것이다.[15]
7. 4. 통화 정책
일반적으로 신흥 시장 경제는 선진 시장 경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단기 자본(핫머니)이 집중되는 곳이다. 신흥 시장 국가들은 외국인 직접 투자와 같은 자본 유입은 환영하지만, 단기 자본의 부정적 경제 효과 때문에 이러한 자본 유입을 막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여 부정적 결과를 제거하려 한다.[9]단기 자본 문제 해결의 주요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9]
- '''환율 절상''': 환율은 단기 자본 유입을 통제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통화가 저평가되었다고 여겨진다면 단기 자본 유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점진적인 환율 변동보다는 상당한 일시적 절상을 제안하는데, 점진적인 환율 절상은 더 많은 단기 자본을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법의 단점 중 하나는 환율 절상이 수출 부문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 '''금리 인하''': 이 정책을 채택하는 국가들은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를 낮춰 자본 유입에 대한 유인을 줄인다. 예를 들어, 2010년 12월 16일 터키 중앙은행(Central Bank of the Republic of Turkey)은 인플레이션 상승과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 성장 시기에 금리 인하를 발표하여 시장을 놀라게 했다. 터키 중앙은행 부총재인 에르뎀 바시(Erdem Basci)는 점진적인 금리 인하가 자산 버블과 통화 절상을 부채질하는 과도한 자본 유입을 방지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주장했다.[10] 2011년 2월 14일, 터키 재무장관 메흐메트 쉬멕(Mehmet Simsek)은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고 신용 성장 억제 조치를 취한 후 80억달러가 넘는 단기 투자가 터키에서 빠져나갔다. 터키가 단기 자본 유입을 원하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시장에 전달되었다"고 말했다.[11]
- '''자본 통제''': 중국이 채택한 일부 자본 통제 정책이 이 범주에 속한다. 예를 들어, 중국 정부는 외국 자금이 중국의 자본 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중국의 중앙은행은 국내 금융 기관의 단기 외채 사용에 대한 할당량을 설정하고 은행이 할당량을 초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한다.[12] 1991년 6월, 칠레 정부는 외화로 직접 차입하는 기업에 대해 1년 동안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무보수(무이자) 20% 준비금 요건을 도입했다.[13]
-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 및 불황형 통화정책(sterilization)''': 일부 국가는 고정 환율 정책을 추구한다. 대규모 순자본 유입에 직면했을 때, 이러한 국가들은 환율 절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환 시장에 개입한다. 그런 다음 공개 시장 조작과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을 통해 개입의 통화적 영향을 불황형 통화정책(sterilization)으로 중화한다. 예를 들어, 미국발 단기 자본이 중국에 유입될 때 투자자들은 미 달러를 매도하고 중국 위안(Chinese yuan)을 외환 시장에서 매수한다. 이는 위안화 가치 상승 압력을 야기한다. 중국 중앙은행은 위안화 절상을 방지하기 위해 위안화를 발행하여 미 달러를 매입한다. 이는 중국의 통화 공급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야기한다. 그러면 중국 중앙은행은 환율 개입 조치에서 이전에 시장에 유입했던 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은행 지급준비율을 인상하거나 중국 정부 채권을 발행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접근 방식과 마찬가지로 이 접근 방식에도 한계가 있다. 첫째, 중앙은행은 은행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급준비율을 계속해서 인상할 수 없다. 둘째, 신흥 시장 경제에서 국내 금융 시장은 공개 시장 조작이 효과적일 만큼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다.
- '''재정 긴축''': 비교역재에 대한 지출 삭감의 형태로 재정 긴축을 사용하여 총수요를 낮추고 자본 유입의 인플레이션 효과를 억제하는 것이다.[15]
7. 5. 재정 정책
일반적으로 신흥 시장 경제는 선진 시장 경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단기 자본의 유입이 집중되는 곳이다. 신흥 시장 국가들은 외국인 직접 투자와 같은 자본 유입은 환영하지만, 단기 자본의 부정적 경제 효과 때문에 이러한 자본 유입을 막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여 부정적 결과를 제거하려 한다.[9]재정 긴축은 비교역재에 대한 지출 삭감의 형태로 총수요를 낮추고 자본 유입의 인플레이션 효과를 억제하는 것이다.[15]
참조
[1]
보고서
China's "Hot Money" Problems
https://crsreports.c[...]
2008-07-21
[2]
논문
Hot Money and Serial Financial Crises
[3]
학술지
Inflows of Capital to Developing Countries in the 1990s
[4]
잡지
Hot Money
2000-05-01
[5]
학술지
The Color of Hot Money
https://www.jstor.or[...]
[6]
학술지
Capital Flow Bonanzas: An Encompassing View of the Past and Present
https://www.nber.org[...]
[7]
웹사이트
Persistent Appreciation and Overshooting: A Normative Analysis
https://www.imf.org/[...]
2007-04-19
[8]
논문
Short Term Capital Flows
NBER
[9]
웹사이트
Capital Inflows: The Role of Controls
https://www.imf.org/[...]
2010-02-19
[10]
뉴스
Turkey surprises with interest rate cut
Financial Times
2010-12-16
[11]
뉴스
Simsek Says $8 Billion 'Hot Money' Left Turkey
2011-02-14
[12]
뉴스
China enhances efforts to curb hot money inflow
China Daily
2011-11-09
[13]
보고서
Controls on Short-Term Capital Inflows - The Latin American Experience and Lessons For DMCs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14]
학술지
Capital Inflows: Macroeconomic Implications and Policy Responses
https://www.imf.org/[...]
[15]
서적
Capital Flows in the APEC Region
https://doi.org/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