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구 (백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구는 백제의 인물로, 전지왕의 외척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친족 관계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476년 병관좌평에 임명되어 권력을 장악한 후 국법을 어지럽히고 왕을 무시하다가, 477년 문주왕을 살해하고 삼근왕을 즉위시켜 국정을 장악했다. 478년 은솔 연신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남과 진로에게 토벌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78년 사망 - 감의성
    감의성은 현재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 백제의 병관좌평 - 연돌
    연돌은 백제 동성왕 시대 연씨 가문 출신으로, 왕의 토착 세력 등용 정책에 따라 달솔과 병관좌평에 임명된 인물이다.
  • 백제의 병관좌평 - 연실 (백제)
    연실은 백제 건국 공신인 대성팔족 중 하나로, 웅진 시대에 두각을 나타냈으며 중국계 이민족일 가능성이 있고, 무왕 때 연문진이 수나라 사신으로 임명되어 외교에 기여했다.
  • 해씨 (백제) - 해충 (백제)
    아신왕 사후 전지왕 옹립에 기여한 해충은 해씨 가문 출신으로, 전지왕 즉위 후 달솔에 임명되어 조세를 하사받는 등 백제 초기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 해씨 (백제) - 팔수부인
    팔수부인은 백제 전지왕의 왕비이자 구이신왕의 어머니이며, 왜인 출신 설이 유력하게 제기된다.
해구 (백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 (한글)해구
이름 (한자)解仇
이름 (가나)헤 구
이름 (히라가나)かい きゅう
로마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Hae Gu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식)Hae Ku
신분 및 직위
작위백제의 병관좌평
재임 기간476년 ~ 478년
군주백제 문주왕
섭정해당 사항 없음
생애
국적백제
성별남성
출생 정보미상
사망 정보478년
사망 장소미상
가문
왕조백제
가문해씨
부모미상
배우자미상
자녀미상
기타 정보
종교미상
군사 경력
소속미상
최종 계급미상
충성미상
주군미상

2. 생애

해구는 전지왕의 외척으로, 476년 병관좌평에 임명되어 권력을 장악했다.[4][8] 그는 국법을 어지럽히고 왕을 무시하는 흉계를 품어, 왕도 그를 제어하지 못했다.[4][9] 477년 문주왕을 살해하고,[4][10] 어린 삼근왕을 즉위시켜 국정을 위임받았다.[4] 그러나 478년 은솔 연신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가[4][12] 좌평 진남덕솔 진로에게 진압되어 처형되었다.[4][12]

2. 1. 출신 및 가계

부여족 출신 해씨로, 전지왕의 외척이라고 전해진다.[7] 그러나 전지왕의 왕비와 정확히 어떤 친족 관계였는지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2. 2. 권력 장악

전지왕의 외척이라고는 하나, 삼국사기삼국유사에는 전지왕의 왕비와 정확히 어떤 촌수 관계인지 기록되어 있지 않다.[7]

476년(문주왕 2) 8월, 병관좌평에 임명되어 권력을 손아귀에 쥐게 되었다.[4][8] 해구는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며 국법을 어지럽혔을 뿐만 아니라 왕을 무시하는 흉계를 품었고, 왕도 이를 제어할 수 없었다.[4][9]

477년(문주왕 4) 9월, 왕이 사냥을 나가 외박할 기회에 해구는 자객을 보내 문주왕을 살해하게 하고,[4][10] 문주왕의 아들로 13세가 된 삼근왕을 즉위시켰다.[4][11] 그리고 국사를 모두 자신에게 위임하게 했다.[4]

478년(삼근왕 2) 봄, 은솔 연신과 함께 사람들을 모아 대두성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다.[4][12] 왕은 처음에 병사 2천 명으로 좌평 진남에게 토벌하도록 명했지만 이기지 못했고, 다시 덕솔 진로에게 정예병 5백 명을 주어 해구를 토벌하게 했다.[4][12] 해구와 함께 난을 일으킨 연신은 고구려로 도망쳤고, 그의 처자는 체포되어 웅진의 시장에서 참수되었다.[12]

2. 3. 문주왕 시해

476년(문주왕 2) 8월, 병관좌평(兵官佐平)에 임명되어 권력을 손아귀에 쥔 해구는 같은 해 9월 자객을 보내 문주왕을 살해했다.[4]

삼근왕이 13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처음에는 국정을 위임하기도 했으나, 478년(삼근왕 2) 1월, 은솔 연신(燕信)과 공모해 대두성(大豆城)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다.[4]

그러나 좌평(佐平) 진남(眞男)과 덕솔 진로(眞老)가 이끄는 토벌군에게 패하여 처형당했다.[4]

2. 4. 해구의 난

476년(문주왕 2) 8월, 해구는 병관좌평(兵官佐平)에 임명되어 권력을 손에 쥐게 되었다.[4]

같은 해 9월, 해구는 자객을 보내 문주왕을 살해했다.[4] 삼근왕이 13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처음에는 국정을 위임하기도 했으나,[4] 478년(삼근왕 2) 1월, 은솔 연신(燕信)과 공모해 대두성(大豆城)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다.[4]

그러나 좌평 진남(眞男)과 덕솔 진로(眞老)가 이끄는 토벌군에게 패하여 처형당했다.[4]

참조

[1] 서적 백제의중앙과지방 Juryuseong
[2] 문서 Samguk Sagi, scroll 25
[3] 문서 Samguk Sagi, scroll 25
[4] 서적 増補 새國史事典 (ENCYCLOPEDIA OF KOREAN HISTORY [증보] 새 국사사전) 敎學社
[5] 뉴스 해구(解丘)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2022-10-26
[6] 뉴스 해구(解仇)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2022-10-26
[7] 뉴스 41년 1월 북부의 해루를 우보에 임명하다(0023년 01월 (음))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22-11-22
[8] 문서 巻26「百済本紀」4、文周王2年(476年)秋8月 三国史記
[9] 문서 巻26「百済本紀」4、文周王4年(477年)秋8月 三国史記
[10] 문서 巻26「百済本紀」4、文周王4年(477年)9月 三国史記
[11] 문서 巻26「百済本紀」4、三斤王元年(477年) 三国史記
[12] 문서 巻26「百済本紀」4、三斤王2年(478年)春 三国史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