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안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안면은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한국 전쟁 중 펀치볼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고려 시대에는 번화로 불렸으며, 1885년 해안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54년 인제군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양구군 동면에 편입, 1983년 면으로 복원되었다. 해안면은 대암산, 도솔산, 대우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로, 제4땅굴과 을지 전망대, 양구 전쟁 기념관 등 안보 관련 시설이 위치해 있다. 또한 해안초등학교와 해안중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구군의 행정 구역 - 국토정중앙면
    국토정중앙면은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에 위치하며 13개의 법정리와 20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고 면사무소는 용하리에 있으며 용하초등학교, 도촌초등학교, 죽리초등학교, 용하중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있다.
  • 양구군의 행정 구역 - 양구읍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의 중앙에 위치한 양구읍은 조선 시대 양구현의 소재지였으나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는 21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1963년 폐지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1963년 폐지 - 대한민국 심계원
    대한민국 심계원은 1948년 헌법에 따라 설치되어 1949년부터 1963년 감사원 신설 시까지 운영된 국가기관으로, 회계 감사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명제세, 함태영, 노진설 등이 역대 심계원장을 역임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읍·면 - 정선읍
    정선읍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위치한 읍으로, 국도와 철도가 지나 교통의 요지이며, 메밀, 황기, 옥수수 등의 특산물이 있고, 조양강이 읍 중앙부를 흐르며, 정선군청 등 다양한 행정 기관이 위치해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읍·면 - 평창읍
    평창읍은 강원도 평창군의 행정 중심지로, 태백산맥 서쪽 산악 지형에 위치하며 평창강이 흐르고, 담배, 견직물, 꿀 생산과 월정사 등의 문화재 및 관광지로 알려져 있으며,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서 지역 경제에 기여한다.
해안면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종류
한글 표기해안면
한자 표기亥安面
로마자 표기Haean-myeon
지리 정보
위치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해안면
면적61.50 km²
행정 정보
하위 행정 구역6개 리
면사무소 주소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펀치볼로 1307 (현리 154)
인구 통계
인구1,566명 (2001년 기준)
2015년 6월 30일 기준1,423명
세대수652세대 (2015년 6월 30일 기준)
기타 정보
방언강원도 방언
웹사이트양구군 읍면소개

2. 역사

해안면은 원래 양구군에 속했다. 고려 시대에는 번화(Beonhwa)로 알려졌으며, 1885년에 해안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2. 1. 한국 전쟁

펀치볼 전투 중 해안 분지를 내려다보는 능선에 있는 미 해병대


한국 전쟁 발발 전, 해안면은 38도선 북쪽에 위치하여 북한의 통제를 받았다. 북한군은 계곡의 지형적 이점을 이용해 포병 부대를 배치했고, 이 때문에 해안 분지 점령은 유엔군의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1951년 8월 27일, 대한민국 육군과 미 제8군은 펀치볼 전투를 통해 해안 분지를 점령했다.[4][5][6]

1990년 미완성 터널 연결을 위한 반(反)터널 굴착


1990년 3월 3일, 해안면 북부에서 네 번째 "침략 터널"이 발견되었다.[7] 이 터널은 비무장 지대 북쪽에서 굴착되어 휴전선을 통과하는 깊은 터널이다. 1974년에서 1978년 사이에 발견된 세 개의 유사한 터널은 모두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서울에 더 가깝다. 발견 당시 이 터널은 깊이 145m에 있었고, 미완성 상태로 남쪽 입구가 없어 시추공과 반(反)터널을 통해 탐사되었다.[8] 터널의 길이는 약 1.61km 이상으로 추정되며, 군사 분계선 남쪽으로 최소 약 1219.20m까지 뻗어 있다.[9] 대한민국은 북한군이 1953년 정전 협정 조건을 위반하고 남침을 준비하기 위해 이 터널을 굴착했다고 주장했다.

한국 전쟁 교착기에 양구군 일대는 격전지가 되었고, 해안 분지 일대도 펀치볼 전투의 무대가 되었다. 현재도 해안면 북부는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3. 지리

해안면은 분지 하나가 1개 면을 이루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이 분지는 대암산(1,304m), 도솔산(1,148m), 대우산(1,179m)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서 거리는 8.5km, 남북은 7km, 분지 바닥의 평균 표고는 400m의 거의 완벽한 원을 그리고 있다. 해안면의 물은 인제군 서화면으로 빠져나간다. 면의 북쪽은 한반도 비무장지대이며, 명목상 인제군 서화면에 속하는 좁은 폭의 비무장지대를 지나면 군사분계선과 접한다.

대암산(1,304m)은 해안면의 남쪽 경계에 위치해 있다.

분지의 중앙 지역은 쥐라기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선캄브리아기 변성암 복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분지는 암석의 차별적인 풍화 작용으로 형성되었을 수 있다.[1]

해안분지(en:Punchbowl (Korean War)) 전체를 이루는 하나의 면으로, 크레이터와 같은 특이한 이 분지는 운석의 낙하나 화산 폭발에 의한 칼데라가 아니라 지하의 화강암 침식으로 생겨난 것으로 여겨진다.[11] 이 특이한 지형 때문에, 한국 전쟁의 종군 기자에 의해 "펀치볼(en:Punch bowl)"이라고 불렸다.

4. 마을과 이름의 유래

1956년 한국전쟁 정전 후 피난민 정착 사업으로 재건촌이 조성되면서 농민들이 100세대씩 입주하여 마을의 틀을 만들었다. 한국전쟁 당시 종군기자가 해안 지역의 움푹 패인 지형을 보고 펀치볼(Punch Bowl)이라 불렀는데, 이로 인해 미국에서는 펀치볼(Punchbowl)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3]

해안이라는 이름은 돼지 해(亥) 자와 편안할 안(安) 자에 얽힌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과거 해안은 바다 해(海) 자를 사용했고, 해안 분지에는 뱀이 많아 주민들이 밖으로 나가지 못할 정도였다. 조선 초, 한 스님이 시제에 참석했다가 지역 사정을 듣고 뱀과 상극인 돼지를 이용해 바다 해(海) 자를 돼지 해(亥) 자로 바꾸도록 권했다.

이후 주민들은 해안의 한자를 돼지 해(亥) 자로 바꾸고 돼지를 많이 길렀다. 그러자 신기하게도 뱀이 사라져 주민들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도 해안 지역에는 높은 산을 제외하고 평지에 뱀이 거의 없어 이 이야기가 사실처럼 느껴진다.[3]

4. 1. 마을의 유래

1956년 한국전쟁 정전 후 피난민 정착 사업의 일환으로 재건촌이 조성되면서 100세대씩 입주한 농민들의 개척으로 마을의 틀이 만들어졌다. 한국전쟁 격전 중 해안을 바라본 종군기자가 이 지역의 움푹 패인 지형에서 따와 펀치볼(Punch Bowl)이라 부른 것이 유명해져 미국에서는 펀치볼(Punchbowl)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3]

고려 시대에 해안은 번화(Beonhwa)로 알려졌다. 1885년에 해안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4. 2. 이름의 유래

해안은 돼지 해(亥) 자와 편안할 안(安) 자에 얽힌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당시 해안은 바다 해(海) 자를 썼으며, 해안 분지에는 주민들이 밖에 나가지 못할 정도로 뱀이 많았다고 한다. 조선 시대 초 해안 주민이 시제를 지내면서 유명한 스님 한 분을 모시게 되었는데, 그 스님에게 지역 사정을 자세히 말하고 을 없앨 방법을 구하니, 스님이 뱀과 상극인 돼지를 언급하며 바다 해(海) 자를 돼지 해(亥) 자로 바꾸어 쓰면 되겠다고 하였다.

그 후 해안을 돼지 해(亥) 자로 고치고 마을에는 돼지를 많이 길렀으며, 신기하게도 뱀이 없어져 주민들이 집 밖 출입을 자유롭게 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현재도 해안 지역에는 높은 산을 제외하고는 평지에 뱀이 거의 없다고 하여 이러한 이야기에 사실감을 더하고 있다.[3] 고려 시대에 해안은 번화(Beonhwa)로 알려졌으며, 1885년에 해안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5. 행정 구역

해안면의 행정 구역
법정리한자명행정리비고
만대리萬垈里만대리
오유리五柳里오유1리, 오유2리
월산리月山里거주 인구 없음
이현리泥峴里거주 인구 없음
현리縣里현1리, 현2리, 현3리면사무소 소재지
후리後里거주 인구 없음


6. 경제

해안면 내 농가에서는 감자, 채소, 백합 등을 생산한다.[2]

7. 문화, 관광

해안면에는 한국 전쟁의 격전지를 기리는 여러 시설이 있다. 펀치볼지구 전투 전적비와 함께, 2000년에 개관한 양구 전쟁 기념관[10]이 있다. 이곳에서는 도솔산 전투, 대우산 전투, 피의 능선 전투, 백석산 전투, 펀치볼 전투, 가칠봉 전투, 단장의 능선 전투, 949고지 전투,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등 9개 전투를 재조명하고 있다.

유영호 작가의 그리팅맨 조각상[13]과 2013년 설치된 만남의 조각도 해안면에서 볼 수 있다.

7. 1. 통일관

양구군에서 직영하는 양구통일관에는 북한의 실상을 알 수 있는 생활용품, 수출품, 사진 등이 상설 전시되어 있다.[1] 조선 전쟁의 격전 기록도 전시되어 있으며,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내 견학을 위한 절차가 이곳에서 진행된다.[1]

을지 전망대와 제4 땅굴 견학을 위한 절차도 이곳에서 진행된다.[1]

7. 2. 양구전쟁기념관

펀치볼지구 전투 전적비의 설립 당시 모습


펀치볼지구 전투 전적비의 비문


한국 전쟁 당시 양구 지역에서 벌어진 도솔산 전투, 대우산 전투, 피의 능선 전투, 백석산 전투, 펀치볼 전투, 가칠봉 전투, 단장의 능선 전투, 949고지 전투,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등 9개 전투의 전투사를 재조명하고, 전사한 군인들의 희생정신과 업적을 기리며, 전후 세대들에게 호국정신과 애국심을 심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되었다.[10]

7. 3. 을지전망대

을지전망대는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에서 동북쪽으로 27km, 군사분계선에서 약 1km 남쪽 지점인 가칠봉 능선에 있다.[10]

7. 4. 제4땅굴

제4땅굴은 1990년 3월 3일 발견되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내부 관람용 전동차를 운행하고 있다.

네 번째 "침략 터널"은 1990년 3월 3일, 북한과 접경한 해안면 북부에서 발견되었다.[7] 이 터널은 비무장 지대 내 북쪽에서 굴착되어 휴전선을 통과하는 깊은 터널이다. 1974년에서 1978년 사이에 발견된 세 개의 유사한 터널은 모두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의 수도 서울에 더 가깝다. 이 터널은 깊이 145m에서 발견되었으며, 미완성되어 남쪽 입구가 없었기 때문에 시추공과 반(反)터널을 통해 탐사되었다.[8] 터널의 길이는 1마일 이상으로 추정되며, 군사 분계선 남쪽으로 최소 4,000피트까지 뻗어 있다.[9] 대한민국은 북한군이 1953년 정전 협정 조건을 위반하여 남침을 준비하기 위해 이 터널을 굴착했다고 주장했다.

7. 5. 기타

해안면에는 2000년에 양구 전쟁 기념관[10]과 을지 전망대가 개관하였다.

2013년에는 조각가 유영호의 조형물인 만남의 조각이 해안면에 설치되었다.

  • 통일관, 양구 전쟁 기념관: 한국 전쟁의 격전 기록을 전시하고 있다. 또한 통일관에서는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내 견학을 위한 절차가 진행된다.
  • 을지 전망대
  • 제4 땅굴

8. 교육

참조

[1] 논문 Terrain Analysis of Haean Basin in terms of Earth Science http://www.slideshar[...]
[2] 웹사이트 Punchbowl Village https://web.archive.[...] INVIL Central Council 2002-07-21
[3] 웹사이트 문화적 특성 https://archive.toda[...] Gangwon Department of Tourism 2001-05-26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6-01
[5] 서적 Battle for the Punchbowl: The U. S. 1st Marine Division 1951 Fall Offensive of the Korean War https://digital.libr[...] University of North Texas 2007-08-01
[6] 웹사이트 The Korean War: Years of Stalemate https://web.archive.[...] U.S. Army Center for Military History
[7] 뉴스 North Korea Agrees to a Joint Tunnel Inquiry https://query.nytime[...] 1990-03-15
[8] 논문 Clandestine Tunnel-4, northern Punchbowl, Korean Demilitarized Zone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9] 뉴스 Seoul uncovers a border tunnel https://www.nytimes.[...] 1990-03-04
[10] 웹사이트 War Memorial Museum in Yanggu (양구전쟁기념관)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11] 웹사이트 亥安盆地 http://koreadmz.kr/y[...]
[12] 법률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73-03-12
[13] 웹인용 Greeting Man statue coming to Korean War battleground http://english.hani.[...] 한겨레 2013-10-25
[14] 웹인용 해안초등학교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2019-04-30
[15] 웹인용 해안중학교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2018-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