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안분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안분지는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해안면에 위치한 분지 지형이다. 돼지와 관련된 고사에서 유래되었으며, 6.25 전쟁 당시 미군 종군기자가 분지의 풍경을 보고 '펀치볼'이라고 칭한 일화로 펀치볼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한국 전쟁 중에는 격전지였으며, 피의 능선 전투, 단장의 능선 전투, 펀치볼 전투 등이 벌어졌다. 지질학적으로는 차별 침식에 의해 형성된 분지이며, 고랭지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양구전쟁기념관, 제4땅굴, 을지 전망대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구군의 지리 - 소양호
    소양호는 1973년 소양강댐 건설로 형성된 대한민국 최대의 댐 호수로, 춘천시, 양구군, 인제군에 걸쳐 있으며 "내륙의 바다"라고도 불리고, 청평사 등의 명승지와 유람선, 낚시, 빙어 낚시로 유명하지만, 수질 관리, 쓰레기 섬, 가뭄, 녹조 등의 환경 문제와 사고도 발생했다.
  • 양구군의 지리 - 파로호
    파로호는 화천군과 양구군에 걸쳐 있는 인공호수로, 6.25 전쟁 중 파로호 전투 승리를 기념하여 이승만 대통령이 명명했으며, 다양한 생물 서식, 통일 안보 관광지 기능, 구석기 유적 발견 등 역사적 가치를 지니지만, 외래 어종 유입과 수몰 유적 보존 문제가 남아있다.
  • 한국의 분지 - 경상 분지
    경상 분지는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 분지로, 경상 누층군(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과 불국사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밀양, 의성, 영양 소분지로 나뉘며, 다양한 담수 생물과 공룡 화석이 발견되는 등 퇴적 환경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한국의 분지 - 포항 분지
    포항 분지는 한반도 남동부에 위치하며 마이오세 동안 형성된 퇴적 분지로, 다양한 단층으로 경계 지어져 복잡한 지질학적 특징을 보이며, 내부가 곡강 단층에 의해 동부와 서부 지괴로 나뉘어 과거 환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마을 - 서래마을
    서래마을은 1985년 서울프랑스학교의 이전, 1990년대 프랑스계 기업들의 한국 진출로 형성되었고, 프랑스어 간판, 국기를 상징하는 색상의 블록 포장 도로 등 특징을 가지며, 서울프랑스학교, 다양한 프랑스 음식점, 카페 등이 위치해 있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대한민국의 마을 -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조선시대 양반들의 주거지였으며, 1930년대 한옥 골목길이 형성되었고, 한옥 보존을 위한 노력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문화유산과 관광 명소를 갖춘 곳이다.
해안분지
개요
해안분지 랜드샛 줌
해안분지
다른 이름펀치볼
로마자 표기Haean-punji
한자 표기해, 안, 분, 지
위치해안, 양구군
국가(한국)
지리
종류분지
한국 전쟁
관련 전투한국 전쟁 격전지
참고펀치볼 전투
기타
별칭 (영어)The Punchbowl

2. 역사

해안분지는 그 지형적 특성 때문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을 겪었다. 특히 6.25 전쟁과 관련된 격전이 이 지역에서 벌어졌다.

2. 1. 명칭 유래

해안분지는 습한 기후로 이 많아 사람들이 생활하는 데 불편을 겪었다고 한다. 이를 본 한 승려가 마을 사람들에게 돼지를 키우라고 권하였고, 사람들이 돼지를 키우자 뱀들은 사라졌다고 전해진다. 해안은 돼지와 평온함을 뜻한다. 6.25 전쟁 때 미군 종군기자가 가칠봉에 올라 해안분지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펀치라는 말을 했고, 이것이 일화가 되어 이 마을의 이름은 펀치볼이 되었다.[2]

2. 2. 한국 전쟁

6.25 전쟁 때 미군 종군기자가 가칠봉에 올라 해안분지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펀치볼(Punch Bowl)이라는 말을 했고, 이것이 일화가 되어 이 마을의 이름은 펀치볼이 되었다.[2]

한국 인민군은 한국 전쟁 초기에 펀치볼을 점령했다. 1950년 9월 말, 인천 상륙 작전과 부산 교두보 돌파 이후에 이어진 유엔군의 공세 동안 유엔군이 펀치볼을 탈환했다. 유엔군은 중국 인민지원군의 개입에 따른 철수 과정에서 1950년 12월 중순에 이 지역을 포기했다.

1951년 6월 4일 미국 제1해병사단과 대한민국 제5보병사단은 인제군 북쪽으로 진격하여 펀치볼과 화천 저수지를 향했다.[1] 6월 10일까지 해병대와 한국군 부대는 화천 저수지 북동쪽의 캔자스 선과 펀치볼을 내려다보는 남쪽의 언덕선을 확보했다.

1951년 8월 휴전 협상이 결렬된 후, 유엔군 사령부는 여름과 초가을에 제한적인 공세를 펼쳐 전선을 단축하고 곧게 만들고, 더 나은 방어 지형을 확보하며, 적이 유엔군 위치를 관찰하고 공격할 수 있는 주요 지점을 빼앗기로 결정했다. 피의 능선 전투는 1951년 8월부터 9월까지 펀치볼 서쪽에서 벌어졌고, 이어서 1951년 9월부터 10월까지 펀치볼 북서쪽에서 단장의 능선 전투가 벌어졌다. 한편, 미국 제1해병사단대한민국 해병대의 지원을 받아 1951년 8월 31일부터 9월 20일까지 펀치볼 전투에서 펀치볼 북쪽의 언덕선을 점령했다.

양구전쟁기념관이 해안면에 위치해 있다.

제4땅굴과 을지 전망대가 해안면 북쪽 언덕에 위치해 있다.

2. 3. 전후

한국 전쟁 초기 조선인민군이 펀치볼을 점령했다. 1950년 9월 말, 인천 상륙 작전부산 교두보 돌파 이후 이어진 유엔군의 공세로 유엔군이 펀치볼을 탈환했다. 그러나 유엔군은 중국 인민지원군의 개입에 따른 철수 과정에서 1950년 12월 중순에 이 지역을 포기했다.[1]

1951년 6월 4일 미국 제1해병사단과 제5보병사단은 인제군 북쪽으로 진격하여 펀치볼과 화천 저수지를 향했다.[1] 6월 10일까지 해병대와 한국군 부대는 화천 저수지 북동쪽의 캔자스 선과 펀치볼을 내려다보는 남쪽의 언덕선을 확보했다.

1951년 8월 휴전 협상이 결렬된 후, 유엔군 사령부는 제한적인 공세를 펼쳐 전선을 정리하고, 더 나은 방어 지형을 확보하며, 적이 유엔군 위치를 관찰하고 공격할 수 있는 주요 지점을 빼앗기로 결정했다. 피의 능선 전투는 1951년 8월부터 9월까지 펀치볼 서쪽에서 벌어졌고, 이어서 1951년 9월부터 10월까지 펀치볼 북서쪽에서 단장의 능선 전투가 벌어졌다. 한편, 미국 제1해병사단은 대한민국 해병대의 지원을 받아 1951년 8월 31일부터 9월 20일까지 펀치볼 전투에서 펀치볼 북쪽의 언덕선을 점령했다.

양구전쟁기념관이 해안면에 있다.

제4땅굴과 을지 전망대가 해안면 북쪽 언덕에 있다.

3. 지질

해안분지는 전형적인 침식 분지로 고원생대 편마암류를 관입한 쥐라기 화강암이 주변 암석에 비해 풍화에 약해 더 빨리 침식되어 형성된, 차별 침식에 의한 현상이다.[3] 땅 한 부분의 침식이 다른 부분과 크게 구분되는 차별침식을 겪었는데, 이는 좌우에서 압력을 받는 습곡 현상으로 분지의 형태를 띠게 되었기 때문이다. 해안분지에서 발견되는 암석층은 티그마와 작고 미세한 흠이 있어 이를 통해 좌우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해안분지가 형성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 따라서, 해안분지는 티그마 습곡의 영향을 받아 움푹 꺼진 모양을 하게 되었다.[4][5]

4. 지리

대암산과 대우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산들은 40°에서 50°의 가파른 경사를 가지고 해발 1,000미터 이상이다. 해안분지는 하천을 끼고 있는 대부분의 한국 침식분지와 달리 산에서 물이 흘러들어오고 한 하천으로 물이 모여 소양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간다.[6]

여름철에는 해발 100미터씩 올라갈 때마다의 온도가 0.53°C씩 떨어진다. 이 기온감률은 비가 올 때 0.63°C로 가장 크며 장마철, 흐린날, 맑은날 순으로 0.39°C로 점차 수치가 감소한다. 하루 단위로 보았을 때, 높이에 따른 온도차는 해안분지의 경우 해뜰녁에 가장 높고 6시에 가장 낮다. 장마철에는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며 고도가 낮은 곳일수록 습도가 높아 낮은 곳에는 짙은 안개를 형성한다.[7]

5. 경제

해안분지에서는 주위를 둘러싼 산에서 흘러오는 하천수와 지하수 관정을 이용한 고랭지 농업 및 논농사가 주 수입원이다. 경사가 심한 산간에서는 고랭지 농사가, 400m의 평지에서는 분지의 비옥한 토질을 바탕으로 논농사가 이루어진다. 520m에서 560m의 고지대에서는 과수원이 운영된다. 열 곳 중 여섯 곳은 고랭지 농사를, 두 곳은 밭 농사를, 나머지는 각각 기타 작물이나 과수원을 운영한다. 하지만 이러한 농업으로 비료농약을 머금은 물이나 흙이 유출되어 수질오염과 토양오염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이는 소양강에서 탁수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로, 침사지와 두 곳의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오염을 저감시키고 있다.[8]

특산물은 시래기사과이다.[2]

6. 관련 시설

해안분지에서는 주위를 둘러싼 산에서 흘러오는 하천수와 지하수 관정을 이용한 고랭지 농업 및 논농사가 주 수입원이다. 경사가 심한 산간에서는 고랭지 농사가, 400m의 평지에서는 분지의 비옥한 토질을 바탕으로 논농사가 이루어진다. 520m에서 560m의 고지대에서는 과수원이 운영된다. 열 곳 중 여섯 곳은 고랭지 농사를, 두 곳은 밭 농사를, 나머지는 각각 기타 작물이나 과수원을 운영한다. 하지만 이러한 농업으로 비료농약을 머금은 물이나 흙이 유출되어 수질오염과 토양오염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이는 소양강에서 탁수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로, 침사지와 두 곳의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오염을 저감시키고 있다.[8]

특산물은 시래기사과이다.[2]

참조

[1] 서적 Ebb and Flow: November 1950-July 1951 Volume 5 of United States Army in the Korean War https://history.army[...] Government Printing Office
[2] 뉴스 양구 DMZ 펀치볼..분단의 역사 간직한 천연숲 http://www.esocialti[...] 소셜타임스 2018-06-11
[3] 웹인용 만대리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12-00
[4] 웹인용 해안분지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00-00
[5] 저널 The Origin of the so-called Punch Bowl (펀치볼의 생성원인) https://www.dbpia.co[...] 1967-03-00
[6] harvnb
[7] 저널 우리나라 산악분지의 여름철 기온감률 변화 - 2009년 양구 펀치볼을 사례로 http://www.bayceer.u[...]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0-00-00
[8] harv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