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운대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2002년 8월 29일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해운대해수욕장과 인접해 있으며, 과거 동해선 해운대역이 인근에 있었으나 2013년 선로 이설로 인해 현재는 흔적만 남아있다. 인접한 역으로는 중동역과 동백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해운대구의 전철역 - 신해운대역
신해운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34년 해운대역으로 시작하여 2013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2016년 동해선 편입과 함께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부산 해운대구의 전철역 - 센텀역
센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동해선 전철역으로, 1934년 수영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과 기능 변화를 거쳐 2016년 센텀역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 쌍섬식 승강장에서 ITX-마음, 무궁화호, 동해선 광역전철이 정차한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호포역
호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고가역으로, 1999년 개통 당시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2008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으며,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추고 호포차량사업소 입고 열차가 종착한다. - 2002년 개업한 철도역 - 도라산역
도라산역은 경의선 상의 역으로, 남북 철도 연결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내에 위치해 셔틀 전동열차와 DMZ-TRAIN이 운행되고 주변 관광 코스와 연계되어 유동적으로 운영된다. - 2002년 개업한 철도역 - 랑시퐁루즈역
랑시퐁루즈역은 프랑스 레만호 지역에 위치하여 레지오익스프레스와 레만 익스프레스가 정차하며, 레지오익스프레스는 안네마스-브베 구간을, 레만 익스프레스는 코페-안네마스 구간을 운행하고, 운행 간격은 시간대와 요일에 따라 다르다 (2023년 12월 시간표 기준).
| 해운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위치 정보 | |
| 기본 정보 | |
| 역 이름 | 해운대역 |
| 한자 표기 | 海雲臺驛 |
| 로마자 표기 | Haeundae yeok |
| 부역명 | 해운대부민병원 |
| 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역 번호 | 203 |
| 주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 지하626 |
| 운영 정보 | |
| 운영 기관 | 부산교통공사 |
| 소속 | 부산교통공사 제2운영사업소 장산관리역 |
| 역 구조 | 지하역 |
|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
| 개업일 | 2002년 8월 29일 |
| 역사 정보 | |
| 개업 | 2002년 8월 29일 |
| 통계 정보 | |
| 2012년 승차 인원 | 12,267명 |
| 노선 정보 | |
| 영업 거리 | 장산 기점 1.8 km |
| 이전 역 | 202 중동 |
| 이전 역 간 거리 | 0.9 km |
| 다음 역 | 동백 204 |
| 다음 역 간 거리 | 1.2 km |
| 기타 정보 | |
![]() | |
![]() | |
![]() | |
2. 역사
2002년 8월 29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1]
2. 1. 연혁
2. 2. 과거 동해선과의 연계
과거에는 한국철도공사 (동해선) 해운대역과 인접해 있어 환승이 가능했으나, 2013년12월 2일 해당 역이 북동쪽으로 약 3km 이전하면서 (이전 후 2016년12월 30일 신해운대역으로 역명 변경) 환승역이 아니게 되었다. 현재 신해운대역까지는 이 역보다 장산역이 더 가깝다 (단, 장산역에서도 약 1.5km 떨어져 있어 환승역이 되지는 않는다).[1]3. 역 구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동백 방면 1곳은 이동할 수 없어 주의가 필요하다.
3. 1. 특징
해운대역 5번 출구에서 559m(카카오맵 기준) 떨어진 곳에 해운대해수욕장이 있으며, 전동차 내 안내 방송도 파도 소리와 갈매기 소리를 곁들여 언급한다. 인근에 해운대구청,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이 있으나, 전동차 내 안내 방송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 이 역 앞에 옛 동해남부선 해운대역이 있었으나, 2013년 12월 2일에 선로 이설과 함께 해운대구 우동(해운대역 4번 출구로 나오면 있음)으로 이전하였고, 역사의 흔적만 남아 있다.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합실을 통과하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동백 방면 1곳은 이동할 수 없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3. 2.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동백 방면 1곳은 이동할 수 없어 주의가 필요하다. 승강장 번호는 없다.
4. 역 주변
해운대역 5번 출구에서 559m 떨어진 곳에 해운대해수욕장이 있으며, 전동차 내 안내방송도 파도 소리와 갈매기 소리를 곁들여 언급한다. 인근에 해운대구청,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이 있으나, 전동차 내 안내방송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 이 역 앞에 옛 동해남부선 해운대역이 있었으나, 2013년 12월 2일에 선로 이설과 함께 해운대구 우동(해운대역 4번 출구로 나오면 있음)으로 이전하였고, 역사의 흔적만 남아있다.[2]
과거에는 한국철도공사(KORAIL) 동해선의 해운대역과 인접해 있어 환승이 가능했으나, 2013년12월 2일에 해당 역이 북동쪽으로 약 3km 이전 (이전 후 2016년12월 30일에 신해운대역으로 역명 변경)함에 따라 환승역이 아니게 되었다. 현재 신해운대역까지는 이 역보다 장산역이 더 가깝다 (단, 장산역에서도 약 1.5km 떨어져 있어 환승역이 되지는 않는다).[2]
- 해운대구청
-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 해운대해수욕장
- 해운대시장
- 세이브존 해운대점
- 홈플러스 스페셜(해운대점)
-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 역전치안센터
- 해운대 푸르지오 더원
- 우1동 주민센터
- CGV 해운대
- (구)해운대역 동해남부선
5. 승차량 변동
| 역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 2호선 | 2711 | 8788 | 9037 | 8428 | 8742 | 8941 | 9600 | 9666 | 10282 | 11651 | 12267 | 13235 | 13143 | 12547 | [2] |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Haeundae station
https://terms.naver.[...]
2019-06-14
[2]
웹사이트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
http://www.humetro.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