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조신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조신문은 1908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창간된 한글 신문으로, 국권 상실의 위기 속에서 해외 한인들의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발행되었다. 정순만이 주도하고 최봉준의 재정 지원을 받아 창간되었으며, 신채호가 수석 필진으로 참여했다. 국내외 소식을 다루며 독립운동을 지지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1908년 5월 폐간되었다. 해조신문은 한국 독립운동과 언론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라디보스토크의 문화 - 동방경제포럼
동방경제포럼은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추진과 극동 지역 투자 유치를 목표로 2015년부터 매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되는 국제 포럼으로, 각국 정상 및 기업인이 참여하여 경제 협력을 논의하지만, 2022년 이후 친러시아 국가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비판도 있다. - 블라디보스토크의 문화 - 고려극장
고려극장은 일제강점기 연해주에서 고려인들의 민족 정체성 유지와 문화 활동을 위해 설립되어 소련 시기 중앙아시아에서 민족극장의 역할을 수행하며 현재까지 알마티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벗어나 현실을 고발하는 작품을 공연하기도 하고 한류의 영향을 받아 한국과 카자흐스탄 간 문화 교류에도 기여하고 있다.
| 해조신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신문 이름 | 해조신문 (海潮新聞/海朝新聞) |
| 러시아어 이름 | Хае-те Шин-бо; Хаете Шинбо; Хэчон синмун; Хячжо синмун; Хяджо синмун |
| 창간일 | 1908년 2월 26일 |
| 폐간일 | 1908년 5월 26일 |
| 발행 도시 | 블라디보스토크 |
| 발행 국가 | 러시아 제국 |
| 언어 | 한국어 (한글) |
| 발행 부수 | 400–500부 |
| 발행인 | |
| 사장 | 최봉준 |
| 편집인 | 왕창동 |
2. 역사적 배경
19세기 말부터 많은 한국인들이 경제적인 기회를 찾아 러시아 극동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2], 이들은 고려인으로 불렸다.[5] 이 지역은 일본의 한국 주권 침해에 맞서 한국 독립 운동의 온상이 되었다.[2] 해조신문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창간되었다.
2. 1. 창간과 발행
1908년 2월 26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창간호를 발간하고, 같은 해 5월 26일까지 3개월 동안 총 75호를 간행하였다. 해조신문이라는 이름은 해삼위에 살고 있는 조선인들이 만든 신문이라는 의미이다.[1]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신민회 지부 활동을 하던 이강 등이 주도하여 발행하였고, 〈시일야방성대곡〉을 쓴 대한자강회 출신의 장지연이 초빙을 받아 주필을 맡기도 했다. 러시아 거주 한국인이 발행한 최초의 순한글 신문이라는 의미가 있다.[1]
2. 2. 주요 인물
해조신문의 발행에는 신민회 인사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신민회 지부 활동을 하던 이강 등이 주도하였고, 시일야방성대곡을 쓴 대한자강회 출신의 장지연이 주필로 초빙되었다.2. 3. 국내외 배포 및 영향
은 러시아뿐만 아니라 만주, 서울, 원산, 인천, 개성, 평양 등 국내에도 배포되었다. 원산을 통해 국내로 배가되어 배포되었다. 대한매일신보와 제휴하여 국내 배포를 지원했다. 황성신문은 의 발간 취지를 홍보하고 독자들에게 읽을 것을 권유했다. 일본 유학생들의 대한학회월보와 미국의 공립신보도 창간을 축하했다. 자유사상과 독립정신을 고취하여, 대한제국 국내에서 발매가 금지되기도 했다.[1]3. 일제의 탄압과 폐간
일본 유학생들이 간행하는 《대한학회월보》에 해조신문 창간을 축하하는 축사가 실리고, 미국의 《공립신보》도 축하 기사를 게재했을 만큼 많은 관심을 받았다.[1]
해조신문은 대한제국 국내로도 반입되었고,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앞두고 자유사상과 독립정신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했다.[1] 《황성신문》은 해조신문의 발간 취지를 실어 홍보하였으며, 독자들에게 읽을 것을 권유하였다.[1] 이 때문에 통감부 체제 하이던 대한제국에서 발매가 금지되기도 했다.[1]
4. 의의 및 평가
해조신문은 짧은 발행 기간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지역 한인들의 민족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1] 일본 유학생들의 《대한학회월보》와 미국의 《공립신보》에서도 창간을 축하하는 글을 실을 정도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1]
해조신문은 대한제국 국내에도 반입되었고,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앞두고 자유사상과 독립정신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다.[1] 《황성신문》은 발간 취지를 소개하며 독자들에게 읽을 것을 권유했고, 이 때문에 통감부는 국내 판매를 금지하기도 했다.[1]
러시아 거주 한인이 발행한 최초의 순한글 신문이라는 의의가 있다.[1] 해외에서 한글 신문을 발행하여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고 한글 보급에 기여했으며, 당시 언론 상황과 독립운동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4. 1. 독립운동에 기여
해조신문은 짧은 발행 기간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인의 민족 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다.[1] 일본 유학생들이 간행하는 《대한학회월보》에 해조신문 창간을 축하하는 축사가 실렸고, 미국의 《공립신보》도 축하 기사를 게재했을 만큼 많은 관심을 받았다.[1]해조신문은 대한제국 국내로도 반입되었고,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앞두고 자유사상과 독립정신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했다.[1] 《황성신문》은 해조신문의 발간 취지를 실어 홍보하였으며, 독자들에게 읽을 것을 권유하였다.[1] 이 때문에 통감부 체제 하이던 대한제국에서 발매가 금지되기도 했다.[1]
4. 2. 언론사적 의의
러시아 거주 한국인이 발행한 최초의 순한글 신문이라는 의의가 있다.[1] 해외에서 한글 신문을 발행하여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고 한글 보급에 기여했으며, 당시 언론 상황과 독립운동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참조
[1]
웹사이트
해조신문 (海朝新聞)
https://encykorea.ak[...]
2024-02-10
[2]
웹사이트
해조신문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24-02-10
[3]
웹사이트
[제국의 황혼 '100년전 우리는'] [144] 연해주의 抗日신문과 언론인들
https://www.chosun.c[...]
2024-02-12
[4]
웹사이트
대동공보 (大東共報)
https://encykorea.ak[...]
2024-02-12
[5]
웹사이트
블라디보스토크의 한인마을은 왜 신한촌이라고 불리게 되었을까?
http://www.okpedia.k[...]
[6]
웹사이트
[제국의 황혼 '100년전 우리는'] [144] 연해주의 抗日신문과 언론인들
https://www.chosun.c[...]
2024-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1908년 2월 26일 창간호 표지. 텍스트는 거의 대부분 [[한글]]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키릴 문자]]와 [[한자]]가 있다.](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