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핵심 역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심 역량은 1990년 C. K. 프라할라드와 게리 하멜이 제시한 개념으로, 기업의 여러 사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집단적 학습의 결과이며, 단순한 기술이나 생산 능력을 넘어선다. 핵심 역량은 핵심 제품 개발의 기반이 되며, 이는 다양한 최종 제품 생산으로 이어진다. 기업이 산업 변화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유형 자원뿐만 아니라 달성하기 어려운 핵심 역량과 같은 무형 자원도 필요하다. 핵심 역량은 핵심 제품을 통해 회사의 제품 포트폴리오와 관련되며, 설계 구조 행렬 등을 활용하여 핵심 역량을 파악하고 개발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 이론 - 합리적 선택 이론
    합리적 선택 이론은 경제 주체, 정치 행위자, 사회 구성원 등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고 가정하며,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국제관계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경제 이론 - 낙수 경제
    낙수 경제는 부유층의 경제적 번영이 사회 전체로 확산된다는 이론으로, 부유층 감세가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과 논란이 있는 경제 정책이다.
  • 전략적 경영 - 경쟁 우위
    경쟁 우위는 기업이 경쟁사보다 뛰어난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능력으로, 원가 우위나 제품 차별화 우위를 통해 확보되며, 기업 아이덴티티, 핵심 역량, 외부 환경 변화, 그리고 공정한 경쟁 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전략적 경영 -
    팀은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 의존적인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집단이며, 팀워크를 통해 집단적 성과를 내고, 목적, 활동, 상호 의존성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핵심 역량

2. 배경

1990년 C. K. 프라할라드와 게리 하멜은 "기업의 핵심 역량"이라는 논문에서 핵심 역량 개념을 처음 제시하였다.[1] 이들은 핵심 역량이 여러 사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집단적 학습의 결과이며, 단순한 기술이나 생산 능력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핵심 역량은 핵심 제품 개발의 기반이 되며, 이는 다시 다양한 최종 제품 생산으로 이어진다. 이는 수직적 통합보다 중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예를 들어, NEC는 반도체, 통신, 가전 시장에서 핵심 역량을 활용하여 성공을 거두었다.[1]

C. K. 프라할라드와 게리 하멜에 따르면, 핵심 역량은 "기업 전체의 집단적 학습"이다. 따라서 핵심 역량은 전략 사업부 (SBU)에 적용될 수 없으며, 기업 수준에서 관리되는 자원 조합을 의미한다.

미래 산업 변화에 대응하여 역량을 관리하고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는 여러 가지 이유로 경쟁사가 복제하거나 경쟁하기 어려운 다양한 정보기술 (IT) 기반 혁신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3. 핵심 역량과 제품 개발

프라할라드와 하멜(1990)은 핵심 역량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의 원동력으로 정의했다. 역량은 기업이 성장하는 뿌리와 같으며, 열매가 최종 제품인 나무와 같다.[6]

핵심 제품은 "광범위한 최종 제품의 경쟁력에 기여한다. 이는 핵심 역량의 물리적 구현이다."[7] 핵심 역량과 관련하여 제품 포트폴리오를 식별하는 접근 방식과 그 반대의 경우도 최근 몇 년 동안 개발되었다. 제품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핵심 역량을 식별하는 한 가지 접근 방식은 Danilovic & Leisner (2007)에 의해 제안되었다.[8] 그들은 설계 구조 행렬을 사용하여 제품 포트폴리오의 특정 제품에 역량을 매핑한다. 그들의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역량 클러스터를 핵심 역량으로 집계할 수 있다. Bonjour & Micaelli (2010)는 회사가 핵심 역량 개발을 얼마나 달성했는지 평가하는 유사한 방법을 도입했다.[9] 더 최근에 Hein et al.은 핵심 역량을 역량에 대한 크리스텐슨의 개념과 연결하며, 이는 자원, 프로세스 및 우선 순위로 정의된다.[10][11] 또한, 그들은 핵심 역량 개발에 대한 기여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제품 아키텍처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4. 핵심 역량의 중요성과 활용

C. K. 프라할라드와 게리 하멜은 1990년 논문 "기업의 핵심 역량"에서 핵심 역량이 핵심 제품 개발로 이어지며, 이는 최종 사용자를 위한 다른 많은 제품을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 핵심 역량은 기업이 고객 및 이해 관계자의 가치를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3]

알렉산더와 마틴(2013)은 기업의 경쟁력은 핵심 역량을 개발하는 능력에 기반한다고 말한다.[4] 핵심 역량은 전문 지식, 기술, 경영 능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핵심 역량 구축은 최고 경영진이 전체 역량을 활용하기 위해 시행해야 하는 전략적 아키텍처의 결과이다.

C. K. 프라할라드와 게리 하멜(1990)에 따르면, 핵심 역량은 "기업 전체의 집단적 학습"이므로, 전략 사업부 (SBU)가 아닌 기업 수준에서 관리되어야 한다.

경영진은 미래 산업 변화에 적응하고 회사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자원을 통제하는 방법을 발견해야 한다. 이들은 새로운 사업 창출 과정을 활성화하기 위해 미래에 어떤 핵심 역량을 구축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점을 개발해야 한다.

조직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유형 자원뿐만 아니라 달성하기 어렵고 도전적인 핵심 역량과 같은 무형 자원도 필요하다.[5]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는 다양한 정보기술 (IT) 기반 혁신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어 경쟁사가 핵심 역량을 복제하거나 경쟁하기 어렵다.

5. 한국 기업의 핵심 역량 (한국 관점)

핵심 역량(Core competency영어)은 기업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차별화된 핵심 기술, 프로세스, 경영 방식 등을 의미한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 심화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직면하여 생존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핵심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도 투자를 확대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는 수소차, 전기차 등 친환경차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네이버'''는 검색,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이루며 글로벌 IT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국 기업의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기업의 기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R&D 투자를 확대하고,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 인재 양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 시스템을 혁신하고, 산학 협력을 강화한다.
  • 규제 완화: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여 기업의 혁신 활동을 촉진하고, 신산업 분야의 성장을 지원한다.


하지만 한국 기업의 핵심 역량 개발에는 여전히 과제가 남아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술 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을 강화하고,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혁신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다.

참조

[1] 논문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ttp://km.camt.cmu.a[...] 1990
[2] 서적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McGraw-Hill Education 2013
[3] 논문 The integrated model of core competence and core capability 2015
[4] 논문 Intermediaries for open innovation: A competence-based comparison of knowledge transfer offices practices 2013
[5] 뉴스 Distinctive Competencies: How to Use Your Capabilities http://inevitableste[...] Inevitable Steps 2015-06-10
[6] 논문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1990
[7] 기타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1990
[8] 기타 Analyzing core competence and core products for developing agile and adaptable corporation. http://www.designsoc[...] 2007
[9] 기타 Design core competence diagnosis: a case from the automotive industry http://hal.archives-[...] 2010
[10] 기타 Towards a Capability Framework for Systems Architecting and Technology Strategy https://www.academia[...] 2014
[11] 서적 Assessing Your Organization’s Capabilities: Resources, Processes, and Priorities McGraw Hill 2006
[12] 웹사이트 コアコンピタンスとは https://www.macromil[...] 2021-08-14
[13] 기타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1990-05
[14] 서적 マネジメント・セオリー 培風館
[15] 웹사이트 滋賀県近江八幡市の人材派遣・人材紹介会社|株式会社エイペックス http://apex.shiga.jp[...] 2021-08-14
[16] 웹사이트 コアコンピタンス|ITパスポート用語辞典 https://www.itpasspo[...] 2021-08-14
[17] 서적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2/E: Managing the Digital Firm P.137 Pearson Education As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