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향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격은 언어학에서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격을 의미하며, 핀란드어, 발트어군 언어, 그리스어, 성서 히브리어, 영어, 기타 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핀란드어에서는 부사나 향외격, 라티브 격으로 나타나며, 현대 핀란드어에서는 다른 격으로 대체되었다. 발트어군 언어에서는 부사에서 흔적이 나타나며, 그리스어에서는 미케네 그리스어에서 접미사로, 고대 그리스어 단어에 흔적이 남아있다. 영어에서는 접미사 -ward/-wards가 향격의 역할을 하며, 기타 언어에서도 행위의 수혜자, 소유, 이동 수단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라틴어에서는 대격이 향외격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격 - 주격
    주격은 문법에서 명사, 형용사, 대명사 등이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할 때 사용되는 격으로, 동사의 주어를 나타내며 많은 언어에서 발견된다.
  • 격 - 여격
    여격은 문법의 한 종류로, 간접 목적어, 소유, 방향 등을 표현하며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고, 주어의 감정, 능력, 경험 등을 나타내거나 윤리 여격 형태로 이해관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향격

2. 핀란드어

핀란드어에서 향격은 대개 구식이 되었지만, 많은 부사들에서 나타난다.[3] 현대 핀란드어에서 향격은 더 복잡한 위치격 체계에 대체되었고, 원래의 접미사 -s도 다른 향격이나 위치격 조사에 합쳐져 재내격, 탈외격, 향내격, 전환격으로 바뀌었다. 핀란드어(우랄어족)에서 향외격은 "~위로"의 의미를 가지며, ''-lle''로 나타난다.[1]

2. 1. 핀란드어 향격의 용법

핀란드어에서 향격은 대개 구식이 되었지만, 많은 부사들에서 나타난다.[3]

  • ''alas'' "아래로"
  • ''kauas''/''kauemmas'' "멀리"
  • ''pois'' "(going) away"
  • ''rannemmas'' “육지로”


향격조사는 대개 ''-s''이다.[3]

현대 핀란드어에서, 향격은 더 복잡한 위치격 체계에 대체되었고, 원래의 접미사 -s도 다른 향격이나 위치격 조사에 합쳐져 재내격, 탈외격, 향내격, 전환격으로 바뀌었다.

핀란드어(우랄어족)에서, 향외격은 다섯 번째의 위치격으로, "~위로"의 의미를 가진다. 핀란드어에서 이 격은 ''-lle''로 나타난다. 다음은 이 예시이다.

  • ''pöydälle'' "식탁 위로"


또, 향외격은 "장소 근처에서"의 의미로 근접격의 보어로 쓰인다.

  • ''koululle'' "학교 근처까지"


시간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 ''... lähti ruokatunnille''("... 점심 시간에")


몇몇 행동들은 이 격을 요구한다.

  • ''kävely'' - ''mennä kävelylle'' "산책 - 산책을 가다"


이 격은 "to"나 "for"을 뜻하기도 한다.

  • ''minulle'' "내게/나를 위해"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의 다른 위치격은 다음과 같다.

핀란드어에서 라티브 격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여전히 다양한 부사에서 나타난다: ''alas, alemmas,'' "아래로, 더 아래로", ''kauas,'' ''kauemmas'' "(이동) 멀리, 더 멀리", ''pois'' "(가는) 멀리", 그리고 ''rannemmas'' "해안으로 더 가까이" ( 'ranta' [해안]에서 파생). 라티브 접미사는 일반적으로 ''-s''이다.[1]

현대 핀란드어에서는 더 복잡한 국격 체계와 후치사에 의해 대체되었으며, 원래의 -s는 다른 라티브 또는 국격 접미사와 병합되어 현대의 내격, 탈격, 입격 및 변환격 접미사가 되었다.

2. 2. 핀란드어의 다른 위치격

핀란드어에서 향격은 대개 구식이 되었지만, 많은 부사들에서 나타난다.[3]

  • ''alas'' "아래로"
  • ''kauas''/''kauemmas'' "멀리"
  • ''pois'' "(가는) 멀리"
  • ''rannemmas'' "육지로"


향격 조사는 대개 ''-s''이다.[3]

현대 핀란드어에서 향격은 더 복잡한 위치격 체계에 대체되었고, 원래의 접미사 -s도 다른 향격이나 위치격 조사에 합쳐져 재내격, 탈외격, 향내격, 전환격으로 바뀌었다. 핀란드어(우랄어족)에서 향외격은 다섯 번째 위치격으로, "~위로"라는 의미를 가진다. 핀란드어에서 이 격은 ''-lle''로 나타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pöydälle'' "식탁 위로"


또, 향외격은 "장소 근처에서"라는 의미로 근접격의 보어로 쓰인다.

  • ''koululle'' "학교 근처까지"


시간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 ''... lähti ruokatunnille'' ("... 점심 시간에")


몇몇 행동들은 이 격을 요구한다.

  • ''kävely'' - ''mennä kävelylle'' "산책 - 산책을 가다"


이 격은 "to"나 "for"를 뜻하기도 한다.

  • ''minulle'' "내게/나를 위해"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의 다른 위치격은 다음과 같다.

2. 3. 핀란드어 라티브 격

핀란드어에서 향외격은 다섯 번째 위치격으로, "-위로"라는 뜻을 가진다. 핀란드어에서 이 격은 ''-lle''로 나타난다. "pöydälle"는 "식탁 위로"를 뜻한다.

또한, 향외격은 "장소 근처에서"라는 뜻으로 근접격의 보어로 쓰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koululle'' "학교 근처까지"

시간을 나타낼 때도 쓰인다.

:''... lähti ruokatunnille'' ("... 점심 시간에")

몇몇 행동들은 이 격을 요구한다.

:. ''kävely'' - ''mennä kävelylle'' "산책 - 산책을 가다"

이 격은 "to"나 "for"을 뜻하기도 한다.

: ''minulle'' "내게/나를 위해"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의 다른 위치격은 다음과 같다.

핀란드어에서 라티브 격은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alas, alemmas,'' "아래로, 더 아래로", ''kauas,'' ''kauemmas'' "(이동) 멀리, 더 멀리", ''pois'' "(가는) 멀리", ''rannemmas'' "해안으로 더 가까이" ( 'ranta' [해안]에서 파생) 등 다양한 부사에서 여전히 나타난다. 라티브 접미사는 보통 ''-s''이다.[1]

현대 핀란드어에서는 더 복잡한 국격 체계와 후치사에 의해 대체되었으며, 원래의 -s는 다른 라티브 또는 국격 접미사와 합쳐져 현대의 내격, 탈격, 입격, 변환격 접미사가 되었다.

3. 발트어군 언어

리투아니아어라트비아어에서는 향외격이 원시인구어에서 분기한 이후부터 쓰여 왔지만,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리투아니아어에서 향외격은 ''-opi''에서 축약된 ''-op''를 통해 나타난다. 라트비아어에서 이는 ''-up''에 해당한다. 두 현대어에서 향외격의 흔적은 부사가 된 몇몇 관용표현들에서 나타난다. 리투아니아어의 예로는 ''išėjo Dievop'' ("신에게 가다", 죽었다), ''velniop!'' ("지옥 같다!"), ''nuteisti myriop'' ("사형선고"), ''rudeniop'' ("가을로"), ''vakarop'' ("오후로") 등이 있으며, 라트비아어의 예로는 ''mājup'' ("집으로"), ''kalnup'' ("언덕 위로"), ''lejup'' ("언덕 아래로") 등이 있다.

4. 그리스어

미케네 그리스어에서 '-de'는 향외격을 표시했다.[4] 예를 들어, *''Tʰēgʷasde''는 "테베로"를 의미한다.(𐀳𐀣𐀆gmy) 이 접사는 ''Athḗnaze''와 같은 몇몇 고대 그리스어 단어에서 살아남았는데,[5] 이는 대격(accusative) ''Athḗnās''에 '-de'가 붙은 형태이다.

5. 성서 히브리어

성서 히브리어에서 명사에 붙는 ה ָ– /-ɔh/ 접미사(''he'' 또는 ''he locale'')는 향외격으로서 기능했다.[6]

6. 영어

영어에서 접미사 ''-ward/-wards''는 새로 신설되었으나 분포가 제한된 향외격으로 생각할 수 있다.[1] 이 접미사는 몇몇 명사에서 파생되어 몇몇 형용사와 부사에서 행동의 방향을 나타낸다.

7. 기타 언어


  • '''호주 원주민 언어 wanvi어'''[2]

: 소멸한 호주 원주민 언어 wanvi어에도 향외격이 있었다. xes ''-[https://en.wiktionary.org/wiki/-kurru#Wanyi kurru/wurru]''.

  • '''초원 마리어'''[2]

: 일라티브 격에 비해 라티브의 사용은 제한적이다. 일라티브는 무언가 안/으로/를 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와 자유롭게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라티브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동사의 수가 더 적은 경우에만 나타난다.

:* 대표적인 동사 예시: кодаш|kodašchm "남다, 머물다", шинчаш|šinčašchm "앉다", шочаш|šočašchm "태어나다", сакаш|sakašchm "걸다, 매달리다", пӱшташ|põštašchm "놓다, 두다", кушкаш|kuškašchm "자라다 (자동사)".

:* 많은 경우, 일라티브 격과 라티브 격 모두 동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шочаш|šočašchm 또는 кушкаш|kuškašchm와 같은 일부 동사는 장소를 향한 움직임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라티브 격은 또한 몇 가지 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행동의 원인이나 그 행동이 발생하는 상황

::* 어떤 일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기간

::* 누군가 또는 무언가를 어떻게 간주하는지, 무엇으로 간주되는지

::* 어떤 수단으로 무언가가 이동, 재배치 또는 변화하는지
: 북동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체즈어와 같은 언어에서 라티브 격은 행위의 수혜자 또는 수혜자를 표시하는 데 여격의 기능도 수행한다.

:* 일부 언어학자들은 접미사가 두 격 모두 정확히 동일하지만, 이러한 언어에서 여전히 두 개의 별도 격으로 간주한다. 다른 언어학자들은 구문론적 격을 장소 격과 구분하기 위해 별도로 나열한다.

:* 여격/라티브 격은 소유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되며, "가지다"에 해당하는 동사는 없다.

:* 지각 동사 또는 감정 동사("보다", "알다", "사랑하다", "원하다" 등) 역시 논리적 주어가 여격/라티브 격으로 나타나야 한다.

8. 라틴어

마을과 작은 섬의 대격은 향외격과 비슷한 방식으로 행동의 방향을 표시하는 데 쓰였다.[7]

참조

[1] 웹사이트 Finnish Grammar - Adverbial Cases http://users.jyu.fi/[...] University of Jyväskylä 2015-03-06
[2] 서적 Mari (марий йылме): An Essential Grammar for International Learners. [Draft version] https://www.univie.a[...] University of Vienna [published online at grammar.mari-language.com] 2019
[3] 웹인용 Finnish Grammar - Adverbial Cases http://users.jyu.fi/[...] University of Jyväskylä 2015-03-06
[4] 서적 Documents in Mycenaean Greek
[5] 문서 Ἀθήναζε
[6] 서적 Introduction to Biblical Hebrew Syntax Eisenbrauns 1990
[7] 문서 sect. 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