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우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우회는 출신 지역을 기반으로 결성된 친목 단체이다.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며, 친목 도모, 상호부조, 민족 의식 고취 등의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부터 1950년대까지는 민족 정체성 유지에 기여했으며,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역할을 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정치적 영향력 행사 등의 문제점과 함께, 지역 사회 봉사, 문화 교류 등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단체 - 한국기자협회
한국기자협회는 196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자 단체로, 언론 자유 수호, 기자 자질 향상, 기자 권익 옹호, 국제 교류 강화, 민족 동질성 회복을 5대 강령으로 하며, 언론 자유 신장 캠페인, 기자 권익 향상, '기자협회보' 발행, 이달의 기자상 및 한국기자상 시상, 기자수첩 배포 등의 활동을 펼치고 국제기자연맹(IFJ) 정회원으로서 국제 협력을 강화한다. - 대한민국의 단체 -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는 시·도 간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고 지역 사회의 균형 발전을 목표로 1999년 설립 의결, 2005년 사무처 개소, 201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기관이다.
향우회 | |
---|---|
지도 | |
개요 | |
정의 | '향우회(鄕友會)는 고향[鄕]을 같이 하는 사람들[友]의 모임[會]이다. 유향민의 친목 단체이며, 재외민이나 이주민들이 모여 만든다.' |
주요 기능 | '친목 도모, 정보 교환, 상부상조, 고향 발전 기여' |
목적 | '향리 주민의 유대를 강화하고, 상호 협력을 도모하며, 고향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특징 | |
구성원 | '주로 같은 고향 출신 사람들로 구성된다.' |
활동 범위 |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이 주로 조직한다.' |
조직 형태 | '비공식적인 친목 모임부터 법인 형태까지 다양하다.' |
운영 방식 | '회비, 찬조금, 기부금 등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
유형 | |
지역별 | '출신 지역을 기반으로 조직 (예: 재경 ○○ 향우회)' |
직능별 | '특정 직업군이나 단체 소속의 향우회' |
학교별 | '같은 학교 출신들의 향우회' |
기타 | '다양한 목적과 특성을 가진 향우회' |
활동 | |
정기 모임 | '정기적인 친목 모임 및 행사 개최' |
정보 교류 | '회원 간의 정보 공유 및 네트워크 형성' |
상호 지원 | '회원 간의 상호 부조 및 어려움 지원' |
고향 지원 | '고향 발전을 위한 기금 마련 및 지원 사업' |
문화 활동 | '고향 관련 문화 행사 개최 및 참여' |
봉사 활동 | '지역 사회를 위한 봉사 활동' |
비판적 시각 | |
배타성 | '과도한 친목 중심 활동으로 인한 배타적 성격 문제' |
지역 이기주의 | '지역 감정 조장 및 지역 이기주의 심화 우려' |
정치적 이용 | '정치 세력의 선거운동에 이용되는 사례' |
조직 운영의 문제점 | '운영의 투명성 부족 및 비리 발생 가능성' |
관련 용어 | |
유향민 |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거주하는 사람' |
재외민 | '외국에 거주하는 동포' |
동창회 | '같은 학교 출신들의 모임' |
동호회 |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의 모임' |
2. 역사
오랜 역사를 가진 향우회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887년 | 미카와(三河) 향우회 발족[2] |
1904년 | 도쿄 아마미(奄美)회 발족[3] |
1911년 | 도쿄 아마쿠사(天草) 향우회 발족[4] |
1917년 | 간사이 아마미(奄美)회 발족 |
1925년 | 도쿄 타케토미(竹富) 향우회 발족[4] |
2. 1. 한국의 향우회
같은 고향 출신자들이 특정 지역에 모여 친목, 협력 등을 목적으로 결성되는 조직이다. 설립 목적에 따라서는 고향 발전, 지역 사회 기여 등을 내세우거나, 기숙사, 합숙소 운영이나 회관 운영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극히 일부에는 정치 단체화되는 사례도 있다.[1]단체에 따라서는 재단법인(공익재단법인), 사단법인 등의 법인격을 취득한 사례도 있다.
단체 명칭에 "향우회"를 포함하는 경우(예: 삼가향우회)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역의 범위에 따라 하위 조직을 묶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단체 명칭에 여러 지명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부분 앞쪽이 소재지, 뒤쪽이 출신지를 나타낸다.
향우회는 고향을 같이하는 친구들의 모임이므로, 읽는 법은 "향우회"가 옳다.[1] 그러나, "고우유카이"로 잘못 읽는 경우도 많다. "향"을 "고우"로 읽으면 율령제 하의 역사적인 행정구역 등을 의미하므로, 의미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호유"하기 위한 모임으로 잘못 들을 가능성도 있다.
같은 고향이라고 느끼는 범위는 출신 지역의 역사적, 행정적인 경위나 생활 습관, 방언 등에 따라 다르며, 또한 단체를 형성할 만큼 충분한 수의 사람이 모일 필요가 있으므로, 고향을 떠나 생활하는 사람의 수도 영향을 미친다.
2. 2. 일본의 향우회
일본에서는 고등교육기관이나 취업 기회가 적은 지방 출신자들이 도시로 이주하면서 친목 도모와 상호 협력을 위해 향우회를 결성하는 경우가 많다.오랜 역사를 가진 향우회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887년 | 미카와(三河) 향우회 발족[2] |
1904년 | 도쿄 아마미(奄美)회 발족[3] |
1911년 | 도쿄 아마쿠사(天草) 향우회 발족[4] |
1917년 | 간사이 아마미(奄美)회 발족 |
1925년 | 도쿄 타케토미(竹富) 향우회 발족 |
향우회라는 명칭은 주로 일본이나 대한민국 내 같은 고향 출신자들의 조직(향우회|향우회한국어)에 사용되지만, 해외에서도 같은 고향 출신자가 많은 경우 향우회라는 이름으로 조직이 만들어지기도 한다(예: 하와이 야마나시 향우회).[1] 중국인, 화교는 "동향회"(동향회, 중국어:同乡会|퉁샹후이중국어, )와 같은 유사한 조직을 갖는 경우가 많다(예: 사단법인 광동동향회, 요코하마 복건동향회, 재일대만동향회 등).[1] 그러나 화교 단체에서도 "향우회"라고 명명하는 경우도 있으며(예: 요코하마 중산 향우회), 반대로 일본 단체에서도 "동향회"라고 명명하는 경우도 있다(예: 도쿄 미야코 동향회 등).[1]
3. 유형 및 명칭
향우회는 고향을 같이하는 친구들의 모임이므로, "향우회"로 읽는 것이 옳다.[1] "향"을 "고우"로 읽으면 율령제 하의 역사적인 행정구역 등을 의미하므로, 의미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호유"하기 위한 모임으로 잘못 들을 가능성도 있어 "고우유카이"로 잘못 읽는 경우도 많다.[1]
3. 1. 지역 범위에 따른 유형
고등교육기관이나 취업할 곳이 적은 지방에서는 의무교육을 마치면 고향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때 친척이나 선배의 도움을 받아 취업처나 거주지를 소개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관습을 배경으로, 같은 고향 출신자들이 특정 지역에 모여 친목, 협력 등을 목적으로 결성되는 조직이다.[1] 설립 목적에 따라서는 고향 발전, 지역 사회 기여 등을 내세우거나, 기숙사, 합숙소 운영이나 회관 운영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1] 극히 일부에는 정치 단체화되는 사례도 있다.[1]
단체 명칭에 "향우회"를 포함하는 경우(예: 삼가향우회, 도쿄 아마쿠사 향우회, 간토 미야라 향우회 등)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간사이 아마미회, 도쿄 요부시회 등)가 있다.[1] 또한, 지역의 범위에 따라 하위 조직을 묶고 있는 경우도 있다(도쿄 야에야마 향우연합회, 도쿄 아마미회 등).[1] 단체 명칭에 여러 지명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부분 앞쪽이 소재지, 뒤쪽이 출신지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도쿄 아마쿠사 향우회는 아마쿠사 제도 출신으로 도쿄도 등에 있는 사람들의 단체).[1]
같은 고향이라고 느끼는 범위는 출신 지역의 역사적, 행정적인 경위나 생활 습관, 방언 등에 따라 다르며, 또한 단체를 형성할 만큼 충분한 수의 사람이 모일 필요가 있으므로, 고향을 떠나 생활하는 사람의 수도 영향을 미친다.[1]
3. 2. 결성 목적에 따른 유형
고등교육기관이나 취업할 곳이 적은 지방에서는 의무교육을 마치면 고향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때 친척이나 선배의 도움을 받아 취업처나 거주지를 소개받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관습을 배경으로, 같은 고향 출신자들이 특정 지역에 모여 친목, 협력 등을 목적으로 결성되는 조직이다.[1] 설립 목적에 따라서는 고향 발전, 지역 사회 기여 등을 내세우거나, 기숙사, 합숙소 운영이나 회관 운영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극히 일부에는 정치 단체화되는 사례도 있다.[1]
단체에 따라서는 재단법인(공익재단법인), 사단법인 등의 법인격을 취득한 사례도 있다.[1]
3. 3. 명칭
단체 명칭에 "향우회"를 포함하는 경우(예: 삼가향우회, 도쿄 아마쿠사 향우회, 간토 미야라 향우회 등)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간사이 아마미회, 도쿄 요부시회 등)가 있다.[1] 지역 범위에 따라 하위 조직을 묶고 있는 경우도 있다(도쿄 야에야마 향우연합회, 도쿄 아마미회 등).[1] 단체 명칭에 여러 지명이 있으면, 대부분 앞쪽이 소재지, 뒤쪽이 출신지를 나타낸다(예: 도쿄 아마쿠사 향우회는 아마쿠사 제도 출신으로 도쿄도 등에 있는 사람들의 단체).[1]
향우회라는 명칭은 주로 일본이나 대한민국 내 같은 고향 출신자들의 조직(한국어: 향우회|향우회한국어)에 사용되지만, 해외에서도 같은 고향 출신자가 많은 경우 향우회라는 이름으로 조직이 만들어지기도 한다(예: 하와이 야마나시 향우회).[1] 중국인, 화교는 "동향회"(동향회, 중국어:同乡会|퉁샹후이중국어, ) 등과 같은 유사한 조직을 갖는 경우가 많다(예: 사단법인 광동동향회, 요코하마 복건동향회, 재일대만동향회 등).[1] 그러나 화교 단체에서도 "향우회"라고 명명하는 경우도 있으며(예: 요코하마 중산 향우회), 반대로 일본 단체에서도 "동향회"라고 명명하는 경우도 있다(예: 도쿄 미야코 동향회 등).[1]
향우회는 고향을 같이하는 친구들의 모임이므로, "향우회"로 읽는 것이 옳다.[1] "향"을 "고우"로 읽으면 율령제 하의 역사적인 행정구역 등을 의미하므로, 의미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호유"하기 위한 모임으로 잘못 들을 가능성도 있어 "고우유카이"로 잘못 읽는 경우도 많다.[1]
4. 기능 및 역할
향우회는 고향을 떠나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이 친목, 협력 등을 목적으로 결성하는 조직이다.[1] 주요 기능 및 역할로는 고향 발전, 지역 사회 기여, 기숙사 및 합숙소, 회관 운영 등이 있으며, 극히 일부는 정치 단체화되기도 한다.[1]
재단법인(공익재단법인), 사단법인 등 법인격을 취득한 단체도 있다.[1]
같은 고향이라고 느끼는 범위는 출신 지역의 역사적, 행정적인 경위나 생활 습관, 방언 등에 따라 다르며, 단체 구성원의 수 또한 고향을 떠나 생활하는 사람의 수에 영향을 받는다.[1]
5. 현대 사회와 향우회
고등교육기관이나 취업할 곳이 적은 지방에서는 의무교육을 마치면 고향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때 친척이나 선배의 도움을 받아 취업처나 거주지를 소개받는 경우도 많다.[1] 이러한 관습을 배경으로, 같은 고향 출신자들이 특정 지역에 모여 친목, 협력 등을 목적으로 조직을 결성한다. 설립 목적에 따라서는 고향 발전, 지역 사회 기여 등을 내세우거나, 기숙사, 합숙소, 회관 운영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극히 일부에는 정치 단체화되는 사례도 있다.[1]
단체에 따라서는 재단법인(공익재단법인), 사단법인 등의 법인격을 취득한 사례도 있다.[1]
단체 명칭에 "향우회"를 포함하는 경우(예: 삼가향우회)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1] 지역 범위에 따라 하위 조직을 묶고 있는 경우도 있다.[1] 단체 명칭에 여러 지명이 포함된 경우, 대부분 앞쪽이 소재지, 뒤쪽이 출신지를 나타낸다.[1]
향우회라는 명칭은 주로 일본이나 대한민국 내 같은 고향 출신자들의 조직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해외에서도 같은 고향 출신자가 많은 경우에는 향우회라는 이름으로 조직이 만들어지기도 한다.[1] 한편, 중국인, 화교는 "동향회"(同乡会|퉁샹후이중국어)와 같은 유사한 조직을 갖는 경우가 많다.[1] 그러나 화교 단체에서도 "향우회"라고 명명하는 경우도 있으며, 반대로 일본 단체에서도 "동향회"라고 명명하는 경우도 있다.[1]
향우회는 고향을 같이하는 친구들의 모임이므로, "향우회"로 읽는 것이 옳다.[1] 그러나 "고우유카이"로 잘못 읽는 경우도 많다.[1] "향"을 "고우"로 읽으면 율령제 하의 역사적인 행정구역 등을 의미하므로, 의미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호유"하기 위한 모임으로 잘못 들을 가능성도 있다.
같은 고향이라고 느끼는 범위는 출신 지역의 역사적, 행정적인 경위나 생활 습관, 방언 등에 따라 다르며, 단체를 형성할 만큼 충분한 수의 사람이 모일 필요가 있으므로, 고향을 떠나 생활하는 사람의 수도 영향을 미친다.[1]
참조
[1]
서적
大辞泉
小学館
1995
[2]
웹사이트
三河郷友会について
http://www.mikawagoy[...]
三河郷友会
2016-05-26
[3]
웹사이트
東京奄美会歴代会長
http://www.tokyo-ama[...]
東京奄美会
2016-05-26
[4]
웹사이트
東京天草郷友会百年の歩み
http://amakusa-gouyu[...]
東京天草郷友会
2016-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