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케인 필릭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리케인 필릭스는 2007년 8월 대서양에서 발생하여, 9월 4일 니카라과 북동부에 상륙한 허리케인이다. 필릭스는 5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하며 니카라과와 온두라스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13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카리브해 섬 지역에도 강풍과 폭우로 인한 피해가 있었으며, 니카라과에서는 4만 명 이상이 피해를 입고 9,000채의 가옥이 파괴되었다. 국제 사회는 긴급 구호 자금과 물품을 지원했으며, 필릭스는 광범위한 피해와 높은 사망자 수로 인해 2008년 영구 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리케인 필릭스 | |
|---|---|
| 기본 정보 | |
![]() | |
| 발생일 | 2007년 8월 31일 |
| 소멸일 | 2007년 9월 7일 |
| 기상 정보 | |
| 최대 풍속 | 시속 150마일 (시속 240킬로미터) |
| 최저 기압 | 929 hPa |
| 피해 | |
| 연도 | 2007년 |
| 사망자 | 133명 (직접 사망 130명, 간접 사망 3명) |
| 피해액 | 7억2천만 미국 달러 |
| 영향 지역 | 트리니다드 토바고 윈드워드 제도 베네수엘라 리워드 안틸레스 제도 아루바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니카라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벨리즈 과테말라 멕시코 |
| 관련 정보 | |
| 허리케인 시즌 | 2007년 북대서양 허리케인 |
| 다른 허리케인 | 필릭스 이름을 가진 다른 태풍 |
2. 발생 및 진행 과정

허리케인 필릭스는 8월 27일 대서양에서 발생한 저기압에서 시작되었다. 이 저기압은 서쪽으로 이동하며 점차 발달하여 8월 31일 21:00 UTC에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에 의해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10]
열대저기압은 유리한 환경 속에서 빠르게 발달하여 9월 1일 열대폭풍 '필릭스(Felix)'로 강화되었고,[11] 9월 2일에는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14] 이후 필릭스는 카리브해 남부를 서진하며 폭발적 강화를 거쳐, 9월 3일 00:00 UTC에는 최고 등급인 5등급 허리케인으로 격상되었다.[1] 이때 최저 중심 기압은 929 hPa를 기록했으며, 이는 기록상 매우 빠른 강화 속도에 해당했다.[1][17]
9월 3일 오후 잠시 4등급으로 약화되었으나,[21] 9월 4일 다시 5등급 세력으로 재강화하여 니카라과 북동부 해안, 모스키토 해안 지역에 상륙했다.[23][24] 육지에 상륙한 필릭스는 급격히 약화되어 9월 5일 열대폭풍, 이후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고, 같은 날 NHC는 필릭스가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며 예보를 종료했다.[27][28] 필릭스의 잔해는 중앙아메리카 내륙을 지나 9월 7일 멕시코에서 완전히 소멸했다.[1]
다음은 허리케인 필릭스의 세력 변화를 요약한 표이다.
| 형태 | 날짜 및 시간 (UTC) | 위도 (°N) | 경도 (°W) | 바람 (노트) | 기압 (hPa) | ACE |
|---|---|---|---|---|---|---|
| 열대저기압 | 8월 31일 12시 | 11.5 | 56.6 | 25 | 1009 | 0 |
| 열대저기압 | 8월 31일 18시 | 11.5 | 58.0 | 30 | 1008 | 0 |
| 열대폭풍 | 9월 1일 0시 | 12.1 | 59.4 | 35 | 1007 | 0.1225 |
| 열대폭풍 | 9월 1일 6시 | 12.1 | 61.1 | 40 | 1005 | 0.1600 |
| 열대폭풍 | 9월 1일 12시 | 12.2 | 62.8 | 50 | 1001 | 0.2500 |
| 열대폭풍 | 9월 1일 18시 | 12.4 | 64.5 | 60 | 999 | 0.3600 |
| 허리케인 | 9월 2일 0시 | 12.6 | 66.1 | 65 | 992 | 0.4225 |
| 허리케인 | 9월 2일 6시 | 12.7 | 67.8 | 85 | 985 | 0.7225 |
| 허리케인 | 9월 2일 12시 | 13.0 | 69.4 | 90 | 980 | 0.8100 |
| 허리케인 | 9월 2일 18시 | 13.4 | 71.1 | 115 | 962 | 1.3225 |
| 허리케인 | 9월 3일 0시 | 13.8 | 73.0 | 150 | 935 | 2.2500 |
| 허리케인 | 9월 3일 6시 | 14.0 | 75.0 | 150 | 929 | 2.2500 |
| 허리케인 | 9월 3일 12시 | 14.2 | 76.9 | 140 | 937 | 1.9600 |
| 허리케인 | 9월 3일 18시 | 14.3 | 78.7 | 115 | 951 | 1.3225 |
| 허리케인 | 9월 4일 0시 | 14.4 | 80.4 | 115 | 950 | 1.3225 |
| 허리케인 | 9월 4일 06시 | 14.3 | 81.9 | 135 | 939 | 1.8225 |
| 허리케인 | 9월 4일 12시 | 14.3 | 83.2 | 140 | 934 | 1.9600 |
| 허리케인 | 9월 4일 18시 | 14.3 | 84.4 | 85 | 962 | 0.7225 |
| 열대폭풍 | 9월 5일 0시 | 14.6 | 85.4 | 50 | 982 | 0.2500 |
| 열대저기압 | 9월 5일 06시 | 15.0 | 86.4 | 25 | 1004 | 0 |
| 저기압 | 9월 5일 12시 | 15.5 | 87.3 | 20 | 1006 | |
| 저기압 | 9월 5일 18시 | 16.1 | 88.3 | 20 | 1007 | |
| 저기압 | 9월 6일 0시 | 16.5 | 89.5 | 20 | 1007 | |
| 저기압 | 9월 6일 06시 | 16.7 | 90.8 | 20 | 1007 | |
| 저기압 | 9월 6일 12시 | 17.2 | 92.4 | 20 | 1007 | |
| 저기압 | 9월 6일 18시 | 17.7 | 93.8 | 15 | 1010 | |
| 소멸 | 9월 7일 0시 |
2. 1. 발생 초기
열대 파동 하나가 8월 24일 아프리카 해안에서 출발하여 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이 파동은 깊은 대류 활동을 동반했지만, 초기에는 뚜렷한 저고도 순환 구조를 보이지는 않았다.[1][2] 습한 환경을 통과하며 산발적인 뇌우가 발달했고,[4] 8월 25일 위성 이미지에서는 열대 수렴대 북쪽에서 넓은 범위의 사이클론 회전이 관측되었다.[5]파동은 계속해서 대류 활동을 발달시켰고, 8월 27일에는 카보베르데의 프라이아 남서쪽 약 약 1335.75km 해상에서 중심 기압 1012 hPa (29.88 inHg)의 저기압으로 발달했다.[6] 이후 며칠간 큰 변화는 없었으나,[7] 8월 30일 들어 저기압의 순환 구조가 더 뚜렷해졌다.[8] 다음 날인 8월 31일에는 대류가 더욱 활발해졌고,[9] 허리케인 헌터가 저기압 내부로 비행하여 폐쇄된 저고도 순환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는 같은 날 21:00 UTC에 남부 윈드워드 제도 동남동쪽 약 약 289.68km 지점에 위치한 이 저기압을 '열대성 저기압 6호'로 지정하고 예보를 시작했다.[10]
열대성 저기압은 강한 아열대 능선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서북서진했다. 주변 환경은 약한 풍속 시어와 따뜻한 해수면 온도 덕분에 추가 발달에 유리했으며, 저기압은 뚜렷한 강우대와 확장되는 상층 유출 구조를 보였다.[10] 중심 부근의 대류가 강화되면서, 저기압은 9월 1일 09:00 UTC경 그레나다 섬을 통과한 직후 열대 폭풍 '펠릭스(Felix)'로 발달했다.[11]

펠릭스는 중심 주변으로 강하게 감기는 강우대를 동반한 작은 중심부 대류 핵을 형성하며 빠르게 발달했다.[12] 같은 날 오후에는 위성 이미지에서 눈과 유사한 구조가 관측되기 시작했다.[13] 허리케인 헌터의 관측 보고를 바탕으로, NHC는 펠릭스가 9월 2일 새벽 보네르 북동쪽 약 약 249.45km 해상에서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고 분석했다.[14] 허리케인으로 발달한 펠릭스는 매우 약한 풍속 시어와 높은 해양 열 함량을 가진 해역을 지나면서 뚜렷한 눈과 대칭적인 구름 구조, 강한 상층 유출을 빠르게 발달시키며 급격히 강화되기 시작했다.[15]
2. 2. 급격한 발달
허리케인 필릭스의 기원이 된 열대 파동은 8월 24일 아프리카 해안에서 출발하여, 깊은 대류 활동 없이 시속 약 14mph로 서쪽으로 이동했다.[1][2] 처음에는 위성으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웠으나,[3] 파동 축이 습한 환경을 통과하며[4] 산발적인 뇌우가 발생했다. 8월 25일 가시 위성 이미지는 열대 수렴대 바로 북쪽에서 광범위한 사이클론 회전을 보였다.[5] 파동은 계속해서 중간에서 강한 대류를 발달시켰고, 8월 27일에는 카보베르데의 프라이아 남서쪽 약 약 1335.75km 지점에서 1012 hPa (29.88 inHg)의 저기압이 발생했다.[6] 며칠간 큰 발달은 없었으나,[7] 8월 30일에는 저기압으로의 사이클론 회전이 뚜렷해졌다.[8] 다음 날 대류가 증가했고,[9] 허리케인 헌터가 폐쇄된 저고도 순환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는 8월 31일 21시(UTC)에 남부 윈드워드 제도 동남동쪽 약 약 289.68km 지점에서 열대저기압 6호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10]
열대저기압은 강한 능선 남쪽에서 서북서진하며 발달에 유리한 환경(약한 풍속 시어, 따뜻한 수온) 속에 놓였다.[10] 중심 부근에서 깊은 대류가 강화되었고, 9월 1일 9시(UTC)경 그레나다 섬을 통과한 직후 열대폭풍 "필릭스"로 발달했다.[11] 필릭스는 중심 주변에 촘촘하게 감긴 띠를 형성하며 빠르게 강화되었고,[12] 같은 날 오후에는 위성 이미지에서 눈 구조가 관측되었다.[13] 허리케인 헌터의 보고를 바탕으로, NHC는 필릭스가 9월 2일 초 보네르 북동쪽 약 약 249.45km 지점에서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고 판단했다.[14]
극도로 낮은 풍속 시어와 높은 해양 열 함량을 통과하면서, 필릭스는 뚜렷한 눈, 대칭적인 구름 구조, 강한 상층부 유출을 빠르게 발달시키며 폭발적 강화 단계에 들어섰다.[15] 9월 2일 18시(UTC)경 자메이카 킹스턴 남동쪽 약 약 788.58km 지점에서 3등급 이상의 메이저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16] 급격한 강화는 계속되어 같은 날 늦게 4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했으며, 중심 기압은 957 hPa까지 떨어졌다. 이는 시간당 3.4 hPa의 감소율로, NHC는 "관측된 가장 빠른 심화율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허리케인 헌터는 눈 안에서 경기장 효과를 관측했으며, 눈의 직경이 약 22.53km로 줄어들었다고 보고했다.[17] 후속 비행에서는 175mph의 비행 고도 풍속과 163mph의 최대 지표 풍속(남서쪽 눈벽)이 관측되었다. 북동쪽 눈벽에서는 189mph의 지표 풍속이 측정되었으나, 이는 구름 속 우박으로 인해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관측을 바탕으로, 필릭스는 9월 3일 0시(UTC)에 자메이카 킹스턴 남동쪽 약 약 627.64km 지점에서 풍속 175mph에 도달하며 5등급 허리케인으로 격상되었다. 이는 2005년 윌마 이후 기록상 두 번째로 빠르게 강화된 대서양 허리케인이었다.[1] 허리케인 헌터는 극심한 난기류와 위험한 우박으로 인해 조사를 중단해야 했다.[18]
빠르게 서진하면서 눈의 직경은 약 19.31km로 더욱 줄어들었고,[19] 5등급 도달 약 7시간 후인 9월 3일, 최저 중심 기압인 929 hPa를 기록했다.[1] 초기에는 벨리즈와 유카탄 반도를 향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19] 경로는 서쪽으로 유지되었다. 이후 눈이 덜 뚜렷해지고 중심 부근 구름 상단의 온도가 상승하면서,[20] 9월 3일 18시(UTC)에는 풍속 145mph의 4등급 허리케인으로 잠시 약화되었다.[21] 9월 4일, 필릭스는 눈벽 교체 주기를 완료하고 다시 강화되기 시작했다.[22] 같은 날 10시 40분(UTC)에 다시 5등급으로 발달했고,[23] 니카라과와 온두라스 국경 바로 남쪽, 모스키토 해안 지역에 풍속 160mph의 5등급 세력으로 상륙했다.[24] 이는 태평양 동부에서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를 강타한 허리케인 앙리에트와 같은 날 상륙한 것으로, 북대서양 허리케인과 태평양 허리케인이 같은 날 상륙한 두 번째 기록된 사례였다 (첫 사례는 1992년 8월 23일 허리케인 앤드루와 허리케인 레스터).[25]
육지에 상륙하면서 급격히 약화되어, 9시간 만에 풍속이 크게 감소했다.[26] 9월 5일 초에는 상층 순환과 하층 순환이 분리되면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고,[27] 남부 온두라스를 지나면서 열대저압부로 더욱 약화되었다. 같은 날 9시(UTC)에 NHC는 필릭스가 광범위한 저기압 지역으로 약화되기 시작함에 따라 마지막 예보를 발표했다.[28]
| 형태 | 날짜 및 시간 (UTC) | 위도 (°N) | 경도 (°W) | 바람 (kt) | 기압 (hPa) | ACE |
|---|---|---|---|---|---|---|
| 열대저기압 | 8월 31일 12시 | 11.5 | 56.6 | 25 | 1009 | 0 |
| 열대저기압 | 8월 31일 18시 | 11.5 | 58.0 | 30 | 1008 | 0 |
| 열대폭풍 | 9월 1일 0시 | 12.1 | 59.4 | 35 | 1007 | 0.1225 |
| 열대폭풍 | 9월 1일 6시 | 12.1 | 61.1 | 40 | 1005 | 0.1600 |
| 열대폭풍 | 9월 1일 12시 | 12.2 | 62.8 | 50 | 1001 | 0.2500 |
| 열대폭풍 | 9월 1일 18시 | 12.4 | 64.5 | 60 | 999 | 0.3600 |
| 허리케인 | 9월 2일 0시 | 12.6 | 66.1 | 65 | 992 | 0.4225 |
| 허리케인 | 9월 2일 6시 | 12.7 | 67.8 | 85 | 985 | 0.7225 |
| 허리케인 | 9월 2일 12시 | 13.0 | 69.4 | 90 | 980 | 0.8100 |
| 허리케인 | 9월 2일 18시 | 13.4 | 71.1 | 115 | 962 | 1.3225 |
| 허리케인 | 9월 3일 0시 | 13.8 | 73.0 | 150 | 935 | 2.2500 |
| 허리케인 | 9월 3일 6시 | 14.0 | 75.0 | 150 | 929 | 2.2500 |
| 허리케인 | 9월 3일 12시 | 14.2 | 76.9 | 140 | 937 | 1.9600 |
| 허리케인 | 9월 3일 18시 | 14.3 | 78.7 | 115 | 951 | 1.3225 |
| 허리케인 | 9월 4일 0시 | 14.4 | 80.4 | 115 | 950 | 1.3225 |
| 허리케인 | 9월 4일 06시 | 14.3 | 81.9 | 135 | 939 | 1.8225 |
| 허리케인 | 9월 4일 12시 | 14.3 | 83.2 | 140 | 934 | 1.9600 |
| 허리케인 | 9월 4일 18시 | 14.3 | 84.4 | 85 | 962 | 0.7225 |
| 열대폭풍 | 9월 5일 0시 | 14.6 | 85.4 | 50 | 982 | 0.2500 |
| 열대저기압 | 9월 5일 06시 | 15.0 | 86.4 | 25 | 1004 | 0 |
| 저기압 | 9월 5일 12시 | 15.5 | 87.3 | 20 | 1006 | |
| 저기압 | 9월 5일 18시 | 16.1 | 88.3 | 20 | 1007 | |
| 저기압 | 9월 6일 0시 | 16.5 | 89.5 | 20 | 1007 | |
| 저기압 | 9월 6일 06시 | 16.7 | 90.8 | 20 | 1007 | |
| 저기압 | 9월 6일 12시 | 17.2 | 92.4 | 20 | 1007 | |
| 저기압 | 9월 6일 18시 | 17.7 | 93.8 | 15 | 1010 | |
| 소멸 | 9월 7일 0시 |
2. 3. 상륙 및 소멸
9월 4일, 허리케인 펠릭스는 눈벽 교체 주기를 완료하고 다시 강화되기 시작했다.[22] 펠릭스는 1040 UTC에 두 번째로 카테고리 5로 상향 조정되었고,[23] 니카라과와 온두라스 국경 바로 남쪽의 모스키토 해안 지역에 160mph의 풍속으로 상륙했다.[24] 허리케인 펠릭스는 태평양 동부에서 바하 칼리포르니아 반도를 강타한 허리케인 앙리에트와 같은 날 니카라과에 상륙했는데, 이는 북대서양 허리케인과 태평양 허리케인이 같은 날 육지에 상륙한 역사상 두 번째 기록이었다.[25] 첫 번째 사례는 1992년 8월 23일 허리케인 앤드루가 바하마를 강타한 날 허리케인 레스터가 멕시코의 바하 칼리포르니아 반도에 상륙했을 때였다.육지에 상륙한 후 펠릭스는 급격히 약화되기 시작했다. 상륙 9시간 후에도 시스템은 잘 조직된 구름 패턴과 강렬한 강우대를 유지했지만, 바람은 빠르게 감소했다.[26] 9월 5일 초, 상층부 순환이 저고도 부분에서 분리되면서 펠릭스는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27] 시스템은 남부 온두라스로 이동하면서 열대저압부로 더욱 약화되었고, 0900 UTC에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펠릭스가 광범위한 저기압 지역으로 변질되기 시작함에 따라 마지막 예보를 발표했다.[28] 펠릭스의 잔해는 라틴 아메리카의 다른 지역 위로 서북서쪽으로 이동했으며, 결국 9월 7일 멕시코의 타바스코 주에서 소멸했다.[1]
3. 피해
허리케인 필릭스로 인해 공식적으로 확인된 사망자는 총 133명이다. 이 중 대다수인 130명은 중앙아메리카의 니카라과와 온두라스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모든 피해 국가의 정확한 인명 피해 규모는 아직 완전히 파악되지 않았다.
3. 1. 카리브해 섬 지역

9월 1일 협정 세계시(UTC) 1200시경 바베이도스에서는 46mph의 돌풍이 기록되었고, 같은 시각 세인트빈센트에서는 44mph의 돌풍이 관측되었다.[44] 허리케인 필릭스는 윈드워드 제도에 폭우를 내렸다. 트리니다드에서는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하고 강물이 범람하여 일부 교량이 파괴되었으며, 강한 바람으로 인해 섬의 여러 건물이 피해를 입었다. 인접한 토바고에서는 북부 지역에 피해가 집중되었는데, 폭우로 인해 여러 건의 산사태가 발생했다. 토바고의 금전적 피해는 25만트리니다드 토바고 달러 (2007년 기준, 4만달러)로 추산되었다.[46] 필릭스는 그레나다에 강풍을 몰고 와 여러 전선을 끊고 주택 두 채의 지붕을 날려버렸으며, 거친 파도로 인해 여러 척의 선박이 닻에서 풀려나기도 했다.[47] 세인트루시아에서는 폭풍으로 인한 강풍이 캐스트리스에 있는 한 상점의 지붕을 손상시켜 붕괴되면서 차량 12대가 파손되었다.[45]
ABC 제도에서는 허리케인으로 인해 강풍과 폭우가 발생했다. 보네르에서는 피해가 거의 보고되지 않았으나, 퀴라소에서는 폭우로 인해 여러 가옥이 물에 잠겼다. 아루바에서는 바람으로 인해 주택 한 채가 손상되었고, 북부 마을에서는 잠시 정전이 발생했다.[48] 허리케인 필릭스는 베네수엘라 북부 해안을 따라 강풍과 약 3.05m 높이의 파도를 일으켰으며, 이로 인해 푸에르토 카벨로에서 한 명이 실종되었다.[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