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그너 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그너 수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제시한 소수 생성 다항식과 관련된 수로, 라마누잔 상수를 비롯한 거의 정수와 연관되어 있다. 헤그너 수는 7, 11, 19, 43, 67, 163이 있으며, 이 수들은 j-불변량과 원주율 공식, 그리고 다른 대수적 수에 의한 근사를 통해 정수에 가까운 값을 생성한다. 또한, 허수 이차수체가 유수 2를 갖는 수와 연속 소수 생성과도 관련이 있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72년에 식이 에 대해 소수가 됨을 지적하였다.[3] 이 다항식은 헤그너 수 과 관련이 있다. 라비노비츠[3]는 꼴의 다항식이 그 판별식의 절댓값 이 헤그너 수일 때만 이러한 성질을 가짐을 증명하였다.
라마누잔 상수는 초월수[5] 를 의미하며, 정수에 매우 가까운 값을 가진다.[6]
추드노프스키 형제가 1987년에 발견한 원주율 공식은 다음과 같다.
다른 헤그너 수에 대해서도 j-불변량을 사용해서 정수에 가까운 값을 생성해 내는 것이 가능하다.
2. 오일러의 소수 생성 다항식
따라서 (각각 헤그너 수 7, 11, 19, 43, 67, 163에 대응)에 대해, 꼴의 다항식은 일 때 소수가 된다. (참고로 은 을 생성하므로, 가 최대이다.)[19]
1, 2, 3은 요구되는 형태가 아니므로, 유효한 헤그너 수는 7, 11, 19, 43, 67, 163이며, 이는 2, 3, 5, 11, 17, 41에 대한 오일러 형태의 소수 생성 함수를 생성한다. 이 숫자들은 F. 르 리오네에 의해 오일러의 럭키 넘버라고 불린다.[4]
3. 라마누잔 상수와 거의 정수
:
이 수는 1859년 수학자 샤를 에르미트에 의해 발견되었다.[7] 1975년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잡지의 만우절 기사[8]에서 "수학 게임" 칼럼니스트 마틴 가드너는 이 수가 사실 정수이며, 인도의 수학 천재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이를 예측했다고 주장하는 거짓말을 했다. 하지만 이는 과학적 사실을 왜곡하여 대중을 현혹하는 가짜 뉴스의 일종으로,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현상은 j-불변량의 q-전개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j-불변량과 관련된 상세 설명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다른 헤그너 수에 대해서도 j-불변량을 사용해서 정수에 가까운 값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헤그너 수 근사값 19 43 67
일 때는 일차 오류항 이 1보다 커져서 이러한 성질이 나타나지 않는다.
3. 1. j-불변량과 관련된 상세 설명
j-불변량 는 복소수 에 대한 함수로, 헤그너 수 ''d''에 대해 는 정수가 된다.[3] 이 값은 ''q''-전개를 통해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
가 이차 무리수일 때, 는 의 대수적 정수가 된다. 그 차수는 의 유수와 같으며, 이를 만족하는 최소 다항식을 '힐베르트 유수 다항식'이라고 한다. 허수 이차 확장 의 유수가 1이면 (즉, ''d''가 헤그너 수), ''j''-불변량은 정수가 된다.[4]
''j''의 푸리에 급수 전개는 에 대한 로랑 급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q''-전개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
계수 은 와 같이 점근적으로 증가하며, 낮은 차수의 계수는 보다 느리게 증가한다. 따라서 에 대해 ''j''는 처음 두 항 ()으로 매우 잘 근사된다.
로 설정하면, 이고 이다. 이때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즉, 라마누잔 상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오차의 선형 항은 로 매우 작기 때문에, 이 정수에 매우 가까운 값을 가지는 이유를 설명한다.
4. 원주율() 공식
:
이 공식은 이라는 사실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여기서 는 j-불변량을 의미한다.
이와 비슷한 공식으로 라마누잔-사토 급수가 있다.
5. 기타 헤그너 수의 성질
일 때는 일차 오류항 이 1보다 크기 때문에 이러한 성질을 잃는다.
가 이차 무리수이면, ''j''-불변량 는 의 대수적 정수이며, 그 차수는 의 유수와 같다. 이를 만족하는 최소 다항식을 '힐베르트 유수 다항식'이라고 한다. 허수 이차 확장 의 유수가 1이면(즉, ''d''가 헤그너 수이면), ''j''-불변량은 정수이다.
''q''-전개는 ''j''의 푸리에 급수 전개를 에 대한 로랑 급수로 나타낸 것이다.
:
계수 은 점근적으로 와 같이 증가하며, 낮은 차수의 계수는 보다 느리게 증가한다. 따라서 에 대해 ''j''는 처음 두 항으로 매우 잘 근사된다. 로 설정하면 이므로,
:
:
이며, 오차의 선형 항은
:
이므로 이 정수와 근사적으로 일치한다.
네 개의 가장 큰 헤그너 수에 대한 근사값은 다음과 같다.
:
또는,
:
여기서 제곱의 이유는 특정 아이젠슈타인 급수 때문이다. 헤그너 수 의 경우, 거의 정수를 얻을 수 없다. 정수 ''j''-불변량은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된다.
:
이러한 초월수는 3차 대수적 수에 의해서도 매우 근사될 수 있다.
:
근은 모듈러 함수인 데데킨트 에타 함수 ''η''(''τ'')의 몫으로 정확하게 주어지며, 이는 근사값에서 24를 설명한다. 또한 4차 대수적 수에 의해서도 매우 근사될 수 있다.
:
만약 가 괄호 안의 표현식을 나타내면, 각각 4차 방정식을 만족한다.
| 방정식 |
|---|
정수 가 다시 나타나며, 다음과 같다.
:
이는 적절한 분수 지수와 함께 정확히 ''j''-불변량이다.
마찬가지로 6차 대수적 수의 경우,
:
여기서 ''x''는 6차 방정식의 적절한 근으로 주어진다.
| 방정식 |
|---|
''j''-불변량이 다시 나타난다. 이러한 6차 방정식은 가해 가능하며, 근호로 풀 수 있다. 이러한 대수적 근사는 데데킨트 에타 몫으로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고 하면,
:
여기서 에타 몫은 위에 주어진 대수적 수이다.
6. 유수가 2인 수
허수 이차수체의 유수가 2인 수 88, 148, 232는 헤그너 수는 아니지만, 거의 정수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14]
:
:
:
:
:
:
7. 연속 소수
홀수 소수 '''p'''가 주어졌을 때, 를 에 대해 계산하면(이므로 충분하다), '''p'''가 헤그너 수일 경우에만 연속된 합성수가 나오고 그 다음에 연속된 소수가 나온다.[15]
자세한 내용은 리처드 몰린의 "Quadratic Polynomials Producing Consecutive Distinct Primes and Class Groups of Complex Quadratic Fields"를 참조.[16][32]
참조
[1]
서적
The Book of Numbers
https://archive.org/[...]
Springer
[2]
간행물
On the gap in the theorem of Heegner
http://deepblue.lib.[...]
[3]
문서
Eindeutigkeit der Zerlegung in Primzahlfaktoren in quadratischen Zahlkörpern.
https://babel.hathit[...]
Proc. Fifth Internat. Congress Math. ( Cambridge)
[4]
서적
Les nombres remarquables.
Hermann
[5]
MathWorld
Transcendental Number
[6]
웹사이트
Ramanujan Constant
http://mathworld.wol[...]
[7]
서적
The Constants of Nature
Jonathan Cape
[8]
간행물
Mathematical Games
Scientific American, Inc
1975-04
[9]
문서
[10]
웹사이트
More on e^(pi*SQRT(163))
http://groups.google[...]
2008-04-19
[11]
문서
[12]
웹사이트
Pi Formulas
http://sites.google.[...]
[13]
웹사이트
Extending Ramanujan's Dedekind Eta Quotients
http://sites.google.[...]
[14]
웹사이트
Ramanujan’s Constant e^(pv163) And Its Cousins
https://www.oocities[...]
[15]
웹사이트
Simple Complex Quadratic Fields
http://www.mathpages[...]
[16]
간행물
Quadratic polynomials producing consecutive, distinct primes and class groups of complex quadratic fields
http://matwbn.icm.ed[...]
[17]
서적
The Book of Numbers
https://archive.org/[...]
Springer
[18]
간행물
On the gap in the theorem of Heegner
http://deepblue.lib.[...]
[19]
문서
Eindeutigkeit der Zerlegung in Primzahlfaktoren in quadratischen Zahlkörpern.
https://babel.hathit[...]
[20]
문서
Les nombres remarquables.
[21]
MathWorld
Transcendental Number
[22]
웹사이트
Ramanujan Constant
http://mathworld.wol[...]
[23]
서적
The Constants of Nature
Jonathan Cape
[24]
간행물
Mathematical Games
Scientific American, Inc
1975-04
[25]
문서
[26]
url
https://groups.googl[...]
[27]
문서
[28]
웹사이트
Pi Formulas
https://sites.google[...]
2020년6월
[29]
웹사이트
Extending Ramanujan's Dedekind Eta Quotients
https://sites.google[...]
2020년6월
[30]
문서
[31]
url
http://www.mathpages[...]
[32]
간행물
Quadratic polynomials producing consecutive, distinct primes and class groups of complex quadratic fields
http://matwbn.icm.ed[...]
[33]
문서
Eindeutigkeit der Zerlegung in Primzahlfaktoren in quadratischen Zahlkörpern.
Proc. Fifth Internat. Congress Math. (Cambri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