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헨리크 4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크 4세는 실레시아-브로츠와프 공작이자 폴란드 대공이었다. 헨리크 3세의 아들로 태어나 보헤미아의 오타카르 2세 궁정에서 성장했다. 1273년 성인이 된 후 브로츠와프 공국을 다스리며 보헤미아로부터 독립을 추구했고, 주변 공작들과 동맹을 맺었다. 1288년 레셰크 2세 사후 폴란드 대공이 되었으나 1290년 급사했다. 그의 죽음은 폴란드 통합의 기회를 잃게 했으며, 브로츠와프 공국은 헨리크 3세에게, 크라쿠프와 대공위는 프셰미수 2세에게 넘어갔다. 그는 폴란드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 경제 발전을 이끌었으며, 문학과 기사도 정신을 옹호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58년 출생 - 오스만 1세
    오스만 1세는 오우즈 투르크 카이으 부족 출신으로 룸 셀주크 제국 쇠퇴기에 오스만 베일리크를 세우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오스만 제국의 창시자가 되었다.
  • 1258년 출생 - 아르군 칸
    아르군 칸은 일 칸국의 4대 칸으로, 즉위 과정에서 숙부 테구데르와 권력 다툼을 벌였고, 맘루크 왕조를 견제하기 위해 프랑코-몽골 동맹을 추진하며 유럽 국가들과 관계를 모색했으며, 만년에는 아편과 연금술에 관심을 가졌다.
  • 산도미에시 공작 - 브와디스와프 1세
    브와디스와프 1세 워키에테크는 피아스트 왕조 시대에 폴란드 대부분을 재통일한 왕으로, 쿠야비 공국의 영주에서 폴란드 왕으로 즉위하여 폴란드 재통합과 독립 왕국임을 선포하고 독일 기사단과의 전쟁에 힘썼다.
  • 산도미에시 공작 - 바츨라프 2세
    바츨라프 2세는 1278년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하여 경제적 부를 축적하고 폴란드 왕으로 즉위했으며, 헝가리 왕위 계승에도 관여했으나 1305년에 사망했다.
  • 1290년 사망 - 쩐 성종
    쩐 성종은 1258년 즉위하여 원나라의 침략에 맞서 항전하고 쩐 왕조의 기틀을 다졌으며, 레 왕조의 역사가 최고의 군주 중 한 명으로 평가한 쩐 왕조의 제2대 황제이다.
  • 1290년 사망 - 알 만수르 칼라운
    알 만수르 칼라운은 킵차크 초원 출신의 맘루크 왕조 술탄으로, 일 칸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십자군에 대응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을 다스려 맘루크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헨리크 4세
기본 정보
인장 이미지
이름 (폴란드어)Henryk IV Probus
이름 (독일어)Heinrich IV. der Gerechte
생년1257년/1258년경
사망일1290년 6월 23일
사망 장소브로츠와프, 폴란드 왕국
종교로마 가톨릭
통치
폴란드 대공 재위 기간1288년 – 1290년
폴란드 대공 선임자레셰크 2세 흑공
폴란드 대공 후임자프셰미수 2세
브로츠와프 공작 재위 기간1266년 – 1290년
브로츠와프 공작 선임자헨리크 3세 백공
브로츠와프 공작 후임자헨리크 5세 비만공
결혼과 가족
배우자콘스탄차 오폴스카(−1287)
마틸다 폰 브란덴부르크(1287–1290)
자녀없음
가문
가문실롱스크 피아스트 가문
아버지헨리크 3세
어머니유디타

2. 생애

헨리크 4세는 실레시아-브로츠와프 공국을 통치한 헨리크 3세 비아위와 마조프셰 공작 콘라트 1세의 딸 유디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1266년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삼촌인 잘츠부르크의 브와디스와프가 헨리크의 후견인 역할을 수행했다. 1267년 프라하로 이주하여 보헤미아의 국왕이었던 오타카르 2세의 궁정에서 성장했지만, 1270년 브와디스와프가 사망하면서 오타카르 2세가 브로츠와프 공작을 겸임했다.

그 후 헨리크 4세는 브로츠와프로 돌아와 아버지의 조언자였던 시몬 갈리쿠사의 감독을 받으며 성장했다. 1271년에는 오타카르 2세의 명령으로 헝가리 원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에 헝가리의 공작들은 비엘코폴스카(대폴란드), 마워폴스카(소폴란드)의 공작들과 함께 브로츠와프를 공격했다.

1273년 성인이 된 헨리크 4세는 공국의 통치권을 스스로 갖게 되었고, 보헤미아로부터 독립을 추구했다. 1276년 헨리크 4세는 오타카르 2세와 독일의 국왕 루돌프 1세 간의 전쟁에서 보헤미아 군대에 식량과 피난처를 제공했지만, 1277년 레그니차 공작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에게 생포되어 옐치(Jelcz)에 투옥되었다.

이 사건으로 여러 공작들이 헨리크 4세의 석방을 요구했다. 그워구프 공작 헨리크 3세 그워구프스키, 대폴란드 공작 프셰미수 2세, 오타카르 2세는 압력을 가했지만, 1277년 4월 24일 스톨레츠(Stolec) 전투에서 연합군은 볼레스와프 2세의 아들 헨리크 5세 브주하티에게 패배하고 헨리크 3세와 프셰미수 2세는 포로로 잡혔다.

1277년 말, 헨리크 4세는 오타카르 2세의 패배 소식을 듣고 적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석방되었다. 그는 몸값 대신 크로스노오잔스키에(1273년~1274년 그워구프 공작이 획득)와 브로츠와프 공국 영토의 1/3을 볼레스와프 2세에게 양도했다.

1278년 오타카르 2세 사후, 헨리크 4세는 루돌프 1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1280년 에서 외교 협상을 통해 폴란드 군주 자리를 노렸고, 루돌프 1세에게서 크워츠코를 영지로 받았다.

1280년1281년, 레셰크 2세의 브로츠와프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크라쿠프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1282년부터 1287년까지 브로츠와프 주교 토마스 2세 자렘바와 분쟁을 벌였고, 1287년 헨리크 4세가 라치부시를 점령하면서 토마스 2세는 충성을 맹세했다.

1288년 9월 30일 레셰크 2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헨리크 4세는 폴란드 공작으로 즉위했지만, 1290년 급사했다. 그의 공작위는 프셰미수 2세가 승계받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헨리크 4세는 실레시아-브로츠와프 공국을 통치한 헨리크 3세 비아위와 마조프셰 공작 콘라트 1세의 딸 유디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1266년 아버지 헨리크 3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어린 헨리크 4세는 삼촌인 잘츠부르크의 브와디스와프가 후견을 맡게 되었다. 1267년 브와디스와프는 헨리크 4세를 프라하로 보내 보헤미아 국왕 오타카르 2세의 궁정에서 성장하도록 하였다. 1270년 브와디스와프가 사망하자 오타카르 2세가 브로츠와프 공작을 겸임하게 되었다.

삼촌 브와디스와프가 사망한 직후, 헨리크 4세는 브로츠와프로 돌아와 아버지의 조언자였던 시몬 갈리쿠사(Simon Gallicusa)의 감독 하에 성장했다. 헨리크 4세는 세심한 교육을 받았는데, 이는 훗날 그가 문화와 시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으로 추정된다. (헨리크 4세가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2. 2. 브로츠와프 통치와 주변국과의 관계

1273년 헨리크 4세는 성년이 되어 브로츠와프 공국의 통치권을 스스로 갖게 되었다. 그는 보헤미아로부터 독립적인 정책을 추구하며, 오폴레 공작 브와디스와프, 대폴란드 공작 프셰미수 2세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1276년 헨리크 4세는 보헤미아의 국왕 오타카르 2세독일의 국왕 루돌프 1세 간의 전쟁에서 보헤미아 군대에 식량과 피난처를 제공하며 보헤미아를 지원했다. 그러나 1277년 옐치(Jelcz)에서 레그니차 공작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Bolesław II Rogatka)에게 생포되어 투옥되었다. 이 사건은 여러 공작들로부터 비난을 받았고, 오타카르 2세와 동맹 관계에 있던 그워구프 공작 헨리크 3세 그워구프스키(Henryk III głogowski)와 대폴란드 공작 프셰미수 2세는 헨리크 4세의 석방을 압박했다. 오타카르 2세 또한 석방 요구를 계속했지만, 연합군은 1277년 4월 24일에 일어난 스톨레츠(Stolec) 전투에서 볼레스와프 2세의 아들인 헨리크 5세 브주하티(Henryk V Brzuchaty)에게 패배했고, 헨리크 3세와 프셰미수 2세는 포로로 잡히고 말았다.

헨리크 4세는 동맹군이었던 오타카르 2세의 패배 소식을 들은 뒤, 적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1277년 말에 석방되었다. 그는 몸값 대신 크로스노오잔스키에(Krosno Odrzańskie, 1273년부터 1274년까지 그워구프 공작이 획득했던 도시)를 볼레스와프 2세에게 양도했고, 브로츠와프 공국의 영토 가운데 1/3을 볼레스와프 2세에게 양도해야 했다.

1278년 오타카르 2세가 전투 중 사망한 뒤, 헨리크 4세는 독일의 국왕인 루돌프 1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1280년에는 에서 외교 협상을 벌이며 폴란드의 군주 자리를 노렸고, 루돌프 1세로부터 크워츠코를 영지로 받았다.

1280년1281년에는 폴란드의 공작이었던 레셰크 2세가 브로츠와프를 공격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크라쿠프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2. 3. 브로츠와프 주교와의 분쟁

1282년부터 1287년까지 헨리크 4세는 브로츠와프 주교 토마시 2세 자렘바와 장기간에 걸친 분쟁을 벌였다. 이 다툼은 1274년에서 1276년 사이에 이미 일어났지만, 이때는 쌍방 모두 자기 주장을 관철하지 못하고 조정을 받아들여야 했다. 1282년에 다시 시작된 다툼은 레그니차 전투 직후 실롱스크의 혼란기에 교회가 점유해 버린 토지와 재산에 관하여, 교회가 헨리크 4세에게 불수불입권을 침해당했다고 고소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1282년, 주교는 교황 특사 필리포 데 페르노에게 진정서를 보내 분쟁 조정을 의뢰했다. 페르노의 조정은 교회에 유리했고, 헨리크 4세는 이에 불복하고 상소했다. 1283년, 헨리크 4세는 니사에서 대규모 주교 회의를 주최했고, 회의의 가장 큰 볼거리는 마상 창시합이었다. 그러나 긴장 관계는 그 후에도 계속되었고, 토마시 2세는 교황 특사의 지지를 받아 헨리크 4세에게 반기를 들었고, 1284년 3월에 헨리크 4세와 그의 영토 전체를 파문했다. 하지만 주교 뜻대로 되고 싶지 않았던 헨리크 4세는 교황 마르티노 4세에게 상소했다.

로마에서의 판정은 헨리크 4세에게 불리했지만, 헨리크 4세의 지배하에 있는 교회 세력을 모두 자신에게 복종시키려던 토마시 2세의 노력도 헛되이, 프란치스코회 등 몇몇 수도회는 헨리크 4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두 사람의 다툼은 계속되었고, 그니에즈노 대주교 야쿠프 시비엥카의 조정도 실패로 끝났다. 1285년, 헨리크 4세는 주교로부터 성직자에 대한 영향력을 빼앗는 데 성공했고, 니사-오토후프 공국 내 주교령의 일부를 몰수했다. 굴욕적인 상황에 놓인 토마시 2세는 라치부시 공국으로 망명을 강요받았다.

1287년, 헨리크 4세가 라치부시에 침입했고, 도망갈 곳을 잃은 토마시 2세는 체념하고 헨리크 4세에게 복종했다. 하지만 승리한 헨리크 4세는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주교령에서 빼앗은 풍요로운 영지를 반환하고, 성 십자가 콜레기아타(성당 참사회 관리 교회)를 기증했다.

2. 4. 폴란드 대공 즉위와 죽음

1288년 9월 30일 레셰크 2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헨리크 4세는 폴란드 대공으로 즉위했다. 헨리크 4세는 크라쿠프를 차지하기 위해 브와디스와프 1세, 볼레스와프 2세 등과 경쟁했다. 1289년 2월 26일 시에비에르츠 전투에서 마조프셰-쿠야비 연합군에게 패배했으나, 이후 크라쿠프 시민들의 지지를 얻어 도시를 점령하고 대공으로 인정받았다.

1290년 헨리크 4세는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그의 사인은 독살로 추정되며, 자세한 내용은 여러 기록에 남아있다. 헨리크 4세는 브로츠와프의 성 십자가 성당에 안장되었다. 그의 유언에 따라 브로츠와프 공국은 헨리크 3세 그워구프스키에게, 크라쿠프와 대공위는 프셰미수 2세에게 넘어갔다.

3. 결혼

1280년 3월경, 헨리크 4세는 오폴레 공작 브와디스와프의 딸 콘스탄치아와 첫 번째 결혼을 했다. 그러나 7년 가까이 아이가 없자, 헨리크 4세는 아내의 불임을 이유로 이혼했다. 콘스탄치아는 친정으로 돌아가 그곳에서 여생을 보냈다.

1288년경, 헨리크 4세는 브란덴부르크-잘츠베델 변경백 오토 5세의 딸 메히틸트와 재혼했다. 역사학자 에바 마레친스카는 헨리크 4세가 콘스탄치아와 이혼한 진짜 이유는 오랫동안 연인 관계였던 메히틸트와 결혼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부부 사이에는 아이가 없었다.

4. 유산 및 평가

헨리크 4세는 자신의 공작령에서 중앙 권력을 강화하고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광업과 도시 발전을 지원하여, 많은 도시에 독일 도시법과 다양한 특권을 부여했다. 또한 그는 여러 언어에 능통하고 서구 궁정 문화와 기사도를 적극적으로 후원한 교양인이었다. 헨리크 4세는 재능 있는 시인이기도 했으며, 그의 시 두 편은 마네세 코덱스에 기록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