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다이너스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다이너스티는 현대자동차에서 1996년 5월에 출시된 준대형 세단으로, 2세대 그랜저(LX)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출시 초기에는 V6 3,000cc 및 V6 3,500cc 엔진을 탑재했으며, 1997년 2월에는 리무진 모델이 추가되어 롱 휠베이스 모델과 세계 최초로 우측 뒷좌석 에어백을 적용했다. 1999년 현대 에쿠스가 출시되면서 V6 3,500cc 엔진과 리무진 모델이 단종되었고, 2005년 7월 에쿠스에 통합되어 단종되었다. 다이너스티는 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마지막 차였으며,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생산된 현대 아슬란이 다이너스티의 빈자리를 대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A3
아우디 A3는 아우디의 준중형차로, 1996년 1세대가 출시되어 현재 4세대 모델까지 판매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시장에서 세련된 디자인과 뛰어난 연비로 인기를 얻었다. - 1996년 도입된 자동차 - 푸조 406
푸조 406은 1995년 푸조가 출시한 중형차로, 세단, 브레이크, 피닌파리나에서 디자인한 쿠페 모델이 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승차감, 영화 《택시》 출연, 모터스포츠 활약으로 인기를 얻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대형 승용차 - 기아 카니발
기아 카니발은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밴으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국내외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승차 인원, 그리고 첨단 편의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 대형 승용차 - BMW X5
BMW X5는 BMW가 1999년에 출시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생산되었으며 고성능 버전인 X5 M도 존재한다.
현대 다이너스티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모델 코드 | LX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생산 기간 | 1996년–2005년 |
롱 휠베이스 모델 생산 기간 | 1997년–2002년 |
조립 공장 | 울산광역시 |
차종 | 대형차 (E-세그먼트) |
차체 스타일 | 4도어 세단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종치형 엔진) |
관련 차종 | 현대 그랜저 |
플랫폼 | 현대 Y3 |
후속 차종 | 현대 아슬란 |
엔진 | |
종류 | 2.5 L Σ 시그마 V6 엔진 3.0 L Σ 시그마 V6 3.5 L Σ 시그마 V6 |
변속기 | |
종류 | 5단 수동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 |
차체 크기 | |
휠베이스 | 2745 mm / 2900 mm (롱 휠베이스) |
전장 | 4980 mm / 5135 mm (롱 휠베이스) |
전폭 | 1810 mm |
전고 | 1445 mm |
차량 중량 | 1651–1713 kg |
엔진 출력 정보 | |
최고 출력 |
2. 역사 (1세대, LX)
현대 다이너스티는 1992년에 출시된 뉴 그랜저를 기반으로 한 대형 세단으로, 1996년 5월에 2세대 그랜저(LX)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출시되었다. 1999년 에쿠스가 출시되기 전까지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 모델이었다.[3]
1997년에는 V6 2,500cc 엔진과 V6 3,500cc 엔진을 탑재한 리무진 모델이 추가되었다. 다이너스티 리무진은 세계 최초로 우측 뒷좌석 에어백을 적용했으며, 에쿠스 리무진이나 체어맨 리무진처럼 B 필러를 늘린 스트레치드 리무진이 아니라 BMW 7 시리즈처럼 뒷문을 늘린 롱 휠베이스 모델이었다.[3]
1999년 4월 에쿠스 출시 이후 V6 3,500cc 엔진과 리무진 모델은 단종되었고, V6 2,500cc 및 V6 3,000cc 엔진은 2005년 7월에 단종되었다.[3]
2. 1. 출시 초기 (1996년)
1996년 5월, 현대 다이너스티가 2세대 그랜저(LX)의 페이스 리프트 차종으로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V6 3,000cc 엔진과 V6 3,500cc 엔진의 두 가지 라인업을 갖추었다. 2세대 그랜저(LX)에 탑재되었던 V6 3,500cc 엔진은 다이너스티가 출시되기 한 달 전인 1996년 4월에 단종되었고, 이후 다이너스티로 이관되었다.[3]

2. 2. 연식 변경 및 리무진 출시 (1997년)
1997년 2월 3일, V6 2,500cc 엔진과 V6 3,500cc 엔진을 탑재한 리무진 모델이 추가되었다. 이와 함께 "뉴 다이너스티"로 통칭명을 변경하고 그릴 디자인 등을 변경하였다. V6 2,500cc 엔진을 탑재한 "시그니처" 트림과 V6 3,000cc 엔진을 탑재한 "SV" 트림을 추가하였다. 부분 변경을 통해 바 타입 오토 안테나를 글래스 안테나로 변경하고, 후석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옵션으로 추가하였다.[3] 다이너스티 리무진은 세계 최초로 우측 뒷좌석 에어백을 적용하였으며, 에쿠스 리무진이나 체어맨 리무진처럼 B 필러를 늘린 스트레치드 리무진이 아니라 BMW 7 시리즈처럼 뒷문을 늘린 롱 휠베이스 모델이었다.2. 3. 에쿠스 출시 및 변화 (1999년)
1999년 4월 28일에 에쿠스가 출시되기 전까지 현대자동차의 기함이었다.[3] 1999년 4월 에쿠스 출시로 V6 3,500cc 엔진 및 리무진 모델은 단종되었고, V6 2,500cc 엔진에 "시그니처 SV" 트림이 추가되었다. V6 3,000cc 엔진은 2005년 7월에 에쿠스에 통합되는 형식으로 단종되었다.2. 4. 페이스리프트 (2003년)
2003년 3월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2003년형 모델을 판매하였다. 이때 그릴, 알루미늄 휠 디자인을 변경하고, 리어 콤비 램프의 방향지시등 색상을 주황색에서 투명색으로 변경하였다.[3]2. 5. 단종 (2005년)
1999년 4월에 한 단계 윗급인 에쿠스가 출시되어 V6 3,500cc 엔진과 리무진(롱 휠베이스형)은 단종되었고, V6 2,500cc 엔진과 V6 3,000cc 엔진은 2005년 7월에 에쿠스에 통합되는 형식으로 단종되었다.[3]2. 6. 단종 이후
2008년 1월에 북아메리카 시장을 겨냥한 후륜구동 방식의 제네시스가 출시되어 그랜저와 에쿠스 사이의 고급 세단 자리를 채웠다. 본래 다이너스티의 후속 차종으로 개발되던 프로젝트명 GH는 개발 도중 기아자동차로 이관되어 오피러스로 출시되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생산된 아슬란이 다이너스티의 빈 자리를 대체하였으며, 한때 아슬란의 차명으로 다이너스티가 검토되기도 하였다. 다이너스티 리무진은 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마지막 차였다.1999년에 다이너스티의 롱 휠베이스형이 단종된 후 대한민국 대형차 모델에서 리무진 트림은 롱 휠베이스형이 없이 한동안 스트레치드식으로만 나오다가, 2022년에 RS4 G90이 스트레치드식 대신 롱 휠베이스형을 내놓으면서 계보를 잇게 됐다.
3. 제원
(이후 162/6,000으로 변경)
(이후 194/6,000,
185/6,000으로 변경)
(이후 210/5,500으로 변경)
(이후 20.8/4,500으로 변경)
(이후 25.8/4,500,
24.6/4,500으로 변경)
(이후 30.5/4,000으로 변경)
(이후 8.8,
8.1로 변경)
(이후 8.3,
7.4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