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카니발은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밴으로, 1998년 1세대가 출시된 이후 현재 4세대 모델까지 판매되고 있다. 1세대는 기아의 경영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2세대는 그랜드 카니발과 뉴 카니발, R 모델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3세대는 올 뉴 카니발과 더 뉴 카니발로 출시되었으며, 4세대는 2020년 출시되어 현재 판매 중이다. 카니발은 7, 8, 9, 11인승 등 다양한 모델과 트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디오 게임과 만화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자동차 회사 년대별 생산차량의 흐름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1998년 도입된 자동차 - 스마트 포투 스마트 포투는 다임러와 스와치 그룹이 개발한 초소형 자동차로, 후륜구동 방식과 트리디온 안전 셀을 특징으로 하며, 가솔린 엔진 기반 소형차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전기차로 판매되고 있다.
1998년 도입된 자동차 - 렉서스 RX 렉서스 RX는 고급 세단의 승차감과 SUV의 실용성을 결합한 고급 크로스오버 SUV로, 혁신적인 기술 도입과 다양한 라인업 구축을 통해 꾸준히 진화해왔다.
미니밴 - 쉐보레 올란도 쉐보레 올란도는 GM의 델타 II 플랫폼 기반 전륜구동 MPV로, 2010년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되어 2011년 국내에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과 군산공장 폐쇄로 단종되었고, 이후 중국 시장에서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지만 국내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미니밴 - 쌍용 로디우스 쌍용 로디우스는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쌍용자동차에서 생산된 미니밴으로,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시트 배열을 제공했으며 독특한 디자인으로 호불호가 갈렸다.
1세대 카니발은 기아자동차의 경영난 속에서 출시되어 회사의 회생에 큰 역할을 한 모델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본격적인 미니밴으로,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편의 기능으로 가족 단위 고객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1세대 모델은 중국 시장에서 동풍 위에다 기아와의 합작 투자를 통해 판매되었으며, 말레이시아에서는 '''나자 리아'''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등 지역별로 다르게 제조 및 판매되었다.[3]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는 카니발과 세도나라는 두 가지 이름을 모두 사용했는데, 2001년에 카니발로 처음 출시된 이후 2003년부터 세도나로 이름이 바뀌었다.
1998년에 등장한 1세대 카니발은 전장 약 4.9m의 대형 MPV였다. "카니발"이라는 이름은 한국, 유럽, 호주 등에서 사용되었고, 북미와 영국에서는 세도나 (''Sedona'')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5L V6 로버 KV6 V6 가솔린 엔진과 2.9L CRDi I4 디젤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5단 수동 또는 4단 자동 변속기가 조합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나자에서 생산되어 "나자 리아"(''Naza Ria'')라는 이름으로 국산차로 판매되었는데, 외관상 차이는 배지와 그릴 정도였다.[3]
기아자동차가 법정 관리에 들어간 1997년 후반에 개발되어 1998년1월 7일에 출시되었다. 크레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높은 차체 강성과 좌우 양쪽 슬라이딩 도어가 특징이다.[104] 영국 로버와 공동 개발한 2.5L V6 가솔린 엔진과 자체 개발한 2.9L 디젤 엔진을 탑재했다. 특히, 2.9L 디젤 엔진은 대한민국 최초의 DOHC 디젤 엔진이자 직분사 디젤 엔진이었으나, 초기 품질 문제로 잦은 리콜이 발생했다.[106][107][108][109][110][111][112][113][114]1999년4월 27일에는 2.5L LPG 엔진을 추가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2001년까지 총 219,400여 대가 판매되어 기아자동차의 회생에 기여했다.
2001년 2월에 카니발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카니발 II가 출시되었다. 대한민국 미니밴 최초로 미국 시장에 수출되었으며, 미국 고속도로안전협회(NHTSA) 충돌 테스트에서 별 5개를 받는 등 안전성을 인정받았다.[3] 2002년 1월에는 유로 3 기준을 만족하는 2.9L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탑재했다.[5]
카니발 II는 트립(디젤), 랜드(디젤), 파크(디젤), 파크(가솔린), 프리미엄(디젤, 2004년 출시) 등의 트림으로 구성되었다. 2002년에는 트립(디젤 6인승 밴)과 랜드(디젤 6인승 밴) 트림이 단종되었고, 2003년에는 E-TEC(LPG), 랜드(LPG), 파크(LPG) 트림이 단종되었다.
3. 2세대 (VQ, 2005년~2014년)
2005년7월 14일에 출시된 2세대 카니발(VQ)은 북미 시장을 겨냥하여 개발되어 차체 크기가 대폭 확대되었다. 전장은 5,000mm를 넘고 전폭은 1,985mm로 대한민국산 자동차 중 가장 넓다(중·대형 상용차 제외). 2세대 카니발은 숏바디 모델인 뉴 카니발과 롱바디 모델인 그랜드 카니발 두 가지로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1인승으로 출시되었으나, 4열 시트 구조로 인해 다리 공간(레그룸)이 넉넉하지 않아 출고 후 3열 시트까지 레일을 개조하는 경우가 많았다.
2세대 카니발에는 오토 슬라이딩 도어, 오토 테일 게이트, VRS 등의 새로운 사양이 적용되었다. 기존 2.9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의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유럽에서는 길이만 축소된 카니발로 판매되었다. 2006년3월 26일에는 컨버전 밴(개조 차량)인 그랜드 카니발 하이 리무진(11인승)이 출시되었고, 같은 해 12월 27일에는 배우 이덕화에게 차량을 전달하는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119]2007년10월 4일에는 V6 2.7ℓ LPI 엔진이 추가되었고, 같은 해 12월 6일에는 그랜드 카니발 리미티드 트림과 카니발 리무진(9인승) 등에만 적용되던 2.9ℓ VGT 디젤 엔진이 모든 트림으로 확대 적용되었다.[120]
기아 그랜드 카니발 정측면
기아 그랜드 카니발 후측면
3. 1. 그랜드 카니발 (2005년 7월~2010년 1월)
2005년7월 14일에 출시되었다. 북미 시장을 겨냥하여 개발되어 전장이 5,000mm를 넘고, 전폭은 대한민국산 자동차 중(중·대형 상용차 제외) 가장 넓은 1,985mm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1인승으로 출시되었으나, 4열 시트이기 때문에 레그 룸이 넉넉하지 않아 출고 후에 레일 개조를 통하여 3열 시트까지 장착한 차량도 적지 않다. 새롭게 적용된 사양으로는 오토 슬라이딩 도어, 오토 테일 게이트 등이 있다. 기존 2.9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얹었으나, 성능이 향상됐다. 유럽에서는 길이만 축소한 카니발로 판매됐다. 2006년3월 26일에는 컨버전 밴인 그랜드 카니발 하이 리무진(11인승)이 출시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27일에 배우 이덕화에게 전달식을 갖기도 했다.[119]2007년10월 4일에 V6 2.7ℓ LPI 엔진이 추가됐고, 같은 해 12월 6일에 그랜드 카니발 리미티드 트림과 카니발 리무진(9인승) 등에만 적용되던 2.9ℓ VGT 디젤 엔진이 모든 트림에 확대 적용됐다.[120]
2006년1월 12일에 출시되었다. 카니발 Ⅱ의 후속 차종으로, 그랜드 카니발의 숏 바디 모델이며 기본적인 설계와 메커니즘은 그랜드 카니발과 동일하다. 그랜드 카니발에 적용된 오토 슬라이딩 도어 등의 편의 사양도 적용되었다. 2007년2월에는 그랜드 카니발 차체에 앞 모습만 뉴 카니발인 카니발 리무진(9인승)이 출시되었고,[121]미국과 캐나다에는 현대 엔투리지로도 판매되었다. 같은 해 10월에는 V6 2.7ℓ LPI 엔진이 추가되었으며, 이후 카니발 하이 리무진(7인승)도 추가되었다.
2010년1월 6일부터 쏘렌토 R의 2.2ℓ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판매되었다.[121] 같은 해 12월 2일에는 1열 사이드 에어백과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기본으로 적용된 2011년형이 출시되었다.[121]2011년6월부터 V6 3.5ℓ 가솔린 엔진이 추가되었고,[121] 같은 해 12월에 판매 부진으로 V6 2.7ℓ LPI 엔진이 단종되었다.[121]2013년3월 5일에는 17인치 신규 알로이 휠, 태블릿 PC 수납이 가능한 신규 사이드 테이블 등이 적용된 2013년형이 나왔다.[121] 같은 해 8월 16일부터는 승합차 최고 속도 제한 장치 의무 장착으로 최고 속도가 110km/h로 제한되었다.[121]
3세대 카니발(YP)은 2014년 뉴욕 모터쇼에서 공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2014년6월 23일에 출시되었다. 2세대가 숏바디와 롱바디 두 가지 차체로 나뉜 것과 달리, 3세대는 롱바디 단일 차체로 통합되었다.
3세대 카니발은 앞 범퍼 하단에 엔진 하부를 보호하는 스키드 플레이트를 적용하고, 창틀에 크롬 몰딩을 적용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강조했다. 1열 시트 중앙에는 보조 시트 대신 노트북 컴퓨터까지 수납할 수 있는 대용량 센터 콘솔을 적용했고, 이 때문에 9인승은 기존의 3+3+3 배열의 3열 시트에서 2+2+2+3 배열의 4열 시트로 바뀌었다. 4열 시트는 활용도가 낮은 점을 감안하여 9인승과 11인승 모두에 등받이를 앞으로 접은 후 별도 이동 없이 그대로 누르면 바닥으로 들어가 평평한 공간을 만들어 최대 546L의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싱킹 팝업 시트를 적용했다.
안전성 확보를 위해 52%의 초고장력 강판을 적용했으며, 차체 구조간 결합력 강화를 위한 구조용 접착제를 121m로 대폭 증가시켰다. 보행자의 머리 상해 위험을 감소시키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비롯하여 6 에어백,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 경사로 밀림 방지 장치, 급제동 경보 시스템 등이 기본으로 적용되었다. 이 외에도 듀얼 선루프, 버튼 시동 스마트 키, 220V 인버터 등이 적용되어 편의성을 높였다.
엔진은 2.2ℓ 디젤 엔진이 유로 6 기준을 만족시켰고, 여기에 6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했다. 2015년3월 30일에는 V6 3.3ℓ 가솔린 엔진과 2열 VIP 라운지 시트가 적용된 7인승(리무진)이 추가되었다. 2016년6월 14일에는 앞좌석 스마트 에어백,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동승석 워크인 스위치가 신규 적용된 2017년형이 선보였다.[122]
4. 1. 올 뉴 카니발 (2014년 6월~2018년 3월)
2014년4월 뉴욕 모터쇼에서 공개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같은 해 5월 22일 미디어 설명회를 가진 후, 부산 국제 모터쇼에서 일반에 최초 공개되었다. 6월 23일에 정식 출시되었다. 2세대가 숏 바디(뉴 카니발)와 롱 바디(그랜드 카니발, 카니발 리무진) 2가지 차체로 나뉜 것과 달리, 3세대는 다시 롱 바디 단일 차체로 통합되었다. 앞 범퍼 하단에는 엔진 하부를 보호하는 스키드 플레이트를 적용하고, 창틀에는 크롬 몰딩을 적용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강조했다.[122] 1열 중앙에는 보조 시트 대신 노트북 컴퓨터까지 수납 가능한 대용량 센터 콘솔을 적용하여, 9인승은 2+2+2+3 배열의 4열 시트로 변경되었다. 4열 시트의 활용도가 낮은 점을 고려하여, 9인승과 11인승 모두 4열 싱킹 팝업 시트를 적용, 등받이를 앞으로 접고 바닥으로 넣어 최대 546ℓ의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 차체에는 52%의 초고장력 강판과 121m의 구조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강성을 강화했다. 보행자 보호를 위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 6 에어백,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 경사로 밀림 방지 장치, 급제동 경보 시스템 등이 기본 적용되었다. 듀얼 선루프, 버튼 시동 스마트 키, 220V 인버터 등 편의 기능도 추가되었다.[122] 2.2ℓ 디젤 엔진은 유로 6 기준을 충족했으며,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2015년3월 30일에는 2015년형 모델이 출시되면서, V6 3.3ℓ 가솔린 엔진과 2열 VIP 라운지 시트가 적용된 7인승(리무진) 모델이 추가되었다. 7인승(리무진)의 1호차는 당시 KBS 2TV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했던 배우 송일국에게 전달되었는데, 기아자동차는 송일국과 삼둥이 가족의 이미지가 패밀리 미니밴인 7인승 카니발 리무진과 잘 어울린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122] 이후 KBS 2TV살림하는 남자들에 출연했던 쿨의 김성수 등 여러 연예인들이 사용하는 차량으로 알려졌다. 2016년6월 14일에 선보인 2017년형은 앞좌석 스마트 에어백,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동승석 워크인 스위치가 새롭게 적용되었다.
4세대 카니발은 2020년 6월에 공개되었으며, 8월에 출시되었다. 8세대 현대 쏘나타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현대 스타리아와 플랫폼을 공유한다. 2014년 3세대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심포닉 아키텍처 라디에이터 그릴, C필러의 독특한 입체 패턴 크롬 가니쉬, 리어콤비 램프 등 세련된 디자인과 독보적인 공간 활용성, 최신 편의사양, 첨단 신기술이 적용되었다. 또한, 스마트 파워 슬라이딩 도어, 원격 파워 슬라이딩 도어, 테일게이트 동시 열림/닫힘, 안전 하차 보조, 승하차 스팟램프, 터치식 버튼 등 승하차 관련 신기술이 적용되었다.
2023년10월 27일에 더 뉴 카니발이 정식 공개되었고, 11월 8일부터 사전계약이 시작되었다. 외관은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를 반영하여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 주간 주행등과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었다. 실내는 12.3인치 클러스터와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 등이 적용되었다. UV-C 살균 암레스트 수납함, 에어컨 광촉매 살균 시스템이 기아 차종 최초로 적용되었으며, 멀티존 음성인식 등 편의 사양이 탑재되었다.[126]
더 뉴 카니발은 가솔린과 디젤, 하이브리드 총 3종의 파워트레인 라인업으로 출시되었으며, 11인승이 단종되고 7, 9인승으로만 판매된다.
2024년10월 14일에 정식 출시된 The 2025 카니발은 전 트림에 조향 제어 방식을 보강해 차로 중앙 유지 성능을 향상시킨 차로 유지 보조 2와 정전식 센서를 활용한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 새로운 디자인의 스티어링 휠 등의 신규 사양이 기본 적용되었다.[127]
5. 1. 카니발 (2020년 8월~2023년 10월)
기아 카니발 KA4 정측면
기아 카니발 KA4 후측면
기아 카니발 KA4 하이리무진
8세대 현대 쏘나타의 전륜구동 플랫폼으로 풀 모델 체인지했으며, 이 플랫폼은 현대 스타리아도 공용한다. 2020년6월에 공개하고 7월 28일부터 사전 계약을 시작했으며, 동년 8월 18일에 출시됐다. 2014년 3세대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심포닉 아키텍처 라디에이터 그릴, C필러의 독특한 입체 패턴 크롬 가니쉬, 리어콤비 램프 등 세련된 디자인 및 독보적인 공간 활용성, 최신 편의사양, 첨단 신기술로 재탄생했다. 스마트 파워 슬라이딩 도어, 원격 파워 슬라이딩 도어, 테일게이트 동시 열림/닫힘, 안전 하차 보조, 승하차 스팟램프, 터치식 버튼 등 승하차 관련 신기술이 적용됐다. 2021년7월 12일, 카니발 하이리무진이 출시됐다.[123][124] 4인승 모델은 스마트스트림 3.5 가솔린 단일 엔진이 적용됐으며, 하이리무진 전용 튜닝 서스펜션으로 승차감을 최적화했다. 후석 리무진 시트, 7인치 터치식 통합 컨트롤러, 후석 냉·온 컵홀더 등 신규 편의사양이 적용됐다. 기아 최초로 적용된 발 마사지기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 ‘휴테크’와 협업해 개발했으며, 2열 좌측 전면부 하단에 위치해 있다.
구분
4세대 카니발 스마트스트림 3.5 가솔린
4세대 카니발 스마트스트림 2.2 디젤
전장 (mm)
5,155
전폭 (mm)
1,995
전고 (mm)
1,740 (1,775)
축거 (mm)
3,090
윤거 전 (mm)
1,746(18")/1,741(19")
윤거 후 (mm)
1,746(18")/1,741(19")
배기량 (cc)
3,470
2,151
최고 출력 (ps / rpm)
294 / 6,400
202 / 3,800
최대 토크 (kgf•m / rpm)
36.2 / 5,200
45.0 / 1,750
최대 타이어
235/60R18, 235/55R19
브레이크 (전 / 후)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 디스크
서스펜션 (전 / 후)
맥퍼슨 스트럿 / 멀티링크
5. 2. 더 뉴 카니발 (2023년 11월~2024년 10월)
2023년10월 27일에 정식 공개되어, 11월 8일부터 사전계약을 시작했다. 외관 전면부는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를 반영해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 주간 주행등과 고급스러운 패턴의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됐다. 측면부는 수직 형상의 전∙후면 램프가 적용되었고, 전면부와 후면부에는 스타맵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적용됐다. 외장 색상은 아이보리 실버, 스노우 화이트 펄, 아스트라 블루, 오로라 블랙 펄, 판테라 메탈, 세라믹 실버 등 6종으로 운영된다.[125]
실내는 12.3인치 클러스터와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 인포테인먼트/공조 전환 조작계 등이 적용됐으며, 앰비언트 라이트가 크래쉬패드까지 확대 적용됐다. 내장 색상은 토프, 네이비 그레이, 코튼 베이지 등 3종으로 운영된다.
UV-C 살균 암레스트 수납함, 에어컨 광촉매 살균 시스템이 기아 차종 최초로 적용됐으며, 멀티존 음성인식, 기아 디지털 키 2, 2열 다이내믹 바디 케어 시트, 2열 시트벨트 버클 조명 등의 편의 사양이 탑재됐다.[126]
더 뉴 카니발은 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 총 3종의 파워트레인 라인업으로 출시되었고, 11인승이 단종되고 7, 9인승으로만 판매된다.
5. 3. The 2025 카니발 (2024년 10월~현재)
2024년 10월 27일, 2025년형 카니발 부분변경 모델이 공개되었다.[57][58] 전 트림에 차로 유지 보조 2,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 새로운 디자인의 스티어링 휠 등 신규 기능이 기본 적용되었다. 시그니처 트림부터는 디지털 키 2, 터치 타입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등 편의 기능이 기본으로 들어갔다. 그래비티 트림에는 스노우 화이트 펄 외장 색상이, 노블레스 트림에는 코튼 베이지와 네이비 그레이 내장 색상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번 부분변경 모델은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상반된 통합(Opposites United)'을 반영하여 전면부와 후면부 디자인이 새롭게 바뀌었다. 헤드램프와 테일램프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후방 트렁크 개방 손잡이는 삭제되었다.[57][58] 실내는 센터 콘솔이 개선되고 새로운 스위치 기어가 적용되었으며,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 추가되었다.[57][58]
6. 역대 슬로건
; 2세대 (VQ)
꿈꾸던 라이프 스타일의 시작 (그랜드 카니발)
이젠, 프리미엄이 라이프 스타일 (그랜드 카니발)
내 가족의 리무진 (뉴 카니발)
6. 1. 1세대 (KV-2/GQ)
1998년에 출시된 기아 카니발은 대한민국 미니밴 시장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초기 모델은 트립(디젤), E-TEC(LPG, 1999년 출시), 랜드(디젤), 파크(디젤, LPG(1999년 출시), 가솔린) 등 다양한 트림으로 구성되었다. 2000년에는 디젤 6인승 밴 모델이 추가되었다.
2001년에는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한 카니발 II가 출시되었다. 카니발 II는 트립(디젤), E-TEC(LPG, 2003년 단종), 랜드(디젤), 파크(디젤, LPG(2003년 단종), 가솔린) 트림으로 운영되었으며, 2002년에 디젤 6인승 밴 모델이 단종되었다. 2004년에는 프리미엄(디젤) 트림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카니발은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편의 기능으로 가족 단위 고객에게 인기를 얻었으며, 대한민국 미니밴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LPG 모델은 경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6. 2. 2세대 (VQ)
2005년7월 14일에 출시됐다. 북미 시장을 겨냥하여 개발되어 전장이 5,000mm를 넘고, 전폭은 대한민국산 자동차 중(중·대형 상용차 제외) 가장 넓은 1,985mm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소형 버스로 분류되기 위해 11인승으로 출시됐으나, 4열 시트 구조로 레그룸이 넉넉하지 않아 출고 후 레일 개조를 통해 3열 시트까지 장착하는 경우도 많았다. 오토 슬라이딩 도어, 오토 테일 게이트, VRS 등 새로운 사양이 적용되었다. 기존 2.9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사용했지만, 성능은 향상되었다. 유럽에서는 길이만 축소된 카니발로 판매되었다. 2006년3월 26일에는 컨버전 밴인 그랜드 카니발 하이 리무진(11인승)이 출시되었고, 같은 해 12월 27일에는 배우 이덕화에게 전달식을 갖기도 했다.[119]2007년10월 4일 V6 2.7ℓ LPI 엔진이 추가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6일에는 그랜드 카니발 리미티드 트림과 카니발 리무진(9인승) 등에만 적용되던 2.9ℓ VGT 디젤 엔진이 모든 트림으로 확대 적용되었다.[120]
3세대 카니발(YP)은 2014년4월 뉴욕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같은 해 5월 22일 미디어 설명회를 거쳐 6월 23일에 공식 출시되었다. 2세대 모델이 숏 바디와 롱 바디 두 가지로 나뉘었던 것과 달리, 3세대는 롱 바디 단일 차체로 통합되었다.[122]
외관은 앞 범퍼 하단에 스키드 플레이트를 적용하고, 창틀에 크롬 몰딩을 넣어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실내는 1열 중앙에 노트북 수납이 가능한 대용량 센터 콘솔을 적용하여 9인승 모델의 시트 배열이 2+2+2+3 형태로 변경되었다. 4열 싱킹 팝업 시트는 평평한 적재 공간(최대 546ℓ)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22]
안전 사양으로는 52% 초고장력 강판, 121m 구조용 접착제, 액티브 후드 시스템, 6 에어백,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 경사로 밀림 방지 장치, 급제동 경보 시스템 등이 기본 적용되었다. 편의 사양으로는 듀얼 선루프, 버튼 시동 스마트 키, 220V 인버터 등이 제공되었다.[122]
2015년3월 30일에는 2015년형 모델이 출시되면서 V6 3.3ℓ 가솔린 엔진과 2열 VIP 라운지 시트를 갖춘 7인승(리무진) 모델이 추가되었다. 7인승 리무진 1호차는 배우 송일국에게 전달되었는데, 기아자동차는 송일국과 삼둥이 가족의 이미지가 카니발 리무진과 잘 어울린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122] 이후 2016년6월 14일에 출시된 2017년형에는 스마트 에어백,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동승석 워크인 스위치 등이 추가되었다.[122]
8세대 쏘나타의 전륜구동 플랫폼으로 풀 모델 체인지했으며, 이 플랫폼은 스타리아도 공용한다. 2020년6월에 공개하고 7월 28일부터 사전 계약을 시작했으며, 동년 8월 18일에 출시됐다. 2014년 3세대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심포닉 아키텍처 라디에이터 그릴, C필러의 독특한 입체 패턴 크롬 가니쉬, 리어콤비 램프 등 세련된 디자인 및 독보적인 공간 활용성, 최신 편의사양, 첨단 신기술로 재탄생했다. 또한, 스마트 파워 슬라이딩 도어, 원격 파워 슬라이딩 도어, 테일게이트 동시 열림/닫힘, 안전 하차 보조, 승하차 스팟램프, 터치식 버튼 등 승하차 관련 신기술이 적용됐다. 2021년7월 12일, 카니발 하이리무진이 출시됐다.[123][124] 4인승 모델로 스마트스트림 3.5 가솔린 단일 엔진이 적용됐으며, 하이리무진 전용 튜닝 서스펜션으로 승차감을 최적화했다. 또한 후석 리무진 시트, 7인치 터치식 통합 컨트롤러, 후석 냉·온 컵홀더 등 신규 편의사양을 적용했다. 기아 최초로 적용된 발 마사지기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 ‘휴테크’와 협업해 개발했으며, 2열 좌측 전면부 하단에 위치해 있다.
구분
4세대 카니발
4세대 카니발
전장 (mm)
5,155
전폭 (mm)
1,995
전고 (mm)
1,740 (1,775)
축거 (mm)
3,090
윤거 전 (mm)
1,746(18")/1,741(19")
윤거 후 (mm)
1,746(18")/1,741(19")
배기량 (cc)
3,470
2,151
최고 출력 (ps / rpm)
294 / 6,400
202 / 3,800
최대 토크 (kgf•m / rpm)
36.2 / 5,200
45.0 / 1,750
최대 타이어
235/60R18, 235/55R19
브레이크 (전 / 후)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 디스크
서스펜션 (전 / 후)
맥퍼슨 스트럿 / 멀티링크
2023년10월 27일에 정식 공개되어, 11월 8일부터 사전계약을 시작했다. 외관 전면부는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를 반영해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 주간 주행등과 고급스러운 패턴의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됐다. 측면부는 수직 형상의 전∙후면 램프, 전면부와 후면부는 스타맵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적용됐다. 외장 색상은 아이보리 실버, 스노우 화이트 펄, 아스트라 블루, 오로라 블랙 펄, 판테라 메탈, 세라믹 실버 등 6종으로 운영된다.[125]
실내는 각각 12.3인치 클러스터와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 인포테인먼트/공조 전환 조작계 등이 적용됐으며, 앰비언트 라이트를 크래쉬패드까지 확대 적용됐다. 내장 색상은 토프, 네이비 그레이, 코튼 베이지 등 3종으로 운영된다.
UV-C 살균 암레스트 수납함, 에어컨 광촉매 살균 시스템이 기아 차종 최초로 적용됐으며, 멀티존 음성인식, 기아 디지털 키 2, 2열 다이내믹 바디 케어 시트, 2열 시트벨트 버클 조명 등의 편의 사양이 탑재됐다.[126]
더 뉴 카니발은 가솔린과 디젤, 하이브리드 총 3종의 파워트레인 라인업으로 출시했다. 그리고 11인승이 단종되고, 7, 9인승으로만 판매한다.
2024년10월 14일에 정식 출시된 The 2025 카니발은 전 트림에 조향 제어 방식을 보강해 기존 대비 차로 중앙 유지 성능을 향상시킨 차로 유지 보조 2와 정전식 센서를 활용한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 새로운 디자인의 스티어링 휠 등의 신규 사양을 기본 적용했으며, 시그니처 트림부터 디지털 키 2, 터치타입 아웃사이드 도어핸들 등의 편의 사양을 기본 적용했다.[127]
그래비티 트림에서 스노우 화이트 펄 외장 색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노블레스 트림에 코튼 베이지와 네이비 그레이 내장 색상을 추가했다.
판매가격은 9인승 3.5 가솔린 모델 35510000KRW부터, 1.6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 40060000KRW부터 시작한다. 7인승 3.5 가솔린 모델은 42500000KRW부터, 1.6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은 47000000KRW부터 시작이다.[128]
7. 라인업
카니발은 다양한 고객층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트림과 엔진 라인업을 제공해 왔다.
2005년7월 14일에 출시되었다. 북미 시장을 겨냥하여 개발되어 전장이 5,000mm를 넘고, 전폭은 대한민국산 자동차 중(중·대형 상용차 제외) 가장 넓은 1,985mm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소형 버스로 분류되기 위하여 11인승으로 출시됐으나, 4열 시트이기 때문에 레그 룸이 넉넉하지 않아 출고 후에 레일 개조를 통하여 3열 시트까지 장착한 차량도 적지 않다. 새롭게 적용된 사양으로는 오토 슬라이딩 도어, 오토 테일 게이트, VRS 등이 있다. 기존 2.9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얹었으나, 성능이 향상됐다. 유럽에서는 길이만 축소한 카니발로 판매됐다. 2006년3월 26일에는 컨버전 밴인 그랜드 카니발 하이 리무진(11인승)이 출시됐으며, 같은 해 12월 27일에 배우 이덕화에게 전달식을 갖기도 했다.[119]2007년10월 4일에 V6 2.7ℓ LPI 엔진이 추가됐고, 같은 해 12월 6일에 그랜드 카니발 리미티드 트림과 카니발 리무진(9인승) 등에만 적용되던 2.9ℓ VGT 디젤 엔진이 모든 트림에 확대 적용됐다.[120]
3세대 카니발은 본래 2012년에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2년 미뤄져 2014년4월 뉴욕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같은 해 5월 22일 미디어 설명회를 가졌고, 부산 국제 모터쇼에서 일반에 최초 공개된 후 6월 23일에 출시되었다.[122] 2세대가 숏 바디(뉴 카니발)와 롱 바디(그랜드 카니발, 카니발 리무진) 2가지 차체로 나뉜 것과 달리, 3세대는 다시 롱 바디 단일 차체로 통합되었다.
앞 범퍼 하단에는 엔진 하부를 보호하는 스키드 플레이트를 적용했고, 창틀에 크롬 몰딩을 적용하여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1열 중앙에는 보조 시트 대신 노트북 컴퓨터까지 수납 가능한 대용량 센터 콘솔을 적용하여, 9인승은 기존 3+3+3 배열의 3열 시트에서 2+2+2+3 배열의 4열 시트로 변경되었다. 4열 시트 활용도가 낮은 점을 고려해 9인승과 11인승 모두에 4열 싱킹 팝업 시트를 적용, 등받이를 앞으로 접고 누르면 바닥으로 들어가 평평한 공간을 만들어 최대 546L의 적재 공간을 확보했다.
52%의 초고장력 강판과 121m의 구조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차체 구조 결합력을 강화했다. 보행자 머리 상해 위험을 줄이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 6 에어백,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 경사로 밀림 방지 장치, 급제동 경보 시스템 등이 기본 적용되었다. 듀얼 선루프, 버튼 시동 스마트 키, 220V 인버터 등도 적용되어 편의성을 높였다. 2.2ℓ 디젤 엔진은 유로 6 기준을 만족시켰고,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2015년3월 30일에는 2015년형 모델이 출시되며 V6 3.3ℓ 가솔린 엔진과 2열 VIP 라운지 시트가 적용된 7인승(리무진)이 추가되었다. 7인승(리무진)의 1호차는 당시 그랜드 카니발 하이 리무진 오너이자 KBS 2TV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했던 배우 송일국에게 전달되었다. 기아자동차는 송일국과 삼둥이 가족의 이미지가 패밀리 미니밴인 7인승 카니발 리무진과 잘 어울린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122]KBS 2TV살림하는 남자들에 출연했던 쿨 김성수와 유튜버 허팝 등 유명 연예인도 이 차량을 보유했거나 보유하고 있다.
2016년6월 14일에 선보인 2017년형은 앞좌석 스마트 에어백,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동승석 워크인 스위치가 새롭게 적용되었다.
2018년3월 13일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카니발'이 출시되었다. 경유 모델은 요소수 주입구가 추가되었으며, 이 모델부터 인도에서 CKD 방식으로 생산을 시작했다.
호주에서는 3.3리터 GDI V6 람다 엔진 또는 2.2리터 I4 디젤 R 시리즈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으며, 2018년 이후 모델은 8단 자동변속기가 기본 장착되었다.[38] 2015년 2월 호주 출시 이후 카니발은 월 평균 약 500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호주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승합차로 자리매김했고, 2019년에는 6,493대가 등록되었다.[39]
3세대 카니발은 2017년 3월 말레이시아에서 그랜드 카니발(Grand Carnival)로 출시되었고,[44] 2018년 1월부터 현지 조립이 시작되었다.[45] 말레이시아 시장의 그랜드 카니발은 2.2리터 디젤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했으며,[46] 2018년 10월 8단 자동변속기가 출시되었다.[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