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슈퍼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슈퍼빌은 1999년 건축 허가를 받아 2000년 터파기를 시작하여 4년여의 공사 기간을 거쳐 2003년 입주를 시작한 주거 시설이다. 이 프로젝트는 V.E 워크샵을 통해 원가 절감, 공정 간 간섭 사항 사전 발견, 시공성 향상 등을 추진했으며, A.C.S 공법, 다양한 양중 장비, AL.커튼월, 건식 석공사, 층간 소음 방지 대책 등을 도입했다. 또한, 주문형 인테리어, 고객 서비스 라운지 운영, 선진공사관리기법을 통해 입주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21세기형 주거 공간의 초석을 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초구의 건축물 - 동작대교
    동작대교는 1984년 개통한 대한민국 최초의 랭거아치 형식 다리이며, 서울 지하철 4호선 통과를 고려하여 건설되었으나, 초기 민간 투자 방식의 자금난과 용산 미군기지 이전 계획 무산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서울 서초구의 건축물 - 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은 1980년대 대한민국 정부가 건립한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음악당, 미술관, 오페라하우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립 예술 단체의 상주 공간으로 활용된다.
  • 서울특별시의 마천루 - 용산국제업무지구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 용산구에 국제적인 업무 중심지를 조성하려던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2018년 마스터플랜 발표 후 재추진되어 2024년 서울시 정부의 승인을 받았으며 2025년 하반기 착공,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 서울특별시의 마천루 - N서울타워
    N서울타워는 서울 남산에 위치한 랜드마크이자 방송 송신탑으로, 다양한 시설과 관광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KBS, MBC, SBS 등 방송 송신 시설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마천루 - 63빌딩
    63빌딩은 1985년 완공된 대한민국의 초고층 빌딩으로, 한때 아시아 최고 높이였으며 현재는 서울의 랜드마크로서 다양한 시설과 문화 콘텐츠를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마천루 - 더샵 동래
현대 슈퍼빌
기본 정보
양재역 근처에서 본 현대 슈퍼빌
양재역 근처에서 본 현대 슈퍼빌
건물 명칭현대 슈퍼빌
원어 건물 명칭Hyundai Superville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15 (서초동 1446-11)
상태완공
용도주거
건축 정보
건축 기간1999년 ~ 2003년 8월
착공1999년
완공2003년 8월
개장2003년 10월
지붕 높이A동: 162m
층수A동: 지상 46층
B동: 지상 37층
C동: 지상 24층
D동: 지상 22층
지하 4층
연면적226,180.5m2
건축가(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원
시공사현대건설

2. 역사

현대 슈퍼빌 건설 프로젝트는 1999년 12월 2일 건축허가를 받아 시작되어, 약 4년의 공사 기간을 거쳐 2003년 10월 13일 사용검사 승인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공사 초기 단계부터 비용 절감과 시공성 향상, 유지관리 최적화를 목표로 외국 전문 컨설팅 기관과 협력하여 V.E(Value Engineering) 워크샵을 진행하는 등 체계적인 사업 관리가 이루어졌다.

2. 1. 사업 진행 과정

현대 슈퍼빌 프로젝트는 1999년 12월 2일 건축허가를 받아 시작되어 2003년 10월 13일 사용검사필증을 받기까지 약 4년이 소요되었다. 공사 초기에는 비용 절감과 효율성 증대를 위해 외국 전문 컨설팅 기관과 협력하여 총 39명이 참여하는 V.E(Value Engineering) 워크샵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원가 절감, 공정 간 간섭 문제 사전 발견을 통한 시공성 향상, 건물의 생애유지관리비용 최적화 등을 추진했다. 공사에는 최대 5개 부서 78명의 인원이 투입되어 품질 확보에 주력했다.

주요 공사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요 공사 일정
공정시작/완료 시점주요 내용
터파기2000년 2월 착수-
지하 주차장 골조 공사2001년 5월 완료콘크리트 타설 후 10개월 소요
A, B동 코어 월(Core Wall) 공사2001년 12월 완료A.C.S(Automatic Climbing System) 공법 사용, 5~6일 주기로 총 65회 콘크리트 타설, 13개월 소요
각 동별 골조 공사2002년 7월 완료-
외벽 마감 공사2002년 7월 완료알루미늄 커튼월, 경량 복합 판넬 사용
내부 칸막이 공사2002년 7월 완료-
내부 인테리어 및 주요 전기, 설비 공사2003년 8월 말 완료계약 공기 내 완료
시운전2003년 8월 말 ~ 10월2개월간 진행
입주 시작2003년 10월-



내부 인테리어 및 주요 전기, 설비 공사는 계약된 공사 기간 내인 2003년 8월 말에 마무리되었고, 이후 2개월간의 시운전을 거쳐 2003년 10월부터 입주가 시작되었다.

3. 주요 공법 및 기술

현대 슈퍼빌 건설 프로젝트에는 초고층 건물의 특성을 반영한 여러 주요 공법과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 특히 대규모 자재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양중 및 가설공사 계획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부위별 특성에 맞는 콘크리트 구조 형식 선정, 고품질 재료 사용, 효율적인 타설 공법 등이 핵심 요소로 작용했다. 각 공법과 기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 1. 양중 및 가설 공사 계획

현대 슈퍼빌 공사에는 자재 운반과 인력 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와 규모의 양중 장비가 계획되고 투입되었다. 주요 장비로는 다수의 타워크레인과 호이스트가 포함되었으며, 이 외에도 여러 가설 시설물이 활용되었다.[1] 상세한 장비 구성 및 현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1. 양중 구성 요소

현대 슈퍼빌 공사에는 자재 운반 및 인력 이동을 위해 다양한 양중 장비와 시설이 활용되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1]

  • 타워크레인: 6대
  • 호이스트: 13대
  • 복공판: 2600m2
  • 지하 전용 출입로: 2개소
  • 지상 출입로: 4개소
  • 고층 자재 양중대: 9대
  • 본공사 엘리베이터: 10대
  • 고층 전용 콘크리트 압송 배관
  • 고압 콘크리트 펌프카 (C.P.B - Con’c Placing Boom)
  • 지게차 및 지상 크레인


주요 양중 장비인 타워크레인과 호이스트의 세부 현황은 아래와 같다.

'''타워크레인'''

총 5대의 타워크레인이 고층 및 저층 작업에 맞게 운영되었다.

타입용도수량용량
T-Type고층용2대20톤
고층용1대8톤
Luffing Type저층용2대28톤



'''호이스트'''

각 동별로 속도, 제조사, 케이지 구성이 다른 호이스트가 설치되었다.

설치 위치(동)속도/제조사케이지 타입
A동고속 (외산)TWIN CAGE
저속 (국산)SINGLE CAGE
B동고속 (국산)TWIN CAGE
저속 (국산)SINGLE CAGE
C동저속 (국산)TWIN CAGE
D동저속 (국산)TWIN CAGE


3. 1. 2. 주요 양중 장비 현황

현대 슈퍼빌 공사 현장에는 총 6대의 타워크레인과 13대의 호이스트가 주요 양중 장비로 사용되었다.[1] 각 장비의 세부 현황은 다음과 같다.

'''타워크레인'''

타워크레인 현황
구분종류용량수량용도
T-Type20톤2대고층용
8톤1대
Luffing Type28톤2대저층용



'''호이스트'''

호이스트 현황
설치 위치속도제조케이지 종류
A동고속외산Twin Cage
저속국산Single Cage
B동고속국산Twin Cage
저속국산Single Cage
C동저속국산Twin Cage
D동저속국산Twin Cage


3. 2. 콘크리트 공사

현대 슈퍼빌의 콘크리트 공사는 건물의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공정이었다. 이 공사는 크게 구조 형식 선정, 적합한 구조 재료 사용, 효율적인 타설 작업으로 구성되었다. 건물 부위별 특성에 따라 철골, 철골철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등 다양한 구조 형식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기초는 매트기초 방식을 채택했다. 주요 구조 재료로는 한국산업표준(KS) 규격에 맞는 콘크리트철근이 사용되었다.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지하층과 지상층으로 나누어 진행되었고, 펌프카, 고정식 펌프 등 다양한 장비와 체계적인 인력 운용 계획을 통해 효율성과 품질을 높였다.

3. 2. 1. 구조 형식

현대 슈퍼빌의 구조 형식은 다음과 같다.

3. 2. 2. 사용 구조 재료

슬래브, 보 및 기초: 설계기준압축강도(fck) = 240 kg/cm2철근KS D 3504 (SD 40)항복강도(fy) = 4000 kg/cm2



'''설계기준압축강도'''(fck)는 콘크리트가 압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단위 면적당 견딜 수 있는 최대 힘(kg/cm2)으로 표시된다.

'''항복강도'''(fy)는 철근이 외부 힘에 의해 영구 변형이 시작되는 지점의 응력(힘/면적)을 의미한다. SD 40은 항복강도가 4000 kg/cm2 이상인 이형철근을 뜻한다.

3. 2. 3. 타설 장비 및 인원 운용 계획

현대 슈퍼빌 건설 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지하층과 지상층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별로 적합한 장비와 인력이 투입되었다.

=== 지하층 ===

지하층 콘크리트 타설에는 펌프카(Pump Car)와 고정식 펌프(Stationary Pump)가 주로 사용되었다. 각 장비의 타설 능력은 다음과 같다.

지하층 타설 장비별 용량
장비 종류시간당 타설 용량1일(10시간) 타설 용량
펌프카100m31000m3
고정식 펌프60m3600m3



=== 지상층 ===

지상층 타설에도 펌프카와 고정식 펌프가 사용되었다. 특히 건물 중앙의 코어 벽체(Core Wall) 타설 시에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Concrete Placing Boom)이 추가로 투입되었다.

지상층 타설 장비 및 용량
타설 구역사용 장비시간당 타설 용량 (플레이싱 붐)비고
일반 구역펌프카, 고정식 펌프--
중앙 코어 벽체펌프카, 고정식 펌프,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30m31개 층(120m3) 타설 시 약 4시간 소요 예상



타설 작업의 품질 확보를 위해 바이브레이터(Vibrator)는 타설 장비 1대당 2대를 기본으로 배치하고, 예비로 1대를 추가 확보하였다.

=== 타설 인원 운용 계획 ===

효율적인 타설 작업을 위해 다음과 같이 인원을 운용하였다.

타설 작업 투입 인력 구성
구분인원 구성비고
장비 기사타설 장비 1대당 주 기사 1명, 보조 기사 1명-
콘크리트 타설공장비 1대당 반장 1명 + 바이브레이터 1대당 3명장비 1대당 총 7명 (바이브레이터 2대 기준)
미장공쇠흙손 마감 시 면적 66m2~99m2당 1명약 20~30당 1명


4. A.C.S(Automatic Climbing System) Core Wall(선행공법 적용)

현대건설 건축공사에서 최초로 도입한 공법이다. 골조 공사 형태가 유사하게 반복되는 구간에 조립 및 해체 작업을 최소화하고, 공사용 작업 발판을 장착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된 시스템 폼(System form)과 자동 인양 장치를 결합한 Formwork System으로 구성된다.

이 공법은 초고층 건물 골조공사의 코어 월(Core wall) 구조체를 형성하는 데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고, 균일한 단계별 연속 작업을 통해 구조체의 정확성을 높여 우수한 품질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 슈퍼빌 프로젝트에서는 매일 및 시간별 작업 공정 관리를 통해 65회의 타설 공정을 약 13개월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2001년 12월에 성공적으로 골조 공사를 완료하였다. 이는 공사 기간 단축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5. 외벽마감공사(AL.커튼월/경량복합판넬/건식석공사)

현대 슈퍼빌의 외벽 마감에는 알루미늄 커튼월, 경량복합판넬, 건식 석공사 등 다양한 공법과 재료가 사용되었다. 알루미늄 커튼월 공사는 주로 창호 시스템에 적용되었으며, 공장 제작을 통해 품질과 시공 효율성을 높였다. 건물 본체의 외부 콘크리트 옹벽 마감에는 포천석을 사용한 건식 석공사 방식과 경량복합판넬 공법이 함께 적용되었다. 이러한 외벽 마감 공사의 구체적인 방식과 특징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5. 1. AL.커튼월공사

AL 창호 공사에는 커튼월 방식이 적용되었으며, 유닛(Unit) 타입과 스틱(Stick) 타입을 혼용하였다. 모든 제품은 현장 실측을 통해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고정 작업(앵커링)만 진행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공장 제작으로 인한 높은 품질을 확보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었다.

5. 2. 경량복합판넬 공사 및 외벽 건식석공사

현대 슈퍼빌 A동과 B동의 외부 콘크리트 옹벽에는 건식 석공사 방식으로 외벽 마감이 이루어졌다. 사용된 석재는 포천석 버너구이로, 두께는 30mm였다. 이 공사는 건물 높이 135m(42층)까지 총 15000m2 면적에 걸쳐 진행되었다.

건식 석공사 시공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항들이 고려되었다.

한편,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과 철골 내화피복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경량복합판넬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판넬은 철재로 제작된 프레임 안에 단열재와 시멘트보드를 채우고, 외부 마감재로 두께 20mm의 포천석 버너구이를 부착하여 공장에서 미리 하나의 완제품 판넬로 제작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이렇게 공장에서 제작된 판넬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했으며, 아파트 전체 외벽에 총 30672m2 면적(7,321매 분량)의 경량복합판넬이 사용되었다.

6. 층간소음·차음방지 대책 도입

현대 슈퍼빌은 거주자에게 양질의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층간소음 및 세대 간 소음 문제 해결에 노력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기술연구소에서 바닥 차음재의 중량 및 경량 충격음에 대한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특수 경질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시공 방안이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기준안의 권장치인 중량충격음 L-45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바닥 차음재로 시공하였다.

또한, 공조설비 가동 시 발생하는 소음이 실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침실, 거실, 안방에서 소음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아래 표와 같으며, 모든 측정치가 주택 소음 기준인 NC-30 ~ NC-40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측정 대상측정 위치측정 결과 (NC 값)측정 결과 (dB)
환기유니트침실, 거실, 안방NC-2530.0 dB
에어컨침실, 거실, 안방NC-2025.8 dB / 26.2 dB
실외기실침실, 거실, 안방NC-2025.8 dB / 26.2 dB


7. 주문형 인테리어 및 고객서비스라운지 운영

아파트의 정형화된 구조에서 벗어나 입주자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대 슈퍼빌은 C.I.Y(Choose It Yourself) 개념의 주문형 인테리어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를 위해 10가지 타입의 평면을 기본형과 선택형으로 나누어 제공했으며, 입주자는 제시된 네오클래시즘, 모더니즘, 미니멀리즘 세 가지 인테리어 타입 중 자신의 생활 방식과 취향에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었다. 상담 과정에서 입주자가 특별한 요구를 할 경우, 이를 특별 옵션으로 반영하여 다양한 개성과 취향을 만족시키고자 노력했다. 이는 변화하는 주거 공간 트렌드에 발맞추고, 입주 후 별도의 인테리어 재시공이 필요 없는 고품격 주거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전략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주문형 인테리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고객서비스 라운지가 운영되었다. 이 라운지는 입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창구 역할을 했다. 내부 마감재 변경이나 세대 내 칸막이 벽체 변경을 통한 공간 재구성 등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약 10명의 전문가가 상주하며 인테리어 및 설계 상담을 제공하는 "고객맞춤 디자인 상담실"을 운영했다. 또한, 입주와 관련된 세무 및 부동산 법률 문제를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세무상담 및 부동산 법률상담" 서비스도 제공했다. 현대 슈퍼빌은 이러한 고품격 서비스를 통해 최상위 고객층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이를 통해 자산 가치 상승과 고객 만족을 동시에 추구하며 최고의 주거 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했다.

8. 선진공사관리기법(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의 운용

현대 슈퍼빌 공사는 대규모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공사 참여자(감독원, 감리자, 시공자 등) 간의 신속한 의사 결정 지원실시간 정보 공유가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선진 공사 관리 기법인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eng )를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PMIS는 단위 업무별 기능을 표준화하고, 프로젝트의 일정 계획에 따른 실적 관리를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PMIS 운용을 통해 얻은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9. 결론

현대 슈퍼빌 프로젝트는 대규모 공사로서, 참여자 간 신속한 의사결정과 실시간 정보 공유를 위해 단위 업무별 기능을 표준화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일정 계획에 따른 실적 관리, 체계적인 정보 제공, 대형 공사 관리 능력 향상, 성공적인 공사 수행 및 전문 기술 축적이 가능했다. 또한, 감독원, 감리자, 시공자 등 모든 참여자가 공사 정보와 자료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했다.

이 프로젝트는 21세기 신개념 주거 공간의 초석이자 서초 지역 주거 시설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초고층 건축물 시공에 필요한 다양한 공법과 구법을 도입하고 연구하며 공사를 진행하였다. 주요 적용 기술 및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또한, 산학 협력의 일환으로 대학(원)생의 현장 방문 및 견학을 지원했으며, 주변 경관과 조화되는 예술의 거리와 아쿠아 아트 브릿지를 조성했다. 민원 예방을 위한 사전 점검과 대민 활동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이 현장은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책임 감리 현장이자 서울시 산학 품질 시험 연구소의 적정성 심사 대상으로서, 산학연 공동 협조 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결론적으로 현대 슈퍼빌은 신기술, 신공법, 신개념이 적용된 프로젝트로서, 대한민국의 초고층 건축물 시공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21세기 주거 공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