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흰수염바다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수염바다오리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는 바닷새로, 몸길이는 약 38cm이다. 캘리포니아부터 알래스카, 일본, 한반도, 사할린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겨울에는 원해와 연안에서 생활한다. 번식기에는 절벽의 구멍이나 굴을 둥지로 사용하며, 암컷은 1개의 알을 낳고, 부모가 번갈아 가며 약 45일간 포란한다. 먹이는 주로 작은 물고기, 크릴, 오징어 등이며, 최대 60m까지 잠수할 수 있다.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1년 기재된 새 - 참수리
    참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러시아 동부에서 번식하고 한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하며, 큰 부리와 흰 꼬리, 짙은 갈색 깃털이 특징이고, IUCN Red List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호가 필요하다.
  • 1811년 기재된 새 - 재두루미
    재두루미는 두루미과에 속하며 회색 몸통과 붉은 얼굴 반점, 흰 목을 지닌 조류로, 습원, 초원 등에서 서식하며 어류, 곤충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보호대상 해양생물 - 물개
    북방털개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며 성적 이형을 보이는 바다사자과의 해양 포유류로,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으며, 어류와 오징어를 주식으로 하고 번식기에는 하렘을 형성한다.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보호대상 해양생물 - 고래상어
    고래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류로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올빼미
    올빼미는 귀깃이 없고 야행성이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고 사는 중형 올빼미로, 히말라야올빼미의 다른 이름이며,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된다.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쇠황조롱이
    쇠황조롱이는 매목 매과에 속하는 소형 맹금류로, 전 세계에 9개의 아종이 존재하며, 민첩한 사냥 능력으로 소형 조류, 포유류, 곤충 등을 먹이로 하고, 서식지 파괴의 위협에 직면해 있지만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흰수염바다오리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흰수염바다오리 성체, 일본
성체, 일본
학명Cerorhinca monocerata
명명자팔라스, 1811년
한국어 이름흰수염바다오리
영어 이름Rhinoceros Auklet(코뿔소 물떼새), Rhino auklet, Horn-billed puffin, Unicorn puffin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도요목
바다오리과
흰수염바다오리속 Cerorhinca
흰수염바다오리 C. monocerata
보전 상태
IUCNLC (최소 관심)
IUCN 기준 버전IUCN3.1
IUCN 참고BirdLife International (2018). Cerorhinca monocerata.
분포

2. 분포

흰수염바다오리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는 바닷새이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캘리포니아 (채널 제도)에서 알류샨 열도알래스카까지, 아시아에서는 일본홋카이도혼슈, 한반도, 사할린섬에서 번식한다. 겨울에는 원해와 연안 모두에서 서식하며, 일부는 이동한다.[4]

2. 1. 번식지

흰수염바다오리는 캘리포니아주 채널 제도에서 북아메리카 알래스카주 알류샨 열도에 이르는 지역에서 번식한다. 일본홋카이도, 혼슈, 그리고 한반도사할린섬에서도 볼 수 있다.[4]

북일본 연안에서 캘리포니아주까지의 북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의 테우리 섬, 다이코쿠 섬, 오시마코지마 섬, 이와테현의 츠바키 섬, 미야기현의 아시 섬 등에서 번식한다. 테우리 섬에서는 약 100만 마리가 번식하며 세계 최대의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아시 섬은 일본에서의 번식지 남단으로,[12] 리쿠젠 에노시마 섬의 괭이갈매기 및 흰수염바다오리 번식지"로, "테우리 섬 해조류 번식지"와 함께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2. 2. 비번식기

흰수염바다오리는 겨울철에 원해와 연안 모두에서 서식하며, 일부는 이동한다. 10월에서 4월 사이에 캘리포니아 외해에서 많은 수가 이동하는데, 이들은 대부분 캘리포니아 북쪽의 번식지에서 온다. 캘리포니아 해안에 서식하는 흰수염바다오리는 해당 지역에 머무른다.[4]

3. 형태

흰수염바다오리는 일부일처제이며 매우 사회적인 종이므로, 평생의 짝을 선택하기 위해 다른 개체의 신체적 특징에 크게 의존한다.[10] 번식기 흰수염바다오리의 부리에 있는 돋보이는 뿔은 이러한 행동의 진화적 부산물 중 하나이다. 부리는 자외선 아래에서 형광 특성을 띤다. 여러 조류 종이 자외선 빛을 통해 단서를 감지할 수 있으며,[11] 이는 이 형광이 번식 목적을 위해서도 사용된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위턱과 아래턱에서도 형광이 나타나지만, 이 현상은 뿔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성별 간의 형광 차이에 대한 증거는 없지만, 형광의 양은 개체 간에 차이가 있다.[3]

몸길이는 38cm 정도로, 비둘기보다 크다.[13] 머리부터 가슴, 등까지는 회흑색 깃털로 덮여 있지만, 배는 흰색이다. 부리는 약간 크고 주황색이다. 여름깃에서는 위 부리 기부에 돌기가 생기고, 과 부리 뒤에도 눈썹수염과 같은 흰 장식 깃이 나타나 독특한 풍모를 띠지만, 겨울깃에서는 부리의 돌기와 장식 깃이 사라진다.

몸 크기는 뿔바다오리나 넓적부리바다오리 정도이며, 몸 색깔은 에토로프바다오리 등과 비슷하다.

물 위의 흰수염바다오리

4. 생태

흰수염바다오리는 바다에서 물고기를 먹고, 일부 크릴새우와 오징어도 섭취한다. 번식기에는 연안에서 중간 수심에서 먹이를 찾고, 비번식기에는 연안 해상에서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남하하는 개체도 있어 혼슈 연안 등에서도 관찰된다. 다른 바다오리과와 마찬가지로 잠수하여 멸치 등 작은 물고기나 크릴새우, 오징어 등을 포식한다.[7][8]

번식은 초여름(5월~6월)에 이루어진다. 굴을 파거나 깊이 1~5m의 자연 동굴이나 구멍을 이용하여 둥지를 만든다. 암수 한 쌍이 30~35일 동안 알을 품고, 부화 후 35~45일 동안 매일 밤 부리 가득 물고기를 물어다 새끼에게 먹인다. 이러한 야행성 행동은 갈매기에 의한 포식과 무임승차에 대한 반응으로 여겨진다.[4][5] 흰수염바다오리는 일부일처제이며 번식기가 아닐 때는 비슷한 지역을 이동하지만, 짝은 따로 이동한다. 하지만 산란 전 기간 동안에는 번식지에 돌아와 먹이 활동을 동기화한다.[6]

4. 1. 먹이

바다에서 흰수염바다오리는 물고기를 먹이로 삼으며 일부 크릴새우와 오징어도 먹는다.[16] 먹이를 잡기 위해 최대 57m 깊이까지 잠수하며 최대 148초 동안 잠수할 수 있다.[7]

번식기에는 연안에서 중간 수심에서 먹이를 찾는다. 둥지를 짓는 흰수염바다오리의 식단은 조류의 둥지 위치에 따라 다양하다. 샐리시 해 근처 워싱턴 해안의 한 섬에서는 흰수염바다오리가 주로 모래 뱀장어를 먹고, 워싱턴 해안의 다른 섬에서는 멸치빙어를 먹는다.[8]

비번식기에는 멸치 등 작은 물고기나 크릴새우, 오징어 등을 포식한다. 잠수 능력이 뛰어나 날개를 사용하여 수중을 헤엄쳐 다닐 수 있다. 개체에 수심계를 장착한 연구에 따르면, 수심 60m까지 잠수하며, 2분간의 잠수 시간이 관찰되었다.

새끼에게는 주로 정어리멸치를 부리에 잔뜩 물고 와서 먹인다.[4][5]

4. 2. 번식

번식은 초여름인 5월에서 6월 사이에 이루어진다. 흰수염바다오리는 굴을 파서 둥지를 만들거나, 깊이가 1~5m 사이의 자연 동굴이나 구멍을 이용한다. 이들은 이륙에 도움이 되도록 약간 경사진 곳에 둥지를 트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는 이들이 비행에 서투르기 때문이다. 암수 한 쌍이 30~35일 동안 알을 품는다. 반자립성 새끼는 그 후 35~45일 동안 매일 밤, 부리 가득 물고기를 물어다 먹는데, 이는 바다오리와 유사한 방식이다.[4][5] 이러한 야행성 행동은 갈매기에 의한 포식과 무임승차에 대한 반응으로 여겨진다.[4][5]

흰수염바다오리는 일부일처이며, 번식기가 아닐 때는 비슷한 지역을 이동하지만, 짝은 따로 이동한다. 하지만 산란 전 기간 동안 식민지로 돌아오면 먹이 활동을 동기화한다.[6] 흰수염바다오리는 일부일처제이며 매우 사회적인 종이므로, 평생의 짝을 선택하기 위해 다른 개체의 신체적 특징에 크게 의존한다.[10] 번식기 흰수염바다오리의 부리에 있는 돋보이는 뿔은 이러한 행동의 진화적 부산물 중 하나이다. 부리는 자외선 아래에서 형광 특성을 띤다. 여러 조류 종이 UV 빛을 통해 단서를 감지할 수 있으며,[11] 이는 이 형광이 번식 목적을 위해서도 사용된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위턱과 아래턱에서도 형광이 나타나지만, 이 현상은 뿔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성별 간의 형광 차이에 대한 증거는 없지만, 형광의 양은 개체 간에 차이가 있다.[3]

번식지에서는 절벽 위의 지면에 콜로니를 만들어 깊이 1m-5m 정도의 구멍을 비스듬하게 파서 둥지로 삼는다. 암컷은 1개만 을 낳으며, 양친이 교대로 45일간 포란하고, 새끼가 부화하면 둥지를 떠날 때까지 약 50일간 먹이를 운반한다. 이 시기에는 매일 새벽 전에 둥지 구멍에서 일제히 어미 새가 날아오르고, 저녁 어두워질 무렵에 정어리멸치를 부리에 잔뜩 물고 울음소리를 내며 돌아온다. 어두운 시간대에 둥지를 출입하는 것은 먹이를 가로채는 갈매기류나 포식자에 대한 대응책으로 여겨진다.

작은 물고기를 부리에 잔뜩 문 흰수염바다오리


콜로니의 입체 사진(교차 시) - 덴푸리섬의 아카이와자키 등대

5. 진화

속 ''Cerorhinca''는 미오세 중후기에 북태평양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한 종만 남아 있지만, 과거에는 종의 수와 분포 모두 훨씬 다양했다. 화석은 바하칼리포르니아 남부에서 발견되었다. 대서양에서 발견된 이 분류군의 첫 번째 기록은 Smith et al. (2007)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Cerorhinca''의 생물지리학적 역사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하다는 것을 시사한다.[9] 알려진 선사 시대 종은 다음과 같다.

학명발견 지역시기
의심스러운 바다오리Cerorhinca dubia미국 샌타바버라군후기 미오세
Cerorhinca minor멕시코 세드로스 섬후기 미오세/초기 플리오세
Cerorhinca reai미국 남서부 샌디에이고후기 플리오세
Cerorhinca aurorensis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요크타운 지층후기 플리오세
Cerorhinca sp.남동부 숲초기 플리오세


6. 인간과의 관계

자식을 빼앗기면 운다고 한다(우토우 고개 참조).

어미 새가 "우토우"하고 울면, 새끼 새가 "야스카타"라고 대답한다는 전설 속의 새 "우토우 야스카타(善知鳥安方)"가 있으며, "우토우(善知鳥)"는 그 약칭으로도 사용된다[14]

7. 보전 상태

'''관심대상''' (IUCN 적색 목록 Ver. 3.1, 2001년)[1]

참조

[1] 간행물 "''Cerorhinca monocerata''" 2018
[2] 웹사이트 AOU Committee on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North & Middle America) Proposals 2008-A http://www.aou.org/c[...] 2008
[3] 논문 Fluorescent ornamentation in the Rhinoceros Auklet ''Cerorhinca monocerata'' https://onlinelibrar[...]
[4] 서적 Catalog of California seabird colonies U.S. Dep. Inter., Fish and Wildl. Serv., Wash. DC. Biol. Serv. Program FWS/OBS-80/37
[5] 문서 Range expansion and activity patterns in rhinoceros auklets
[6] 논문 Rhinoceros Auklet pair-mates migrate independently but synchronize their foraging activity during the pre-laying period
[7] 논문 Diving behavior of an epipelagically feeding alcid, the Rhinoceros Auklet (''Cerorhinca monocerata'') 2003-07
[8] 웹사이트 Nights in the lives of the rhinoceros auklets of Protection Island {{!}} Encyclopedia of Puget Sound https://www.eopugets[...] 2020-11-20
[9] 논문 First Atlantic record of the puffin ''Cerorhinca'' (Aves, Alcidae) from the Pliocene of North Carolina https://repository.s[...]
[10] 문서 Mechanosensory function for facial ornamentation in the Whiskered Auklet, a crevice‐dwelling seabird
[11] 문서 The ultraviolet receptor of bird retinas
[12] 서적 動物植物 ぎょうせい 1987
[13] 서적 北海道野鳥図鑑 亜璃西社 2003-05-20
[14]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991-11
[15] 웹사이트 AOU Committee on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North & Middle America) Proposals 2008-A http://www.aou.org/c[...] 2008
[16] 논문 Diving behavior of an epipelagically feeding alcid, the Rhinoceros Auklet (''Cerorhinca monocerata'') 20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