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칼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힌칼리는 조지아의 전통 만두 요리이다. 힌칼리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몽골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조지아 산악 지대에서 발명되었다는 설이 존재한다. 힌칼리는 다진 고기, 양파, 고추, 소금, 커민 등을 넣은 속을 밀가루 반죽으로 감싸 끓여서 만들며, 지역에 따라 속 재료에 차이가 있다. 힌칼리는 손으로 들고 육즙을 먼저 먹고, 윗부분은 먹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식사 방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요리 - 피에로기
피에로기는 다진 고기, 으깬 감자, 치즈, 과일 등 다양한 소를 넣어 만든 동유럽 만두 요리로, 슬라브 국가에서 즐겨 먹으며 각 지역 문화와 재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축제 음식으로도 애용되고 북미 지역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 소련 요리 - 베슈바르마크
베슈바르마크는 "다섯 손가락"이라는 뜻의 키르기스어에서 유래한 중앙아시아 전통 요리로, 말고기나 양고기를 삶아 넓적한 국수와 함께 손으로 먹으며, 소련 문학의 영향으로 국가 요리가 되었고, 손님을 맞이할 때 특별한 의례와 함께 제공된다. - 조지아 요리 - 탄두르
탄두르는 흙으로 만든 원통형 오븐으로,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는 데 사용되며, 탄두리 치킨과 같은 요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 조지아 요리 - 하차푸리
하차푸리는 조지아의 전통 치즈빵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러시아, 아르메니아 등지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덤플링 - 춘권
중국에서 유래한 춘권은 얇은 반죽에 채소나 고기 등을 넣어 튀기거나 굽는 음식으로, 봄철 명절 음식으로 유명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재료, 조리법으로 세계 각지에서 즐겨 먹는다. - 덤플링 - 타말
타말은 옥수수 반죽에 속을 넣고 껍질이나 잎에 싸서 찐 음식으로, 중앙아메리카에서 유래하여 아즈텍, 마야, 톨텍 문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멕시코를 비롯한 다양한 지역에서 소비된다.
힌칼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힌칼리 |
로마자 표기 | Khinkali |
다른 이름 | Khincali Hinkali Xinkali |
지역 및 문화 | |
국가 | 조지아 |
지역 | 므츠헤타-므티아네티 |
관련 지역 | 푸샤비 츠셰티 므티울레티 헤브수레티 |
음식 정보 | |
종류 | 만두 |
제공 온도 | 따뜻하게 |
주재료 | 속: 양념한 다진 고기 (쇠고기, 돼지고기, 또는 양고기) 허브 캐러웨이 커민 사투레자 고추 양파 마늘 |
추가 재료 (채식) | 치즈 감자 버섯 |
영양 정보 |
2. 기원
힌칼리(khinkali)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몽골의 정복과 관련짓는 설과 조지아 산악 지대에서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2. 1. 몽골 기원설
만두의 개념은 13세기에 몽골인들에 의해 중국에서 몽골, 러시아, 조지아로 서쪽으로 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전설에 따르면, 힌칼리는 몽골에서 유래하여 조지아가 실크로드에 위치해 있었던 13세기 경에 조지아로 전해졌다고 한다.[4] 몽골 정복자들은 말을 타고 다니면서 고기를 더 잘 보관하기 위해 고기를 반죽에 넣었다고 한다.[5][6] 아마도 그들 자신도 중국 이웃으로부터 만두 만드는 법을 배웠을 것이다.
2. 2. 조지아 산악 지대 기원설
만두의 개념은 13세기에 몽골인들에 의해 중국에서 서쪽으로 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힌칼리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어떤 사람들은 몽골의 정복과 관련짓지만, 다른 사람들은 조지아 산악 지대에서 만들어졌다고 믿는다. 어떤 전설에 따르면, 힌칼리는 몽골에서 유래하여 조지아가 실크로드에 위치해 있었던 13세기 경에 조지아로 전해졌다.[4] 몽골 정복자들은 말을 타고 다니면서 고기를 더 잘 보관하기 위해 고기를 반죽에 넣었다고 한다.[5][6] 아마도 그들 자신도 중국 이웃으로부터 만두 만드는 법을 배웠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자료에 따르면, 이 전통 요리는 트빌리시 북쪽 조지아 산악 지대에서 발명되었다. 과거에는 추운 겨울철에 목동들이 주로 먹던 음식이었다. 투셰티와 프샤비 지역 사람들 모두 이 발명에 대해 논쟁하고 있다.
처음에 힌칼리는 산에서 가장 흔하게 먹던 고기였던 양고기로 속을 채웠다. 그 후, 인기가 높아지고 도시 지역으로 퍼지면서 다양한 변형이 생겨났다.[7] 따라서 돼지고기나 소고기가 속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 채식 버전이 개발되었다. 여기에는 버섯이나 감자 소가 포함되며, 조지아에서는 정교회 금식일에 흔히 먹는다.
3. 재료 및 만드는 법
힌칼리의 속 재료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원래 레시피인 "헤브수룰리(khevsuruli)"는 다진 고기(양고기나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를 섞은 것), 양파, 고추, 소금, 커민만으로 만든다.[3] 반면, 조지아 도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현대 레시피인 "칼라쿠리(kalakuri)"는 파슬리와 고수 같은 허브를 사용한다. 고기 대신 버섯, 감자, 치즈를 사용하기도 하며, 할랄 및 코셔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를 넣지 않고 소고기나 양고기를 주로 사용한다.
3. 1. 전통적인 재료 (헤브수룰리)
힌칼리의 속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원래 레시피인 헤브수룰리(khevsuruli)는 다진 고기(양고기나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를 섞은 것), 양파, 고추, 소금, 커민만으로 구성되었다.[3]3. 2. 현대적인 재료 (칼라쿠리)
힌칼리의 속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원래 레시피인 '헤브수룰리(khevsuruli)'는 다진 고기(양고기,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 혼합), 양파, 고추, 소금, 커민으로만 구성되었다.[3] 그러나 조지아 도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현대 레시피인 '칼라쿠리(kalakuri)'는 파슬리와 고수와 같은 허브를 사용한다. 고기 대신 버섯, 감자 또는 치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할랄 및 코셔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를 절대 포함하지 않으므로 쇠고기 또는 양고기가 일반적이다.3. 3. 채식 힌칼리
힌칼리의 속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원래 레시피인 '헤브수룰리(khevsuruli)'는 다진 고기(양고기,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 혼합), 양파, 고추, 소금, 커민으로만 구성되었다.[3] 그러나 조지아 도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현대 레시피인 '칼라쿠리(kalakuri)'는 파슬리와 고수와 같은 허브를 사용한다. 고기 대신 버섯, 감자 또는 치즈를 사용하여 채식 힌칼리를 만들기도 한다.3. 4. 종교적 고려 사항
힌칼리의 속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원래 레시피인 "헤브수룰리(khevsuruli)"는 다진 고기(양고기,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 혼합), 양파, 고추, 소금, 커민으로만 구성되었다.[3] 현대 레시피인 "칼라쿠리(kalakuri)"는 파슬리와 고수 같은 허브를 사용한다. 할랄 및 코셔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를 절대 포함하지 않으므로 쇠고기 또는 양고기가 일반적이다. 고기 대신 버섯, 감자 또는 치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4. 먹는 법
힌칼리는 주로 후추를 뿌려 먹는다. 고기 소는 익히지 않은 상태로 만두피 안에 들어가기 때문에, 익으면서 나오는 육즙이 만두 안에 갇히게 된다. 더 촉촉하게 만들기 위해 다진 고기에 따뜻한 물이나 육수를 넣기도 한다. 샤오롱바오처럼, 처음 한 입을 베어 물어 육즙을 빨아먹고, 만두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이 만나는 윗부분은 먹지 않고 접시에 남겨둔다. 이 윗부분은 먹은 힌칼리의 개수를 세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조지아어로 კუდი|쿠디ka ("꼬리") 또는 კუჭი|쿠치ka ("위")라고 부른다.
4. 1. 조지아식 식사 예절

힌칼리는 그냥 먹거나 갈은 후추를 뿌려 먹는다. 힌칼리를 만들 때 고기 소는 익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익히면 고기의 육즙이 만두 안에 가둬진다. 힌칼리를 더 촉촉하게 하려면 보통 다진 고기에 따뜻한 물이나 육수를 넣는다. 힌칼리는 일반적으로 처음 한 입 베어 물면서 육즙을 빨아먹는 것이 일반적이며, 샤오롱바오와 비슷하게 만두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주름이 만나는 윗부분은 질기고 먹지 않고 접시에 버리는 것이 관례이며, 먹은 힌칼리의 개수를 세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조지아에서는 이 윗부분을 კუდი|쿠디ka ("꼬리") 또는 კუჭი|쿠치ka ("위")라고 부른다.
조지아에서는 힌칼리를 손으로만 먹는 것이 일반적인 예절이다. 포크와 같은 식기를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행동이거나 어린아이 같은 행동으로 여겨진다. 육즙이 힌칼리의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포크를 사용하면 힌칼리가 터져 육즙이 쏟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5. 지역별 힌칼리
므츠헤타 외에도 두셰티, 파사나우리에서 힌칼리를 향토 요리로 내놓는다.[2] 파사나우리 힌칼리는 조지아의 다른 도시에서 만든 것보다 더 뛰어나다고 여겨진다.[2]
참조
[1]
서적
The World Cookbook for Student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7-03-19
[2]
서적
The Georgian Feast: The Vibrant Culture and Savory Food of the Republic of Georg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03-19
[3]
웹사이트
About Food – Khinkali
https://georgiaabout[...]
2012-08-19
[4]
웹사이트
Khinkali: A Primer for the Uninitiated and the Curious
https://georgiatoday[...]
2022-05-26
[5]
웹사이트
Georgians have the Mongols to thank for their favourite dumpling
https://www.scmp.com[...]
2016-10-13
[6]
웹사이트
Khinkali: A Primer for the Uninitiated and the Curious
https://georgiatoday[...]
2022-05-26
[7]
웹사이트
Georgia's giant dumpling born from conquest
https://www.bbc.com/[...]
[8]
서적
The World Cookbook for Students, Volume 1
https://books.google[...]
[9]
서적
The Georgian Feast: The Vibrant Culture and Savory Food of the Republic of Georgia
https://books.google[...]
[10]
서적
Georgia: in the Mountains of Poetry
https://books.google[...]
2006
[11]
뉴스
[잼쏭부부의 잼있는 여행] 45 한 달 살기에 도전하다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7-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