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정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정씨는 지백호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지백호는 신라 건국에 기여하여 개국좌명공신이 되었고, 낙랑후에 봉해지면서 정씨 성을 하사받았다. 고려 시대 정진후는 문과에 급제하여 월성군에 봉해졌으며, 조선 시대에는 25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정휘, 정희계, 정효상, 정발 등이 있으며, 각 파별로 항렬자를 사용한다.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전국 각지에 집성촌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경주 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씨 | 경주 정씨 慶州 鄭氏 |
나라 | 한국 |
관향 | 경상북도 경주시 |
시조 | 지백호(智伯虎) |
중시조 | 정진후(鄭珍厚) |
집성촌 | 경상북도 청송군, 김천시경상남도 남해군, 통영시 전라남도 순천시, 고흥군, 신안군, 장성군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충청남도 보령시, 금산군 충청북도 충주시, 영동군 경기도 연천군 함경남도 영흥군 |
인구 (2015년) | 350,587명 |
주요 인물 | |
인물 | 정휘, 정희계, 정지년, 정효항, 정효상, 정지운, 정승복, 정발, 정희채, 정준호, 정지형, 정순균, 정은보 |
2. 기원
지백호(智伯虎)는 삼한시대 진한(辰韓) 사로(斯盧) 6촌장의 하나인 진지부(珍支部) 촌장으로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왕으로 추대하고 신라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개국좌명공신(開國佐命功臣)이 되었고, 32년(유리이사금 9년)에 진지부가 본피부(本彼部)로 개칭되면서 낙랑후(樂浪侯)에 봉해지면서 정씨라는 성을 하사받았다고 한다. 516년(법흥왕 3)에 문화(文和)로 시호(諡號)되었고, 658년(무열왕 3)에 감문왕(甘文王)에 추봉되었다. 경주 정씨는 지백호의 5세손 정동충(鄭東沖)이 정씨로 사성(賜姓)된 데서 비롯되었다.
고려 시대 문과에 합격한 정진후(鄭珍厚)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정당문학(政堂文學) 병부상서(兵部尙書) 겸 군기시윤(軍器寺尹)과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하고 월성군(月城君)에 봉해졌다. 호(號)는 매포(梅圃), 시호는 문정(文正)이다.[1]
3. 역사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5명을 배출하였다.[1]
4. 주요 인물
5. 항렬자
영(永)
조(朝)
병(炳)
균(均)
용(鎔)
홍(洪)
주(柱)
훈(薰)
용(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