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포교통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2023년 5월 13일 기준 간선버스, 지선버스, 좌석버스 등 여러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642번, 6600번, 6641번, 8661번, 8663번, 9602번 등의 노선을 운행했으나 폐지되거나 변경되었다. 현재는 KGM커머셜, 현대자동차, 비야디 자동차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관악교통
관악교통은 1970년 성진상운으로 설립되어 1974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를 운행하고, 2009년 흥안운수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간선, 지선, 심야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일고속
한일고속은 1970년 고속버스 회사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9년 해운 사업에도 진출하여 현재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업하며 40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3척의 여객선을 운영하고 있다. - 서울 강서구의 교통 - 김포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은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과거 대한민국의 관문이었으나 현재는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한다. - 서울 강서구의 교통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김포시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김포시의 교통 - 김포대교
김포대교는 1997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간 완공과 함께 개통된 한강의 21번째 다리이다.
김포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포교통 주식회사 |
원어 | Kimpo Bus Transportation Co., Ltd. |
종류 | 주식회사 |
국가 | 대한민국 |
산업 | 시내버스 운수업 |
창립 | 1970년 11월 4일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70 (방화동) |
웹사이트 | 김포교통 공식 웹사이트 |
경영진 | |
대표이사 | 유기만, 유영준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자본금 | 1,500,000,000원 |
매출액 | 27,047,015,550원 |
영업이익 | 271,983,432원 |
순이익 | 200,983,480원 |
자산총액 | 20,269,711,899원 |
주주 구성 | |
주주 | 유기만 : 90.48% 유영준 : 9.52% |
직원 | |
종업원 수 | 351명 |
2. 운행 노선
2023년 5월 13일 기준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1]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651번 | 방화동 ↔ 관악구청 | 5~15 | 25 | 2004년 7월 1일 신설 |
654번 | 방화동 ↔ 노들역 | 8~20 | 22 | 구 760번 좌석버스, 642번 변경 및 단축 |
672번 | 방화동 ↔ 이화여자대학교후문 | 10~18 | 15 | 구 130번 좌석버스, 9602번 단축 |
6629번 | 방화동 ↔ 영등포역 | 6~15 | 24 | 구 22번 |
6648번 | 방화동 ↔ 양천구청 | 10~18 | 13 | 구 6641번 변경 |
6712번 | 방화동 ↔ 서강대학교 | 10~116 | 18 | 구 130번 단축·변경 |
2. 1. 간선버스
현재 김포교통에서는 세 개의 간선버스 노선과 세 개의 지선버스 노선을 운행 중이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김포교통은 다모아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였으며, 개편으로 신촌교통에서 잉여차량을 인수받았다.[1]운행구간 | 운행노선 | 배차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651번 | 방화동 | ↔ | 관악구청 | 5~15 | 25 | 2004년 7월 1일 신설 |
654번 | 방화동 | ↔ | 노들역 | 8~20 | 22 | 구 760번 좌석버스. 642번 변경 및 단축 |
672번 | 방화동 | ↔ | 이화여자대학교후문 | 10~18 | 15 | 구 130번 좌석버스. 9602번 단축 |
2. 2. 지선버스
운행 노선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6629번 | 방화동 ↔ 영등포역 | 6~15 | 24 | 구 22번 |
6648번 | 방화동 ↔ 양천구청 | 10~18 | 13 | 구 6641번 변경 |
6712번 | 방화동 ↔ 서강대학교 | 10~116 | 18 | 구 130번 단축·변경 |
김포교통은 1970년 7월 2일 대륙교통(1976년 폐업)에서 김포시를 기점으로 하는 버스 노선과 차량 20대를 분리, 독립하여 설립한 회사이다.[1]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에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했으나, 개편 이후 노선 변경 및 폐선으로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 노선들이 있다.
3. 과거 운행 노선
노선번호 운행 구간 비고 642번 방화동 ↔ 논현역 구 760번 좌석버스. 2016년 7월 25일 노선 단축, 654번으로 변경[1] 6600번 강서공영차고지 ↔ 경인아라뱃길 김포터미널 공항버스, 다모아자동차, 오케이버스와 공동 배차 (2011-10-29 ~ 2011-11-08)[1] 6641번 방화동 ↔ 불로동 구 230번 연장. 2016년 1월 1일 6648번으로 변경[1] 8661번 방화동 ↔ 당산역 공항버스와 평일 출퇴근 시간대 공동 배차. 2009년 7월 11일 폐선[1] 8663번 가양역 → 여의도역 평일 출근 편도 노선. 2015년 2월 26일 운행 개시, 2016년 1월 1일 공동배차 철수[1] 9602번 불로동 ↔ 세종문화회관 (광화문역) 2010년 6월 1일 이대후문 단축, 672번으로 형간 전환[1]
3. 1. 2004년 버스 개편 이전 노선
노선번호 | 운행구간 | 비고 |
---|---|---|
9-1번 | 방화역 - 양천향교역 - 등촌역 - 가양역 - 염창동 - 당산역 - 영등포구청역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
22번 | 방화역 - 공항시장역 - 김포공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화곡역 - 화곡시장 - 강서구청 - 그리스도신학대학 - 등촌역 - 통합병원 - 목동역 - 오목교역 - 양남사거리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현 6629번> |
22-1번 | 방화역 - 긴등마을 - 송정역 - 김포공항 - 송정중학교 - 강서면허시험장 - 신월5동 - 화곡역 - 화곡시장 - 강서구청 - 그리스도신학대학 - 가양역 - 염창동 - 용왕산 - 월촌초등학교, 월촌중학교 - 목동 한신, 청구아파트 (회차) | 오케이버스 소속 현 6627번으로 노선이 일부 단축되었고, 회차 지점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이지만 실제 청구아파트가 회차 지점이다. 원래 노선은 긴등마을 미경유, 영등포역까지 운행하였으나, 수차례 단축 및 회차 지점 변경되었다. |
41번 | 방화역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화곡역 - 화곡시장 - 강서구청 - 등촌역 - 염창역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상 신촌역 - 신촌로터리 (회차) | 기존에는 김포공항을 경유, 68번 좌석버스와 마찬가지로 미도파 (현 롯데 영플라자)까지 운행하다가 1996년에 김포공항 미경유 및 신촌로터리로 단축되었다. |
68번 (좌석버스) | 방화역 - 공항시장역 - 김포공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화곡역 - 등촌역 - 염창역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상 신촌역 - 이대역 - 종근당그룹 - 서울역 - 시청역 - 미도파 (현 롯데 영플라자, 정류장 위치는 한진빌딩 앞) | 현 다모아자동차 간선버스 601번 및 노선 일부 변경. |
130번 (도시형버스) | 김포시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장릉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역 - 김포공항 - 공항시장역 - 양천향교역 - 가양아파트단지 - 염창동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하 신촌역 - 연희 나들목 | 현 6712번으로 합정역 경유로 변경. 방화역, 김포공항으로 단축. 1970년대 초반 급행 130번으로 김포-제2한강교-중앙청, 김포-제2한강교-을지로6가, 김포-화곡동 3개 노선으로 운행 중 1973년 3월 을지로6가 노선을 42번으로 분리. 1980년 7월 성산대교 개통과 함께 김포읍-성산대교-연세대-아현동-광화문으로 노선 조정, 1990년 130번 좌석 노선 신설로 신촌로터리-연희동회차로 단축. 1992년 가양아파트 입주로 6~9단지는 청색 노선, 1~9단지는 적색 노선 운행. 이후 2000년 청색 노선이 김포공항-송정역-발산역-양천향교역으로 변경, 한 달 후 회차지점 송정역 단축, 기점 불로동 연장, 노선번호 230번으로 분리. |
130번 (좌석버스) | 김포시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장릉 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역 - 개화산역 - 양천향교역 - 가양역 - 염창동 - 성산대교 - 마포구청역 - (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지상 신촌역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광화문역) - 서울역사박물관 - 충정로역 - 아현역 - 이대역 - 지하 신촌역 <이하 역순> | 개편 후 광역버스 9602번으로 운행하다가, 현재는 672번으로 변경되어 운행. 1990년 신설, 김포시 - 고촌 - 김포공항 - 공항시장 - 염창동 - 성산대교 - 연세대 - 신촌기차역 - 이대역 - 종근당 - 광화문 - 서대문 운행. 2001년 김포공항 경유에서 개화산역 경유로 변경, 2003년 명물거리 회차를 신촌기차역 경유 - 봉원고가 회차로 임시 변경. |
230번 | 인천광역시 불로동 - 여우재고개 - 감정동 - 북변동 - 김포경찰서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장릉 입구 - 선수동 - 장곡 - 천둥고개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현 6641번으로 김포국제공항 경유 및 방화동까지 연장. 2000년 130번 청색 노선 분리 신설, 2001년 김포공항 미경유로 변경. |
1002번 (좌석버스) | 인천광역시 오류동 - 풍무동 - 장릉입구 - 선수동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양천향교역 - 가양아파트단지 - 염창동 - 여의도 - 국회의사당역 - 마포대교 - 마포역 - 공덕역 - 애오개역 - 충정로역 - 서울역사박물관 - 광화문역 - 시청역 - 종근당그룹 <이하 역순> | 1992년 신설된 직행좌석 노선으로 김포교통, 공항버스, 공항교통 (현 공항리무진)에서 각각 6대 투입, 김포공항 - 시청 운행. 이후 김포교통 단독운행, 2000년에 풍무동, 계양구 오류동 연장. 2002년 12월 경기도 김포운수로 양도, 현재까지 노선조정 후 운행. |
기타 | 9-2번, 22-2번, 22번 과해지선, 42번, 42-1번, 412번, 426번, 좌석버스 310번, 가양마을버스 1번 / 1-1번 / 2번 / 2-1번, 방화마을버스 7번 |
3. 2. 2004년 버스 개편 이후 폐지/변경 노선
운행구간 | 운행노선 | 비고 | ||
---|---|---|---|---|
642번 | 방화동 | ↔ | 논현역 | 구 760번 좌석버스. 2016년 7월 25일 노선 단축과 함께 654번으로 변경되었다.[1] |
6600번 | 강서공영차고지 | ↔ | 경인아라뱃길 김포터미널 | 공항버스, 다모아자동차, 오케이버스와 공동 배차로 운행하였다. (2011-10-29 ~ 2011-11-08)[1] |
6641번 | 방화동 | ↔ | 불로동 | 구 230번 연장. 2016년 1월 1일부터 6648번으로 변경되었다.[1] |
8661번 | 방화동 | ↔ | 당산역 | 공항버스와 평일 출퇴근 시간대 공동 배차로 운행하였다. 2009년 7월 11일 폐선되었다.[1] |
8663번 | 가양역 | → | 여의도역 | 평일 출근 편도 노선. 2015년 2월 26일 운행 개시. 2016년 1월 1일부터 공동배차에서 철수하였다.[1] |
9602번 | 불로동 | ↔ | 세종문화회관 (광화문역) | 2010년 6월 1일 이대후문 단축과 함께 672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1] |
4. 보유 차량
김포교통은 현재 다음과 같은 제조사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제조사 | 보유 차종 |
---|---|
KGM커머셜 | 에디슨모터스 화이버드, KGM 스마트 110 |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
BYD | BYD eBus-12 |
- 하위 섹션에서 각 제조사별 보유 차종을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제조사 이름만 나열하고, 각 제조사의 하위 섹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를 구성했다.
4. 1. KGM커머셜
에디슨모터스 화이버드와 KGM 스마트 110 차종을 도입하였다.4. 2. 현대자동차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4. 3. 비야디 자동차
BYD eBus-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