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포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포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김포시 면허의 여러 운수업체와 타 지역 운수업체가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요금은 일반시내, 일반좌석, 직행좌석, 광역급행(M버스) 등으로 나뉘며, 현금, 카드, 조조요금으로 구분된다. 김포시는 저상버스 도입, 정류소 온열기 설치 등 편의 시설을 개선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강화행 시외버스 노선을 도시형 및 직행좌석버스로 전환하여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증진했다. 또한, 경기도 교통대책 종합평가에서 장려상을 수상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포시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김포시의 교통 - 김포대교
    김포대교는 1997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간 완공과 함께 개통된 한강의 21번째 다리이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김포시의 시내버스
김포시 시내버스 정보
김포시내버스 1002번
김포시내버스 1002번
관리 기관김포시 건설교통국
서비스 지역경기도 김포시
기타 지역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
부천시
광명시
안양시
노선 수55
인가 대수648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한페이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원패스
하나로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웹사이트경기도 버스정보시스템

2. 요금 체계

김포시 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아 운행되며, 거리에 비례하여 요금이 부과된다. 서울시내 구간 단독 승차 시에도 구간 요금이 징수되는데, 예를 들어 송정역-영등포 구간은 100KRW, 송정역-서울시청 구간은 300KRW이 추가된다.[1] 김포 지역에서는 현금 승차 시에도 운행사원이 목적지를 확인하여 이용 구간에 따른 요금을 징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1. 수도권 통합요금제

경기도 내 다른 지역 면허의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김포시 면허의 버스도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기준을 따른다. 수도권 통합요금제는 대중교통수단 간 환승 시 각 통행 거리를 합산하여 총 통행 거리에 비례하여 요금이 부과되는 요금 체계이며, 경기도 버스와 서울 및 인천 버스, 수도권 전철이 적용 대상이다.[1] 시내 일반 노선의 경우 10km까지 기본 요금을 적용받으며, 초과 시 5km마다 100KRW이 부과된다. 김포시 내 구간 이용 시에도 거리 비례 요금이 적용된다.

2. 2.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KRW1450KRW1250KRW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KRW1010KRW87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800KRW730KRW630KRW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KRW2450KRW2050KRW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KRW1820KRW152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KRW1640KRW1370KRW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KRW2800KRW2400KRW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KRW1960KRW168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KRW1960KRW1680KRW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KRW3050KRW2600KRW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KRW2140KRW182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KRW2140KRW1820KRW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KRW2800KRW2300KRW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KRW2000KRW1600KRW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KRW1600KRW1300KRW


3. 운수업체

김포시에는 여러 시내버스 운수업체가 있다. 김포시 관내 업체로는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선진네트웍스 계열사이다. 이 외에도 인천, 고양, 안산, 양주 등 타 지역 운수업체들도 김포시에서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3. 1. 김포시 관내 운수업체

운행업체노선 수등록 대수비고
김포운수(선진)27223광역급행 2개 노선(32대), 직행좌석 14개 노선(93대), 시내일반 11개 노선(98대)
선진버스(선진)23222광역급행 1개 노선(15대), 직행좌석 3개 노선(33대), 일반좌석 2개 노선(18대), 시내일반 16개 노선(156대)
선진상운(선진)1281직행좌석 2개 노선(24대), 시내일반 10개 노선(57대)
2021년 1월 기준[2]


3. 2. 타 지역 운수업체


4. 운행 노선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 등 3개의 운수업체가 김포시 관내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2]

2021년 1월 기준으로, 각 노선별 번호, 운행업체, 운행 구간,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도시형 버스

: 김포시 내 주요 지역을 연결한다.

; 맞춤형 버스

: 특정 목적 또는 특정 시간대에 운행된다.

; 좌석버스

: 선진버스에서 21번 버스가 구래동에서 김포공항까지 운행한다.

; 직행좌석버스

: 김포시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을 연결한다.

; 광역급행버스 (M버스)

: 김포시와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급행 노선이다. M6117, M6427번이 운행 중이다.

=== 타 지역 차적 노선 ===

김포시를 경유하는 타 지역 (서울, 인천, 고양, 안산, 양주) 차적의 노선들이다.

4. 1. 김포시 관내 노선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 등 3개의 운수업체가 김포시 관내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2]

2021년 1월 기준으로, 각 노선별 번호, 운행업체, 운행 구간,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특징(저상버스 운행 여부, 2층 버스 운행 여부 등)은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하게 다루고 있는 내용은 간략하게 요약하였다.

; 도시형 버스

: 김포시 내 주요 지역을 연결한다. 2, 33-1, 53, 60, 60-3, 69, 81, 81-1, 83, 86-1, 88, 90, 90-1, 101, 102, 388, 841, 1002, 2000번 등이 있다.

; 맞춤형 버스

: 특정 목적 또는 특정 시간대에 운행된다. 따복1, 따복1-1, 따복3, 따복3-1, 따복4, 따복4-1, 따복4-2, 따복7, 따복7-1, 따복7-2번 등이 있다.

; 좌석버스

: 21번 버스가 구래동에서 김포공항까지 운행한다.

; 직행좌석버스

: 1004, 3000-1, G6000, G6001, G6002, G6003, G6004, G6005, 6427, 7000, 7100, 8000, 8600, 8601, 9000, 9008, 이음1, 이음2번 등이 운행 중이다.

; 광역급행버스 (M버스)

: 김포시와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급행 노선이다. M6117, M6427번이 운행 중이다.

4. 1. 1. 도시형버스

김포시한국어 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일반적인 노선이다. 2021년 1월 기준 운행 업체별 보유 노선 수 및 등록 대수는 다음과 같다.[2]

운행업체노선 합계시내일반대수 합계시내일반
김포운수 (선진)271122398
선진버스 (선진)2316222156
선진상운 (선진)12108157



2021년 1월 기준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2]

노선 번호운행 업체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2선진상운귀전리 ↔ 송정역하성, 수참리, 장기사거리, 북변동, 풍년마을, 고촌, 개화역, 김포공항역15저상버스 운행
33-1선진버스유현마을 ↔ 정발산역당곡고개, 조리미입구, 사우역, 일산대교, 킨텍스, 고양종합운동장, 대화역, 현대백화점8~13저상버스 운행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53선진버스북변환승센터 ↔ 옹주물감정동 홈플러스, 구두물40복편 김포시청 경유
60김포운수오류왕길동 ↔ 영등포역검단사거리역, 불로동, 홈플러스 김포점, 풍년마을, 고촌, 개화역, 송정역, 발산역, 등촌역, 당산역5~8저상버스 운행
60-3김포운수대명항 ↔ 영등포역대곶, 양곡, 솔터마을, 뉴고려병원, 청송마을, 풍년마을, 고촌, 송정역, 발산역, 등촌역, 당산역8~15
69김포운수유현마을(신동아아파트) ↔ 영등포역풍무동, 고촌, 현대프리미엄아울렛, 경인항, 송정역, 발산역, 등촌역, 당산역15~20
81선진버스한강신도시(구래동) ↔ 계산우체국구래역, 뉴고려병원, 장기역, 감정동, 풍년마을, 풍무동, 장기동(계양), 계양역, 귤현역, 박촌역, 임학역, 계산역6~8저상버스 운행
81-1선진버스양촌산업단지 ↔ 롯데마트(계산동)구래동, 양곡, 전원마을, 걸포동, 풍무동, 계양역, 귤현역, 동양지구, 박촌역, 임학역5~8841번 노선과 회차지 변경
83선진버스누산사거리 ↔ 학운리곡촌마을, 양곡, 대능리60
86-1선진버스곡촌마을 ↔ 대벽리양곡, 대곶면사무소, 수남초교160
88선진상운강화터미널송정역김포대학교, 마송, 한강신도시(수정마을), 풍년마을, 고촌, 개화역, 송정역25저상버스 운행
90선진버스강화터미널부평역김포대학교, 마송, 양곡, 검단, 검암역, 공촌4, 경인교대입구역, 작전역, 갈산역, 부평구청역, 부평시장역10~15저상버스 운행
90-1선진버스양촌산업단지 ↔ 완정역검단5~10
101선진버스풍무동 → 풍무동하성, 월곶, 대곶, 양촌60시계 방향
저상버스 운행
102선진버스풍무동 → 풍무동양촌, 대곶, 월곶, 하성60반시계 방향
저상버스 운행
388선진상운한강신도시 ↔ 석수역하늘빛마을, 김포제일고교, 전원마을, 걸포동, 풍년마을, 고촌, 개화역, 송정역, 마곡역, 서부트럭터미널, 개봉역, 시흥대로15~25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841선진버스김포차량등록사업소 ↔ 계산택지(이마트)검단, 원당지구, 계양역, 귤현역, 귤현동, 동양지구, 박촌역, 임학역10~1581-1번 노선과 회차지 변경
1002김포운수검단(완정역) ↔ 시청역풍무동, 고촌, 개화역, 송정역, 마곡역, 양천향교역, 마포역, 공덕역, 충정로역5~10저상버스 운행
2000선진버스구래역 ↔ 이대후문마산역, 뉴고려병원, 장기동행정복지센터, 수정마을, 김포차량등록사업소, 대화역, 주엽역, 일산동구청, 마두역, 대곡역, 행신동, 서정마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연세대학교20~40


4. 1. 2. 맞춤형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따복1김포운수학운5리마을회관 ↔ 풍년마을
김포고이젠, 검단4, 불로동, 감정동50-80따복1-1김포운수마송 ↔ 개곡리하성50~60공휴일 운행따복3선진상운월곶면 ↔ 김포보건소마송, 양곡, 구래동, 뉴고려병원, 장기동, 운양동, 걸포동, 풍년마을50~70따복3-1선진상운월곶면 ↔ 대명항오리정, 석정리, 대명리40공휴일 운행따복4김포운수대포리
향동사거리 ↔ 학운2산단이젠, 학운4산단, 양촌산단, 학운보건진료소30~40따복4-1김포운수양곡
한가람우미린 ↔ 현대프리미엄아울렛복합환승센터, 경남아너스빌, 뉴고려병원, 장기상가, 청송마을, 풍경마을, 제방도로(금포로)60~90공휴일 운행따복4-2김포운수양촌읍(양촌읍행정복지센터) ↔ 학운리구래리 → 한강센트럴블루힐 → 은여울중학교.경남아너스빌 → 마산역 → 힐스테이트경남아너스빌30통학시간대 운행따복7선진상운하성고 ↔ 김포우리병원카톨릭문화원, 전류포구, 한라비발디, 래미안, 운양역, 오스타파라곤70~80따복7-1선진상운하성 ↔ 월곶귀전공단, 애기봉전망대20출퇴근 운행따복7-2선진상운구래역 ↔ 문수산성곡촌마을, 수참리, 하성, 애기봉전망대, 월곶120주말 운행


4. 1. 3. 좌석버스

21번 버스(General Seating Bus영어)는 선진버스에서 운행하며, 구래동에서 김포공항까지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복합환승센터, 뉴고려병원, 한강센트럴자이, 고촌, 개화역, 김포공항역 등이다. 배차 간격은 8~11분이며, 우회도로를 경유한다(미정차).[1]

노선 번호운행 업체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21
(일반좌석)
선진버스구래동 ↔ 김포공항복합환승센터, 뉴고려병원, 한강센트럴자이, 고촌, 개화역, 김포공항역8~11우회도로 경유(미정차)


4. 1. 4. 직행좌석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1004김포운수검단 (완정역) ↔ 시청역풍무동, 고촌, 합정역, 홍대입구역, 충정로역, 광화문역15~252층버스 운행[1]3000-1선진상운월곶공영차고지 ↔ 신촌김포대학교, 마송, 한강신도시(수정마을), 김포고교, 고촌, 개화역, 송정역, 염창역, 합정역, 홍대입구역7~15구 3000번, 2024년 7월 1일부터 기점 단축 및 번호 변경[1]G6000김포운수한강신도시 ↔ 서강대학교고창마을, 장기상가, 가현초교, 수정마을, 반도유보라2차, 풍경마을,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오거리, 이대역10~25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G6001김포운수한강신도시 ↔ 당산역호수마을, 고창마을, 장기역, 한강센트럴, 김포경찰서, 걸포북변역, 사우역, 풍년마을20~50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 2020년 3월 1일 노선 변경[1]G6002김포운수유현마을 ↔ 영등포역당곡고개, 양도사거리, 서해2차아파트, 풍무역, 사우역, 가양역, 등촌역, 염창역, 당산역25~30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 2020년 11월 1일 신설[1]G6003선진상운매수리마을 ↔ 당산역마송우회도로사거리, 통진중고, 누산삼거리, 장기사거리, 걸포북변역, 사우역, 풍년마을25~30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 2020년 3월 1일 신설[1]G6004김포운수금빛마을
(양촌) ↔ 가좌역
(모래내시장)마산역, 뉴고려병원, 중흥S클래스후문, 수정마을, 모담마을, 월드컵파크9·10·11·12단지, DMC첨단산업센터,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 합정역20~35김포한강로-제2자유로-올림픽대로 경유[1], 2020년 11월 1일 신설[1]G6005김포운수감정동
(산림조합) ↔ 서울시청걸포북변역, 사우역, 풍무역, 고촌역, 당산역, 여의도환승센터, 마포역, 공덕역, 충정로역, 서대문역10~25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 2020년 11월 1일 신설[1]6427김포운수한강신도시 ↔ 강남역뉴고려병원, 초당마을, 흑석역, 고속터미널역, 논현역, 신논현역30~60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 2층버스 운행7000선진버스한강신도시 ↔ 당산역한가람우미린, 환승센터, 솔터마을, 힐스테이트, 은여울공원, 한양수자인, 모아미래도15~20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 2층버스 운행7100선진버스한강신도시 ↔ 당산역솔터마을, 뉴고려병원, 한강센트럴자이, 전원마을15~20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8000김포운수대명항 ↔ 영등포역양곡, 환승센터, 장기동, 전원마을, 개화역, 송정역, 발산역상행/가양역하행, 등촌역, 당산역15~25김포한강로 경유[1]8600
간선급행김포운수구래동 ↔ 시청역구래역, 솔터마을입구, 마산역, 뉴고려병원, 장기역, 청송마을, 반도유보라2차, 운양역, 당산역, 여의도 환승센터, 공덕역, 광화문역20~30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8601
간선급행김포운수마산동 ↔ 시청역경남아너스빌, 마산역, 뉴고려병원, 장기고교, 캐널시티, 수정마을, 전원마을, 모담마을, 당산역, 여의도 환승센터, 공덕역, 광화문역20~30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1], 2층버스 운행9000
공항좌석선진버스북변환승센터인천공항(T1·T2)걸포초교, 풍경마을, 초당마을, 뉴고려병원, 한강힐스테이트, 구래역, 호수마을이편한세상50~70통합요금제 미적용[1], 준공영제 대상 아님[1], 제2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경유9008김포운수양곡 ↔ 부천대학교장기동, 김포고교, 고촌, 부천터미널, 송내역, 중동역15~20이음1김포운수구래역서울역장기역, 운양역, 걸포동, 풍년마을, 고촌, 합정역, 신촌역 (지하), 충정로역심야버스이음2김포운수구래역강남역장기역, 운양역, 걸포동, 풍년마을, 고촌, 흑석역, 동작역, 고속터미널역, 강남대로심야버스


4. 1. 5. 광역급행버스 (M버스)

김포시와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급행 노선이다.

노선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간격 (분)비고
M6117김포운수한강신도시 ↔ 서울역복합환승센터, 뉴고려병원, 초당마을, 합정역, 홍대입구역, 현대백화점, 신촌역12~25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
M6427김포운수한강신도시 ↔ 강남역, 신논현역복합환승센터, 뉴고려병원, 초당마을, 흑석역(하행), 고속터미널역, 반포역, 논현역20~45김포한강로-올림픽대로 경유


4. 2. 타 지역 차적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서울02공항버스, 다모아자동차풍무홈플러스→김포공항서해1차아파트, 서해2차아파트, 풍무푸르지오10~12서울특별시 면허
서울동행버스60-2강화교통화도터미널↔한강신도시
솔터마을온수리, 초지대교, 대곶면, 양곡25~38인천광역시 면허60-5
인천좌석강화교통강화터미널↔김포공항양도면, 화도면, 온수리, 초지대교, 대곶면, 양곡, 장기동8회인천광역시 면허
김포한강로 경유70강화교통강화터미널↔청라차고지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초지대교, 대곶면, 양곡사거리, 솔터마을, 단봉초등학교, 검단사거리역, 완정역, 검암역입구, 검암경서동주민센터, 경서지구, 아시아드주경기장, 웰카운티, 호반베르디움3차, 한일베라체, 청라힐스테이트30~37인천시 면허308
인천
공항좌석
청라교통북변환승센터인천국제공항풍무동, 원당지구, 완정역, 검암역입구, 서부공단24~31인천광역시 면허
영종대교 경유700-1강화교통강화터미널↔인천터미널양도면, 화도면, 온수리, 초지대교, 대곶면, 구래동, 검단사거리역, 완정역, 검암역입구, 서구청, 루원시티, 거북시장, 가좌진주아파트, 가재울역, 동암역, 간석오거리역, 길병원36~43인천광역시 면허800
인천좌석강화교통강화터미널인천터미널김포대학입구, 마송, 양곡, 환승센터, 검단사거리역, 완정역, 검암역입구, 서구청, 인천의료원, 시민공원역, 석바위, 인천시청, 길병원24~31인천광역시 면허
경인고속도로 경유9501
인천광역신강교통마전지구↔양재시민의숲대주파크빌A, 불로동, 북변동, 김포시청, 고촌, 고속터미널, 반포역, 논현역, 강남역, 양재역10~20인천광역시 면허
올림픽대로 경유96고양교통강화서문↔일산
(대화역)강화터미널, 김포대학교, 마송, 김포고교, 고촌,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마두역, 킨텍스삼거리20~30고양시 면허97고양교통김포대학교행신역마송, 일산대교, 대화역, 주엽역, 일산병원, 백석역, 고양경찰서20~25고양시 면허1001
직행좌석고양교통대화역부천대학교국립암센터, 백석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상야동, 부천터미널, 송내역15고양시 면허8407
간선급행경원여객군포시청
(산본역)킨텍스금정역, 범계역, 안양1번가, 외곽순환고속도로, 백석역, 마두역, 주엽역, 대화역20~30안산시 면허
경기순환버스8906
간선급행진명여객덕정역부천터미널양주신도시, 경기도청북부청사, 의정부터미널, 의정부역, 송추, 양주요금소, 김포요금소, 상동역30~75양주시 면허
경기순환버스


5. 시설 및 정책

김포시는 버스 이용객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설 및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김포시는 서울특별시와 함께 장거리 노선 중심으로 저상버스를 20대 이상 투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저상버스는 일반버스에 비해 구입 비용이 비싸지만(대당 2억), 경기도 교통대책 종합평가에서 장려상을 수상하는 등 도입에 적극적이다.[4]

또한 2010년 1월 19일에는 김포고 정류소에 온열기를 설치했다. 이 온열기는 주요 관공서 밀집 지역이자 이용객이 많은 곳에 설치되었으며, 출퇴근 시간에만 가동한다. 김포시는 시민 의견을 수렴하여 다른 정류소로 확대 설치를 검토할 예정이다.[5]

5. 1. 저상버스 도입

김포시는 서울특별시와 더불어 20대가 넘는 저상버스 차량을 장거리 노선 중심으로 투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저상버스는 대당 2억 정도의 가격으로 일반버스에 비해 구입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 특징이다.[3] 저상버스 도입 실적은 경기도에서 시행한 교통대책 종합평가의 항목이기도 했다. 김포시는 이 평가에서 장려상을 받았다.[4]

5. 2. 정류소 시설 개선

김포시는 2010년 1월 19일 주요 관공서가 밀집해 있고 이용객이 많은 김포고 정류소에 온열기를 설치하였다. 출퇴근 시간에만 온열기를 가동할 방침이며, 이 장비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타 정류소로의 확대 설치를 검토할 예정이다.[5]

6. 기타 정보

2010년, 강화행 시외버스 노선이 대거 도시형버스 및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면서 김포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이 줄어들었다.



이후 일부 노선은 중복 및 승객 감소로 폐지되었다.

자세한 노선 전환 내역은 아래 표와 같다.

변경 전변경 후 (변경 당시)전환일자비고
노선
(번호)
운행구간운행
거리
운행
횟수
유형번호운행구간운행
거리
운행
횟수
운행
대수
신촌
직행
신촌~강화53.7km110회직행
좌석
3000번신촌~강화53.7km129회32대2010년
4월 30일
신촌~강화
노선으로 통합
신촌~외포리66.2km19회
신촌~화도57km25회3100번신촌~화도57km25회6대현재의 2000번
1번영등포역~강화51.9km75회
(8회)
시내
일반
1번영등포역~강화51.9km75회13대2010년
4월 23일
2010년 7월 1일
88번과 통합
3번안양~강화64.4km28회380번안양~마송61.1km56회16대통합 및
김포대학으로 단축
(강화군 미경유)
현재의 388번
3-1번안양~김포대학61.1km28회
33번부천TR~강화TR46.3km14회330번부천TR~강화TR46.3km14회4대2010년
2월 19일
2010년 8월 1일
운행중단



한편, 김포시는 2007년 경기도 교통대책 종합평가에서 장려상을 받았다.[4]

6. 1. 강화행 시외버스 노선 형간 전환

2010년 2월 19일, 기존 시외버스 33번이 330번 도시형버스로 전환되었다.[6] 4월 23일에는 시외버스 1번이 1번 도시형버스로, 3번과 3-1번 시외버스는 통합 및 단축되어 380번 도시형버스로 전환되었다.[7] 4월 30일에는 신촌~강화, 신촌~화도 노선이 각각 3000번과 3100번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고, 신촌~외포리 노선은 폐지되었다.[7] 이러한 전환으로 승객들의 운임 부담이 줄어들었다.

이후 일부 노선은 노선 중복 또는 승객 감소를 이유로 폐지되었다.

이러한 노선 전환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변경 전변경 후 (변경 당시)전환일자비고
노선
(번호)
운행구간운행
거리
운행
횟수
유형번호운행구간운행
거리
운행
횟수
운행
대수
신촌
직행
신촌~강화53.7km110회직행
좌석
3000번신촌~강화53.7km129회32대2010년
4월 30일
신촌~강화
노선으로 통합
신촌~외포리66.2km19회
신촌~화도57km25회3100번신촌~화도57km25회6대현재의 2000번
1번영등포역~강화51.9km75회
(8회)
시내
일반
1번영등포역~강화51.9km75회13대2010년
4월 23일
2010년 7월 1일
88번과 통합
3번안양~강화64.4km28회380번안양~마송61.1km56회16대통합 및
김포대학으로 단축
(강화군 미경유)
현재의 388번
3-1번안양~김포대학61.1km28회
33번부천TR~강화TR46.3km14회330번부천TR~강화TR46.3km14회4대2010년
2월 19일
2010년 8월 1일
운행중단


6. 2. 경기도 교통대책 종합평가

경기도에서 31개 시, 군을 대상으로 2007년에 추진한 교통대책 종합평가를 실시하였고, 김포시가 장려상을 받았다. 평가는 교통정책분야를 포함한 3개 분야 9개 항목에 대해 1차 서면평가와 2차 현지 확인평가로 진행되었다.[4]

참조

[1] 웹인용 정류장간 거리계산, 이비카드 제공. 김포시뿐만 아니라 모든 경기도 시내버스의 구간요금을 조회할 수 있다. http://www.ebcard.co[...] 2010-01-20
[2]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3] 뉴스 저상버스가 느린 줄 알았지? 아니거든!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8-21
[4] 뉴스 김포시, 경기도 교통대책 종합평가 ‘장려상 수상’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0-08-21
[5] 뉴스 김포시, 따뜻한 버스 승차대기소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0-08-21
[6] 뉴스 김포시, 영등포ㆍ안양 시외버스→시내버스 전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8-22
[7] 뉴스 김포시, 영등포·안양 시외버스를 시내버스로 전환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0-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