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의 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예의 길》은 1944년 프리드리히 하이에크가 쓴 책으로, 중앙 집권 계획 경제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고 독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하이에크는 파시즘, 나치즘, 사회주의의 공통점을 중앙 집권 경제 계획으로 보고,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이 경제적 자유를 점진적으로 포기해왔다고 주장한다. 그는 자유 시장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의 개입이 자유를 침해한다고 비판한다. 이 책은 출판 이후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모두 받았으며,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조지 오웰, 밀턴 프리드먼 등으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수주의를 소재로 한 책 - 폴 크루그먼 미래를 말하다
폴 크루그먼 미래를 말하다는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이 미국의 소득 격차 확대 원인을 정부 정책, 보수주의 운동, 노동조합 약화 등에서 찾고 자유주의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저서, 강연, 칼럼 등을 포괄하는 주제이다. - 사회주의를 소재로 한 책 - 반항하는 인간
반항하는 인간은 알베르 카뮈가 쓴 저서로, 반항과 혁명의 동기를 분석하고 부조리, 자유, 개혁의 정치를 다루며 혁명의 폭력성과 이데올로기를 비판한다. - 사회주의를 소재로 한 책 -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요제프 슘페터의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는 자본주의 발전과 쇠퇴, 사회주의 작동 가능성, 민주주의와의 관계를 분석하며, 마르크스 학설 비판적 평가와 함께 자본주의의 '창조적 파괴'를 통한 사회주의 이행 가능성을 제시하고 민주주의 본질 탐구 및 사회주의와의 양립 가능성을 논하는 책이다. - 1944년 책 - 관료제 (책)
관료제는 민간 기업, 공공 서비스, 국영 기업의 운영 방식과 문제점을 다루며, 시장 경제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정부의 경제 개입이 관료제를 낳는다고 비판한다. - 1944년 책 - 거대한 변환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은 19세기 시장경제의 형성과 사회적 변동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자기조정 시장의 유토피아적 성격과 그에 대한 사회의 자기 보호 운동인 이중 운동을 강조하는 저서이다.
노예의 길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he Road to Serfdom |
저자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국가 | 영국 |
언어 | 영어 |
주제 | 정치학 경제학 |
출판 | 1944년 (루틀리지, 영국) 1944년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미국) |
페이지 수 | 266 |
ISBN | 0-226-32061-8 |
OCLC | 30733740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작은 정부 |
영향 | 밀턴 프리드먼, 마가렛 대처, 로널드 레이건 |
2. 출판
1930년대 초, 대공황 시대에 소련, 이탈리아, 나치 독일에서 권위주의가 부상하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던 시기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교수였던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당시 학장인 윌리엄 베버리지에게 파시즘이 실패한 자본주의 체제의 마지막 발악이라는 당시 유행하던 주장에 반박하는 메모를 작성했다.
하이에크는 중앙 집권적인 계획경제에서는 의사결정이 소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독재의 위험이 따른다고 경고했다. 그는 개인주의와 고전 자유시장경제를 포기하면 자유 상실, 억압적인 사회, 그리고 독재자의 출현으로 이어져 개인이 노예로 전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파시즘, 나치즘, 사회주의의 공통점은 모두 중앙 집권적인 경제계획에 있으며, 이는 개인을 억압하는 힘을 국가에 부여한다고 보았다.[10][11]
이 책은 1944년 3월 영국에서 루틀리지 출판사(Routledge Press)에 의해 처음 출판되었다. 이후 미국 내 세 곳의 출판사에서 출판을 거절당했고, 애런 디렉터 경제학자가 시카고 대학교의 지인들에게 이야기한 후에야 1944년 9월 18일 시카고 대학교 출판사(University of Chicago Press)에서 미국에서 출판되었다.[10][11] 미국 출판사는 이 책이 900부에서 3,000부 정도 팔릴 것으로 예상했으나, 초판 2,000부가 금세 매진되었고, 6개월 만에 3만 부가 판매되었다. 시카고 대학교 출판사에서는 35만 부 이상 판매된 것으로 추산했다.
이후 20페이지 분량의 책이 1945년 4월호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게재되었으며, 수백만 부가 인쇄되었다.[13] 95페이지 분량의 요약본도 1945년과 1946년에 출판되었다.[14] 1945년 2월에는 그림책 버전이 《룩》 잡지에 게재되었고, 이후 소책자로 제작되어 제너럴 모터스에서 배포되었다.[15] 이 책은 약 20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모든 정당의 사회주의자들에게" 헌정되었다. 50주년 기념판 서문은 밀턴 프리드먼(1976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 작성했다.
2007년, 시카고 대학교 출판사는 《F. A. 하이에크의 전집》 시리즈의 제2권인 "결정판"을 발행했다. 2010년 6월, 이 책은 《글렌 백 프로그램》에서 책에 대한 장시간 보도가 이루어진 후 아마존 베스트셀러 목록의 상위에 오르면서 새로운 인기를 얻었다. 이후 인쇄본과 디지털 버전을 합쳐 25만 부가 더 판매되었다.
3. 주요 내용
하이에크는 영국과 미국을 포함한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이 경제 문제에 대한 자유를 점진적으로 포기해왔다고 주장한다.[16] 그는 중앙 계획은 본질적으로 비민주적이며, 소수 집단의 의지가 국민에게 강요되어 법치주의와 개인의 자유를 파괴한다고 비판한다.[20][21]
하이에크는 사회주의가 평등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제시되지만, 실제로는 "제약과 예속"을 통해 평등을 추구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민주주의는 자유 속에서 평등을 추구한다"고 강조하며, 자유 시장의 경쟁이 개인의 활동을 조정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했다.[18][19]
하지만 하이에크는 정부의 제한적인 역할, 특히 외부성 규제, 사기 방지, 안전망 제공 등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그는 생산 방식에 대한 법적 제한은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적용되고 간접적인 방식으로 사용되는 한 유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산림 벌채, 특정 농업 방식, 공장 연기 등과 같이 제3자에게 피해를 주는 활동은 시장만으로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22][23]
하이에크는 정부가 사기를 방지하고, 최소한의 음식, 쉼터, 의류를 보장하는 안전망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합리적으로 옹호될 수 있는 어떤 시스템에서도 국가는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결론 내렸다.
4. 구성 (일본어판)
5. 평가 및 비판
《노예의 길》은 출판 이후 많은 칭찬과 비판을 받았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이 책에 대해 도덕적, 철학적으로 깊이 공감했지만, 실용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48][49] 조지 오웰은 집산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한 점은 높이 평가했지만, 자유 경쟁으로의 회귀 또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50][51] 밀턴 프리드먼은 《노예의 길》을 "우리 시대의 위대한 책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 애덤 스미스의 역할에 비견했다.[52]
허먼 파이너, 바바라 우튼, 칼 폴라니 등은 하이에크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인 저작을 출판했다. 페이비언 사회주의자였던 허먼 파이너는 1946년에 《반동으로 가는 길》이라는 반박서를 출판했고, 하이에크는 파이너의 책을 "현대 학술 토론에서 아마도 유례가 없는 악의와 비난의 표본"이라고 불렀다.[53] 바바라 우튼은 《계획 하의 자유》[64]를 통해 하이에크를 비판했는데, 우튼은 계획과 자유를 결합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요컨대, 자유와 계획 사이의 행복하고 생산적인 결합을 마련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90] 시카고 학파의 창시자인 프랭크 나이트는 ''계획 하의 자유''가 "노예의 길"과 모순된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65] 칼 폴라니는 하이에크와 정반대의 주장을 펼치며, 규제받지 않는 시장이 사회 질서를 훼손하고 경제 붕괴가 독재의 등장을 위한 길을 열었다고 주장했다.[63]
제프리 삭스는 높은 세율과 사회적 지출을 가진 복지 국가가 자유 시장 경제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낸다고 주장했다.[58] 이에 대해 윌리엄 이스터리는 삭스가 하이에크의 저작을 잘못 해석하고, 하이에크가 반대하지 않은 노인이나 병자를 위한 복지 프로그램과 같은 문제에 대해 책을 비판한다고 비판하는 반박문을 썼다.[59] 삭스는 반박에 대한 재반박에서, 1976년 개정판의 하이에크 서문에서 대규모 복지 국가를 건설하려는 노력이 중앙 집중 계획보다 훨씬 느리지만 노예 상태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한 점을 지적하며, 하이에크가 그러한 프로그램이 노예 상태를 초래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 틀렸다는 것을 보여주는, 경제적으로 자유롭고 비교적 자본주의적인 북유럽 국가들을 예로 들었다.[60] 마르크스주의자 폴 스위지는 1953년의 리뷰에서, 하이에크의 주장에 따르면 유모차가 과잉 생산되었을 때 중앙 계획자들이 유모차의 일시적인 과잉을 창고에 보관하고 다음 해 생산을 줄이는 대신, 인구에게 더 많은 아기를 낳으라고 명령할 것이라고 농담했다.[92]
고든 털록은 하이에크의 분석이 20세기 후반 유럽의 많은 정부가 전체주의로 전락할 것이라고 잘못 예측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당시 정부가 국민 총생산의 63%를 통제했던 스웨덴을 예로 들어 "노예의 길"의 기본적인 문제는 "그것이 틀린 것으로 판명된 예측을 제시했다는 것, 스웨덴과 같은 곳에서 정부의 꾸준한 진전이 비경제적 자유의 상실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61] 그러나 로버트 스키델스키에 따르면, 하이에크는 "그러한 소급적 반박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했다". 스키델스키는 하이에크의 주장이 우연적인 것이었으며, "1970년대에 미끄러운 경사에 대한 몇 가지 증거가 있었고, 마거릿 대처가 있었다. 하이에크의 경고는 그녀가 '국가를 축소'하려는 결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62]
미제스 연구소의 경제학자 월터 블록은 ''노예의 길''이 중앙 계획 경제에 대한 강력한 논거를 제시하는 반면, 자유 시장 시스템과 ''자유 방임'' 자본주의에 대한 지지는 미온적인 것처럼 보이며, 하이에크는 심지어 "아마도 자유주의 대의에 가장 해로운 것은 일부 자유주의자들이 특정 경험적 규칙, 특히 자유 방임 자본주의의 원칙을 고집하는 것이다."라고 말하기까지 했다고 비판적으로 관찰했다.[57]
6. 한국어 번역
- 이치야 토우이치로・이치야 에리코 역, 《노예의 길 — 전체주의와 자유》 (도쿄 소겐샤, 1954년, 신장판 1992년)
- 초판은 이치야 토우이치로 역, 도쿄 소겐샤, 1954년 / 개정판, 같은 곳・현대 사회 과학 총서, 1979년
- 니시야마 치아키 역, 《예속으로의 길》 (춘추사, 1992년, 신장판 「하이예크 전집 별권」, 2008년)
- 무라이 아키코 역, 《노예의 길》 (닛케이BP사 「닛케이 BP 클래식스」, 2016년)
7. 한국적 맥락과 함의
한국은 해방 이후 이승만 정부의 권위주의적 통치와 박정희 정부의 개발 독재를 경험하며, 중앙 계획 경제와 국가 주도 경제 개발 모델을 채택했다. 진보 진영은 이러한 발전 모델이 경제 성장에 기여했지만,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켰다고 비판한다. 특히, 김대중, 노무현 정부는 IMF 구제금융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하면서도, 사회적 안전망 확충과 경제 민주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반면, 보수 진영은 국가 주도 경제 개발 모델이 한국의 경제적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주장하며, 자유 시장 경제와 규제 완화를 강조한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는 친기업 정책과 감세 정책을 추진하며 경제 성장을 추구했다.
하이에크의 《노예의 길》은 이러한 한국의 정치, 경제적 논쟁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책은 국가 개입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도, 시장 경제의 효율성을 강조하며, 한국 사회의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최근 문재인 정부의 소득 주도 성장 정책과 윤석열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은 하이에크의 사상과 연결하여 분석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험은 하이에크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 한국은 국가 개입을 통해 경제 발전을 이루면서도 민주주의를 유지해왔으며, 이는 하이에크의 예측과는 다른 결과이다.
참조
[1]
간행물
Friedrich A. Hayek: A Centenary Appreciation
http://www.thefreema[...]
1999-05
[2]
웹사이트
How Covid paved the Road to Serfdom
https://thecritic.co[...]
2021-01-12
[3]
서적
The Road to Serfdom
https://www.press.uc[...]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웹사이트
The fading of Friedman
http://www.prospectm[...]
Prospect
2010-12-26
[5]
웹사이트
Bestsellers in Books
https://www.amazon.c[...]
Amazon.com
2010-12-10
[6]
서적
[7]
서적
[8]
서적
Friedrich Hayek: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서적
[10]
웹사이트
Aaron Director, Founder of the field of Law and Economics
http://www-news.uchi[...]
2019-09-04
[11]
웹사이트
The Publication History of The Road to Serfdom by F. A. Hayek
https://www.press.uc[...]
2019-09-04
[12]
서적
[13]
Oclc
[14]
Oclc
[15]
서적
The Road to Serfdom, by F. A. Hayek – why the continual expansion of the state endangers liberty
http://explorersfoun[...]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06-07-09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Harvcolnb
[37]
뉴스
Hayek on Social Insurance
https://web.archive.[...]
[38]
뉴스
Free to Di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1-09-15
[39]
Harvcolnb
[40]
Harvcolnb
[41]
웹사이트
Top 10 Books Every Republican Congressman Should Read
https://web.archive.[...]
Townhall Media
2016-03-18
[42]
서적
Tides of Fortune, 1945–1955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969
[43]
웹사이트
Hayek, life and times
https://web.archive.[...]
libertystory.net
2007-05-14
[44]
서적
After the Landslide: Learning the Lessons of 1906 and 1945
https://web.archive.[...]
Centre for Policy Studies
2016-03-18
[45]
웹사이트
NR's List of the 100 Best Non-Fiction Books of the Century
http://old.nationalr[...]
townhall.com
[46]
웹사이트
100 list of the 100 best non-fiction books by Modern Library
http://www.randomhou[...]
Random House
2012-06-23
[47]
웹사이트
The Political Compass
https://www.politica[...]
2016-06-30
[48]
간행물
The Road from Serfdom – Forseeing the Fall F.A. Hayek interviewed by Thomas W. Hazlett
http://reason.com/ha[...]
2012-06-23
[49]
서적
Economics as Ideology
https://books.google[...]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2003
[50]
서적
The Collected Essays, Journalism, and Letters of George Orwell: As I please, 1943-1945
https://books.google[...]
Harcourt, Brace & World
1968
[51]
웹사이트
The Connection Between George Orwell and Friedrich Hayek
https://reason.com/2[...]
2023-07-17
[52]
웹사이트
Quotes on Hayek
http://hayekcenter.o[...]
[53]
웹사이트
Hayek and the American Conservative Movement
http://www.isi.org/l[...]
2004-04-03
[54]
웹사이트
The 1973 CBC Massey Lectures, "Designing Freedom"
https://www.cbc.ca/r[...]
[55]
문서
[56]
서적
The Denationalization of Money – The Argument Refined – An Analysis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ncurrent Currencies
https://mises.org/sy[...]
The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1990
[57]
학술지
Hayek's Road to Serfdom
https://mises.org/jo[...]
Center for Libertarian Studies
2010-02-17
[58]
학술지
The Social Welfare State, beyond Ideology
http://www.sciam.com[...]
2006-10
[59]
뉴스
Dismal Science
https://www.wsj.com/[...]
2006-11-15
[60]
웹사이트
Why Hayek Was Wrong: Sachs Responds to Easterly
http://gregmankiw.bl[...]
2006-11-27
[61]
서적
Freedom Democracy and Economic Welfare
The Fraser Institute
2010-04-12
[6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aye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서적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944
[64]
학술지
Freedom under planning
Southern Economic Association
1946-01
[65]
학술지
Freedom Under Planning
[66]
웹사이트
The Other Road to Serfdom
http://www.dailykos.[...]
The Daily Kos
2010-04-20
[67]
학술지
Friedrich A. Hayek: A Centenary Appreciation
http://www.thefreema[...]
1999-05
[68]
웹사이트
The fading of Friedman
http://www.prospectm[...]
Prospect (magazine)
2010-12-26
[69]
웹사이트
Bestsellers in Books
http://www.amazon.co[...]
Amazon.com
2010-12-10
[70]
Harvcolnb
[71]
서적
Friedrich Hayek: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2]
기타
Harvcolnb|Ebenstein|2003|p=[https://books.google.co.jp/books?id=Kp8Uq8ve3EsC&pg=PA128&redir_esc=y&hl=ja 128]
[73]
웹사이트
The Road to Serfdom
http://jim.com/hayek[...]
2010-06-16
[74]
기타
Harvcolnb|Hayek|Caldwell|2007|p=[https://books.google.co.jp/books?id=qg61T_I1mwsC&pg=PA1&redir_esc=y&hl=ja 1]
[75]
기타
OCLC|76656715
[76]
기타
OCLC|802584460|13355651
[77]
웹사이트
The Road to Serfdom, by F. A. Hayek - why the continual expansion of the state endangers liberty
http://explorersfoun[...]
2006-07-09
[78]
간행물
The Road from Serfdom - Forseeing the Fall F.A. Hayek interviewed by Thomas W. Hazlett
http://reason.com/ha[...]
Reason magazine
2002
[79]
서적
Economics as Ideology
https://books.google[...]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2003
[80]
학술지
Review of the Road to Serfdom by F. A. Hayek, etc
[81]
서적
Tides of Fortune, 1945-1955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969
[82]
웹사이트
Hayek, life and times
http://www.libertyst[...]
libertystory.net
2007-05-14
[83]
PDF
After the Landslide: Learning the Lessons of 1906 and 1945
https://www.cps.org.[...]
Centre for Policy Studies
1999
[84]
웹사이트
NR's List of the 100 Best Non-Fiction Books of the Century
http://old.nationalr[...]
townhall.com
2016-08-23
[85]
웹사이트
100 list of the 100 best non-fiction books by Modern Library
http://www.randomhou[...]
Random House
2012-06-23
[86]
웹사이트
Top 10 Books Every Republican Congressman Should Read
http://humanevents.c[...]
Townhall Media
2016-08-23
[87]
웹사이트
Quotes on Hayek
http://hayekcenter.o[...]
2016-08-23
[88]
서적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http://www.goodreads[...]
Beacon Press
1944
[89]
학술지
Hayek and the American Conservative Movement
http://www.isi.org/l[...]
2004-04-03
[90]
학술지
Freedom under planning
Southern Economic Association
1946-01
[91]
학술지
Freedom Under Planning
[92]
기타
See (full references on [[Herbert A. Simon]] entry) Simon's papers in his collected ''Models of Bounded Rationality'', a qualitative discussion in his ''Sciences of the Artificial'', and a full presentation of the mathematical theory by P.J. Courtois in his ''Decomposability: queueing and computer system applications'' (Academic Press, 1977).
[93]
학술지
The Social Welfare State, beyond Ideology
http://www.sciam.com[...]
2006-10
[94]
뉴스
Dismal Science''
http://www.wsj.com/a[...]
2006-11-15
[95]
웹사이트
Why Hayek Was Wrong: Sachs Responds to Easterly
http://gregmankiw.bl[...]
2016-08-23
[96]
학술지
The Other Road to Serfdom
http://www.dailykos.[...]
The Daily Kos
2010-04-20
[97]
서적
The Denationalization of Money - The Argument Refined - An Analysis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ncurrent Currencies
https://mises.org/sy[...]
The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1990
[98]
학술지
Hayek's Road to Serfdom
https://mises.org/jo[...]
Center for Libertarian Studies
2010-02-17
[99]
서적
Freedom Democracy and Economic Welfare
The Fraser Institute
2010-04-12
[100]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aye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