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크 트라이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크 트라이어드는 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시의 세 가지 성격 특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1998년 연구에서 처음 제안되었으며, 이후 가학증을 포함하는 '다크 테트라드'로 확장되기도 한다. 다크 트라이어드는 공감 능력 부족, 대인 관계 적대감, 공격성과 같은 특징을 공유하며, 다양한 척도를 통해 측정된다.

각 특성은 개인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진화론적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직장, 범죄, 인터넷 트롤링, 사이버 범죄, 이념, 성과 관계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일부 연구자들은 다크 트라이어드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와 단순한 관점에 대해 비판을 제기하기도 한다. 다크 트라이어드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라이트 트라이어드가 제시되었으며, 라이트 트라이어드는 인본주의, 칸트주의, 인간에 대한 믿음으로 구성된다. 연구 결과, 라이트 트라이어드 특성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인 특성을 더 많이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격장애 - 의존성 인격장애
    의존성 인격장애는 정서적, 신체적 욕구 충족을 위해 타인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정신 질환으로, 수동성, 관계 종료 시 파괴적인 행동, 책임 회피, 복종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ICD-10에 진단 기준이 제시되어 있고 정신 요법을 통해 치료한다.
  • 인격장애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다.
  • 사이코패스 - 가스라이팅
    가스라이팅은 상대방의 현실 인식을 조작하여 자존감을 훼손하고 의존하게 만드는 심리적 조종 행위로, 다양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학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용어 남용에 대한 우려와 사회적 문제로의 인식도 존재한다.
  • 사이코패스 - 이영학
    '어금니 아빠'로 알려졌던 이영학은 딸의 치료를 위해 후원금을 모금했으나, 사치스러운 생활과 범죄 전력이 드러났고, 여중생 살해 및 아내 성매매 강요 등의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며, 아내 사망과 관련된 논란도 있는 인물이다.
  • 심리학 개념 - 실존적 위기
    실존적 위기는 삶의 의미와 목적 상실에서 비롯되는 내적 갈등으로, 개인의 의미 추구와 무의미한 세상 사이의 모순으로 이해되며, 심리 치료뿐 아니라 조직의 존립 위협에도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해결 방안이 모색된다.
  • 심리학 개념 - 판단
    판단은 사물이나 아이디어를 이해하기 위해 판단력을 사용하여 추론하는 행위이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단언과 정의에 대한 사고로, 기독교에서는 타인에 대한 판단에 대한 경고로,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는 최후의 심판이라는 개념으로 다룬다.
다크 트라이어드
개요
유형성격 특성
특징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정신병질
관련 연구 분야심리학
성격심리학
사회심리학
범죄심리학
상세 내용
자기애과장된 자기 중요성
우월감
인정 욕구
공감 능력 부족
마키아벨리즘냉소적 세계관
기회주의적 태도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과 방법 가리지 않음
도덕성 결여
정신병질충동성
반사회적 행동
공감 능력 및 죄책감 결여
행동 양상대인 관계 조작
착취
비도덕적 행동
범죄 행위
관련 연구
연구 주제다크 트라이어드와 리더십
다크 트라이어드와 직무 수행 능력
다크 트라이어드와 인간 관계
다크 트라이어드와 범죄
관련 개념다크 팩터
라이트 트라이어드
사회적 영향
긍정적 측면단호함
결단력
위기 대처 능력
부정적 측면대인 관계 문제
조직 내 갈등
윤리적 문제

2. 역사

다크 트라이어드 개념에 대한 논의는 1998년 존 맥호스키, 윌리엄 워젤, 크리스토퍼 시아르토가 자기애, 마키아벨리즘, 반사회성(사이코패스)이 일반적인 표본에서 거의 동일하다는 주장을 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19][164] 이 주장은 상당한 논란을 일으켰고, 이후 델로이 L. 폴러스와 맥호스키는 미국 심리학회 컨퍼런스에서 이 문제를 두고 논쟁을 벌이며 관련 연구를 촉발시켰다.

폴러스와 케빈 윌리엄스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 세 가지 성격 특성 사이에 행동, 성격, 인지적 차이가 충분히 존재하여 각기 별개의 구성 요소로 볼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 특성들이 왜, 어떻게 중첩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2][165]

특히 마키아벨리즘과 사이코패스의 구분 가능성은 주요 쟁점이 되었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마키아벨리즘 척도가 사실상 사이코패스의 특정 측면을 측정하는 것처럼 보이며, 두 특성을 실증적으로 구분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20][59]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정신병질 체크리스트(PCL-R)와 같은 사이코패스 측정 도구의 일부 특성(예: 대인 조작, 과대 자존감)이 마키아벨리즘이나 자기애와 중첩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56][57] 또한, 빅 파이브 성격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마키아벨리즘과 사이코패스가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58]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마키아벨리즘이 사이코패스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을 수 있다는 초기 맥호스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되기도 했다.[58]

반면, 폴러스 등은 사이코패스가 충동적이고 부주의한 경향을 보이는 반면, 마키아벨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은 신중하고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두 특성이 구분된다는 증거가 충분하다고 반박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크 트라이어드 모델 자체에 대한 비판은 계속되었다. 명확히 구분된다고 이론적으로 제시된 특성들이 실제 연구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고,[54] 마키아벨리즘이 특정 상황에서는 충동 조절 능력과 무관하게 무모한 행동과 연관성을 보이기도 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55]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들을 별개의 요소로 보기보다는 하나의 단일한 구조로 통합하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60][61] 심지어 자기애와 마키아벨리즘 역시 서로 상호 교환 가능한 개념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62]

이후 연구가 진행되면서 기존의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에 가학증을 추가하여 '다크 테트라드'라는 개념으로 확장되기도 하였다.[156][157][158][159]

2. 1.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응용 심리학 분야에서는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며, 특히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 영역에서 주목하고 있다. 다크 트라이어드의 세 가지 성격 특성(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고, 사회적 고통을 유발하며, 소속된 조직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160] 특히 이들이 조직 내에서 리더십 위치에 있을 경우, 그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는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 조직 문화와 사회 시스템 전반에 걸쳐 갈등과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주요 5가지 성격 요인 중 낮은 친화성과 가장 큰 관련성을 보이며, 경우에 따라 신경증 성향이나 낮은 성실성과도 연관된다.[162] 때로는 이러한 특성에 가학성욕(sadism|사디즘영어)을 더하여 '다크 테트라드'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는 해당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질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156][157][158][159]

3. 구성 요소

다크 트라이어드는 나르시시즘,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라는 세 가지 주요 성격 특성으로 구성된다. 이 세 특성은 개념적으로는 구분되지만, 경험적으로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많다.[160] 예를 들어, 세 특성 모두 공감 능력 부족,[96][166] 대인 관계에서의 적대감,[21][167] 공격성[22][168] 등의 특징을 공유하며, 부자연스러운 대인 관계 스타일과 관련이 있다.[160]



1998년 존 맥호스키(John McHoskey), 윌리엄 워젤(William Worzel), 크리스토퍼 시아르토(Christopher Siorciari)는 이 세 특성이 일반 표본에서 거의 동일하다는 주장을 하여 논란을 일으켰다.[19][164] 이후 델로이 폴러스(Delroy L. Paulhus)와 케빈 윌리엄스(Kevin Williams)는 세 특성 간에 행동, 성격, 인지적 차이가 충분히 존재하여 별개의 구성 요소임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2][165] 이들 특성이 왜, 어떻게 중첩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2][165] 특히 마키아벨리즘과 사이코패스는 구별이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나,[20][59] 사이코패스는 충동적인 반면 마키아벨리즘 성향자는 신중하고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2]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 간의 중복성 때문에, 이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한 더티 더즌[23][169]이나 단기 암흑의 3요소(SD3)[24][170]와 같은 척도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척도는 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이나 관찰자 평가(예: 암흑 정보 제공자 평가 트라이어드[DIRT][25])를 사용한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특성을 측정할 때 응답자가 거짓말을 하거나,[26] 특히 타인을 속이는 데 능숙한 마키아벨리즘이나 사이코패스 성향자는 정확한 평가가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26][171] 일부 연구에서는 더티 더즌과 같은 척도가 특정 특성(예: 나르시시즘)을 측정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27]

다크 트라이어드 모델 자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세 특성을 구분하는 이론적 특징들이 실제 연구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54] 특히 마키아벨리즘과 사이코패스의 구분이 모호하고 측정 도구 간에도 중복되는 요소가 많다고 지적한다.[55][56][57][58][59] 이러한 문제로 인해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을 하나의 단일 구조로 통합하자는 제안도 있다.[60][61]

최근에는 다크 트라이어드에 사디즘(sadism)을 네 번째 특성으로 추가하여 다크 테트라드(Dark Tetrad)로 확장하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45][156][157][158][159] "다크(Dark)"라는 명칭은 이러한 특성들이 악한(malevolent) 기질과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156][157][158][159]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연구는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 등 다양한 응용 심리학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세 가지 특성이 높은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르거나 사회적 고통을 야기하며, 특히 조직 내 리더십 위치에 있을 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글래스고 칼레도니안 대학교의 요인 분석 연구에 따르면, 빅 파이브 성격 요인 중에서는 낮은 친화성이 다크 트라이어드와 가장 강한 관련성을 보였고, 신경증 성향과 낮은 성실성도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62]

3. 1. 나르시시즘 (Narcissism)

나르시시즘(Narcissism) 성향이 높은 사람은 과대성, 특권 의식, 지배성, 우월성 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28][174] 이는 높은 자존심, 자아 중심성, 공감 부족과 같은 특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161] 성격 특성 연구에 따르면, 나르시시즘은 빅 파이브 성격 요인 중 외향성(r=.42) 및 경험에 대한 개방성(r=.38)과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친화성(r=−.36)과는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40][165] 또한, 반사회성 성격 장애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29][173]

과거 나르시시즘은 주로 임상 면담을 통해 평가되었으나, 1979년 라스킨(Raskin)과 홀(Hall)이 자기애성 성격 검사(NPI)를 개발하면서 자기 보고식 평가가 가능해졌다.[30] NPI 이후에도 성격 장애 평가를 위한 다양한 자기 보고식 척도들이 개발되었으며,[31] NPI가 주로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진 웅대한 나르시시즘 외에, 병적인 나르시시즘을 연구하기 위한 도구들도 개발되고 있다.[32][33][34]

나르시시즘은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와 함께 다크 트라이어드를 구성하는 세 가지 주요 특성 중 하나이다. 이 세 특성은 개념적으로는 구분되지만, 실제로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세 특성 모두 공감 부족[166], 대인 관계에서의 적대감[167], 공격성[168]과 같은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중복성 때문에 '더티 더즌(Dirty Dozen)'[169]이나 '쇼트 다크 트라이어드(SD3)'[170]와 같이 세 가지 특성을 동시에 측정하려는 시도도 있다. 델로이 파울러스(Delroy L. Paulhus)와 윌리엄스(Williams)는 나르시시즘과 사이코패스 사이에 행동, 성격, 인지적 차이가 존재하여 서로 다른 구성 개념임을 시사했지만, 이들 특성 간의 중복성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165]

나르시시즘을 포함한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을 측정하는 데는 주로 설문 조사가 사용되지만, 응답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숨기려 하거나, 특히 타인을 속이는 데 능숙한 경우 정확한 평가가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171]

3. 2. 마키아벨리즘 (Machiavellianism)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제창한 정치 철학에서 유래한 마키아벨리즘은 1970년 심리학자 리처드 크리스티와 플로렌스 게이스에 의해 심리학적 개념으로 정립되었다. 이 특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사람들은 냉담하고, 원칙이 없으며, 자신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35] 이들은 성공을 위해 타인을 조종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94], 도덕관념을 냉소적으로 무시하며 자기중심적이고 기만적인 태도를 보인다.[162] 즉,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냉혹함을 보이며, 인간 관계를 조작하는 것을 삶의 성공 비결로 여긴다.[172]

마키아벨리즘 성향이 높은 개인은 빅 파이브 성격 요인 중 우호성(r=−.47)과 성실성(r=−.34)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2][40][165] 또한 사이코패스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다.[173]

MACH-IV는 마키아벨리즘을 측정하기 위해 경험적 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척도이다.[36][37]

마키아벨리즘은 자기애, 사이코패스와 함께 다크 트라이어드를 구성하는 세 가지 주요 성격 특성 중 하나이다. 이 세 특성은 공감 부족[166], 대인 관계에서의 적대감[167], 공격성[168] 등의 특징을 공유하지만, 개념적으로는 구분된다.[165]

다크 트라이어드와 빅 파이브의 상관 계수[165][173]
개방성성실성외향성협조성 (우호성)신경증적 경향
마키아벨리즘-0.34-0.47
자기애0.380.42-0.36
사이코패시0.24-0.240.34-0.25-0.34



응용 심리학, 특히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 분야에서는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마키아벨리즘을 포함한 다크 트라이어드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르거나 사회적 고통을 야기하며, 조직 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특히 리더십 위치에 있을 때 그 폐해가 두드러질 수 있다.

마키아벨리즘 측정은 주로 설문 형식을 사용하는데, 자기 보고나 타인(상사, 동료 등)의 평가에 의존한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특성을 측정할 때 응답자가 자신을 좋게 포장하려 하거나, 특히 타인을 속이는 데 능숙한 마키아벨리즘 성향자는 자신의 실제 모습을 숨겨 부정확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한계가 지적된다.[171]

3. 3. 사이코패시 (Psychopathy)

정신병질(Psychopathy)은 다크 트라이어드 중 가장 악의적인 특성으로 여겨진다.[38] 사이코패스 성향이 높은 개인은 공감 능력이 낮고 충동성과 스릴 추구 성향이 높게 나타난다.[39] 또한 지속적인 반사회적 행동, 이기심, 무반성을 특징으로 한다.[163] 빅5 성격 요인과 관련하여, 사이코패스는 친화성과 성실성과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40][162]

로버트 헤어는 정신병질 검사표(PCL)와 그 개정판(PCL-R)을 통해 사이코패스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헤어는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 심리적으로 중요한 문제에 대해 스스로 보고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반드시 정확하거나 편향되지 않은 데이터를 제공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41] 그럼에도 불구하고, Levenson Primary and Secondary Psychopathy Scales,[42] 정신병적 성격 척도(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 PPI),[43] 자기 보고 정신병질 척도(Self-Report Psychopathy Scale, SRP)[44]와 같은 자기 보고 도구를 사용하여 사이코패스를 연구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다크 트라이어드의 세 가지 특성(사이코패스, 자기애, 마키아벨리즘)은 개념적으로 구분되지만, 경험적으로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많다.[160] 세 특성 모두 공감 부족,[166] 대인 관계에서의 적대감[167] 및 공격성[168]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이러한 중복성 때문에 세 특성을 동시에 측정하려는 더티 더즌(Dirty Dozen)[169]이나 쇼트 다크 트라이어드(Short Dark Triad, SD3)[170]와 같은 측정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척도들은 대부분 설문 형식으로 자기 보고나 관찰자 보고에 의존하기 때문에, 응답자가 사회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특성에 대해 솔직하게 답하지 않거나 자신을 속이려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171] 특히 타인을 속이거나 조작하는 데 능숙한 사이코패스 성향의 사람들은 부정확한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171]

1998년 마호스키(Mahalski), 우첼(Uziel), 시야르트(Sciortino)는 자기애, 마키아벨리즘, 반사회성 성격 장애(사이코패스)가 각 영역에서 중첩되며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어느 정도 상호 교환 가능하다고 주장하여 논쟁을 일으켰다.[164] 이후 Delroy L. Paulhus와 마호스키는 이 견해에 대해 논의하며, 세 특성 사이에 행동, 성격, 인지적 차이가 존재하여 서로 다른 구성 개념임을 시사했지만, 이들이 어떻게 그리고 왜 중복되는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165] 사이코패스는 특히 마키아벨리즘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다.[173]

응용 심리학 분야, 특히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 등에서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세 가지 특성이 높은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르거나 사회적 고통을 야기하며, 조직 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특히 리더십 위치에 있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일부 연구자들은 다크 트라이어드에 가학증(Sadism)을 네 번째 특성으로 추가하여 '다크 테트라드(Dark Tetrad)'로 확장할 것을 제안하기도 한다.[156][157][158][159][177] 일상적 가학증은 잔혹함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것으로 정의되며, 다크 트라이어드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이를 넘어서는 반사회적 행동을 예측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90][178]

3. 4. 사디즘 (Sadism)

일부 연구자들은 사디즘(가학증)을 나르시시즘,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로 구성된 다크 트라이어드에 추가하여 다크 테트라드를 이루는 네 번째 특성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45][156][157][158][159] "다크(Dark)"라는 단어가 붙는 이유는 이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악한 기질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156][157][158][159]

사디즘은 다크 트라이어드의 다른 특성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연구 결과 사디즘이 다크 트라이어드를 넘어서 반사회적 행동을 예측하는 데 독자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6][47] 사디즘은 사이코패스공감 부족, 정서적 참여 부족, 타인에게 고통을 가하는 경향 등 일부 특징을 공유한다. 그러나 Reidy 등(2011)의 연구[48]에 따르면, 사디즘은 사이코패스와 별개로 유발되지 않은 공격성을 뚜렷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9]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사디즘은 다른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과는 별개로 비행 행동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요인이었다.[49] 또한, 살아있는 생명체에 대한 유해한 행동, 잔혹하고 파괴적인 비도덕적 성향, 그리고 범죄 재발 등은 사이코패스적 특성보다 사디즘에 의해 더욱 두드러지게 예측되었다.[49]

사디스트가 타인에게 잔혹 행위를 가함으로써 어떻게 쾌락을 얻는지에 대한 연구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오직 사디즘의 특성을 보이는 사람들만이 잔혹 행위에서 쾌락을 얻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사디즘이 다크 트라이어드의 나머지 특성들이 다루지 않는 뚜렷한 잔혹한 특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다크 테트라드 내에서 사디즘이 독립적인 위치를 가질 자격이 있음을 뒷받침한다.[50] 이러한 특성은 sadism|사디즘영어 또는 가학성욕으로 불리기도 한다.[156]

4. 측정 방법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상당한 이론적 및 실증적 중첩을 보이며, 공감 능력 부족,[96][166] 대인 관계 적대감,[21][167] 그리고 대인 관계 공격성[22][168]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이러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척도가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 세 가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을 동시에 측정하는 도구로는 더티 더즌(Dirty Dozen)[23][169]과 단기 암흑의 3요소(Short Dark Triad, SD3)[24][170]가 있다. 이 척도들은 대부분 설문지 형식이며, 자기 스스로 응답하거나 주변 사람(관리자, 동료 등)이 평가하는 관찰자 응답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암흑 정보 제공자 평가 트라이어드(Dark Informant-Rated Triad, DIRT)[25]는 관찰자 응답 방식의 한 예이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 방식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측정할 때, 자기 응답자는 솔직하게 답하지 않고 거짓말을 할 동기가 있을 수 있다.[26][171] 관찰자 응답의 경우, 특히 마키아벨리즘 특성이 강한 사람은 다른 사람을 속이고 조종하는 데 능숙하여, 관찰자에게 덜 기만적이고 덜 조종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어 부정확한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26][171]

한 연구에서는 더티 더즌 척도의 구성 타당성에 대해 혼합된 결과를 제시하며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3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더티 더즌 척도는 자기애보다는 마키아벨리즘과 정신병질 특성을 밝히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27]

또한, 각 특성을 측정하는 기존 도구들 간에도 중첩 문제가 지적된다. 예를 들어, 정신병질 체크리스트(PCL-R)와 같은 정신병질 측정 도구는 이미 그 안에 마키아벨리즘적 특성(요인 1)이나 자기애적 특성("과대 자존감")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56][57]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을 하나의 단일 구조로 통합할 것을 제안하기도 한다.[60][61]

5. 다른 성격 모델과의 관계

정신병리학에서는 정신병질과 자기애가 각각 반사회적 성격장애(ASPD)와 자기애성 성격장애(NPD)라는 임상적 진단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63] 하지만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반드시 임상적 진단 수준이 아니더라도 일반 인구 집단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64] 임상 수준 이하의 특성으로 존재한다. 마키아벨리즘은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 등재된 진단명은 아니며, 성격 구성 요인으로 간주된다.[69]

다크 트라이어드는 다른 주요 성격 모델들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인다.

'''5요인 성격 모델'''

성격의 5가지 요인(빅 파이브)은 다크 트라이어드 전체 및 각 특성과 관련성을 가진다. 다크 트라이어드는 전반적으로 낮은 친화성 및 낮은 성실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94][172] 각 특성별 관계는 다음과 같다.


  • '''마키아벨리즘''':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이고 의심 많은 관점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빅 파이브 친화성의 하위 척도인 '신뢰'가 낮은 것과 관련된다.[141][243] 또한 성실성(r=−.34) 및 친화성(r=−.47)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165]
  • '''자기애''': 외향성의 자기 주장, 지배력, 자기 중요감 등과 같은 측면을 공유한다.[141][243] 성실성의 성취 추구 및 유능성 측면과는 긍정적인 관계를 보이며,[94] 외향성(r=.42) 및 개방성(r=.38)과 양의 상관관계를, 친화성(r=−.36)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165]
  • '''사이코패스''': 성실성의 하위 척도인 낮은 충실성과 신중함과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94][172] 모든 빅 파이브 성격 특성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외향성(r=.34), 개방성(r=.24)과 양의 상관관계를, 친화성(r=−.25), 성실성(r=−.24), 신경증 성향(r=−.34)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173]


요인 분석 연구에 따르면, 낮은 친화성이 다크 트라이어드와 가장 강하게 연관되었으며, 신경증 성향과 낮은 성실성도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62]

다크 트라이어드와 빅 파이브의 상관 계수[165][173]
개방성성실성외향성친화성 (협조성)신경증 성향
마키아벨리즘-0.34-0.47
자기애0.380.42-0.36
사이코패스0.24-0.240.34-0.25-0.34



'''HEXACO 성격 모형'''

HEXACO 성격 모형의 정직-겸손 요인은 성실성, 공정성, 탐욕 회피, 겸손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크 트라이어드의 세 가지 특성(마키아벨리즘, 자기애, 사이코패스)은 모두 정직-겸손 요인과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142][94][172] 세 가지 특성의 개념적 중첩, 즉 개인적 이익을 위해 타인을 조작하고 착취하려는 경향은 정직-겸손 요인의 음극(낮은 점수)을 정의한다.[143][245]

일반적으로 다크 트라이어드 및 낮은 정직-겸손에서 비롯되는 긍정적 영향(예: 성공적인 짝짓기, 리더십 위치 획득 등)은 개인 수준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에게만 이익이 돌아가고 다른 사람이나 사회 전체에는 이익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143][245]

'''다크 테트라드'''

일부 연구자들은 다크 트라이어드에 네 번째 특성으로 가학증( sadism|사디즘영어 )을 추가하여 '다크 테트라드'라는 개념을 사용하기도 한다.[177] 가학증은 타인에게 고통을 가하는 행위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성향으로 정의되며,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면서도, 다크 트라이어드를 넘어서 반사회적 행동을 예측한다고 지적된다.[190][178]

6. 기원

심리학에서 다크 트라이어드(Dark Triad|다크 트라이어드영어)는 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라는 세 가지 성격 특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165] 때로는 이러한 특성에 가학성향( sadism|사디즘영어 )을 더하여 다크 테트라드(Dark Tetrad|다크 테트라드영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크(Dark)'라는 명칭은 이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한 기질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156][157][158][159]

응용 심리학, 특히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 분야에서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세 가지 특성이 높은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르거나 사회적 고통을 유발하고, 조직 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리더십 위치에 있을 때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질 수 있다.

다크 트라이어드를 구성하는 세 가지 특성은 개념적으로는 구분되지만, 실제 연구에서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비정상적인 대인 관계 스타일과 관련이 있다.[160]


  • 자기애과대성, 자존심, 자아 중심성, 공감 부족을 특징으로 한다.[161]
  • 마키아벨리즘은 대인관계 조작, 착취, 도덕에 대한 냉소적 무시, 자기 중심성, 기만을 특징으로 한다.[162] 이는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제시한 정치 철학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이 특성이 높은 사람들은 냉담하고 절조가 없으며, 인간 관계를 조작하는 것을 성공의 열쇠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172] 마키아벨리즘 척도 점수는 빅5 성격 요인의 친화성(r=−.47) 및 성실성(r=−.34)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며,[165] 사이코패스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다.[173]
  • 사이코패스는 지속적인 반사회적 행동, 충동성, 이기심, 뉘우침 없음을 특징으로 한다.[163]


글래스고 칼레도니안 대학교의 요인 분석 연구에 따르면, 빅 파이브 성격 요인 중에서는 낮은 친화성이 다크 트라이어드와 가장 강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신경증 성향과 낮은 성실성 역시 일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62]

1998년, 맥호스키(McHoskey), 워즈니악(Wozniak), 샤르토(Szyarto)는 자기애성 성격, 마키아벨리즘, 반사회성 성격 장애가 서로 상당히 중첩되며 일반적인 사람들 사이에서는 어느 정도 상호 교환 가능한 개념일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여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64] 이후 델로이 파울러스(Delroy L. Paulhus)와 윌리엄스(Williams)는 미국 심리학회 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통해, 세 특성 사이에 행동적, 성격적, 인지적 차이가 존재하며 서로 다른 구성 개념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이들 특성이 어떻게 그리고 왜 중복되는지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165]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 간에는 개념적으로나 실증적으로 상당한 중복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세 특성 모두 공감 부족,[166] 대인 관계에서의 적대감,[167] 대인 공격성[168]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는 점이 지적된다. 이러한 중복성 때문에 최근에는 '더티 더즌(Dirty Dozen)'[169]이나 '쇼트 다크 트라이어드(Short Dark Triad, SD3)'[170]와 같이 세 가지 특성을 동시에 측정하려는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측정 도구 대부분은 설문 형식이어서 자기 보고나 관찰자 보고(예: 상사나 동료의 평가)에 의존한다. 두 방법 모두 응답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숨기려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171] 특히 마키아벨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처럼 타인을 속이고 조작하는 데 능숙한 경우, 자신의 실제 성향을 숨기고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려 할 수 있어 정확한 측정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171]

이러한 비판과 특성 간의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들은 다크 트라이어드의 세 구성 요소가 서로 관련되어 있으면서도 각각 구별되는 독자적인 특성임을 지지한다.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의 발달에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관여하며,[179][172] 진화론적 관점에서도 그 기원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다.[181]

6. 1. 유전적 요인

빅5 성격 특성 연구와 유사하게,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 발달에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각각 얼마나 기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쌍둥이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다크 트라이어드의 세 가지 특성(나르시시즘,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시) 모두 상당한 유전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93][179] 또한 세 특성 간의 관계 및 빅5 성격 특성과의 관계 역시 유전적 개인차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94][172]

특히 사이코패시(h2 = 0.64)와 나르시시즘(h2 = 0.59)은 마키아벨리즘(h2 = 0.31)보다 유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4][29][172][173] 이는 마키아벨리즘이 다른 두 특성에 비해 환경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96][97]

환경적 요인 또한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 발달에 기여하지만, 유전적 요인보다는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평가된다.[94] 예를 들어,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형제자매와 공유하지 않는 환경적 요인(친구, 과외 활동 등)은 세 가지 특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만, 형제자매와 공유하는 환경적 요인은 마키아벨리즘에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

6. 2. 환경적 요인

빅5 성격 특성 연구와 비슷하게,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중 어느 쪽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쌍둥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다크 트라이어드의 세 가지 특성(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 모두 상당한 유전적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93] 특히 정신병질과 자기애는 마키아벨리즘보다 유전성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94][29]

환경적 요인 역시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 발달에 기여하지만, 그 영향력은 유전적 요인보다는 적은 것으로 평가된다.[94]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환경 요인 중 형제자매와 공유하지 않는 환경, 예를 들어 친구 관계나 과외 활동 등은 세 가지 특성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형제자매와 공유하는 환경적 요인은 마키아벨리즘의 발달에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

독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 방식이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부모로부터 거부당하거나, 처벌, 통제, 과잉 보호를 경험하는 것은 마키아벨리즘, 자기애, 정신병질 특성과 긍정적인 연관성을 보였다.[95]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일부 연구자들은 세 가지 특성 중 마키아벨리즘이 환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96][97]

6. 3. 진화론적 관점

진화론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의 발달을 설명하는 하나의 관점을 제공한다.[18] 이러한 특성들이 임상적인 문제와 연관되기도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특정 환경에서는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적응적 측면이 부적응적 측면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98] 즉, 유전자 풀에서 이러한 특성이 계속 나타나는 것은 어느 정도의 환경적 적응 이점을 가졌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특성은 일상적인 환경의 학생이나 지역 사회 표본에서도 나타나며, 평범한 생활을 하는 개인에게서도 높은 수준으로 관찰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표본에서도 공격성,[99] 인종차별,[100] 괴롭힘[46] 등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행동과의 연관성이 보고된다.

진화론적 관점에서는 다크 트라이어드 성격의 발달뿐만 아니라, 이러한 성격이 특정 환경에서 번성하는 이유까지 설명하려 한다.[101] 실제로 다크 트라이어드 성향을 보이는 개인이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경우도 있으나,[94] 이러한 성공은 단기적인 경향이 있다.[94]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을 설명하는 주요 진화론적 주장은 짝짓기 전략과 관련된다.[102][103] 이는 생애사 이론에 기반하는데, 이 이론은 개인이 생식 전략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한다. 짝짓기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하는 것을 '빠른 삶' 전략, 양육에 더 중점을 두는 것을 '느린 생식' 전략이라고 한다.[104] 연구에 따르면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평균적으로 '빠른 삶' 전략과 연관성을 보인다.[105][106] 이러한 전략을 따르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일 수 있다:

  • 더 많은 성적 파트너를 가짐[108]
  • 캐주얼 섹스에 대해 더 개방적인 태도를 보임[108]
  • 단기적인 관계의 상대방에 대한 기준이 낮음[109]
  • 다른 사람의 연인을 유혹하거나 빼앗으려는 경향[110]
  • 약물 남용 등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 증가[106]
  • 나중의 더 큰 보상보다 즉각적인 작은 보상을 선호함[111]
  • 제한된 자기 통제력 및 ADHD 증상[105]
  • 실용적이고 게임처럼 연애를 즐기는 스타일[112]


이러한 특징들은 사회생활이나 직장에서도[71] 착취적이고 기회주의적이며 변화무쌍한 삶의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113]

하지만 다크 트라이어드와 '빠른 삶' 전략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가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세 가지 특성 모두가 이 전략과 일관되게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연구에서는 다크 트라이어드의 특정 요소는 '빠른 삶' 전략과, 다른 요소는 오히려 '느린 생식' 전략과 관련될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107] 또한, 다크 트라이어드와 실제 생식 성공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혼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이코패스의 경우 생식 성공을 뒷받침하는 명확한 실증적 증거가 부족하다.[14] 이러한 특성들이 반드시 단기 지향적이거나[105] 충동적인 것만은 아니다.[96]

7. 사회적 영향

다크 트라이어드는 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라는 세 가지 성격 특성을 묶어 부르는 용어이다. 여기에 가학증( sadism|사디즘eng )을 더하여 '다크 테트라드(Dark Tetrad)'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크(Dark)"라는 명칭은 이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즉 악한 기질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156][157][158][159]

응용 심리학, 특히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 분야에서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다크 트라이어드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거나 사회적 고통을 야기하며, 특히 조직 내에서 리더십 위치에 있을 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크 트라이어드의 각 요소(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는 개념적으로는 구분되지만, 실제로는 서로 겹치는 부분이 많다. 연구에 따르면 이 세 가지 특성은 모두 공감 부족[166], 대인 관계에서의 적대감[167], 공격성[168]과 같은 특징을 공유하며, 전반적으로 부적절하거나 해로운 대인 관계 스타일과 관련이 있다.[160]

다크 트라이어드를 측정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주로 사용되는 설문 기반의 측정법은 자기 보고나 타인(동료, 상사 등)의 관찰에 의존하는데, 응답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숨기거나 의도적으로 왜곡하여 응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타인을 속이는 데 능숙한 마키아벨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의 경우,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포장하여 부정확한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171]

이러한 특성이 선천적인 것인지 후천적인 환경에 의해 형성되는지에 대한 본성 대 양육 논쟁은 다크 트라이어드 연구에도 적용된다. 현재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중 어느 것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 밝히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7. 1. 직장

올리버 제임스는 다크 트라이어드의 세 가지 성격 특성(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이 직장에서 흔하게 나타난다고 주장한다.[223] 퍼넘(2010)의 연구에 따르면, 다크 트라이어드는 리더십 위치를 획득하고 대인 관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72]

다크 트라이어드와 직장 내 성과에 대한 메타 분석 연구(조나슨과 동료들, 2012)에서는 세 가지 특성 모두 직장 내 조작과 관련이 있지만, 각기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 마키아벨리즘은 과도한 매력을 이용한 조작, 자기애는 외모를 이용한 조작, 사이코패스는 신체적 위협을 통한 조작과 관련이 있었다.[224][71] 이 연구는 또한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이 성별과 직장 내 조작 행동 사이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224][71] 또한, 세 가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조직 내 지식 공유를 방해하고 파괴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72]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특히 상위 관리자나 최고경영자(CEO)에게서 상당히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225][73] 이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르거나 사회적 고통을 야기하며, 조직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특히 리더십 위치에 있을 때 그 폐해가 두드러진다.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연구는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 등 응용 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다크 트라이어드에 가학증(sadism)을 더해 '다크 테트라드(Dark Tetrad)'라고 부르기도 한다.[156][157][158][159] 이러한 '어두운(Dark)' 특성을 가진 사람들은 직장에서 권력을 남용하거나 동료를 착취하는 등 부정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7. 2. 범죄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이 높은 청소년은 폭력적인 비행, 특히 대인 폭력을 더 많이 보이는 경향이 있다.[79] 낮은 자기 통제력과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을 함께 가진 개인은 전반적으로 더 많은 비행을 보였지만, 높은 자기 통제력은 비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79] 또한, 생애 어느 시점에서 절도를 저질렀다고 자백한 사람들은 마키아벨리즘과 일차 및 이차 정신병질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80] 정신병질과 마키아벨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친밀한 파트너 폭력과 함께 심리적 학대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한편, 친화성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81]

응용 심리학 분야, 특히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 등에서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세 가지 특성이 높은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르고, 사회적 고통을 야기하며, 조직 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리더십 위치에 있을 때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172]

다크 트라이어드의 각 요소는 개념적으로 구분되지만, 경험적으로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많으며 부자연스러운 대인 관계 스타일과 관련이 있다.[160]

이 중 정신병질은 다크 트라이어드 중에서 가장 악의적인 특성으로 여겨지며[175], 사이코패스 성향이 높은 사람은 낮은 수준의 공감과 높은 수준의 충동성 및 스릴 추구를 보인다.[176] 사이코패스와 반사회성 성격 장애(ASPD)의 유사성은 여러 연구에서 지적되었으며[172], DSM-5에서는 사이코패스를 반사회성 성격 장애 스펙트럼의 최상위에 분류한다. ASPD 환자의 약 30%는 사이코패스로도 진단된다.

최근에는 다크 트라이어드에 가학증(sadism)을 더해 '''다크 테트라드'''(Dark Tetrad)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크(Dark)"라는 명칭은 이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악한 기질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156][157][158][159] 일상적인 가학증은 잔혹함을 즐기는 것으로 정의되며[177], 연구에 따르면 가학증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반사회적 행동을 예측하는 데 기여한다.[190][178]

온라인 환경에서의 문제 행동과 다크 트라이어드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다. 악플러로 확인된 사람들은 다크 트라이어드의 성격적 특징, 즉 가학증, 반사회성, 사이코패스, 마키아벨리즘의 징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226][227][228] 일부 연구에서는 이러한 악플 행위가 반사회적 행동과 유사하며, 일상적인 가학증이 인터넷상에서 발현된 형태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행동이 청소년기 및 성인기의 괴롭힘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7. 3. 인터넷 트롤링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 트롤로 확인된 사람들은 어두운 성격적 특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특히 가학성, 반사회적 행동, 사이코패스 성향, 그리고 마키아벨리즘의 징후를 나타낸다.[74][75][76] 2013년의 한 사례 연구는 반사회적 행동과 비방 형태의 트롤링 활동 사이에 많은 유사점이 있음을 시사했다.[77] 또한 2014년 설문조사 결과, 트롤링은 일상적 가학성의 한 표현일 수 있음이 나타났다.[74] 이러한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에 가학성sadism|사디즘영어을 더한 것을 다크 테트라드라고 부르기도 한다.[156][157][158][159]

이러한 연구들은 인터넷 트롤링이 청소년과 성인 모두에게서 나타나는 학교 폭력과 연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2021년 연구에서는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을 가진 것 자체가 트롤링 행동으로 반드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그 영향은 악의적인 동기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는 결과도 있다.[78]

7. 4. 사이버 범죄

사이버 공격 방식에서 다크 트라이어드의 각 요소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사이코패스는 공격의 지속성과 악용 속도와 관련이 깊고, 자기애 성향은 권한 상승 시도, 지속성, 데이터 탈취 속도와 상관관계를 보이며, 마키아벨리즘은 은밀한 공격 방식과 관련이 있다.[82]

사이코패스적 성향이 높은 사람은 사이버 불링에 가담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자기애나 마키아벨리즘 성향과도 어느 정도 관련성을 보인다.[83] 또한, 다크 트라이어드 성향을 가진 사람은 온라인 사기를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성향은 사기 범죄의 요인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마키아벨리즘은 범죄의 기회와 동기에, 사이코패스는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는 데, 그리고 자기애 성향은 범죄 동기 및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준다.[8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악플러로 확인된 사람들은 다크 트라이어드의 성격적 특징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가학성, 반사회성, 사이코패스, 마키아벨리즘의 징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26][227][228] 2013년의 한 연구는 악플러와 반사회적 활동 및 논란을 일으키는 사람들 사이에 많은 유사점이 있다고 지적했으며,[226] 2014년 조사에서는 악플 행위가 일상적인 가학성이 인터넷상에서 드러나는 증상일 수 있다고 보았다.[227] 두 연구 모두 이러한 악플 행위가 청소년기 및 성인기의 괴롭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227][228]

7. 5. 이념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다양한 극단주의 이념에 대한 지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온라인 트롤링이나 괴롭힘과 같은 문제 행동과 관련 깊은 대안 우익 및 정치적 올바름 권위주의에 대한 지지는 다크 트라이어드의 세 가지 특성 모두와 특권 의식 척도에서 상관관계를 보인다. 반면, 상대적으로 덜 권위주의적인, 보다 진보적인 형태의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지지는 정신병질(사이코패스)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85]

또한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외부 집단에 대한 위협 인식, 반이민 편견, 그리고 집단 기반의 우월주의와 관련된 심리적 경향인 사회 지배 성향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86] 코스텔로(Costello) 등의 2022년 연구에서는 좌익 권위주의와 우익 권위주의 모두 정신병질과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점을 발견하기도 했다.[87] 그러나 벨(Bell) 등 다른 연구진은 다크 트라이어드와 특정 정치적 성향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고 엇갈리는 경우도 있음을 지적했다.[88]

7. 6. 성과 관계

심리학자들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이 개인의 연애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왔다. 대체로 이러한 특성은 사람들이 더 짧은 관계를 맺도록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 다크 트라이어드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원나잇 스탠드, 잠자리, 부티콜(장기적인 관계가 아닌 상대에게 성적 활동을 유도하는 관계), 심지어 친구와 섹스 관계와 같은 단기적인 관계 유형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89] 또한, 이들은 장기적인 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낮고, 관계 만족도 역시 낮은 것으로 보고된다. 다크 트라이어드 점수가 낮은 사람들에 비해 관계를 끝내려는 의지도 더 강한 편이다.[90]

이러한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에 가학성욕(sadism|사디즘영어)을 더한 '다크 테트라드'의 경우, 2020년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다크 테트라드 성향을 가진 남성들이 매춘부 고객들 사이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고 보고했다.[91] 그러나 해당 연구의 저자들도 "성매매를 하는 남성을 특징짓는 성격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인정했으며, 다른 연구자들은 "일반 고객을 성매매를 하지 않은 남성과 구별하는 특별한 특성이 있다는 증거는 없다"고 주장하기도 한다.[92]

다크 트라이어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마키아벨리즘은 대인 관계에서의 조작과 착취, 도덕관에 대한 냉소적 무시 등을 특징으로 하는데,[162] 이러한 특성은 연애 관계에서도 파트너를 속이거나 착취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8. 집단 간 차이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은 개인 수준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 내에서의 발현 양상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와 같은 분야에서는 다크 트라이어드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사회나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156][157][158][159] 예를 들어, 리더십 위치에 있는 사람이 이러한 특성을 강하게 보일 경우 조직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다크 트라이어드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인 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는 개념적으로는 구분되지만, 실제 연구에서는 서로 중첩되는 경향을 보인다.[160] 이 세 특성은 공통적으로 공감 부족[166], 대인 관계에서의 적대감[167], 공격성[168] 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특성들의 중복성은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성별, 인종, 세대 등 다양한 인구학적 집단에 따라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각 집단이 보이는 특성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을 측정하는 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주로 사용되는 설문 기반의 자기 보고식 측정이나 주변인의 평가 방식은 응답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여겨지는 자신의 특성을 숨기거나 왜곡하여 응답할 가능성이 있다.[171] 특히 타인을 속이고 조종하는 데 능숙한 경향이 있는 마키아벨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의 경우, 평가에서 자신의 실제 모습과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어[171] 집단 간 비교 연구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상의 한계는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해석할 때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8. 1. 성별

가장 두드러진 그룹 차이는 성별에서 나타난다. 많은 연구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자기애[120], 마키아벨리즘[121][122][123], 그리고 사이코패스[124][125][126][127] 척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차이의 크기는 측정 대상 특성, 사용된 측정 도구, 그리고 참가자의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기애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점은, 비록 대표성이 없는 표본에 기반했지만, 남성이 여성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에도 불구하고 1992년과 2006년의 코호트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 성별 격차가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남녀 대학생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기애 수준이 전반적으로 증가했지만, 상대적으로 여성의 평균 자기애 수준 증가 폭이 남성보다 더 컸음을 시사한다.[120]

"더티 도즌(Dirty Dozen)"이라는 측정 도구를 사용한 한 연구에서는 남성이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자기애 및 사이코패스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마키아벨리즘에서는 성별 간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차이에 대해 사회의 전통적인 성 역할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설명이 있다.[128] 2017년 이탈리아 성인 표본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더티 도즌" 측정의 이탈리아어 버전을 사용하여 남녀 간 점수 차이가 측정 오류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자기애보다는 마키아벨리즘과 사이코패스에서 훨씬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29]

8. 2. 인종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의 인종 간 차이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적으며, 현재까지의 데이터는 전체 인구를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215][216]

예를 들어, 2008년에 학부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한 연구에서는 백인 학생들이 아시아계 학생들에 비해 나르시시즘 수준이 더 높다고 보고했다.[215][216] 같은 해에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백인 학생들이 비백인 학생들에 비해 마키아벨리즘 점수가 약간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211]

사이코패스의 경우, 인종적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측정 도구(예: 자기 보고 사이코패스 척도, 사이코패스 성격 목록)를 사용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사용된 측정 도구와 관계없이 뚜렷한 인종 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217][218] 또한, 사이코패스 유병률이 일반적으로 높은 집단으로 여겨지는 교정 시설, 약물 남용 시설, 정신과 환자 표본에서 백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비교했을 때도 의미 있는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219]

그러나 리처드 린이 수행하여 논란이 된 연구에서는 사이코패스에서 상당한 인종적 차이가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 린은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특징으로 개념화된 정신병적 인격에는 인종적, 민족적 차이가 있으며, 그러한 특징의 높은 값은 흑인과 아메리카 원주민, 중간값은 히스패닉계, 낮은 값은 백인, 가장 낮은 값은 동아시아인이다"라고 제안했다.[220] 하지만 이 연구는 사이코패스와 다른 반사회적 행동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사이코패스의 성격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을 혼동하며, 주장하는 인종 간 격차에 대한 유전적 또는 진화적 근거를 제시하기보다는 추정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136]

또한, 취약성 다크 트라이어드(VDT)에 대한 연구는 주로 백인 대학생 부모의 자기 보고에 기반하고 있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247]

8. 3. 세대

다크 트라이어드 특성, 특히 자기애가 세대에 따라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일부 연구에서는 소위 "Generation Me" 또는 "제너레이션 엔타이틀먼트"라고 불리는 젊은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높은 수준의 자기애를 보인다는 가설을 제기한다.[209] 실제로 1979년부터 2006년까지 16,000명 이상의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애성 성격 검사 응답을 분석한 결과, 평균적인 자기애 수준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했다는 결론이 나왔다.[120][209] 각 대학 캠퍼스 내의 변화를 분석한 후속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137][221]

그러나 이러한 경향에 대해 다른 해석도 존재한다. 츠스니에프스키와 도넬런(Trzesniewski & Donnellan, 2010)은 세대 간 기질이나 행동 전략에서 큰 변화는 없었다고 주장하며, 다만 현재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신뢰도가 낮고 더 냉소적인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222] 또한 2017년 연구에서도 현재 세대가 더 냉소적이고 덜 신뢰한다는 일부 지표는 발견되었지만, 성향이나 행동 전략에서 강력하거나 광범위한 세대 간 변화에 대한 증거는 거의 찾지 못했다.[138] 따라서 젊은 세대의 자기애 수준 변화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의 영향일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9. 비판

일부 연구자들은 다크 트라이어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연구에 대해 "종종 피상적이고, 통계적으로 취약하며, 인간 본성에 대한 지나치게 단순한 관점을 제시한다"고 비판한다.[150] 임상 심리학자 조슈아 밀러(Joshua Miller)는 2019년 다크 트라이어드 문헌에 대한 비판적 평가에서 문제와 한계가 "인식되지 않거나 무시되었다"고 지적했다.[151] 밀러가 제기한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다크 트라이어드 구성 요소를 단일 차원으로 취급하는 것은 다차원성에 대한 증거와 상반된다... 현재 마키아벨리즘과 정신병질 측정의 불분명함... 통계적 및 해석적 어려움을 야기하는 다변량 통계적 접근 방식의 사용... 다크 트라이어드 관계를 서로 직접 테스트하지 못함; 그리고... 편의 표본 추출 및 단일 방법 접근 방식에 대한 의존과 관련된 방법론적 문제."[151]

또한 다크 트라이어드 측정에 사용되는 설문 형식의 척도는 자기 보고나 관찰자 평가(예: 상사나 동료의 평가)에 의존하는데, 두 방법 모두 응답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숨기거나 왜곡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171] 특히 마키아벨리즘 성향이 높은 사람은 타인을 속이는 데 능숙하여 자신을 긍정적으로 포장할 가능성이 있어 평가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171]

이에 대해 다른 연구자들은 "아이디어의 근본적인 약점보다는 부주의한 심리학자"를 문제 삼으며, "정신병질과 마키아벨리즘은 모두 다크 트라이어드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고 반박하기도 한다.[150]

델로이 폴러스(Delroy Paulhus)는 밀러의 비판이 "어떤 성격 척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반박하며, 일부 연구자들이 다크 트라이어드의 "인기를 불쾌하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150] 그러나 폴러스 역시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많은 연구가 훌륭하지 않다"는 점은 인정했다.[150]

이러한 비판과 다크 트라이어드 요소 간의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세 가지 구성 요소(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정신병질)는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각각 구별되는 특성이라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10. 라이트 트라이어드

스콧 배리 카우프만(Scott Barry Kaufman)은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라이트 트라이어드라는 성격 특성을 제안했다. 라이트 트라이어드는 인본주의, 칸트주의, 그리고 인간에 대한 믿음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147][144][16]


  • 인본주의: 점수가 높은 사람은 타인의 존엄성과 자존감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 칸트주의: 점수가 높은 사람은 타인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하려는 경향이 있다.
  • 인간에 대한 믿음: 점수가 높은 사람은 타인이 근본적으로 선하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145][146][147]


카우프만은 다크 트라이어드와 개념적으로 반대되는 특성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라이트 트라이어드 테스트는 단순히 다크 트라이어드 테스트를 뒤집은 것이 아니다. 다크 트라이어드와 라이트 트라이어드 테스트를 모두 받은 사람들을 비교했을 때, 평균적으로 라이트 트라이어드 특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147] 라이트 트라이어드 특성을 측정하는 신뢰할 수 있는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이 특성들이 단순히 다크 트라이어드의 빅 파이브(Big Five)나 HEXACO 모델 특성의 반대가 아님이 입증되었다.[16] 라이트 트라이어드는 호감성 및 정직-겸손 성격 특성과 관련된 긍정적 및 부정적 결과를 예측하며, 다크 트라이어드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대조적 개념으로 기여한다.[16]

라이트 트라이어드 특성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많이 보인다고 보고된다:

  • 종교심
  • 영성
  • 삶의 만족도
  • 타인에 대한 수용
  • 자신과 타인이 선하다는 믿음
  • 연민
  • 공감
  • 자존감
  • 진정성
  • 자아 의식
  • 긍정적인 열정
  • 조용한 자아
  • 경험에 대한 개방성
  • 성실성[16]


또한, 이들은 지적으로 호기심이 많고, 타인과의 애착이 안정적이며, 다른 관점에 대해 더 관대한 경향이 있다.[145]

반면, 라이트 트라이어드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성취나 자기 향상에 대한 동기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비록 생산성 및 능력과는 긍정적인 관련이 있지만). 다크 트라이어드의 강점으로 여겨질 수 있는 용기나 자기 주장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의 부족은 어려운 목표를 달성하거나 완전한 자아실현을 이루고자 하는 개인에게는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148]

11. 결론

다크 트라이어드는 자기애,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라는 세 가지 부정적인 성격 특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여기에 가학성욕(`sadism|사디즘영어`)을 더하여 '다크 테트라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다크(Dark)'라는 명칭은 이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거나 악한 기질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156][157][158][159]

응용 심리학 분야, 특히 법 집행, 임상 심리학, 경영 관리 등에서 다크 트라이어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세 가지 특성이 높은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르거나 사회적 고통을 야기하며, 조직 내에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데, 특히 리더십 위치에 있을 때 그 부정적 영향이 두드러질 수 있다.

다크 트라이어드의 각 요소는 개념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하지만 실제 연구에서는 이 특성들이 서로 상당 부분 중첩되는 것으로 나타난다.[160] 세 특성 모두 공감 부족[166], 대인 관계에서의 적대감[167], 공격성[168]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주요 5가지 성격 요인(Big Five) 중에서는 특히 낮은 친화성이 다크 트라이어드와 강한 관련성을 보이며, 신경증 성향과 낮은 성실성 역시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162] 이러한 중첩 때문에 최근에는 더티 더즌[169]이나 쇼트 다크 트라이어드(SD3)[170]와 같이 세 가지 특성을 동시에 측정하려는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다크 트라이어드를 측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주로 사용되는 설문 방식은 자기 보고나 타인(상사, 동료 등)의 관찰에 의존하는데, 응답자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특성을 숨기거나 의도적으로 속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171] 특히, 타인을 속이고 조작하는 데 능숙한 마키아벨리즘 성향의 경우, 평가 자체를 왜곡하여 부정확한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더욱 높다.[171]

이처럼 다크 트라이어드는 서로 관련성을 가지면서도 각기 다른 측면을 지닌 복합적인 개념이며[160], 그 측정과 해석에 신중함이 요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Dark Triad https://www.psycholo[...] 2022-07-06
[2] 간행물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Narcissism,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Elsevier 2002-12
[3] 서적 Delinquency in Society: The Essential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4] 서적 The Handbook of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heoretical Approaches, Empirical Findings, and Treatment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5] 서적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6] 서적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7] 서적 Handbook of Interpers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ssessment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2-15
[8] 서적 Managing the Human Factor in Information Security: How to Win Over Staff and Influence Business Manager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9] 서적 Handbook of interpersonal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10] 서적 The Restoration of the Self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1] 문서 Wall, H. J., Campbell, C. C., Kaye, L. K., Levy, A., & Bhullar, N. (2019). Personality profiles and persuasion: An exploratory study investigating the role of the Big-5, Type D personality and the Dark Triad on susceptibility to persua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39, 69-76.
[12] 간행물 The dark triad and normal personality traits Elsevier 2006-01
[13] 간행물 Research Review: The importance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for developmental models of aggressive and antisocial behavior Wiley-Blackwell 2008-04
[14] 간행물 Psychopathic Personality SAGE Publications 2011-12-15
[15] 간행물 A Meta-Analysis of the Dark Triad and Work Behavior: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https://psycnet.apa.[...] 2021-10-25
[16] 간행물 The Light vs. Dark Triad of Personality: Contrasting Two Very Different Profiles of Human Nature 2019-03-12
[17] 서적 In T.K. Shackelford & V. Zeigler-Hill (2018). The SAGE Handbook o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SAGE Publications 2018-06
[18] 간행물 The unfolding dark side: Age trends in dark personality features 2020-04
[19] 간행물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8
[20] 간행물 Psychopathy and Machiavellianism: A Distinction Without a Difference?: Psychopathy and Machiavellianism https://onlinelibrar[...] Wiley-Blackwell 2017-08
[21] 간행물 Assessing the basic traits associated with psychopath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lemental Psychopathy Assessment 2011
[22] 간행물 Narcissism, vanity, personality and mating effort 2007-12
[23] 간행물 The dirty dozen: A concise measure of the dark triad 2010-06
[24] 간행물 Introducing the Short Dark Triad (SD3): A Brief Measure of Dark Personality Traits 2014-02
[25] 문서 Walker, S. A., MacCann, C., & Jonason, P. K. (2023). The Dark Informant-Rated Triad (DIRT): A concise informant-rated measure of the Dark Triad.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027/1015-5759/a000796
[26] 간행물 A meta-analysis of the Dark Triad and work behavior: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https://zenodo.org/r[...] 2012-05
[27] 간행물 The (mis)measurement of the Dark Triad Dirty Dozen: exploitation at the core of the scale 2016-03-01
[28] 간행물 The factor structure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2008
[29] 간행물 A behavioral genetic investigation of humor style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Big-5 personality dimensions
[30] 간행물 A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1979-10
[31] 문서 Hyler, S.E. (1994). Personality Diagnostic Questionnaire-4 (Unpublished test). New York: NYSPI.
[32] 간행물 Initial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33] 간행물 Comparing clinical and Social-Personality Conceptutalizations of narcissism
[34] 간행물 Two faces of narcissism
[35] 웹사이트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dictionary.a[...]
[36] 서적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Guilford Press 2009
[37] 서적 Studies in Machiavellianism Academic Press
[38] 간행물 The Dark Triad and interpersonal percepti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ocial consequences of narcissism,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SAGE Publications 2012-07
[39] 간행물 Comparison of procedures for the assessment of psychopath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85
[40] 간행물 A behavioral genetic investigation of the Dark Triad and the Big 5 Elsevier 2008-01
[41] 서적 Without Conscience: The Disturbing World of the Psychopaths Among Us Guilford Press 1999
[42] 간행물 Assessing psychopathic attributes in a noninstitutionalized population
[43] 간행물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sychopathic personality traits in noncriminal population
[44] 문서 Manual for 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s Multi-Health Systems 2015
[45] 뉴스 Everyday Sadists Take Pleasure In Others' Pain https://www.psycholo[...] 2018-05-26
[46] 간행물 Contributions of psychopathic, narcissistic, Machiavellian, and sadistic personality traits to juvenile delinquency
[47] 간행물 Behavioral Confirmation of Everyday Sadism 2013-11
[48] 간행물 Unprovoked Aggression: Effects of Psychopathic Traits and Sadism: Psychopathy, Sadism, and Unprovoked Aggression 2011-02
[49] 간행물 The Dark Tetrad: Structural Properties and Location in the Personality Space 2015-11
[50] 웹사이트 Everyday Sadism: Throwing Light on the Dark Triad https://www.psycholo[...] 2020-04-09
[51] 문서 The core of darkness: Uncovering the heart of the Dark Triad 2013
[52] 간행물 Searching for a Vulnerable Dark Triad: Comparing Factor 2 Psychopathy, Vulnerable Narcissism,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0-10
[53] 간행물 Understanding what makes dark traits "vulnerable": A distinction between indifference and hostility http://dx.doi.org/10[...] 2020
[54] 문서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cerns Regarding the Dark Triad as a Construct 2015-06
[55] 문서 A meta-analytic test of redundancy and relative importance of the Dark Triad and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2015
[56] 문서 Psychopathy and Machiavellianism: A distinction without a difference? 2017
[57] 문서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cerns Regarding the Dark Triad as a Construct 2015-06
[58] 문서 Psychopathy, Machiavellianism, and narcissism in the Five-Factor Model and the HEXACO model of personality structure 2005
[59] 간행물 Psychopathy and Machiavellianism: A Distinction Without a Difference?: Psychopathy and Machiavellianism https://onlinelibrar[...] Wiley-Blackwell 2017-08
[60] 문서 The latent structure of the Dark Triad: unifying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2019
[61]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psycnet.apa.[...]
[62] 문서 Narcissism and machiavellianism 1995
[63] 웹사이트 Psychiatry.org - DSM https://www.psychiat[...]
[64] 문서 A little bit of narcissism is normal and healthy – here’s how to tell when it becomes pathological 2023-09-11
[65] 서적 Comprehensive Handbook of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Personality and Everyday Functioning Wiley 2005
[66] 간행물 Corporate psychopathy: Talking the walk
[67] 간행물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sychopathic traits in the household population of Great Britain http://roar.uel.ac.u[...] 2009-03
[68] 간행물 Psychopathic traits in a large community sample: Links to violence, alcohol use, and intelligence
[69] 문서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1998
[70] 서적 Office Politics: How to Thrive in a World of Lying, Backstabbing and Dirty Tricks Random House
[71] 논문 The Dark Triad at work: How toxic employees get their way 2012-02
[72] 논문 Knowledge sabotage as an extreme form of counterproductive knowledge behavior: The role of narcissism, Machiavellianism, psychopathy, and competitiveness https://www.aserenko[...]
[73] 논문 Accounting as a Facilitator of Extreme Narcissism 2010-02-23
[74] 논문 Trolls just want to have fun 2014-09
[75] 웹사이트 Internet Trolls Are Narcissists, Psychopaths, and Sadists |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
[76] 웹사이트 Science confirms: Online trolls are horrible people (also, sadists!) https://arstechnica.[...] 2016-11-02
[77] 논문 The effect of deindividuation of the Internet Troller on Criminal Procedure implementation: An interview with a Hater https://www.research[...] 2013-01-01
[78] 논문 The Power of Schadenfreude: Predicting Behaviors and Perceptions of Trolling Among Reddit Users 2021-04
[79] 논문 Malevolent Forces: Self-Control, the Dark Triad, and Crime http://journals.sage[...] 2016-07-14
[80] 논문 Dark Triad, Tramps, and Thieves https://econtent.hog[...] 2015-11-01
[81] 논문 The dark triad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s://www.scienced[...] 2017-01-15
[82] 논문 Network discovery and scanning strategies and the Dark Triad 2021-09-01
[83] 논문 Cyberbullying detection on twitter using Big Five and Dark Triad features https://www.scienced[...] 2019-04-15
[84] 논문 The Effects of the Dark Triad on Unethical Behavior https://doi.org/10.1[...] 2018-11-01
[85] 논문 The Dark Triad traits predict authoritarian political correctness and alt-right attitudes 2020
[86] 논문 The role of "dark personalities" (Narcissism, Machiavellianism, psychopathy),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ideology in explaining prejudice 2009
[87] 논문 Clarifying the structure and nature of left-wing authoritarianism https://psyarxiv.com[...] 2022
[88] 논문 Political Hearts of Darkness: The Dark Triad as Predictors of Political Orientations and Interest in Politics 2021-12
[89] 논문 How the Dark Triad traits predict relationship choices http://dx.doi.org/10[...] 2012-08
[90] 논문 Dark Triad traits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2023-04
[91] 논문 The Dark Tetrad and Male Clients of Female Sex Work
[92] 논문 Ordinary or Peculiar Men? Comparing the Customers of Prostitutes With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Men https://journals.sag[...] 2024-09-15
[93] 논문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Dark Triad Traits of Personality
[94] 논문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A 10 Year Review: Dark Triad of Personality 2013-03
[95] 논문 What makes a violent mind? The interplay of parental rearing, dark triad personality traits and propensity for violence in a sample of German adolescents 2022-06-22
[96] 논문 The role of impulsivity in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2011-10
[97] 문서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Dark Triad Traits of Personality
[98] 서적 Personality psychology, domains of knowledge about human nature https://www.mheducat[...] McGraw-Hill 2020
[99] 논문 Different provocations trigger aggression in narcissists and psychopaths
[100] 논문 The role of "dark personalities" (narcissism, Machiavellianism, psychopathy),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ideology in explaining prejudice
[101] 논문 The sociobiology of sociopathy: An integrated evolutionary model 2010-02-04
[102] 논문 The dark triad: Facilitating a short-term mating strategy in men https://ink.library.[...] 2009-02
[103] 논문 Effects of Harsh and Unpredictable Environments in Adolescence on Development of Life History Strategies 2009-02-06
[104] 논문 Differential K theory: The sociobiology of individual and group differences 1985-01
[105] 논문 I just cannot control myself: The Dark Triad and self-control 2010-10
[106] 논문 Living a fast life: The Dark Triad and Life History Theory 2010-11-19
[107] 논문 A life history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Dark Triad 2012-04
[108] 논문 The dark triad: Facilitating a short-term mating strategy in men 2009-02
[109] 논문 Mate-selection and the Dark Triad: Facilitating a short-term mating strategy and creating a volatile environment 2011-10
[110] 논문 The costs and benefits of the Dark Triad: Implications for mate poaching and mate retention tactics https://ink.library.[...] 2010-03
[111] 논문 Who is James Bond?:The Dark Triad as an agentic social style https://ink.library.[...]
[112] 논문 The dark side of love: Love styles and the Dark Triad 2010-10
[113] 논문 A protean approach to social influence: Dark Triad personalities and social influence tactics 2012-03
[114] 논문 The Dark Triad personality: Attractiveness to women 2014-01
[115] 뉴스 Psychology Uncovers Sex Appeal of Dark Personalities https://www.scientif[...] 2012-11-27
[116] 논문 People With Dark Personalities Tend to Create a Physically Attractive Veneer 2012-10-04
[117] 논문 Are Narcissists Sexy? Zeroing in on the Effect of Narcissism on Short-Term Mate Appeal 2013-04-02
[118] 논문 Why are narcissists so charming at first sight? Decoding the narcissism–popularity link at zero acquaintance. 2010
[119] 논문 A drunk heart speaks a sober mind: Alcohol does not influence the selection of short-term partners with dark triad traits https://www.psypost.[...] 2019-04
[120] 논문 Egos Inflating Over Time: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2008-08
[121] 논문 Machiavellianism: Sex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 of Purchasing Management 2016-08-31
[122] 논문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Machiavellianism Scale 2008-02-05
[123] 논문 Multivariate analysis of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career choice correlates 1978
[124] 논문 Assessing psychopathic attributes in a noninstitutionalized population
[125] 논문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sychopathic personality traits in noncriminal population
[126] 논문 Sex differences in psychopathy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02-11
[127] 논문 Construct validity of a psychopathy measure 1994-07
[128] 논문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in adolescenc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concise measure and associations with adolescent adjustment from a multi-informant perspective https://www.scienced[...] 2014-12-01
[129] 논문 Does the Dark Triad Manifest Similarly in men and Women?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Dirty Dozen across sex https://doi.org/10.1[...] 2019-06-01
[130] 논문 Do Today's Young People Really Think They Are So Extraordinary? 2008-02
[131] 논문 Mapping the scale of the narcissism epidemic: Increases in narcissism 2002–2007 within ethnic groups 2008-12
[132] 논문 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and Passive Avoidance Learning 2016-07-26
[133] 논문 The differential association between alexithymia and primary versus secondary psychopathy https://works.bepres[...] 2012-01
[134] 논문 Are there ethnic differences in levels of psychopathy? A meta-analysis 2004
[135] 논문 Racial and ethnic differences in psychopathic personality 2002-01
[136] 논문 Psychopathic personality and racial/ethnic differences reconsidered: a reply to Lynn (2002) 2003-10
[137] 논문 Birth Cohort Differences in the Monitoring the Future Dataset and Elsewhere: Further Evidence for Generation Me – Commentary on Trzesniewski & Donnellan (2010) 2017-05-05
[138] 논문 Rethinking 'Generation Me': A Study of Cohort Effects from 1976–2006 2017-05-05
[139] 논문 The Dark Triad,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https://pureadmin.qu[...] 2014
[140] 뉴스 8 Ways to Handle a Narcissist https://www.psycholo[...] 2014-08-30
[141] 논문 Machiavellian beliefs and personality: Construct invalidity of the Machiavellianism dimension 1982
[142] 논문 Dirty Dozen vs. the H factor: Comparison of the Dark Triad and Honesty–Humility in prosociality, religiosity, and happiness
[143] 논문 Sex, power, and money: Prediction from the Dark Triad and Honesty–Humility
[144] 웹사이트 Light Triad Scale https://scottbarryka[...] 2019-06-29
[145] 뉴스 The Light Triad of Personality https://www.psycholo[...] 2019-03-12
[146] 뉴스 The Light Triad: Psychologists Outline the Personality Traits of Everyday Saints https://www.discover[...] 2019-04-05
[147] 뉴스 The 'light triad' that can make you a good person https://www.bbc.com/[...] 2019-06-24
[148] 뉴스 The Light Triad vs. Dark Triad of Personality https://blogs.scient[...] 2019-03-19
[149] 논문 An atlas of personality, emotion and behaviour 2020-01-21
[150] 웹사이트 Does a ‘dark triad' of personality traits make you more successful?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9-03-12
[151] 논문 A Critical Appraisal of the Dark-Triad Literature and Suggestions for Moving Forward https://journals.sag[...] 2019-04-30
[152] 논문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null
[153] 서적 Delinquency in Society: The Essential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011-04-20
[154] 서적 The Handbook of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heoretical Approaches, Empirical Findings, and Treatment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7-07
[155] 서적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009-06-05
[156] 서적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2-23
[157] 논문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narcissism,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158] 서적 Handbook of Interpers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ssessment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10-14
[159] 서적 Managing the Human Factor in Information Security: How to Win Over Staff and Influence Business Manager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3-17
[160] 서적 Handbook of interpersonal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161] 서적 The Restoration of the Self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62] 논문 The 'dark triad' and normal personality traits https://leicester.ac[...]
[163] 논문 Psychopathic Personality: Bridging the Gap Between Scientific Evidence and Public Policy http://www.psycholog[...]
[164] 논문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null
[165] 논문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Narcissism,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2002-12
[166] 논문 The role of impulsivity in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2011-10
[167] 논문 Assessing the basic traits associated with psychopath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lemental Psychopathy Assessment. 2011
[168] 논문 Narcissism, vanity, personality and mating effort 2007-12
[169] 논문 The dirty dozen: A concise measure of the dark triad. 2010-06
[170] 논문 Introducing the Short Dark Triad (SD3) https://semanticscho[...] 2013-12-09
[171]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Dark Triad and work behavior: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https://zenodo.org/r[...] 2012
[172] 논문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A 10 Year Review http://www2.psych.ub[...] 2013-03
[173] 논문 A behavioral genetic investigation of the Dark Triad and the Big 5 2008-01
[174] 논문 The factor structure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2008
[175] 논문 The Dark Triad and interpersonal percepti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ocial consequences of narcissism,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https://semanticscho[...] 2012
[176] 논문 Comparison of procedures for the assessment of psychopathy 1985
[177] 뉴스 Everyday Sadists Take Pleasure In Others' Pain https://www.psycholo[...]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2018-05-26
[178] 논문 Behavioral Confirmation of Everyday Sadism
[179] 논문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Dark Triad Traits of Personality https://semanticscho[...] 2011-02
[180] 논문 A behavioral genetic investigation of humor style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Big-5 personality dimensions 2008-04
[181] 논문 The sociobiology of sociopathy: An integrated evolutionary model https://semanticscho[...] 2010-02-04
[182] 논문 The dark triad: Facilitating a short-term mating strategy in men https://semanticscho[...] 2009-02
[183] 논문 Effects of Harsh and Unpredictable Environments in Adolescence on Development of Life History Strategies 2009-02-06
[184] 논문 Differential K theory: The sociobiology of individual and group differences 1985-01
[185] 논문 I just cannot control myself: The Dark Triad and self-control 2010-10
[186] 논문 Living a fast life: The Dark Triad and Life History Theory 2010-11-19
[187] 논문 A life history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Dark Triad 2012-04
[188] 논문 Different provocations trigger aggression in narcissists and psychopaths
[189] 논문 The role of "dark personalities" (narcissism, Machiavellianism, psychopathy),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ideology in explaining prejudice
[190] 논문 Contributions of psychopathic, narcissistic, Machiavellian, and sadistic personality traits to juvenile delinquency
[191] 서적 The Mask of Sanity: An Attempt to Reinterpret the So-Called Psychopathic Personality Mosby 1941
[192] 서적 Sub-clinical psychopaths John Wiley 2005
[193] 논문 Corporate psychopathy: Talking the walk https://semanticscho[...]
[194] 논문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sychopathic traits in the household population of Great Britain http://roar.uel.ac.u[...]
[195] 논문 Psychopathic traits in a large community sample: Links to violence, alcohol use, and intelligence https://semanticscho[...]
[196] 논문 Are there such things as "narcissists" in social psychology? A taxometric 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197] 서적 The Hare Psychopathy Checklist-Revised Multi-Health Systems 1991
[198] 서적 Without conscience: The disturbing world of the psychopaths among us Guilford Press 1999
[199] 논문 Assessing psychopathic attributes in a noninstitutionalized population
[200] 논문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sychopathic personality traits in noncrimnal population
[201] 서적 Manual for 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s (4th ed.) Multi-Health Systems 2015
[202] 논문 A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https://semanticscho[...]
[203] 문서 Personality Diagnostic Questionnaire-4 (Unpublished test) NYSPI 1994
[204] 논문 Initial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https://semanticscho[...]
[205] 논문 Comparing clinical and Social-Personality Conceptutalizations of narcissism https://semanticscho[...]
[206] 논문 Two faces of narcissism https://semanticscho[...]
[207] 서적 Studies in Machiavellianism Academic Press 1970
[208] 서적 Machiavellianism Guilford 2009
[209] 논문 Egos Inflating Over Time: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2008-08
[210] 논문 Machiavellianism: Sex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 of Purchasing Management 2016-08-31
[211] 논문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Machiavellianism Scale https://semanticscho[...] 2008-02-05
[212] 논문 Multivariate analysis of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career choice correlates. 1978
[213] 논문 Sex differences in psychopathy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02-11
[214] 논문 Construct validity of a psychopathy measure 1994-07
[215] 논문 Do Today's Young People Really Think They Are So Extraordinary? 2008-02
[216] 논문 Mapping the scale of the narcissism epidemic: Increases in narcissism 2002–2007 within ethnic groups 2008-12
[217] 논문 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and Passive Avoidance Learning 2016-07-26
[218] 논문 The differential association between alexithymia and primary versus secondary psychopathy 2012-01
[219] 논문 Are there ethnic differences in levels of psychopathy? A meta-analysis. 2004
[220] 논문 Racial and ethnic differences in psychopathic personality 2002-01
[221] 논문 Birth Cohort Differences in the Monitoring the Future Dataset and Elsewhere: Further Evidence for Generation Me—Commentary on Trzesniewski & Donnellan (2010) https://semanticscho[...] 2017-05-05
[222] 논문 Rethinking 'Generation Me': A Study of Cohort Effects from 1976-2006 2017-05-05
[223] 서적 Office Politics: How to Thrive in a World of Lying, Backstabbing and Dirty Tricks
[224] 논문 The Dark Triad at work: How toxic employees get their way 2012-02
[225] 논문 Accounting as a Facilitator of Extreme Narcissism 2010-02-23
[226] 논문 Trolls just want to have fun 2014-09
[227] 웹사이트 Science confirms: Online trolls are horrible people (also, sadists!) https://arstechnica.[...] 2014-02-20
[228] 웹사이트 Internet Trolls Are Narcissists, Psychopaths, and Sadists http://www.psycholog[...] 2019-12-09
[229] 논문 The dark triad: Facilitating a short-term mating strategy in men 2009-02
[230] 논문 Mate-selection and the Dark Triad: Facilitating a short-term mating strategy and creating a volatile environment 2011-10
[231] 논문 The costs and benefits of the Dark Triad: Implications for mate poaching and mate retention tactics 2010-03
[232] 논문 Who is James Bond?:The Dark Triad as an agentic social style https://ink.library.[...]
[233] 논문 The dark side of love: Love styles and the Dark Triad 2010-10
[234] 논문 A protean approach to social influence: Dark Triad personalities and social influence tactics 2012-03
[235] 논문 Psychopathic Personality https://semanticscho[...] 2011-12-15
[236] 간행물 The Dark Triad personality: Attractiveness to women http://scottbarrykau[...] Elsevier/ScienceDirect 2013-06-12
[237] 논문 Psychology Uncovers Sex Appeal of Dark Personalities http://www.scientifi[...]
[238] 논문 People With Dark Personalities Tend to Create a Physically Attractive Veneer https://semanticscho[...] 2012-10-04
[239] 논문 Are Narcissists Sexy? Zeroing in on the Effect of Narcissism on Short-Term Mate Appeal 2013-04-02
[240] 논문 Why are narcissists so charming at first sight? Decoding the narcissism-popularity link at zero acquaintance. https://semanticscho[...] 2010-01
[241] 논문 Facing a psychopath: Detecting the dark triad from emotionally-neutral faces, using prototypes from the Personality Faceaurus 2011-12
[242] 웹사이트 Study: Women dislike men with 'Dark Triad' facial features -- even when they're drunk https://www.psypost.[...] 2017-12-31
[243] 논문 Machiavellian beliefs and personality: Construct invalidity of the Machiavellianism dimension 1982
[244] 논문 Dirty Dozen vs. the H factor: Comparison of the Dark Triad and Honesty–Humility in prosociality, religiosity, and happiness
[245] 논문 Sex, power, and money: Prediction from the Dark Triad and Honesty–Humility
[246] 논문 Cantankerous creativity: Honesty–Humility, Agreeableness, and the HEXACO structure of creative achievement 2011
[247] 논문 Searching for a Vulnerable Dark Triad: Comparing Factor 2 Psychopathy, Vulnerable Narcissism,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semanticscho[...] 2010-10
[248] 논문 Malignant Narcissism in Relation to Clinical Change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Exploratory Study 2018
[249] 논문 The Light vs. Dark Triad of Personality: Contrasting Two Very Different Profiles of Human Nature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