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얀마 요리는 쌀을 주식으로 하며, 주변 국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식재료와 조리법이 발달했다. 쌀밥과 미얀마 커리, 국, 튀김, 채소 등을 기본으로 하며, 식사 예절과 관습이 존재한다. 지역별로 상이한 특징을 가지며, 샨족, 카친족 등 소수 민족의 요리도 미얀마 요리의 다양성을 더한다. 샐러드, 커리, 수프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과 함께, 차와 과일, 빵 등도 즐겨 먹는다. 찻집과 야시장은 미얀마 음식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얀마 요리 | |
---|---|
지도 정보 | |
요리 | |
국가 | 미얀마 |
특징 | |
맛 | 짠맛, 신맛, 매운맛의 조화 |
식사 예절 | |
문화적 특징 | 손으로 먹는 문화 |
주요 재료 | |
곡물 | 쌀 |
어장 자원 | 어류, 새우, 게 |
채소 | 토마토, 양파, 마늘, 생강 |
발효 식품 | 응아피 (어장), 발라총 (새우장) |
기타 | 콩, 기름, 향신료, 허브 |
주요 요리 | |
국수 | 모힝가, 온노 카욱쉐, 샨 카욱쉐, 미 쉐 |
밥 | 타민 (밥), 흐타민 쪼 (볶음밥), 담파욱 (미얀마식 필라프) |
샐러드 | 레페토우, 토후토우, 킨문디 |
수프 | 친예흐 |
카레 | 미얀마 카레 |
반찬 | 힌 |
튀김 | 버터빈 튀김, 호박 튀김, 바나나 튀김, 짜조 |
기타 | 몬디, 쉐존다웅 |
주요 음료 | |
차 | 라페예, 레페토우 (차잎 샐러드) |
술 | 미얀마 맥주, 팜 와인 |
기타 | 사탕수수 주스, 힌타르 주스 |
속담 | |
속담 | 아티마타 타렛, 아타마 와트, 아예마 라페 (အသီးမှာသရက်၊ |
2. 역사
쌀은 미얀마 요리의 주요 주식이며, 이는 11,000년에서 기원전 5000년 사이에 이 나라의 친드윈강, 이라와디강, 살윈강 계곡에서 처음 시작된 수천 년의 미얀마의 쌀 생산을 반영한다.[5] 기원전 3000년경에는 관개 벼농사가 이 지역에서 번성했고, 주민들이 소와 돼지를 사육하기 시작했다.[5]
전통적으로 미얀마인들은 낮은 테이블이나 다웅란에 접시를 놓고 대나무 매트에 앉아 식사를 한다.[13] 음식은 동시에 제공되고 함께 먹는다.[13] 전통적인 식사는 주식인 흰 쌀밥과 미얀마 커리, 맑은 수프 또는 콩소메, 튀긴 채소, 미얀마 튀김, 그리고 신선하고 데친 채소를 절인 생선 소스와 함께 내는 ''응아피 예이 교''(ငါးပိရည်ကျို)를 포함한다.[11] 식사는 야자 설탕이나 ''라펫'' (발효된 찻잎) 한 조각으로 마무리된다.[14]
미얀마 요리는 정확한 조리법으로 요리되지 않는다. 사용되는 재료의 양과 비율은 다를 수 있지만, 조리 시간의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15][26] 미얀마 요리는 끓이기, 삶기, 튀기기, 굽기, 찌기, 굽기 또는 볶기, 또는 이러한 기술들의 조합으로 조리될 수 있다.[26] 미얀마 카레는 (인도 카레와 비교하여) 향신료를 적게 사용하며, 생 마늘과 생강을 더 많이 사용한다.[26]
대략적으로 미얀마 요리는 내륙 지역인 상부 미얀마와 해안 지역인 하부 미얀마의 요리 전통으로 나뉜다.[27] 지역별 요리 차이는 신선한 재료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미얀마의 긴 해안선은 신선한 해산물을 풍부하게 제공하며, 이는 특히 라카인족 요리와 관련이 있다.[28] 남부 미얀마, 특히 물라먀잉 주변 지역은 요리로 유명하며, "말솜씨는 만달레이, 자랑은 양곤, 음식은 물라먀잉"이라는 버마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29][30]
미얀마 요리에서 쌀은 가장 중요한 주식이다. 11,000년에서 기원전 5000년 사이에 미얀마의 여러 강 계곡에서 벼농사가 시작되었고, 기원전 3000년경에는 관개 벼농사가 번성했다.[5] 벼농사는 주로 비옥한 저지대와 고원에 거주하는 바마족, 몬족, 샨족, 라카인족 등 불교도 민족들과 관련이 깊다.[7] 꼰바웅 왕조 시대에는 126가지의 쌀 품종이 재배되었다.[11]
차는 미얀마와 중국을 구분하는 국경 지대에서 유래되었고, 차를 마시는 오랜 전통과 ''laphet''으로 알려진 절인 차의 개발을 촉진했으며, 이는 미얀마 의례 문화에서 계속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6][34]
미얀마의 현대 민족언어 집단의 조상들이 농업 정착지에 정착했다. 이 정착지에서 오늘날 미얀마를 구성하는 일련의 버마, 몬, 샨, 라카인어를 사용하는 왕국과 조공 국가가 등장했다. 벼농사는 주로 이 나라의 비옥한 저지대와 고원에 거주하는 불교도 바마족, 몬족, 샨족, 라카인족과 동의어로 남아 있다.[7]
미얀마 요리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접 왕국 및 국가와의 접촉과 교역을 통해 크게 풍요로워졌다. 15세기와 16세기의 콜럼버스 교환은 토마토, 고추, 땅콩, 감자를 포함하여 미얀마 요리의 주요 재료를 도입했다.[8] 16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일어난 일련의 버마-샴 전쟁으로 ''khanon dok'', ''shwe yin aye'', ''mont let hsaung'', ''Yodaya mont di''를 포함한 태국에서 영감을 받은 별미가 등장했다.[9]
식민지 이전 요리 전통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지만, 음식은 특히 불교 공동체 사이에서 종교 생활과 깊이 얽혀 있었고, 음식 공양(dāna)과 ''satuditha'' 및 ''ahlu pwe''(အလှူပွဲ)라는 공동 축제에서 그 예시를 찾아볼 수 있다. 남아 있는 식민지 이전 요리책 중 하나는 꼰바웅 왕조 시대인 1866년에 야자 잎 원고에 쓰여진 ''Sadawhset Kyan''(စားတော်ဆက်ကျမ်း|my)이다.[26] 꼰바웅 왕조 시대(16~19세기)에는 정교한 음식 준비가 주요 궁정 의식(예: 명명 의식, 결혼 의식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힌두교와 토착 신에게 바치는 의례적인 공물과 참석자들을 위한 축하 음식으로도 사용되었다.[10]
19세기와 20세기 사이의 버마의 영국 통치는 새로운 요리 기술, 재료, 음식 어휘 및 융합 요리를 도입한 미얀마 인도인 및 미얀마의 중국인 공동체의 설립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현재 미얀마 요리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된다.[12] 여기에는 난, 파라타와 같은 인도 빵에서 두부 및 간장과 같은 중국식 볶음 기술과 재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3. 식사 예절 및 관습
존경의 표시로, 연장자가 먼저 음식을 받고 나머지 사람들이 함께 식사를 시작한다. 연장자가 없을 때도, 솥에서 나온 첫 숟가락의 밥을 떠서 부모님께 존경을 표하는 ''우 차'' (ဦးချ|먼저 대접하다my)라는 관습이 있다.[15]
미얀마인들은 전통적으로 오른손으로 식사하며, 손가락 끝으로 밥을 작은 공 모양으로 만들어 다양한 음식과 섞어 입에 넣는다.[15] 젓가락과 중국식 숟가락은 면 요리에 사용되지만, 면 샐러드는 숟가락만으로 먹는 경우가 더 많다. 최근에는 서양식 식기, 특히 포크와 칼의 사용이 늘었다.
전통적인 미얀마 식당에서는 녹차와 다양한 반찬이 주요 요리와 밥과 함께 무료로 제공된다.[16][74] 미얀마의 다양한 종교적 구성은 음식 문화에 영향을 미치며, 불교도와 힌두교도는 전통적으로 쇠고기를 피하고 무슬림은 돼지고기를 피한다. 쇠고기는 독실한 불교도와 농부들에게 금기시되는데, 소가 역축으로 매우 존경받기 때문이다.[17] 채식주의는 7월에서 10월 사이의 3개월 동안의 우안거와 우포사타 기간 동안 불교도들이 흔히 실천하며, 이는 "채식주의자"를 뜻하는 버마어 단어인 ''텟 탓 룻'' (သက်သတ်လွတ်|살생을 하지 않음my)에 반영되어 있다. 이 기간 동안 독실한 불교도들은 아침과 점심 두 끼만 정오 전에 먹는 금식 규정을 포함하여 팔계 이상의 계율을 지킨다.
4. 요리 기법
전통적인 미얀마 의학에서 음식은 신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가열(အပူစာ|아푸 자my) 또는 냉각(အအေးစာ|아-아예 자my)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뉘며, 이는 중국의 음식 분류와 유사하다.[15] 가열 음식의 예로는 닭고기, 여주, 두리안, 망고, 초콜릿, 아이스크림 등이 있다. 냉각 음식의 예로는 돼지고기, 가지, 유제품, 오이, 무 등이 있다.
미얀마 사람들은 또한 삶의 다양한 시기, 특히 임신 중 음식 섭취와 관련하여 몇 가지 금기 사항과 미신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임산부는 고추를 먹으면 아이의 머리카락이 적어진다는 믿음 때문에 고추를 먹지 않는 것이 좋다.[15]
5. 지역별 요리
양곤과 물라먀잉을 포함한 하부 미얀마 요리는 어장과 응아피(발효 해산물) 같은 생선 및 해산물 기반 제품을 많이 사용한다.[27] 만달레이 지역, 마궤 지역, 사가잉 지역, 샨 주, 카친 주를 포함한 상부 미얀마 요리는 육류, 가금류, 콩류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27] 향신료의 수준과 신선한 허브 사용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카친 및 샨 카레는 종종 더 많은 신선한 허브를 사용한다.[2]
남부 인도 요리에서 유래된 퓨전 체티아르 (ချစ်တီးကုလား|칫띠 깔라my) 요리도 도시에서 인기가 있다.
식재료로는 렌즈콩, 강낭콩, 병아리콩 등의 콩이 자주 사용되며,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 비해 종류와 조리법이 다양하다.[98] 힌 조리법에서 기름에 향신료를 볶는 점은 다른 동남아시아 대륙부 국가에서 먹는 "카레"의 조리법과 다르다.[99] 오히려 콩의 사용 빈도와 카레 조리법이 인도 요리와 공통점이 있지만, 사용되는 향신료 종류는 인도 요리보다 적다.[99] 미얀마식 두부 등의 두부가 미얀마에서 자주 먹히며, 병아리콩으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터메릭으로 노랗게 착색한 두부, 유부처럼 조리된 두부도 요리에 사용된다.[100] 로젤을 '''친바웅'''(ချဉ်ပေါင်|친바웅my)이라고 하며, 그 잎을 볶음 요리(조)나 수프로 만든다. 다양한 굵기와 형태의 쌀국수도 사용된다.
발효시킨 찻잎(라페소, လက်ဖက်စို|라페소my)이 식재료(절임 음식)로 사용되는 점은 동남아시아에서도 드물다.[100] 미얀마에는 "고기는 돼지, 과일은 망고, 잎은 차"라는 말이 있으며, 미얀마에서 차는 잎채소를 대표하는 식재료로 여겨진다.[89] 또한 찻잎은 시럽을 뿌려 과자로도 먹는다.[100] 태국 북부에도 찻잎을 먹는 습관이 있으며, 예전에는 발효시킨 찻잎을 후식으로 먹었지만, 현재는 차플루 (''Piper sarmentosum'') 잎으로 생강 등을 감싼 미앙(메ี่ยง, en)이 차를 먹는 습관을 대신하고 있다.[101]
6. 재료
차는 미얀마와 중국 국경 지대에서 유래되었으며, 미얀마는 차를 마시는 오랜 전통과 더불어 절인 차인 ''라펫''을 개발했다.[6][34] 이는 미얀마 의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5세기와 16세기의 콜럼버스 교환을 통해 토마토, 고추, 땅콩, 감자 등이 미얀마 요리에 도입되었다.[8] 16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는 버마-샴 전쟁을 통해 태국 요리의 영향을 받은 음식들이 등장했다.[9]
19세기와 20세기 사이 영국의 식민 통치 시기에는 인도 및 중국 공동체가 형성되면서 난, 파라타와 같은 인도 빵, 두부 및 간장과 같은 중국식 재료와 볶음 기술이 도입되어 미얀마 요리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12]
미얀마 요리는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재료가 다르다. 상부 미얀마는 육류, 가금류, 콩류를 많이 사용하는 반면, 하부 미얀마는 생선 및 해산물 기반 제품을 많이 사용한다.[27] 특히 라카인족 요리는 신선한 해산물로 유명하다.[28]
미얀마 요리는 로젤 잎, 병풀 잎, 염소고기, 양고기, 건조 콩과 렌즈콩 등 다른 동남아시아 요리에서 덜 사용되는 재료들을 사용한다.[31]
쌀(ပေါင်းဆန်|ပေါင်းဆန်my)은 미얀마 요리의 주식이며[90][91], 1~2가지 반찬과 함께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91][92] 주로 인디카종 쌀이 사용되지만, 샨 쌀, 찹쌀도 사용된다.[91]
렌즈콩, 강낭콩, 병아리콩 등 다양한 콩이 사용되며,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 비해 종류와 조리법이 다양하다.[98] 미얀마식 두부는 병아리콩으로 만들어지기도 하며, 터메릭으로 노랗게 착색한 두부, 유부처럼 조리된 두부도 사용된다.[100] 로젤은 '''친바웅'''(ချဉ်ပေါင်|친바웅my)이라 불리며, 잎을 볶음 요리나 수프로 만든다.
발효시킨 찻잎(라페소, လက်ဖက်စို|레페소my)은 식재료(절임 음식)로 사용되며,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드문 경우이다.[100] 미얀마에서는 "고기는 돼지, 과일은 망고, 잎은 차"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차는 중요한 식재료이다.[89]
어장(ငါးငံပြာရည်|응안뱌예my)과 젓갈은 짠맛을 내는 데 사용된다. 젓갈 페이스트인 응아피(ငပိ|응아피my), 생선을 원형 그대로 가공한 응아피가웅, 어장 응아피예 등으로 나뉜다.[102][92]
마늘, 양파를 볶을 때 사용되는 기름 "시 젯"은 다방면으로 사용되는 조미료이다.[89] 사탕수수 설탕, 야자, 팜야자에서 만들어지는 팜슈가(ထန်းလျက်|탄례my), 타마린드(မန်ကျည်း|만지my), 감귤류 등이 단맛과 신맛을 내는 데 사용된다.
6. 1. 보존 식품
미얀마는 차를 마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반찬과 함께 절인 차인 라펫으로 먹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다.[32][33] 차를 먹는 관습은 미얀마에서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대나무 통, 대나무 바구니, 질경이 잎, 항아리 안에서 차 잎을 절이고 발효시킨 토착 부족의 유산을 반영한다.[34]
발효된 소금에 절인 생선이나 새우로 만든 페이스트인 응아피(ငါးပိ|응아피my)는 미얀마 전통 식단의 초석으로 여겨진다.[2] 라카인 주의 ''응아피''는 소금을 거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바다 물고기를 사용한다. 한편, 민물고기로 만든 응아피는 에야와디 지역과 따닌따리 지역에서 흔하다. ''응아피 예이''(ငါးပိရည်|응아피 예이my)는 카렌족과 바마족 요리의 필수 요소이며, 다양한 채소와 향신료로 조리된 ''응아피'' 소스 딥을 데친 채소 및 신선한 채소와 함께 제공한다. ''응아친''이라고 불리는 절인 생선도 미얀마 요리에 사용된다.
샨 요리에서는 전통적으로 ''응아피'' 대신 ''페 응아피''(ပဲငါးပိ|페 응아피my)라는 발효 콩을 사용한다.[2] 말린 콩 응아피 칩(ပဲပုပ်|페 봅my)은 다양한 샨 요리에 조미료로 사용된다.[35]
발효된 콩으로 만든 두껍고 짠 검은 페이스트인 ''폰 예이 지''(ပုံးရည်ကြီး|폰 예이 지my)는 바마족 중심 지역에서 인기가 있다. 바간은 중요한 ''폰 예이 지'' 생산지이다.[36]
미얀마 요리에는 또한 기름과 향신료에 절이거나 소금물과 쌀술에 절인 다양한 절인 채소와 과일이 특징이다.[3] 전자는 ''타나트''(သနပ်)라고 불리며 망고 절임을 포함한다. 후자는 ''친바트''(ချဉ်ဖတ်)라고 불리며, ''모힌 징''과 같은 절임을 포함한다.
미얀마 요리에서는 요리에 짠맛을 내기 위해 어장(ငါးငံပြာရည်|응안뱌예my)과 젓갈이 사용된다.[102][92]
6. 2. 쌀
미얀마에서 가장 흔한 주식은 찐 밥으로, ''htamin'' (ထမင်းmy)이라고 불린다. 미얀마 쌀 품종은 일반적으로 자스민 쌀이나 바스마티 쌀보다 전분 함량이 높다.[11] ''파 산 므웨''(ပေါ်ဆန်းမွှေးmy)를 포함한 향긋하고 향기로운 백미 품종이 인기 있다. ''kauk hnyin''(ကောက်ညှင်းmy)이라고 불리는 찹쌀과, ''ngacheik''(ငချိပ်)이라는 보라색 품종도 미얀마 요리에 사용된다.
북부 고원(예: 샨 주)의 소비자들은 과 ''kauk sei''와 같은 끈기가 있고 아밀로스 함량이 낮은 품종을 선호하는 반면, 하부 삼각주 지역의 소비자들은 와 과 같이 아밀로스 함량이 높은 품종을 선호한다.[37] 아밀로스 함량이 낮은 쌀 품종은 ''몬''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미얀마 간식에 흔히 사용된다.[37] 쌀은 전통적으로 그냥 먹지만, 버터 밥과 코코넛 밥과 같은 맛을 낸 버전은 흔한 축제 주식이다.[38]
쌀(ပေါင်းဆန်my)이 주식으로 사용되며[90][91], 1, 2가지 종류의 반찬을 곁들여 쌀을 대량으로 먹는 것이 기본적인 미얀마족의 식사 스타일이다.[91][92] 샨 쌀, 찹쌀도 먹지만, 미얀마 식탁에는 인디카종 쌀이 오르는 경우가 많다.[91]
6. 3. 국수
미얀마 요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국수를 사용하며, 수프, 샐러드, 건면 요리 등으로 만들어 점심 외에 먹거나 간식으로 먹는 경우가 많다.[2] "몽 밧"(မုန့်ဖတ်|몽 팟my) 또는 "몽 디"(မုန့်တီ|몽 띠my)라고 불리는 신선하고 얇은 쌀국수는 태국의 "카놈 친"과 유사하며, 미얀마의 대표 음식인 모힝가에 사용된다. 미얀마 요리에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쌀국수 종류가 있는데, 두꺼운 우동과 같은 "낭기"(နန်းကြီး|난지my), 중간 크기의 "난랏"(နန်းလတ်|난랏my), 얇은 "난테"(နန်းသေး|난테my), 납작한 "난뱌"(နန်းပြား|난뱌my) 등이 있다.[44] "캬잔"(ကြာဆံ|차산my)이라고 불리는 셀로판 국수와 "카욱 스웨"(ခေါက်ဆွဲ|카욱쉐my)라고 불리는 밀 기반 국수는[44] 샐러드, 수프, 볶음 요리에 자주 사용된다.[2]
건면 또는 튀긴 국수 요리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국수 수프에는 다음이 포함된다.6. 4. 과일
미얀마는 열대 기원의 다양한 과일을 생산하며, 과일은 흔히 간식이나 디저트로 먹는다.[2] 대부분의 과일은 생으로 먹지만, 젠콜을 포함한 일부 과일은 삶거나 굽거나 다른 방식으로 조리한다. 인기 있는 과일로는 바나나, 망고, 수박, 파파야, 대추, 아보카도, 포멜로, 구아바가 있다.[70] 그 외에 마리안 자두, 망고스틴, 석가, 람부탄, 두리안, 잭푸르트, 리치, 석류 등이 있다. 녹색 망고, 자두, 구아바를 포함한 일부 과일은 전통적으로 익기 전에 먹으며, 고춧가루와 소금을 곁들여 먹는 경우가 많다.[11]
미얀마 과일 절임인 ''요''(ယိုmy)도 흔히 단독 간식으로 먹는다. 흔한 절임으로는 무화과, 대추, 마리안 자두, 감귤류, 망고, 파인애플, 두리안으로 만든 과일 절임이 있다.
미얀마에서는 ''세인탈론''(စိန်တစ်လုံး|세인딸론my), ''마 칫 수''(မချစ်စု|마 칫 수my), ''먀 챡''(မြကျောက်|먀 챡my)을 포함한 300가지의 망고 품종이 재배된다.[11][71] 미얀마에서는 다음과 같은 품종을 포함하여 13종의 바나나가 지역적으로 재배된다:[72]
7. 대표 음식
미얀마 요리는 로젤 잎, 병풀 잎과 같이 다른 동남아시아 요리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독특한 재료를 사용한다.[31] 염소고기, 양고기 같은 육류와 건조 콩, 렌즈콩도 사용한다.[31] 미얀마어는 표준화된 로마자 표기 체계가 없으므로, 음식 이름은 IPA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미얀마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낮은 테이블이나 ''다웅란''에 음식을 놓고 대나무 매트에 앉아 식사한다.[13] 음식은 동시에 차려지며, 오른손으로 밥을 작게 뭉쳐 음식과 곁들여 먹는다.[13][15] 면 요리에는 젓가락이나 중국식 숟가락을 사용하지만, 면 샐러드는 주로 숟가락으로 먹는다. 최근에는 포크와 칼 같은 서양식 식기도 사용이 늘고 있다.
미얀마 식당에서는 보통 주요리와 밥 외에 녹차와 여러 반찬을 무료로 제공한다.[16][74] 식사 후에는 야자 설탕이나 ''라펫''(발효 찻잎)으로 입가심을 한다.[14] 연장자가 먼저 식사를 시작하고, 연장자가 없을 때는 밥솥에서 첫 숟가락을 떠 부모님께 드리는 ''우 차''(ဦးချmy) 풍습이 있다.[15]
대표적인 미얀마 음식은 다음과 같다:
- 단빠웃: 닭고기나 양고기를 넣은 미얀마식 비르야니
- 몬: 미얀마 전통 음식의 총칭
- 몬 디: 쌀국수 요리
- 몬 힝가: 메기를 넣은 쌀국수 수프
- 뿌이: 콩 요리
- 아톳: 미얀마식 샐러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샐러드' 참조)
- 라페 톳: 발효 찻잎 샐러드
- 틴보디 톳: 파파야 샐러드
7. 1. 샐러드
미얀마 샐러드(အသုပ်my; 음역: '아토크' 또는 '아토우크')는 미얀마 요리의 다양한 종류의 토속 샐러드를 통칭한다. 미얀마 샐러드는 손으로 섞어 다양한 맛과 질감을 결합하고 균형을 맞춘 익힌 재료와 날 재료로 만들어진다.[2] 미얀마 샐러드는 단독 간식, 미얀마 카레와 곁들여 먹는 곁들임 음식, 그리고 주요리로 먹는다.[3]
- ''라펫 토크''(လက်ဖက်သုပ်my) – 튀긴 완두콩, 땅콩, 마늘, 구운 참깨, 생마늘, 토마토, 고추, 으깬 말린 새우, 절인 생강을 땅콩 기름, 어장, 라임으로 양념한 절인 차 잎 샐러드[3]
- ''진 토크''(ချင်းသုပ်my) – 참깨를 넣은 절인 생강 샐러드[3]
- ''카욱 스웨 토크''(ခေါက်ဆွဲသုပ်my) – 마른 새우, 채 썬 양배추와 당근을 튀긴 땅콩 기름, 어장, 라임으로 양념한 밀 국수 샐러드
- ''렛 토크 손''(လက်သုပ်စုံmy) – 채 썬 녹색 파파야, 채 썬 당근, 우뭇가사리 해조류, 그리고 종종 밀 국수를 넣은 ''흐타민 토크''와 유사
- ''난지 토크''(နန်းကြီးသုပ်my) 또는 만달레이 ''몬 디''는 병아리콩 가루, 닭고기, 어묵, 양파, 고수, 쪽파, 부순 건고추, 튀긴 바삭한 양파 기름, 어장, 라임으로 양념한 굵은 쌀국수 샐러드[53]
- ''사모사 토크''(စမူဆာသုပ်my) – 양파, 양배추, 생민트, 감자 카레, 마살라, 고춧가루, 소금, 라임을 넣은 사모사 샐러드[54]
- ''캬 잔 토크'' – 삶은 새우 채와 으깬 카레 오리알 및 감자를 넣은 유리 버미첼리 샐러드
- ''타예 티 토우'' (သရက်သီးသုပ်my) - 덜 익은 망고 샐러드.
- ''응가 페 토우'' () - 생선살 튀김 (일본 요리의 사츠마아게와 비슷한[108]) 무침.
- ''체터 죠 토우'' (ကြက်သားကြော်သုပ်my) - 튀긴 닭고기와 채소 무침.
- ''라펫 토우'' (လက်ဖက်သုပ်my) - 발효시킨 차잎 무침. 양념에는 마늘, 고추, 라임, 기름 등이 사용되며, 차잎을 말린 새우, 튀긴 콩, 양배추, 토마토 등과 버무린다.
7. 2. 커리
미얀마 커리는 미얀마 요리에서 향신료를 기본으로 단백질이나 채소를 끓이거나 조린 다양한 요리를 말한다.[2] 미얀마 커리는 신선한 허브와 향신료 외에도 말린 향신료를 사용하고, 종종 더 순하다는 점에서 다른 동남아시아 커리와 다르다.[55] 가장 흔한 종류의 커리는 '시뱐'(ဆီပြန်|기름이 돌아옴my)이라고 불리며, 요리 후 육수와 고기에서 분리되는 기름 층이 특징이다.[27] 돼지고기, 닭고기, 염소고기, 새우, 생선이 일반적으로 미얀마 커리에 사용된다.일본에서는 편의상 카레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는 "힌"(ဟင်း|반찬my)이라는 조림 요리가 중심이다.[94] 양파(토마토가 더해지는 경우도 있다)를 베이스로 조리하며, 재료는 돼지고기, 쇠고기, 양고기, 닭고기의 육류와 내장, 어패류, 채소이며, 조미료는 재료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된다. 그 종류는 조리 시간에 따라, 수분이 많은 시레 예레, 수분이 없어질 때까지 조린 시뱌(스이뱌)의 두 가지로 크게 분류된다. 둘 다 많은 양의 기름을 사용하고 푸른 고추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으며[95], 향신료의 종류는 제한적이다. 식재료의 풍미와 엑기스를 포함한 기름이 맛있다고 여겨지며, 재료와 함께 기름도 먹는다.[89][95] 인도풍의 힌은 "칼라힌"(ကုလားဟင်း|인도 커리my)이라고 불리며, 향신료의 종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96]
이름 | 설명 |
---|---|
돼지고기 시뱐 (ဝက်သားဆီပြန်|웻따 시뱐my) | 지방이 많은 돼지고기 부위를 사용한 고전적인 미얀마 커리[56] |
닭고기 시뱐 (ကြက်သားဆီပြန်|짯따 시뱐my) | 향신료를 사용한 걸쭉한 국물과 함께 제공되는 고전적인 미얀마 커리[39][3] |
독신자 닭고기 커리 (ကြက်ကာလသားချက်|짯 깔라따 쳇my) | 박과 함께 요리한 붉고 물기 있는 닭고기 커리[57][39] |
염소고기 흐낫 (ဆိတ်သားနှပ်|흐네따 흐낫my) | 마살라, 계피 스틱, 월계수 잎, 정향으로 양념한 조림 염소고기 커리[58] |
응아 탈라우 파웅 (ငါးသလောက်ပေါင်း|응아따라욱 바웅my) | 힐사 생선과 토마토로 만든 커리로, 생선 뼈를 녹이기 위해 천천히 끓인다.[59] |
달걀 커리 (ဘဲဥချဥ်ရည်ဟင်း|베우 친예이힝my) | 타마린드 페이스트와 으깬 토마토로 요리한 삶은 오리 또는 닭고기 달걀로 만든 시큼한 커리[3] |
아메다 힌(အမဲသားဟင်း|어메따 힝my) | 소고기 힌. |
웨터 힌(ဝက်သားဟင်း|웻따 힝my) | 돼지고기 힌. |
체터 힌(ကြက်သားဟင်း|짯따 힝my) | 닭고기 힌. |
세터 힌(ဆိတ်သားဟင်း|흐네따 힝my) | 양고기 힌. 미얀마에서는 양고기가 식재료로 사용되는 빈도가 동남아시아 대륙부의 타국에 비해 높다.[100] |
응가 힌(ငါးဟင်း|응아 힝my) | 생선 힌. 민물고기가 주를 이룬다.[107] 바닷물고기 힌으로 병어를 졸인 "응가 몬 힌" 등이 존재한다. |
7. 3. 수프
미얀마 요리에서 수프는 밥과 면 요리에 곁들여 먹으며, 음식의 맛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함께 제공된다.[3] 가볍게 간을 한 수프는 ''힌조''(ဟင်းချိုmy)라고 불리며, 주로 짠 음식과 함께 먹는다. 반면, 시큼한 맛이 나는 수프는 ''치니에이 힌''(ချဉ်ရည်ဟင်းmy)이라고 불리며, 기름진 미얀마 커리와 잘 어울린다.[3]''티존 치니에이''(သီးစုံချဉ်ရည်|θízòʊɴ tʃìɴjè|여러 채소를 넣은 시큼한 수프my)는 고급스러운 ''치니에이 힌''의 일종으로, 북채, 레이디스 핑거, 가지, 녹두, 감자, 양파, 생강, 건고추, 삶은 달걀, 말린 소금에 절인 생선, 어장, 타마린드 등을 넣어 만든다.[3] 주로 축제 때 먹는다.[3]
미얀마어에서 수프는 "아이예"라고 불린다. 미얀마의 수프는 태국 요리와 달리 강렬한 자극이 적고, 수프 육수에 민물고기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109]
- 친예(ချဉ်ရည်my) - 건더기가 많고, 타마린드 등으로 신맛을 낸 수프.
- 힌조(ဟင်းချိုmy) - 친예와 달리, 수프 자체에 간이 되어 있다.[109]
- 힌가(ဟင်းခါးmy) - 후추를 넣은 수프.
7. 4. 기타 곡물 및 빵
인도 빵은 미얀마에서 아침이나 차를 마실 때 흔히 먹는다. 파라타(ပလာတာmy)는 인도 파라타와 비슷한 얇고 바삭한 튀긴 납작빵으로, 카레 고기와 함께 먹거나 설탕을 뿌려 디저트로 먹기도 한다.[60] 구운 납작빵인 난비야(နံပြားmy)는 모든 인도 요리와 함께 먹는다.[39] 다른 인기 있는 음식으로는 ''알루 푸리'' (အာလူးပူရီmy), ''차파티'' (ချပါတီ), ''아팜'' (အာပုံ) 등이 있다.[61][62]
- 미얀마식 두부 (ရှမ်းတို့ဟူးmy) - 병아리콩 가루로 만든 샨족 기원의 두부로, 튀김, 샐러드 또는 죽 형태로 먹는다.
- 단바욱(ဒန်ပေါက်my) - 인도 요리의 비르야니에 해당하는, 다양한 향신료와 닭고기를 섞어 지은 요리.
- 타민죠(ထမင်းကြော်my) - 중화풍 볶음밥.
- 난뱌(နံပြားmy) - 인도식 난.
- 파라타(ပလာတာmy) - 콩의 숙주나물, 다진 고기, 설탕, 코코넛 밀크 등을 얇게 펴서 구운 빵.
쌀(ပေါင်းဆန်my)은 미얀마의 주식이다.[90][91] 1, 2가지 종류의 반찬과 함께 쌀을 많이 먹는 것이 기본적인 미얀마족의 식사 방식이다.[91][92] 찹쌀도 먹지만, 미얀마 식탁에는 인디카종 쌀이 오르는 경우가 많다.[91] 도시 지역에서는 아침 식사를 외식으로 해결하는 경우도 흔하며,[93] 노점상이나 경식당에서는 쌀 외에 모힝가(မုန့်ဟင်းခါးmy), 온노 카우스웨(အုန်းနို့ခေါက်ဆွဲmy)와 같은 면 요리, 난( နံပြားmy)에 유탸오(အီကြာကွေးmy)와 같은 인도 및 중국식 경식도 먹는다.[93][92]
7. 5. 음료
차는 미얀마의 국가 음료이며, 절제에 대한 불교의 영향력을 반영한다.[73] 차는 미얀마 식사 문화의 중심이며, 식당과 찻집에서 손님들에게 무료 녹차를 제공하는 것이 관례이다.[74] 사탕수수 주스를 포함한 과일과 코코넛 밀크로 만든 다양한 액체 혼합물과 ''몬 렛 사웅''(မုန့်လက်ဆောင်းmy) 또한 인기가 많다.[75] 야자 술과 같은 토착 발효 음료도 전국에서 발견된다. 전통적인 미얀마 식사에서는 음료가 자주 제공되지 않으며, 대신 일반적인 액체는 공동 그릇에 담겨 제공되는 맑은 국물이나 콘소메이다.
일반 녹차, ''예이 누웨 지안''(ရေနွေးကြမ်းmy, 거친 차 물)은 미얀마에서 인기 있는 차 종류이다.[32] 차 잎은 전통적으로 샨 주와 카친 주에서 재배된다.[32] 진하게 우려낸 찻잎으로 만든 밀크티, ''라펫 예이 쵸''(လက်ဖက်ရည်ချိုmy)는 연유와 농축 우유를 개인 취향에 맞게 비율을 조절하여 단맛을 낸 것으로, 이것 또한 인기 있다.[76][34]
야자술은 ''htan yay''(ထန်းရည်my)라고 불리며, 야자의 발효된 수액으로 만들어지며, 전통적으로 미얀마 북부의 시골 지역에서 소비된다.[77] 카친과 샨을 포함한 소수 민족도 지역 밀주를 양조한다.[78] 여러 소수 민족은 ခေါင်ရည်my라고 불리는 쌀 또는 찹쌀을 사용하여 알코올 음료를 양조한다.[79] 친의 ''khaung''은 조 수수를 사용하여 양조된다.[79] 현지에서 양조된 맥주에는 Irrawaddy, Mandalay, Myanmar 및 Tiger가 있다.[73]
8. 음식점
전통적인 미얀마식 커리와 요리를 곁들인 찐 밥을 제공하는 식당을 '흐타민 사잉'(ထမင်းဆိုင်|흐타민 사잉my)이라고 부르며, '밥집'으로 번역된다. 전통적인 커리 식당에서는 절인 채소, 생채소, 처트니, 다양한 양념과 함께 수프를 무료로 제공한다.[11]
영국령 버마 시대에 버마계 인도인들은 찻집을 이 나라에 도입했다. 처음에는 ''kaka hsaing''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laphet yay hsaing'' (လက်ဖက်ရည်ဆိုင်|라펫 예 사인my) 또는 프랑스어 ''café''에서 유래한 ''kaphi'' (ကဖီး|카피my)라는 찻집으로 발전했다. 버마의 찻집 문화는 식민지 시대 동안 영국, 인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 생겨났다.[80] 찻집은 전국에 걸쳐 흔하며, 공동체 생활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한다.[33][81] 일부 버마 찻집은 하루 종일 문을 열어 현지인, 장거리 운전자, 여행자 모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버마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간식과 식사를 곁들여 밀크티를 마시기 위해 찻집에 모인다.[80]
노점 음식 가판대와 행상은 미얀마 도시 풍경, 특히 양곤과 같은 주요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다.[82] 미얀마 샐러드, 몬, 튀김은 특히 인기 있는 길거리 음식이다.[83]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주요 도시에서는 노점상 단속을 강화했다. 2016년 양곤은 6,000명의 노점상이 주요 간선도로에서 음식을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도시가 마련한 공식 야시장으로 이들을 이전시켰다.[84]
'냐 자이'(ညဈေး|냐 자이my)라고 불리는 야시장은 많은 미얀마 마을과 도시의 특징이다. 1878년 초기 식민지 시대 관찰자들은 미얀마 노점상들이 "야간 바자" 동안 과일, 케이크, 라페(laphet)와 같은 진미를 판매하는 것을 언급했다.[85] 만달레이의 제교 시장과 같은 주요 주간 시장 주변의 거리는 저녁이 되면 임시 야시장으로 변한다.[86]
참조
[1]
서적
Burma Superstar : addictive recipes from the crossroads of Southeast Asia
[2]
서적
Burma: Rivers of Flavor
Random House of Canada
2012-11-27
[3]
서적
Mandalay: Recipes and Tales from a Burmese Kitchen
Bloomsbury Publishing
2019-06-13
[4]
문서
"''A thee ma, thayet; a thar ma, wet; a ywet ma, lahpet''"
[5]
서적
The History of Myanmar
ABC-CLIO
2013
[6]
서적
The Story of Tea: A Cultural History and Drinking Guide
Potter/Ten Speed/Harmony/Rodale
2011-03-23
[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urma (Myanmar)
Rowman & Littlefield
2017-03-27
[8]
서적
The Ongoing Columbian Exchange: Stories of Biological and Economic Transfer in World History: Stories of Biological and Economic Transfer in World History
ABC-CLIO
2015-02-25
[9]
웹사이트
မန္တလေးက ခနုံထုပ်
http://thevoicemyanm[...]
2019-11-15
[10]
간행물
Life at the Burmese Court under the Konbaung Kings
https://www.burmalib[...]
2021-01-13
[11]
서적
The Golden Path
Pariyatti Publishing
[12]
서적
The Appetizer Atlas: A World of Small Bites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13]
웹사이트
Myanmar Traditional Foods
http://www.myanmar.c[...]
2012-10-04
[14]
간행물
A Comparative Study of the French and Myanmar Table Manners
http://www.mufl.edu.[...]
2021-01-13
[15]
서적
Culture Shock! Myanmar: A Survival Guide to Customs and Etiquette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16]
웹사이트
A local-style Burmese meal
https://www.travelfi[...]
2023-05-29
[17]
서적
Culture Shock!: Myanmar
Marshall Cavendish Inc.
[18]
서적
Improvement of livestock production in crop-animal systems in rainfed agro-ecological zones of South-East Asia
ILRI
[19]
서적
Marketing across cultures in Asia
Copenhagen Business School Press DK
[20]
서적
A century of rice improvement in Burma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21]
서적
Eat not this flesh: food avoidances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Univ of Wisconsin Press
[22]
서적
Buddhism and society: a great tradition and its Burmese vicissitud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서적
Gazetteer of Upper Burma and the Shan States
Government of Burma
[24]
서적
A history of natural resources in Asia: the wealth of nature
https://archive.org/[...]
MacMillan
[25]
서적
In the hope of Nibbana: the ethics of Theravada Buddhism
Pariyatti
[26]
뉴스
Burmese Cuisine: Its Unique Style and Changes after British Annexation
https://www.scribd.c[...]
2012-10-04
[27]
서적
Myanmar (Burma)
Lonely Planet
2017
[28]
웹사이트
Myanmar Food: Traditional and Change
https://today-myanma[...]
2021-01-13
[29]
뉴스
Good food in Rangoon, seriously
http://au.totaltrave[...]
2012-09-25
[30]
문서
'The traditional Burmese proverb reads [[:my:မန္တလေး စကား၊ ရန်ကုန် အကြွား၊ မော်လမြိုင် အစား|မန္တလေးစကား ရန်ကုန်အကြွား မော်လမြိုင်အစား]].'
[31]
웹사이트
Burmese food: A brief introduction
https://www.travelfi[...]
2023-05-29
[32]
웹사이트
A World filled with Tea
http://www.myanmar.g[...]
"[[Myanmar Times]] vol.6 no.113"
2007-04-01
[33]
웹사이트
The Travelling Gourmet
http://www.myanmar.g[...]
"[[Myanmar Times]] no.37"
2007-04-01
[34]
서적
The Tale of Tea: A Comprehensive History of Tea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ent Day
BRILL
2019-01-14
[35]
웹사이트
ရှမ်းပဲပုပ် ရောင်းလိုအားထက်ဝယ်လိုအားများ – သတင်းများ
https://www.myanmart[...]
2021-01-14
[36]
웹사이트
ပုံးရည်ကြီးလုပ်ငန်းများ ဈေးကွက်ချဲ့ထွင်ရန် နည်းပညာနှင့်ငွေကြေး အကူအညီပေးမည်
https://7day.news/de[...]
2021-01-14
[37]
간행물
Diverse Utilization of Myanmar Rice with Varied Amylose Contents
Japanese Society for Tropical Agriculture
2006
[38]
서적
The Food of Myanmar: Authentic Recipes from the Land of the Golden Pagodas
Tuttle Publishing
2014-02-04
[39]
서적
The Burmese Kitchen: Recipes from the Golden Land
Rowman & Littlefield
1994-09-08
[40]
웹사이트
ဒံပေါက် (Biryani)
https://www.foodmaga[...]
2020-04-25
[41]
웹사이트
Top 10: Biryani Restaurants in Yangon
https://www.mmtimes.[...]
2020-04-25
[42]
웹사이트
ထမင်းချဉ် (Shan Traditional Rice Cake)
https://www.foodmaga[...]
[43]
뉴스
သင်္ကြန်ထမင်းစားပြီး ရင်အေးကြစေဖို့
http://www.mizzimabu[...]
မဇ္ဈိမ မာလ်တီမီဒီယာ
2018-04-02
[44]
서적
Myanmar-English Dictionary
http://sealang.net/b[...]
Myanmar Language Commission
2021-01-14
[45]
웹사이트
တစ်နေ့တခြား လူကြိုက်များလာတဲ့ မြိတ်ဒေသအစားစာ ကတ်ကြေးကိုက်
http://www.mizzimabu[...]
2019-04-08
[46]
웹사이트
ပန်းသေးခေါက်ဆွဲ (Pan Thay Fried Noodle)
http://we.com.mm/det[...]
2021-01-08
[47]
뉴스
ကွေတာလန်းနဲ့ ဆီဥကြော်၊ မြန်မာပြည်က တရုတ်အစားအသောက်များ
https://www.bbc.com/[...]
BBC News မြန်မာ
2021-01-14
[48]
웹사이트
မုန့်ဟင်းခါး အကြောင်း သိကောင်းစရာ
https://myfoodmyanma[...]
2021-01-09
[49]
웹사이트
အရသာပြည့်စုံတဲ့ အုန်းနို့ခေါက်ဆွဲတစ်ပွဲ ဘယ်လို ချက်မလဲ
https://www.howtocoo[...]
2021-01-14
[50]
웹사이트
Burma Blossoms
https://www.afar.com[...]
2021-01-14
[51]
웹사이트
ဘဲသား ကော်ရည်ခေါက်ဆွဲ
http://www.wutyeefoo[...]
2021-01-14
[52]
웹사이트
ရှမ်းခေါက်ဆွဲကို ကိုယ်တိုင်လုပ်စားကြမယ်
https://www.duwun.co[...]
2021-01-14
[53]
웹사이트
နန်းကြီးသုပ် ပြုလုပ်နည်း
https://myfoodmyanma[...]
2021-01-14
[54]
웹사이트
စမူဆာသုပ်
http://we.com.mm/det[...]
2021-01-09
[55]
웹사이트
Burmese curry restaurants
https://www.austinbu[...]
2012-12-05
[56]
웹사이트
ဝက်သားသုံးထပ်သား ဆီပြန်ဟင်း
https://myfoodmyanma[...]
2021-01-08
[57]
웹사이트
Bachelor's Chicken Curry
https://theburmalici[...]
2021-01-08
[58]
웹사이트
မဆလာနံ့သင်းသင်း ဆိတ်သားဟင်းတစ်ခွက်
https://www.howtocoo[...]
2021-01-08
[59]
웹사이트
လျှာရင်းမြက်စေမယ့် နူးနူးအိအိ ငါးသလောက်ပေါင်း
https://www.howtocoo[...]
2021-01-08
[60]
웹사이트
ကြက်သား ပလာတာ
http://www.wutyeefoo[...]
2021-01-14
[61]
웹사이트
လှည်းတန်းတစ်ဝိုက်မုန့်စားကြမယ်
https://yangonlife.c[...]
2021-01-14
[62]
서적
DK Eyewitness Myanmar (Burma) Travel Guide
Penguin
2016-09-20
[63]
웹사이트
အစိမ်းကြော် ပူပူလေး ကြော်စားကြရအောင်
http://we.com.mm/det[...]
2021-01-14
[64]
웹사이트
သထုံငါးပေါင်းထုပ်နှင့် ထမင်းဝါ
https://www.mdn.gov.[...]
2021-01-14
[65]
웹사이트
("၀" အစီအစဉ်) "အစားအစာ" ရှမ်းဝက်သားချဉ်ပြုလုပ်နည်းနဲ့ကြက်သားချဉ်စော်ခါးသီးဟင်းရည်
https://www.mrtv.gov[...]
2021-01-14
[66]
서적
Asian Bites: A Feast of Flavors from Turkey to India to Japan
Penguin
2008-02-18
[67]
웹사이트
မုန့်လက်ဆောင်း
http://yangonlife.co[...]
2019-03-26
[68]
웹사이트
မြန်မာ့ ရိုးရာ စားစရာ ပုသိမ် ဟလဝါ
http://myawady.net.m[...]
2019-11-15
[69]
웹사이트
အုန်းနို့ငှက်ပျောပေါင်း
https://yangonlife.c[...]
2021-01-14
[70]
웹사이트
DATA ANALYSIS OVERVIEW OF THE FRUIT SECTOR IN MYANMAR
https://www.fftc.org[...]
2021-01-14
[71]
논문
Characterization of Fruit Quality Traits and Biochemical Properties in Different Myanmar Mango Cultivars during Ripening Stages
2023-03
[72]
논문
Current situation of banana R&D in Myanmar
2004-11
[73]
서적
Access to Asia: Your Multicultural Guide to Building Trust, Inspiring Respect, and Creating Long-Lasting Business Relationships
John Wiley & Sons
2015-04-07
[74]
웹사이트
Drinking and Eating Burmese Tea
https://matcha-tea.c[...]
2019-03-13
[75]
뉴스
မုန့်လက်ဆောင်း
https://yangonlife.c[...]
2021-01-14
[76]
웹사이트
Coffee and tea connect daily life of the locals
https://www.mmtimes.[...]
2021-01-16
[77]
웹사이트
I toddy you so
https://www.mmtimes.[...]
2021-01-16
[78]
웹사이트
Shan moonshine maker captures the Kachin spirit
https://myanmarmix.c[...]
2021-01-16
[79]
웹사이트
Chin State
https://www.myanmore[...]
2020-07-26
[80]
웹사이트
Myanmar's Evolving Tea Culture
https://www.myanmari[...]
2021-01-16
[81]
웹사이트
The Rich Culture and Tradition of Tea in Myanmar
https://multiversead[...]
2021-01-16
[82]
서적
Street Food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An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ABC-CLIO
2013-09-09
[83]
웹사이트
Top 10: Street Foods
https://www.mmtimes.[...]
2021-01-16
[84]
웹사이트
Street vendors to be banned on Yangon's busiest roads
https://www.mmtimes.[...]
2021-01-16
[85]
서적
British Burma and Its People: Being Sketches of Native Manners, Customs, and Religion
J. Murray
1878
[86]
서적
DK Eyewitness Myanmar (Burma)
Penguin
2016-09-20
[87]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88]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89]
서적
田村、松田『ミャンマーを知るための60章』
[90]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91]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92]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93]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94]
간행물
落合「辛くない煮込み料理 ビルマのヒン」『アジア・カレー大全』
[95]
간행물
落合「辛くない煮込み料理 ビルマのヒン」『アジア・カレー大全』
[96]
간행물
落合「辛くない煮込み料理 ビルマのヒン」『アジア・カレー大全』
[97]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98]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99]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100]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101]
서적
Thompson ''Thai Food''
[102]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103]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104]
서적
森枝『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105]
서적
『地球の歩き方 ミャンマー(ビルマ)(2011‐2012年版)』
[106]
서적
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107]
서적
地球の歩き方 ミャンマー(ビルマ)(2011‐2012年版)
[108]
서적
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109]
서적
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110]
서적
ベトナム・カンボジア・ラオス・ミャンマ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