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성 노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 노동자는 여성학, 젠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주제로, 성별 분업, 성 차별, 임금 격차 등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여성의 경제 참여는 경제 성장과 생활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국제적인 연구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19세기부터 여성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단체와 법적 제도가 마련되었으며, 여성의 노동 참여를 막는 교육, 자본 접근성, 직장 내 성차별 등의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성 노동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겪었으며, 20세기에는 세계 대전, 기술 발전, 피임약 보급 등을 통해 여성의 노동 참여가 확대되었다. 현대 사회에서 여성 노동자들은 일과 가정의 양립, 직업 관련 재해, 성별 격리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여성 노동자
개요
정의임금을 받는 모든 여성
설명여성은 역사적으로 경제 활동에 참여해 왔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직업과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이는 여성의 경제적 독립과 사회적 지위 향상에 기여한다.
경제적 영향여성의 노동 참여는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별 격차 해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한다.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증가는 세계 경제에 상당한 이익을 가져다준다.
여성의 평등을 증진하면 세계 경제에 막대한 이익이 될 수 있다.
역사
역사적 맥락여성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경제 활동에 참여해 왔으며, 특히 농업과 가내 공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 사회현대 사회에서는 여성들이 다양한 직업과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며, 이는 여성의 경제적 독립과 사회적 지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현황
글로벌 현황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노동 참여율은 남성에 비해 낮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성은 다양한 직업과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교육, 보건, 서비스 분야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성별 임금 격차여성은 남성에 비해 임금이 낮은 경향이 있으며, 이는 성별 직업 분리, 차별, 경력 단절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
성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과제여성의 노동 참여를 확대하고, 성별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차별 해소,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 여성의 역량 강화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여성의 리더십 역할 확대를 위한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
경제적 영향
경제 성장 기여여성의 노동 참여는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별 격차 해소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한다.
여성의 기업가 정신과 혁신은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글로벌 경제 효과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증가는 세계 경제에 상당한 이익을 가져다준다.
여성의 평등을 증진하면 세계 경제에 막대한 이익이 될 수 있다.
사회적 영향
여성의 권한 강화여성의 노동 참여는 여성의 경제적 독립과 사회적 지위 향상에 기여하며, 여성의 권한 강화를 촉진한다.
사회적 변화여성의 노동 참여는 사회적 변화를 촉진하며, 성 평등 사회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타
관련 정보여성 경제 활동
페미니즘
성평등

2. 여성 노동과 관련된 연구

여성학, 여성사, 젠더학에서 여성 노동은 20세기 주요 연구 대상이었다.[157] 의학사, 회계 및 감사, 심리학 등 전문직업화 연구는 성별 문제, 특정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과 역사를 다룬다.[158][159]

현대 민권법은 특정 분야와 직업 분야에서 나타나는 성 차별, 성희롱 문제를 면밀히 다룬다. 고용 차별 금지법은 성차별과 인종차별을 금지한다. 여러 국가에서 여성차별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하고 있으며, 미국은 임신에 의한 차별을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였다.

3. 경제 발전과 여성

여성의 경제 참여와 평균 생활 수준 향상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국제적인 연구들을 통해 밝혀지고 있다. 2001년 세계은행이 발표한 보고서 〈발전의 생성(Engendering Development)〉에서는 여성의 경제적 참여와 경제 성장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161] 이 보고서는 여성에게 기본적인 권리, 교육, 직업, 공적 활동 참여 기회를 차별하는 것은 여성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해를 끼친다고 지적한다. 성별 불평등은 국가 전체의 발전과 빈곤 해소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여성의 경제 참여를 막는 것은 여성을 부차적인 사회 역할에 머무르게 하며, 가정 내 불평등한 대우로 이어질 수 있다. 여성의 소득 증가는 가구 소득 상승뿐만 아니라 여아 생존율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62] 여성의 경제적 가치는 저개발 국가에서 나타나는 성 감별 낙태와 "여성 증발" 현상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162]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는 국내총생산(GDP) 증가를 통해 국가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세계은행의 제임스 울펜슨(James Wolfensohn)은 여아 교육이 사회 발전의 모든 측면에 촉매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161] 여아 교육 확대는 아동 및 임산부 사망률 감소, 남아와 여아 모두의 교육 성취 향상, 국가 생산성 및 환경 관리 능력 증진으로 이어져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4. 전 세계 여성 임금노동 현황

대부분의 지역에서 여성은 농업에 종사하면서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남아시아, 서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농업 외의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 인구는 20%에 불과하다. 그러나 농업 외의 일을 하며 임금을 받는 여성의 비율은 2008년에 이르러 41%까지 증가했다.[163]

전 세계적으로 여성들이 주로 종사하는 임금 노동 중 하나는 전통적인 행상(行商)업이다. 중앙 아메리카, 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 여성들은 고대 시절부터 가정 밖으로 나가 시장에서 상업에 종사했다.

20세기에 들어 해외 이동량이 늘고, 외국에서 가사도우미 일을 구하여 이민을 가고 고국을 떠나는 경우가 늘면서 여성 임금노동에 전 세계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현재 가사도우미 일을 하는 여성 노동자들은 대부분 필리핀 출신이다. 1990년대 이전 필리핀 출신 이주 노동자들은 대부분 남성이었으나, 2012년에는 여성들이 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63] 해외에서 일하는 필리핀 여성은 수백만 명에 이르며, 2012년 13만 8천 명 이상의 필리핀 가사도우미들이 해외 취업을 승인받았다.[163] 이는 필리핀 여성들 중 많은 수가 자녀를 친인척에게 맡기고 해외로 떠나고 있음을 뜻한다. 필리핀 등 여러 국가에서 외국으로 나간 가사도우미들은 착취에 쉽게 노출되며, 특히 가사도우미 수요가 많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금전 및 성적인 착취와 신체적 학대를 빈번하게 겪고 있다. 한편 필리핀 출신의 남녀 해외 노동자들이 고국으로 보내는 돈은 미화로 매월 1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64]

방갈로르 지하철의 기관사 및 철도역 관제사 중 33%가 여성이며, 이는 다양한 여성친화적 노동환경을 조성하려 한 노력의 결실이다. 근무자의 자녀는 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고, 여성 기관사들은 자택에서 가까운 역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별도의 휴게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야간 근무를 할 수 없는 여성 근무자들은 오전이나 저녁 시간으로 대체하여 근무한다.[165]

4. 1. 분야별 여성참여

컴퓨터 분야 예비 사업가들이 모이는 교류행사에 참석한 미국 여성들


2008년 개최된 한 음악 축제를 취재 중인 여성 사진기자


노동자 성비는 분야별로 다르며, 이는 특정 분야에서 특정 성별 위주의 집단화가 이루어진 결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에는 전통적인 성역할 관념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한다. 직업별 성별 분포는 다양한 사회적·경제적·문화적 변인에 의해 나타나며, 지역과 국가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UN에서 취합한 2004~2007년 평균 통계는 이러한 실제를 반영하고 있다.[166]

'''부문별 노동자 성별분포 분포(2004~2007)'''[166]

지역농업산업서비스
아프리카여성 43% / 남성 42%여성 11% / 남성 20%여성 46% / 남성 39%
아시아(중국 제외)여성 32% / 남성 26%여성 12% / 남성 25%여성 56% / 남성 49%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여성 7% / 남성 22%여성 13% / 남성 27%여성 80% / 남성 51%
유럽 및 기타 선진국 지역여성 6% / 남성 8%여성 15% / 남성 36%여성 79% / 남성 55%



상세한 통계를 보면 지역 간 격차가 크게 나타난다. 동아시아에서는 농업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가 11%로 나타나는데 남아시아에서는 55%로 수치가 크게 상승한다. 한편 남아프리카에서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는 70%에 달하는 반면 중부 및 동서 아프리카에서는 여성 노동자 중 26%만이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166]

국제노동기구는 개발도상국에서 여성들의 노동 참여율이 16.5% 감소한 원인으로 여성들에게 안전하지 않은 대중교통을 지목한다.[167][168]

직업 선택의 경향성 또한 성별 임금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성이 다수를 차지하는 직종은 남성이 다수인 직종보다 임금이 적은 경향이 있다는 뜻인데, 이는 한 직종 안에서 나타나는 임금 성차별과는 차이가 있다. 여초 직종에 종사하는 남성들도 마찬가지로 낮은 임금을 받기 때문이다. 직업 비유사성 지표는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목표로 특정 성별의 노동자들이 특정 분야로 편중되는 정도를 0점에서 100점까지의 점수를 매기는 지표이다. 1960년 미국의 비유사성 지표 점수는 62점이고, 2000년에 이르러 47점까지 감소했지만 여전히 선진국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169][170]

5. 여성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조직들

미국여성노동조합(WTUL)은 1903년에 설립되어 여성의 임금 문제 해결과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171] 1920년에 설치된 미국 노동부 여성국은 여성 노동자의 노동 환경을 안전하게 개선하고 직장에서 동등한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72]

1956년에는 월스트리트의 여성들이 주축이 되어 여성경제인협회(FWA)를 설립, 여성 사업가들의 업적을 알리고 금융 분야의 전문성 향상을 통해 여성의 금융업계 진출을 장려했다.[173] 1966년 베티 프리던 등 여성주의자들은 전미여성기구(NOW)를 설립, 미국 최대 여성인권단체로서 직장 내 성차별 종식을 위해 로비, 소송, 집회 및 시위 활동을 전개했다. 현재 NOW는 50만 명의 회원과 50개 주에 550개의 지부를 두고 있다.[174]

1972년 설립된 여성경영인연합(NAFE)은 여성 연합원들의 성공적인 직장 생활과 경제적 안정을 위해 교육 서비스, 인적 네트워크 제공, 권익 보호 활동을 전개한다. NAFE 연합원들은 기업 여성 중역, 자영업자, 사업가 등으로 구성되어 직장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173] 이러한 단체들은 여성 노동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법적 활동을 이어가며 직장에서 여성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6. 여성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법적 제도

각종 국제단체의 노력으로, 현재 여성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법이 마련되어 있다. 국제 노동 기구(ILO)는 C189 가사도우미 권리협약, 평등 보수 협약, 고용 및 직업 차별 금지 협약, 모성 보호 협약 등을 비준했다.[175] 유엔 총회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을 채택했다.[176] 유네스코는 교육 차별 금지 협약을 채택했다. 이주 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에 관한 국제 협약은 2003년에 발효되었다.

인신매매는 주로 어린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국제법들이 제기되고 있다.[177] 모성 보호 관련 법률은 여성이 출산으로 인한 차별을 겪지 않도록 보호한다.[178]

일본의 경우 1985년 남녀 고용 기회 균등법이 제정되어 수차례 개정되었다.

7. 여성 대표들

유럽의 여성 의사결정자들은 자국 및 유럽 대륙 단위의 여러 네트워크를 조직하여, 유럽 전역의 정치 및 경제 분야에서 여성 의사결정권자들을 육성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1980년대에 주로 형성되었으며, 20세기 초에 결성된 국제여성 기업인 및 전문직 여성단체나 존타 인터내셔널과 같은 봉사적인 조직들과는 성격이 다르다.[179]

그 중 하나인 여성관리자협회(WIMBIZ)는 일반적으로 남성들이 중심이 되는 경영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모인 네트워크로, 여성 경영인들이 자신의 영감과 아이디어, 리더십과 역량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럽 정치 및 경제 분야의 여성 의사결정권자 네트워크에 속한 단체들은 유럽 연합 위원회의 지원을 받고 있다. 주요 단체는 다음과 같다.

단체명설명
기초 및 광역자치단체 선출직 여성 위원회유럽 기초지방자치단체 및 광역자치단체의회 여성의원 대상
국제 경영인 및 전문직 여성 연합(Business and Professional Women) 유럽 지부
지중해 지역 여성 경제인 단체 연합
유럽 상공 회의소 연합(Eurochambres) 여성 네트워크
유럽 여성 과학자 플랫폼(European Platform of Women Scientists)
유럽 연합 소속국가 국회 성평등위원회 네트워크
유럽 여성 기업가정신 촉진 네트워크
유럽 여성 로비(European Women's Lobby)
유럽 여성 변호사 협회
유럽경제위원회 성평등문제 네트워크
유럽 여성 발명가 및 혁신가 네트워크
유럽 여성 경영자 교육 네트워크(European Women's Management Development International Network, EWMD)
지방자치단체 선출직 교육재단 네트워크(Femanet) – 유로카드(Eurocadres)
유럽 전문직 여성 네트워크(European Professional Women's Network, EPWN)
여성 경제사회 포럼



사회 고위층 출신인 여성들은 그 이하 계층 출신인 여성보다 노동 시장에서 더 높은 지위를 차지할 기회가 더 많다.[183]

8. 평등을 막는 장애물들



농경사회와 산업사회의 형성과정이 성역할의 구성에 영향을 주었듯, 새롭게 나타난 직업과 산업 분야도 성(gender)에 영향을 받고 있다. 직업 환경에서 나타나는 성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 특정 분야 진출 또는 연구를 금지하거나 제한함
  • 임금, 인사, 고위직 임명 등에서 차별
  • 아이의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주 양육자일 것으로 예상함


이러한 경향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여성뿐 아니라 남성에게도 제약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사회규범과 법에 의해 특정 분야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제한받은 것은 여성이었다. 따라서 인권법 및 관련 판례들은 여성의 동등한 참여를 보장하는 방향에 집중했다. 이러한 장벽은 숨은 편견에 의한 미시적 불평등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농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은 일터에서 빈번하게 성폭력을 겪는다. 이 분야의 여성 노동자들 중에는 미등록 체류자가 많으며, 남성 동료나 상급자들이 이를 약점으로 이용해 성적 착취를 한다. 피해자들은 생업 유지를 위해 피해를 감내하는 경우가 많고, 미등록 체류자 신분으로 경찰에 신고할 경우 강제 추방당할 수 있어 신고가 어렵다.

8. 1. 교육 및 훈련을 받을 기회

19세기에서 20세기 사이, 여성들은 고등교육에 접근할 기회가 제한되어 전문직을 가질 기회 또한 제한되었다. 예를 들어, 케임브리지 대학교는 1868년까지 여성의 입학을 금지했고, 1987년 기회균등 정책이 도입되기 전까지 여학생들에게 여러 제약을 가해 학업에 지장을 주었다.[185] 비슷한 시기에 서유럽과 미국의 많은 기관들이 여성에게 문을 열었지만, 개발도상국 여성들은 여전히 고등교육을 받을 기회를 제한받아 노동시장에 진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제도적으로 여성에게 고등교육 기회가 열리더라도, 사회 관습에 의해 초등교육 기회부터 제한받는 상황에서 여성들은 직업 선택의 자유를 완전히 누리지 못했다.[186]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는 고용, 자영업, 소득 증대를 목표로 국가 주도의 직업 및 경영 교육이 이루어진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이러한 교육의 효과성을 검토한 35개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고용 및 소득 증대에는 다양한 변수가 작용했으며 교육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교육 효과를 높이려면 성평등 문제를 교육에 반영해야 한다고 보았다.[187]

UN식량농업위원회는 아프리카 여성들의 공식 경제활동 및 대규모 사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경영 교육, 사업체 운영 훈련, 의식 교육, 경제 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지적했다.[188] 여성의 교육 수준이 낮으면 여성의 경제활동이 비공식 영역에만 머무르게 되기 때문이다.[188]

USAID 문해력 행사에 참석한 마사이 여성들

8. 2. 자본에 대한 접근성

여성들은 자본금에 접근하는 과정에서도 불평등을 겪기 때문에, 기업 및 사업체 경영, 농장 경영, 금융 투자 등의 분야에도 진출하기 어렵다.[189] 이러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 차원의 소액 융자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마련되고 있으며, 스타트업이나 농장 경영 등에 도전하는 여성들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국가 경제의 발전을 도모한다.[190]

제1회 여성 경영인 회담에 참석한 브라질 바이아 주의 주지사


수납장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인도 여성들.


아프리카 여성들은 각종 금융 서비스와 부동산과 같은 법적 소유권이 인정되는 자산에 접근할 기회가 적다. 그로 인해 여성들의 투자율이 낮고, 여성이 대표인 중소기업체의 성장 또한 더디다.[188] 여성들이 겪는 담보 제약을 완화하는 것이 여성 생산자들과 사업가들의 공식적 경제 영역에서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188] 남아프리카 여성들과 비공식적인 무역업을 조사한 결과, 여성이 사업 자금을 마련할 때는 상업은행 혹은 정부 차원의 지원보다 개인 저축금과 계모임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1][188] 유럽투자은행은 2019년 말에 아프리카 전역의 여성 사업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출 등의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쉬인베스트(SheInvest) 프로그램을 신설하였고, 투자금 10억유로를 유치하였다.[192][193] 또한 2022년 말 아프리카와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성차별 시정 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자금으로 20억유로를 추가로 조성하였다.[194][195][196]

한국에서도 여성의 자본 접근성 문제는 존재한다.[54]

8. 3. 직장 내 성차별



남성과 여성이 서로 다른 직업에 적합하다는 생각은 수평적 분리라고 알려져 있다.[60]

직장 내 통계적 성차별은 근로자가 오랫동안 회사에 남아 있을 가능성에 대한 추정 확률에 근거한 의도하지 않은 차별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고용주들은 여성들이 아이를 갖기 위해 노동 시장에서 이탈하거나 아이를 키우면서 시간제 근무를 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한다. 이는 승진 기회를 저해하는 경향이 있다. 여성은 떠날 가능성 때문에 승진에서 제외되고, 이러한 고정관념 때문에 상향 이동의 기회가 거의 없는 직위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61]

여성은 동등한 임금 법을 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적은 돈을 번다.(다른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47][62]

성별 분화는 직장에서 남성과 여성을 서로 다른 환경과 임무로 분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성별 분리라는 개념으로 이어진다.[63] 성별 분리에 대한 설명은 문화적 신념과 남성이 직장에서 자신의 이점을 유지하려는 노력이라는 두 가지 주요 범주에 속한다. 성별과 직업에 대한 문화적 신념은 성별 고정관념을 강조한다. 특정 문화는 이러한 성별 고정관념, 즉 성별에 근거한 개인에 대한 가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는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적 사고로 이어진다. 이러한 성별 고정관념이 성별과 관련될 때 직업은 남성 또는 여성으로 분류된다. 성별에 대한 문화적 신념은 여성이 직면하는 직장 내 불평등을 보여준다. 서구 및 동양 문화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우월하다고 여겨지며, 이는 직무, 권위, 임금의 성 불평등으로 이어진다. 여성은 보호와 보살핌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이는 많은 직업에서 그들의 기회를 빼앗는다.[63]

성 불평등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은 지배 집단이 자신의 지위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남성이 직장에서 자신의 이점을 유지하려는 노력과 같다. 여성이 남성 중심적인 직업, 특히 "마초" 직업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면 남성의 남성성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여성의 노동력 평등은 권위, 가족 또는 정치적 삶과 같이 남성이 원하는 다른 영역에서 특권을 약화시키는 위협이 된다.[64] 때때로 남성이 선택하는 해결책은 여성을 직업에서 몰아내려고 하는 것이다.[63]

8. 4. 여성 당사자들의 행동

노동자들은 직업이 비슷한 다른 노동자들과 사회적, 공간적으로 동질적인 집단을 이루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노동자 군집화(employee clustering) 과정이라고 한다.[70] 여성들은 소득이 비슷한 다른 여성들과 무리를 짓게 되며, 주위 여성들이 받는 보수가 자신의 보수와 비슷하면 자신이 평균적인 대우를 받고 합당한 보수를 받고 있다고 믿는다. 일부 여성들은 성차별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여 동일한 조건의 남성 노동자보다 적은 임금을 받더라도 그에 만족한다.

여성이 남성과 비교했을 때 타인과 대립하는 태도나 강한 태도를 적게 드러내는 것도 불평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임금인상을 요구할 때 남성이 여성보다 더욱 공격적으로 임하기 때문에 임금 격차가 심화되는 측면이 있다.[70] 이는 아주 어릴 때부터 서로 다른 성 역할을 학습하기 때문이다. 성인으로 치면 일터와 유사한 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환경에서, 학령기 남아와 여아는 비슷한 수준의 적극성과 수동성을 보인다. 그러나 남아는 학교생활과 체육활동 등에서 경쟁적이고 타인을 지배하는 태도를 가지라는 주위의 압력을 더 받으며, 여아들은 "이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와 같은 태도는 그만큼 강조받지 않는다.[71] 이러한 사회화 과정에서의 차이가 여성으로 하여금 일터에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덜 드러내게 만든다.

성별임금격차를 강화하는 또 다른 문제는 자녀 문제로 경력단절을 감수하고, 직장을 떠나는 시간이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더 길다는 점이다. 같은 시기, 같은 직책에 있는 남성들은 경력을 유지하여 승진 기회를 얻거나 임금 인상을 받는다. 한편 일터를 떠났다가 다시 직장으로 복귀하는 여성들은 경력단절을 겪지 않은 동료보다 더 낮은 임금이나 지위를 제안받는다.

8. 5. 성별 격리

성별 격리는 직장에서 발생하는 성차별의 한 형태로, 남녀에게 서로 다른 업무를 부여하거나, 같은 업무를 하더라도 시간적, 공간적 환경을 다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201] 이는 특정 성별에 대한 문화적 관념과 남성들의 기득권 유지 노력의 결과로 설명된다.[201]

기술적 성 고정관념은 여성이 가진 특질을 강조하는 반면, 규범적 성 고정관념은 여성이 지녀야 할 특질에 대해 강조한다.[208] 전자는 직장 내 차별을 야기하고, 후자는 여성 전반에 대한 차별을 강화한다. 규범적 성 고정관념을 위반한 여성은 "여성적이지 못하다"는 이유로 징벌적 성격의 차별을 받게 된다.[208]

역사적으로 '남성은 농업, 여성은 가사'라는 성별 분리 형태가 존재했으며, 이는 여성들이 가정 밖에서 직업을 얻게 된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다.[205] 남성은 자신의 남성성을 통해 권위를 정당화하며, 남성 지배적인 산업은 여성이 해당 분야에서 족적을 남기지 못하게 한다.[205] 남성의 "남자다운 행동"은 여성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여성에게 이를 인내하게 압박한다.[205] 여성 격리의 또 다른 형태는 남성 지배적 문화를 규범화하는 것이다. 남성은 육체적으로 더 강하다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여성의 진입을 막는다.[206]

여성주의 관점에서 보면, 남성의 성은 직업 세계에서 이점으로 작용하고 여성의 성은 불리하게 작용한다.[206][207] 한편, 성별 격리는 여성과 남성이 서로 다른 직업을 선택하는 데서 발생할 수 있다.[201]

9. 사회 계층별 성차별의 양태

지난 50년 동안 미국 등 산업화를 거친 국가들은 성평등을 이룩하기 위한 큰 변화를 겪었다. 1960년대 여성주의 인권운동을 계기로 여성의 노동 참여가 크게 증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도 남성 노동자의 대체인력으로서 여성 노동자 수가 증가했지만, 1960년대 후반 공식적으로 기록된 여성 노동자의 증가는 남성과 별개로 여성들이 순수히 노동시장에 진입한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외벌이에서 맞벌이로 가계를 유지하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전후 산업사회의 사회경제적 계층구조가 크게 변화하였다.

오토바이를 수리하는 미국의 여성 정비사.

9. 1. 중상류층에서의 변화

피임 기술이 크게 발달하면서 중상류층 여성들은 결혼 및 자녀 계획을 미루고 학업이나 경력 개발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209][210][211][212] 중상류층 가정의 여성 자녀들은 고등교육을 받을 기회가 늘었고, 직업상의 평등이 보장되면서 높은 보수와 사회적 지위가 주어지는 직업을 과거보다 더 많이 얻을 수 있게 되었다.

9. 2. 노동계층에서의 변화

저임금 노동에 종사하는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임금차별을 더 많이 겪는다.[213] 노동계층 여성들은 같은 위치에 있는 동일 계층의 남성보다 훨씬 적은 보수를 받으며, 고소득층 여성들과 비교했을 때 배우자가 가사에 협조하는 정도도 매우 낮다. 고등교육을 받지 못한 여성들 다수가 노동시장에 들어와 노동력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면서 인건비가 전반적으로 낮아지고, 취업시장 경쟁률 또한 상승했다. 남성의 소득이 낮아지고 피임 기술이 발달하면서 저소득층 여성들의 결혼 전망도 어려워지고 있다.[213]

여성의 사회경제적 계층화가 남성과 마찬가지로 급격하게 진행된 결과, 중상류층과 하류층 사이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214] 여성주의 운동 이전에는 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남성 배우자 또는 아버지의 지위로 결정됐다. 오늘날에는 좋은 직업을 가진 남성이 좋은 직업을 가진 여성을 배우자로 선호하기 때문에, 고소득층은 고소득층끼리, 저소득층은 저소득층끼리 결혼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경제적 양극화가 가속되고 있다.[214]

10. 여성의 노동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

2008년 영국 의학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남성에 비해 여성은 단시간 병가를 46% 더 많이 사용했고, 단기 병가는 3배 가량 많이 사용했다. 60일 이상 장기 병가 사용은 남녀가 비슷한 수준이었다.[215]

미국 노동부는 1993년 가족 및 의료 휴가법 20주년을 기념했다


여성 노동인구가 3배 이상 증가하면서, 남녀 모두 자녀나 아픈 가족을 돌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은 1993년 가족돌봄 및 질병치료를 위한 휴직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노동자가 연간 최대 12주의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216]

저임금 직종에 종사하는 여성은 임금 차별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 이들은 동등한 직위의 남성보다 훨씬 적은 임금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고소득 여성보다 남편으로부터 가사 지원을 훨씬 적게 받는다. 낮은 교육 수준의 여성이 대거 노동 시장에 진입하면서 일부 남성의 수입이 감소했는데, 이는 여성들이 더 많은 직업 경쟁을 초래했기 때문이다. 남성의 상대적 소득 감소와 피임의 증가는 저소득 여성의 결혼 전망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81]

한국 역사상 최초로 수 세기 동안 남성들 사이에서 존재해 온 것과 같은 뚜렷한 사회경제적 계층화가 여성들 사이에서도 나타났다. 이는 상류/중산층과 하류/노동계급 간의 불평등을 심화시켰다. 여성 운동 이전에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거의 전적으로 남편/아버지의 직업에 따라 결정되었다. 이제 높은 지위를 얻는 여성들은 높은 지위의 직업을 가진 남성들에게 매력적인 배우자가 되었고, 따라서 고소득자는 고소득자와 결혼하고 저소득자는 저소득자와 결혼했다. 즉, 부자는 더 부유해지고 가난한 사람은 그대로였으며, 경제에서 경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60]

10. 1. 의약품의 영향

피임약 기술이 발달하고 캐서린 맥코믹 등의 여성 운동가들이 끊임없이 투쟁한 결과,[217] 1960년대에 미국 여성들은 피임약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곧 전세계 여성들이 피임약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여성들은 자녀를 가질 시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력이 커졌다. 이는 여성뿐 아니라 남성의 삶 또한 바꾸었다. 롭 노턴(Rob Norton)은[218] 자신의 글에서 피임약의 보편화가 남녀 관계 전반에 일으킨 두 가지 변화를 언급했다. 하나는 여성들의 교육 기회와 진로 개발에 일어난 직접적인 변화로, 피임약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마치거나 직업 상의 목표를 성취할 때까지 임신을 미룰 수 있게 된 것이다. 다른 하나는 결혼을 하거나 가족을 이룰 계획이 있는 남녀 모두에게 일어난 간접적인 변화로, 장래에 배우자를 찾지 못할 수도 있다는 걱정을 덜고 직장생활 등 개인의 성취에 집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0. 1. 1. 가정친화적 사내 정책의 미비

2000년대에 들어 미국 여성들의 노동 참여가 감소한 이유 중 하나는 일터에 가정친화적인 정책이 미비하기 때문이다.[219] 유급 육아 휴직 제도가 전 세계적으로 정착 및 확대되는 가운데, 미국은 이에 관련한 개선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아일랜드는 26주, 중국은 14주의 유급 휴직을 보장하는 것과 비교된다. 미국 여성들은 다른 국가의 여성들보다 직장에서 높은 직책에 오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출산 휴가 및 육아 휴직을 적게 사용하고 그만큼 직장에서 경쟁력을 얻어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장에 가정친화적 제도가 미비한 현실은 일하는 여성과 그 자녀들의 정신 건강에 해를 끼치며, 결과적으로 여성의 노동 참여를 위축시킬 뿐만 아니라 남성의 삶에도 악영향을 준다.[219]

10. 2. 출산

여성의 노동 참여는 출산율 감소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 국가별 패널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출산율 요인 효과는 20~39세 여성에게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지만, 나이가 많은 여성에게서도 덜 강력하지만 지속적인 효과가 나타났다.[220] 한편 UN의 자료에 따르면 일 자체를 목적으로 하여 일을 하는 여성보다 경제적인 이유로 일을 하는 여성들의 출산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21]

여성 고용은 둘째 자녀 계획과는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는 첫째 자녀 계획에서 나타나는 것과는 반대된다.[222]

이와는 별개로 OECD 회원국 전반을 보면 여성의 노동참여가 늘어날 수록 출산 또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223]

인과관계 분석에 따르면 출산율이 여성의 노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비해, 여성의 노동 참여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224]

돌봄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들은 다른 분야의 노동자들보다 이른 나이에 자녀를 갖는 편이다.[224] 이는 자녀돌봄과 일을 병행하기 위해 일과 삶의 균형이 비교적 잘 유지되는 직업을 선호하는 여성들이 위와 같은 직업을 선택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224]

11. 여성노동의 역사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보론코바-다시코바는 세계 최초로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여성 회장으로 취임하였으며, 유럽 최초의 여성 정부 요인이자[225] 러시아 아카데미의 초대 총재였다.

1870년 미국 인구 조사에서는 전체 노동인구 중 15%가 여성 노동자였으며, 이들은 주로 의류업과 교육 분야에 종사했다. 금속 제련, 광산, 수렵 등 예상 밖의 분야에서 일하는 여성들도 있었다.[229]

19세기 말부터 서양에서는 여성들의 노동 참여가 크게 증가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기는 "고요한 혁명기"라 불린다. 1970년대 초 여성들이 대학과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의학, 법학, 치의학 및 경영 등 분야의 전문성이 높아졌다. 대학에 들어가는 여성들이 늘고, 35세 무렵 결혼과 자녀 계획 때문에 퇴직을 하던 이전 세대 여성들과 달리 대체로 직업을 유지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1965년부터 2002년까지 여성의 노동 참여 증가폭은 남성의 노동 참여 감소를 상쇄하고도 남을 정도로 컸다.[240]

1970년대 변화의 주역으로 피임약이 거론된다.[241] 1960년대에 의료 목적의 피임약 사용이 허가됐지만 법적인 제약으로 접근이 어려웠다. 1965년 ''그리월드 대 코네티컷 사건'', 1972년 아이젠슈타트 대 베어드 사건 등을 거치며 피임약 접근 권리가 확대되었다. 1970년대 베트남 전쟁으로 미국의 법적 성인 연령이 21세에서 18세로 낮아지면서 여성들의 의료적 자기결정권에도 변화가 일었다. 기혼 여성들도 임신을 미루는 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면서 여성들은 교육과 직업 등에 대해 숙고할 여유를 갖게 되었다. 가전제품으로 가사노동 부담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주었다. 점차 피임약이나 가전제품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여성들까지 노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됐다.[242]

11. 1. 19세기

여성들은 고대부터 농업에 종사하였으며, 산업혁명은 유럽 등 서방 세계에서 "일"의 개념을 바꾸었다. 방직 공장과 기계 및 각종 제품 조립 공장에서 일하는 여성 노동자 수는 19세기 동안 꾸준히 증가하였다. 이 시기에도 여성에 대한 임금차별은 존재했다. 1870년 미국 인구 조사는 당대 여성들에 대해 흥미로운 사실을 보여준다.[226][227][228][229]

산업 혁명 하의 영국에서 방적업, 다음으로 면포업이 공장화되면서, 그동안 가내 수공업에 종사하던 여성들은 공장 노동자가 되었다. 여성들은 수입이 늘었고, 그 사회적 지위도 종전보다 높아졌다.[119]

유럽의 상위 중산 계급에서는 유년기 교육을 위해 가버니스라고 불리는 여성 가정 교사를 고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미혼 여성들에게도 구인 기회가 있었다. 중상류 계급이라면 레디즈 컴패니언, 사립 여학교 경영, 문필업 등 분야는 한정되어 있지만, 능력을 활용하여 자립할 수 있는 직업이 탄생했다.

  • 1802년 - 1833년 - 영국에서 로버트 오언 등의 운동으로 방적 공장법이 성립되어 아동 노동이 규제되었다.
  • 1844년 - 영국에서 공장법 개정. 여성 노동에 아동과 같은 노동 시간 규제를 적용했다. 12시간 노동.
  • 1847년
  • 영국에서 공장법 개정. 10시간 노동.
  • 타자기가 시장에 등장했다. 타이피스트는 비서의 연장선상에서 여성의 직업으로 여겨지게 되었고, 여성들이 사무직에 종사하게 되었다.[120][121]
  • 1878년 - 보스턴 텔레폰 디스패치 컴퍼니가 Emma Nutt을 교환원으로 채용. 이후부터 전화 회사들은 교환원으로 여성을 채용하게 되었다.

11. 2. 20세기

20세기 초, 사회는 여성에게 '도덕의 수호자' 역할을 부여했다. 여성은 남성보다 더 섬세한 본성을 지녔다고 여겨졌으며, 순수함을 지키며 가정을 이루고 아이들에게 도덕을 가르치는 것이 여성의 역할이라고 생각되었다.[230][231] 그러나 같은 시기에 여성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뀌기 시작했고, 북미와 서유럽 여성들의 교육 수준은 계속 높아졌다. 1900년대에는 대학교 5개 중 4개가 여학생들의 입학을 허용했으며, 남녀공학 학교도 늘어갔다.[232]

제1차 세계 대전은 미국에서 여러 사회경제적 변화를 일으켰고, 노동 현장에서 여성의 자리가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전시 상황으로 인해 유럽에서 상품 생산량의 수요가 증가하자, 집을 나서서 노동을 하는 여성들이 늘어났다. 20세기 초 여성들은 대부분 공장 노동자나 가정부로 일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백화점 판매직원, 사무직원, 비서 등, 소위 "레이스 칼라" 직종에도 종사할 수 있게 되었다.[233] 1920년 7월 뉴욕 타임스는 "치마를 높이 걷어올린 미국 여성들(the American Woman... has lifted her skirts far beyond any modest limitation)"이라는 헤드라인을 뽑아냈는데, 이는 여성들이 노동의 세계로 뛰어드는 세태를 반영한 것이었다.[234]

제2차 세계 대전은 수백만 개의 여성 일자리를 창출했다. 많은 미국 여성들이 군에 입대했는데, 육군 여성병단에 14만 명, 해군에 10만 명, 해병에 2만 3천 명, 해군간호대에 1만 4천 명, 해안 경비대에 1만 3천 명이 입대했다. 이들은 직접 전투를 수행하지는 않았지만, 남성 비전투원의 대체자로서 남성과 동일한 보수를 받았다. 남성 1천 6백만 명이 전쟁에 동원되어 일터를 떠나자 여성들의 자리는 더욱 늘었다.[235] 종전 후 여성 200만 명이 일자리를 잃었지만, 여성의 노동 참여는 전쟁 이전과 비교할 때 매우 높아졌다.[236] 전후 미국 사회는 여성들이 가정으로 돌아가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기를 바랐다. 각종 여성 신문과 여성 잡지들은 '남편이 일을 나간 동안 아늑한 집을 지키라'고 독려하는 글을 실었고, 여성들이 벗어나고자 하는 공간인 가정이야말로 "여성 본연의 영토"라고 묘사했다.[237][238] 그럼에도 여성들은 여전히 직업을 구하고 경제활동을 했는데, 주로 "핑크 칼라"라 불리는 비서나 소매점 직원 등의 직업으로 한정되었다.[239]

1918년 영국, 울리치 아스날에서 일하는 여성의 모습


리벳공 로지"의 이미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성들의 노동 참여를 독려한 미국 정부의 노력을 보여주며, 초기 여성주의의 메시지를 대표하게 되었다.

11. 3. 고요한 혁명

19세기 말엽부터 서양에서는 여성들의 노동 참여가 크게 증가했다. 혁명의 첫 장은 19세기 말부터 1930년대에 "독립적인 여성 노동자"가 나타나면서 펼쳐졌다. 1890년부터 1930년까지 '일 하는 여성'은 일반적으로 나이가 어리고 결혼하지 않은 여성이었으며, 이들은 일을 거의 배우지 않고 사무직이나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에 종사했다. 방직공장에서 일하거나 가정에서 직물을 생산하는 여성들 또한 많았다. 결혼을 하게 되면 맞벌이가 필요한 상황이 아닌 이상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일을 그만두었다.[242]

두 번째 장은 1920년 말에 들어 결혼 후 일을 그만두는 여성들이 점차 줄어들면서 펼쳐졌다. 35세에서 44세 사이의 기혼 여성의 노동생산력은 10%에서 25%로 약 15% 상승하였다. 특히 사무직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고등학교를 졸업한 여성이 늘자 이 '안정적이고 존경받는' 직업을 차지하는 여성들도 늘었다. 1930년부터 1950년 사이에 일어난 변화는 여성 노동의 전환기였다. 기혼 여성을 퇴직시키는 제도가 사라지고 결혼하지 않은 여성과 결혼한 여성 모두가 노동을 하게 되었다. 여성의 노동참여는 여성의 고등학교 입학률과 사무직 노동 수요의 증가가 맞물리며 확대됐다. 하지만 여전히 여성이 일하기를 결정하는 요인은 남편의 수입이었다. 여성들은 보통 경제적인 필요 때문에 일하기를 선택했고, 경력을 쌓거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등의 개인적 욕구를 위해 일하는 것은 드물었다.[242]

혁명의 세 번째 장은 1950년부터 1970년대 중반에 펼쳐졌으며, "여성 노동 혁명의 기원"이라고 불린다. 여성들이 꿈꾸는 미래상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여성들은 대학에 진학하고, 결혼 후에도 일을 하며, 대학원에도 진학하는 미래를 그렸다. 그러나 여성 대부분이 임시직이나 단기직으로 일했으며, 경력에 대한 기대는 적었다. 여성들 대부분은 가정경제의 부수입원으로서 일하였고, 소위 '핑크 칼라'라 불리는 비서, 교사, 간호사, 도서관 사서 등의 직업에 종사했다. 이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직장에서 겪었던 성적 괴롭힘에 대해서는 영화 ''<나인 투 파이브>''에서 다뤄진다. 여성의 대학 진학률은 증가했지만 대체로 더 나은 배우자를 구하려는 목적이 컸기 때문에 이들의 학위는 '결혼용 학위'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럼에도 여성들의 노동 참여는 유의미하게 증가했다.[242]

1970년대 후반부터 현재에 이르는 네 번째 장은 "고요한 혁명기"라 불린다. 1970년대 초 여성들이 대학과 대학원에 물밀듯이 들어오면서 의학, 법학, 치의학 및 경영 등 분야의 전문성 또한 높아졌다. 대학에 들어가는 여성들이 늘고, 35세 무렵에는 결혼과 자녀 계획 때문에 퇴직을 하던 이전 세대 여성들과 달리 대체로 직업을 유지하고 일을 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연인이나 배우자와의 관계보다 자신을 우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965년부터 2002년까지의 자료를 볼 때 여성의 노동 참여 증가폭은 남성의 노동 참여 감소를 상쇄하고도 남을 정도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240]

일군의 연구자들은 피임약을 1970년대에 나타난 변화의 주역으로 보고 있다.[241] 1960년대에 의료 목적의 피임약 사용이 허가됐지만 법적인 제약이 많아 실질적인 접근이 어려웠다. 그러다 부부가 피임 기술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것이 헌법상 자기결정권을 침해한다고 판단한 1965년 ''그리월드 대 코네티컷 사건'', 결혼하지 않은 사람들이 피임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정립한 1972년 아이젠슈타트 대 베어드 사건 등의 과정을 거치며 피임약에 접근할 권리가 확대되었다. 1970년대에 일어난 베트남 전쟁으로 미국에서 법적 성인으로 인정되는 연령이 21세에서 18세로 하향되면서, 여성들의 의료적 자기결정권에도 변화가 일었다. 기혼 여성들도 임신을 미루는 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시대가 오자 여성들은 교육과 직업 등에 대해 숙고할 여유를 갖게 되었다. 각종 가전제품이 가사노동의 부담을 덜어준 것도 한몫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점차 피임약이나 가전제품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여성들까지 노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됐다. 이 시기의 변화는 이렇듯 격렬한 모습을 띠기보다는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고요한 혁명"으로 명명됐다.[242]

11. 4. 21세기

21세기 여성 노동자들은 남성에 비해 일로 인한 번아웃을 겪는 경우가 더 많다. 2020년 초에 시작된 COVID-19 대유행은 노동 환경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팬데믹의 충격을 가장 크게 겪은 산업 분야는 여성들이 주로 종사하는 분야였으며, 한국에서도 2020년 전년 대비 남녀 실업률 증감률을 비교한 결과 남성과 달리 여성의 실업률은 11퍼센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43] 가사 및 돌봄 노동을 부담하는 여성들은 여기에 더해 팬데믹으로 학교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의 운영이 중지되자 부담이 더 커지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244] 이에 더하여 동결된 임금, 급등하는 생활 물가, 제한되는 승진 기회, 적대적인 노동 환경, 적은 혜택, 경직된 원격 근무 정책, 해소되지 않는 직무 불만족 등이 2021년 대퇴직 사태를 초래했다.[245]

한편 팬데믹을 거쳐가는 동안 유연근무 제도가 정착하고, 여성 노동자들의 필요를 고려한 사내 문화가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관리자로 승진하는 여성의 수가 증가하고, 배우자 혹은 동거인과 공평하게 가사를 분담하는 경향이 커지는 긍정적인 영향 또한 남았다.[244]

12. 산업안전보건

여성들이 겪는 직업 관련 재해 및 질환은 남성들이 겪는 것과 차이를 보인다. 여성들은 손목터널증후군, 석회화건염, 불안장애, 정신적 스트레스, 호흡기 질환 등을 자주 겪으며, 근무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을 겪는 비율이 남성보다 높다.[246][247] 이러한 차이는 생물학적 차이 혹은 여성들이 근무하는 환경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성이 직업 관련 스트레스를 더 크게 느끼는 이유는 가정에서 돌봄노동을 도맡은 경우가 많고, 기간제 혹은 계약직으로 일을 하는 비율이 남성보다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여성 노동자들을 중점으로 하는 직업 재해 연구는 계속 진행 중이며, 특히 유방암자궁경부암 발병에 영향을 주는 직업환경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46] 성적 괴롭힘은 여성 노동자들이 흔히 겪는 직업상 재해로, 불안과 우울, 메스꺼움, 두통, 불면 등의 증상을 야기하고, 여성 노동자의 자아존중감을 손상시키며 직장에서의 소외감을 초래한다. 직업 스트레스 또한 여성들이 많이 겪는 문제인데, 이는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여성에게 더 크기 때문이다.[247]

13. 일본 여성 노동

여성 노동자의 많은 수가 자신의 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동을 제공한다. 태고부터 여성은 농작업 등에 참여하여 노동을 제공해 왔지만, 남성의 소득 능력이 고도 경제 성장에 따라 높아지면서 여성은 대기업에서의 분업처럼 출산·육아·가사 등 내부 노동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경기 악화나 만혼화에 따라 경제적 필요성으로 인해 가정을 가진 여성의 많은 수는 라이프 코스 속에서 전업 주부라는 입장과 여성 노동자라는 입장을 오가는 경우도 있다.[116] 현대 일본에서는 15세 이상의 여성의 약 절반이 어떤 형태로든 임금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그 절반 이상이 비정규직이다.[117]

여성이 많은 직업으로는 간호사, 보육사, 비서, 교환수 등이 있다. 파티시에처럼 여아의 장래 희망으로 인기가 있지만, 장시간 서서 하는 일 등 체력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남성이 더 많은 직업도 있다.[118]

일본 연령별 인구 및 노동력 인구 (성별)


550px








일본에서는 19세기 말부터 방적업, 제사 등 공업화가 진행되어 섬유 산업이 일본 경제의 요체가 되었다. 섬유 산업은 노동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여공이라고 불리는 젊은 여성 노동자의 장시간 노동에 의해 지탱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여공의 대우는 좋지 않았다. 여공들은 2교대, 철야, 최장 36시간의 가혹한 노동에 종사했으며, 기숙사에 감금되었다.[137] 출발점이 된 도미오카 제사 공장에서는 여공이라고 불리는 젊은 여성 노동자의 대우가 비교적 양호했고, 고수입이었던 예도 있었다.[138]

1916년에 공포된 공장법에 의한 규제는 지켜지지 않았고, 전혀 불충분했다. 다이쇼 시대의 방적업에서는 12시간 노동과 가혹한 노동이 있었고, 그 외에도 많은 문제가 있었다는 것은, 호소이 와키조의 '여공 애사'(1925년)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공장법 개정에 의한 노동자 보호의 강화 등, 1920년대에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일본 경제가 통제색, 전시색을 더해감에 따라 잊혀져 갔다.[139]

전간기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설비 투자나 세계 경제의 호황에 의해, 공장 외에도 여성의 진출이 진행되었다. 1920년에는, 일하는 여성의 과반수가 전문직이었고 그 대부분이 기혼이었지만, 1930년에는, 미혼의 사무직이 중심이 되었다.[140]

이 시대에 엘리베이터 걸이나 버스 걸 (버스 가이드) 등 '○○ 걸'이라고 불리는 직업이 등장했다. 또한, 여성의 사회 진출을 배경으로 자립한 여성에 의한 모던 걸 문화가 꽃피었지만[125], 1929년부터의 세계 대공황으로, 자유로운 기풍이 사라졌다.

1943년, 연합국과의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전쟁으로 인해 남성의 노동력이 부족해, 사회 인프라를 보충할 목적으로 다수의 여성들이 공장이나 철도, 소방 현장 등에 남성의 대체로 투입되었다. 그 외에 여자정신대가 조직되어 여학생도 군수 공장에 근로 동원되었다. 일본군에서는 구미처럼 후방의 파일럿이나 운전수 등에도 여성을 채용하지 않고, 사무직 외에는 통신원 등에 그쳤다. 또한 종전 후 남성이 돌아오자 대체로 들어가 있던 직역에는 남성들이 붙었고, 여성의 대부분은 가정으로 돌아가 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노동자의 대우 개선 요구에서 노동 기준법의 제정이나 각 규제가 성립. 그 후, 남녀의 불평등한 급여 대우 차이를 문제시하는 목소리가 높아져, 1985년에는 남녀 고용 기회 균등법이 제정되었고, 수차례의 개정이 이루어졌다.

전후부터 1960년대 전반까지는, 임금 노동을 계속하는 미혼 여성과, 임금 노동에서 해방된 전업 주부로 2분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196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고도 경제 성장에 의해, 사회 전체의 고학력화로 제조업에서 젊은 노동자가 부족해, 주부가 파트 타이머로서 그 부족을 채웠다.

1970년대부터는 고등 교육을 받은 여성이 늘어, 사무직 등에서 젊은 여성의 취업률이 늘어났다. 한편, 30대 여성에게 결혼·육아 등을 계기로 이직하고, 그대로 복귀하지 않거나, 또는, 복귀 후에도 경력을 살리는 직장에 취업하지 않거나, 취업할 수 없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 후에도, 여성의 취업 인구는 계속 늘었지만, 취업 분야는 제조업, 도매·소매업·음식점업, 서비스업에 집중되어, 비정규 고용의 증가도 두드러졌다.

2019년에는, 일하는 여성의 약 56.0%가 비정규 고용이며, 정규 고용률이 높은 20대 후반에서도 약 32.1%가 되었다. 전후의 일본 경제에서, 주로 주부층으로 이루어진 파트 타임 노동자는 호황 시에 증가하고, 불황 시에는 감소함으로써 '경기 조절 밸브'로서의 역할을 했다.[141][142]



'''일본의 여성 노동 관련 연표'''

연도사건
1890년경섬유 산업에서 여성 고용 시작, 공장 노동자의 약 90%가 여성
1901년미쓰이 고복점(현: 미쓰코시)이 3명의 여성 정사원 채용
1911년공장법 공포
1914년 - 1918년제1차 세계 대전
1916년공장법 시행, 일본어 타자기 보급으로 여성 타이피스트 증가, "직업 부인" 등장
1920년대세계 경제 호황으로 여성 사회 진출 진전, 모던 걸 시대
1923년공장법 개정 (11시간 노동)
1925년호소이 와키조의 『여공 애사』 출간
1927년도요 모슬린 여공 노동 쟁의로 외출 자유 획득
1929년공장법 개정 (아동, 여성 노동자 심야업 금지), 우에노 마쓰자카야에 엘리베이터 걸 등장
1931년 - 1945년15년 전쟁 시대, 전시 체제로 공장 노동자 처우 개선 뒷전
1936년퇴직 적립금 및 퇴직 수당 시행령 각의 결정, 결혼 퇴직 여자 노동자에게 퇴직금 지급 길 열림
1947년노동 기준법 제정 (8시간 노동, 여성 보호 규정)
1953년노동성 『일하는 여성의 실정』 공표 시작
1954년 - 1975년"아오모리 - 우에노" 구간 야간 집단 취업 열차 운행
1972년"근로 부인 복지법" 시행
1985년여성 차별 철폐 조약 일본 비준, 남녀 고용 기회 균등법 성립 (시행 1986년)
1993년파트타임 노동법 성립 및 시행
1997년개정 남녀 고용 기회 균등법 성립 (시행 1999년), 여성 보호 규정 철폐
1999년개정 노동 기준법 시행, 여성 심야 노동 제한 철폐, 육아・개호 휴업법에 육아・개호 노동자 배려 규정 추가
2006년개정 남녀 고용 기회 균등법 성립 (시행 2007년)



오사카상업대학 JGSS 연구 센터의 조사 데이터 JGSS-2006에 따르면, 의무 교육 최종 학년에 되고 싶은 직업이 있었던 여성, 그리고 전문직, 관리직을 희망하는 여성의 비율은 1916년 출생 이후 시대가 내려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144]

제일생명보험의 되고 싶은 직업 조사에서는, 1990년대부터 "음식점 주인(특히 파티시에)"이 여아에게 가장 인기 있었고, 그 외에는 "어린이집·유치원 선생님(보육사, 유치원 교사)", "간호사", "학교 선생님(학원 선생님)" 등이 인기가 있었다[145]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티시에는 체력적인 이유로 남성이 더 많다[118]

현대에는 일하는 여성이 결혼을 위해 "결혼 활동(혼활)"을 하는 것이 당연해졌다. 이는 기존의 독신커리어우먼이 제시해 온 일하는 방식을 보아 온 젊은 세대가, 일만으로 늙어가는 여성 선배를 반면교사 삼아 적극적으로 가정을 이루려 시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생활을 위해 금전을 벌어야 하고, 평일 낮에는 회사·상사와의 고용 관계에 놓여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혼활"을 퇴사 후나 휴일 중에 하고 있다.

고용되어 일하는 여성의 출산에는 이를 보호하는 다양한 제도·법률이 있다. "근로기준법"·"남녀고용기회균등법"·"육아·개호 휴업법" 등이다.

일하는 여성은 가정을 떠나 고용 관계에 놓이므로, 아이와 함께 보낼 수 있는 인생의 시간이 전업주부와 비교하여 10분의 1 이하가 된다. 이 때문에 "프라임 타임"이라고 불리는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의식적·정기적으로 만들어 가정을 지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양성평등국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이 제창되고 있다.

또한, 학자, 의사, 변호사 등에서는 통칭으로 옛 성을 사용하는 여성이 많다. 이와 관련하여, 선택적 부부별성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여성의 사회 진출을 더욱 추진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주장이 있다.

남녀고용기회균등법의 제정 이후에도, 직업에 따라 여성에게 제한이 가해지는 경우도 있으며, 자위관의 경우, 육상자위대의 특수 무기 방호대에서 방사선을 취급하는 인원과 갱도 중대에 제한이 있다. (항공자위대, 해상자위대에서는 제한 없음).

14. 결론

여성 노동은 역사적으로, 그리고 현재에도 여전히 다양한 차별과 불평등에 직면해 있다. 여성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평등한 노동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증가는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16][17] 특히 한국 사회는 여성의 경력단절, 성별 임금 격차, 일과 가정의 양립의 어려움 등 여성 노동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7-11-07
[2] 논문 Understanding the Gender Gap Further: The Case of Turn-of-the-Century Swedish Compositors 2020-03
[3] 웹사이트 Statistical Overview of Women in Global Workplaces: Catalyst Quick Take https://www.catalyst[...] 2021-05-20
[4] 웹사이트 Graph http://www.gapminder[...] Gapminder World 2015-02-17
[5] 웹사이트 How advancing women's equality can add $12 trillion to global growth {{!}} McKinsey https://www.mckinsey[...] 2023-02-28
[6] 웹사이트 Women's solutions stories create a world where everyone thrives https://www.eib.org/[...] 2023-02-28
[7] 웹사이트 If we closed the gender gap by 2025, the global economy could see a $28 trillion windfall https://www.business[...] 2023-02-28
[8] 서적 "How women can make money married or single, in all branches of the arts and sciences, professions, trades, agricultural and mechanical pursuits" https://www.worldcat[...] Philadelphia 1862
[9] 서적 The Employments of Women: A Cyclopaedia of Woman's Work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Penny, Virginia http://www.anb.org/a[...]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2010-04
[11] 웹사이트 Penny, Virginia 1826- http://worldcat.org/[...]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12] 논문 Patriarchy and Professions: The Gendered Politics of Occupational Closure 1990
[13] 논문 The Gender of Professionalism and Occupational Closure: the management of tenure-related disputes by the 'Federation of Women Teachers' Associations of Ontario' 1918–1949 Gender and Education, 15.1 2003-03
[14] 논문 Mathematical Formalism as a Means of Occupational Closure in Computing—Why "Hard" Computing Tends to Exclude Women http://www.eric.ed.g[...] 1990
[15] 웹사이트 Women in informal employment as share of female employment https://ourworldinda[...] 2020-03-05
[16] 서적 Engendering Development http://dx.doi.org/10[...] 2001-01-31
[17] 논문 Women Empower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2012
[18] 뉴스 Overseas deployment of Filipino domestic workers continues to rise http://globalnation.[...] Inquirer Global Nation 2012-04-07
[19] 서적 People on the Move: An atlas of migra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뉴스 These women take the driver's seat, both at home and at work https://www.thehindu[...] 2016-05-07
[21] 웹사이트 The World's Women 2010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2012-05-15
[22] 웹사이트 Addressing women's safety concerns in public transport in Jordan to boost their economic activity https://blogs.worldb[...] 2020-09-30
[23] 웹사이트 World Bank and UN Women Launch Course on Managing Gender Equality in Transportation https://www.worldban[...]
[24]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Class Mobility: A Comparative Study of the United States, Sweden, and West Germany
[25] 간행물 The U-Shaped Female Labor Force Function in Economic Development and Economic History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94-04
[26] 서적 Visions of America A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books a La Carte Edition Pearson College Div 2012
[27] 웹사이트 Women's Rights Movement in the U.S.: Timeline of Events (1921–1979). http://www.infopleas[...]
[28] 웹사이트 "20 Women's Organizations You Need to Know" http://www.diversity[...] Diversity Best Practices 2011-02-28
[29] 서적 "The American Women's Movement, 1945-2000: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Bedford/St. Martin's 2009
[30] 웹사이트 Sheryl Sandberg and LeanIn.org launch Lean In Girls initiative: 'We're telling girls you can lead on your own terms' https://www.cnbc.com[...] 2023-07-28
[31] 뉴스 Switzerland – A step forward for domestic workers https://www.nytimes.[...] 2011-06-16
[32] 뉴스 Domestic workers convention may be landmark https://www.nytimes.[...] 2011-10-09
[33] 뉴스 A 'Handmaid's Tale reality': one in 130 women and girls around the world held in modern slavery. Gender 'stacks the odds' from cradle to grave with women making up nearly three quarters of victims of abuse and exploitation https://www.telegrap[...] 2020-10-08
[34] 서적 Women across cultures: A global perspective McGraw-Hill 2005
[35] 웹사이트 Women in National Parliaments http://www.ipu.org/w[...] Inter-Parliamentary Union 2015-02-17
[36] 웹사이트 Facts on Women Officeholders, Candidates and Voters http://www.ipu.org/w[...] Center for American Women and Politics 2015-02-17
[37] 뉴스 Where Are All the Women CEOs? https://www.wsj.com/[...] 2020-02-06
[38] 뉴스 Gemensamt krafttag för ett mer jämställt Europa http://www.svd.se/na[...] 2009-02-06
[39] 웹사이트 Sport is a critical lever in advancing women at all levels, according to new EY/espnW report https://www.ey.com/g[...] 2018-09-22
[40] 웹사이트 What percentage of the US public approves of working wives? https://ourworldinda[...] 2020-03-05
[41] 간행물 An Analysis of Reasons for the Disparity in Wages Between Men and Women http://www.consad.co[...]
[42] 웹사이트 On Equal Pay Day, key facts about the gender pay gap http://www.pewresear[...] 2015-04-14
[43] 논문 The Gender Pay Gap – Have Women Gone as Far as They Can? https://web.stanford[...]
[44] 웹사이트 Gender equality https://commission.e[...] 2023-11-14
[45] 웹사이트 What are the causes? - European Commission http://ec.europa.eu/[...] 2016-02-18
[46] 문서 Fact Sheet: Women at Cambridge http://www.admin.cam[...] University of Cambridge
[47] 문서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07) http://www.unicef.or[...] UNICEF
[48] 논문 Vocational and business training to improve women's labour market outcome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49] 뉴스 DEVELOPMENT: Gender Equality Equals Growth https://web.archive.[...] World News 2004-06-02
[50] 뉴스 FOOD: Women Farmers are Invisible Actors in Hunger Drama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04-02-14
[51] 서적 Seizing the opportunities of the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rea for the economic empowerment of women in agriculture https://doi.org/10.4[...] FAO
[52] 문서 USAID 2016
[53] 뉴스 Chinese women are teaming up with strangers to save money https://www.bbc.com/[...] 2024-08-06
[54] 뉴스 A Korean Secret to Keeping Friendships Strong: Savings Groups https://www.nytimes.[...] 2024-08-06
[55] 웹사이트 The grassroots money-management schemes many Muslim women bank on https://hyphenonline[...] 2024-08-06
[56] 웹사이트 Boosting gender equality around the world: EIB expands SheInvest initiative and strengthens cooperation with Development Bank of Rwanda https://www.eib.org/[...] 2023-02-28
[57] 웹사이트 Boosting gender equality around the world: European Investment Bank expands SheInvest initiative.... https://www.business[...] 2023-02-28
[58] 웹사이트 Finance in Common FICS Progress Report https://financeincom[...]
[59] 웹사이트 Unemployment rate, women https://ourworldinda[...] 2020-03-07
[60] 문서 Categorically Unequal Russel Sage Foundation
[61] 문서 Opting out and opting in: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of women's career transitions
[62] 문서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07) http://www.unicef.or[...] UNICEF
[63] 서적 Women and Men at Work https://archive.org/[...] Pine Forge Press
[64] 논문 Men's work, masculinities and gender divisions of labour 1999
[65] 웹사이트 Women in the Workplace https://wiw-report.s[...] 2022
[66] 논문 The Toxic Culture Gap Shows Companies Are Failing Women https://sloanreview.[...] 2023-03-14
[67] 웹사이트 The Care Economy (The Care Economy) https://www.ilo.org/[...] 2019-12-14
[68] 웹사이트 Employment: Time spent in paid and unpaid work, by sex https://stats.oecd.o[...] 2019-12-14
[69] 웹사이트 Half of graduates are women but academic careers are for very few https://www.msn.com/[...] 2023-11-01
[70] 웹사이트 Index of / http://www.womensmed[...] Womensmedia.com 2015-02-17
[71] 서적 Gender and Education in the US. Oxford University Press
[72] 논문 Rural geography: rural gender identity and the performance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the countryside 2002
[73] 논문 'Mobilizing Masculinities': Women's Experiences of Men at Work". 2001
[74] 논문 Porn, pride, and pessimism: experiences of women working in professional construction roles 2007
[75] 논문 Who women are, who women should be: Descriptive and prescriptive gender stereotyping in sex discrimination
[76] 서적 Why Children from Lower Socioeconomic Classes, on Average, Have Lower Academic Achievement Than Middle-Class Children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3-12-01
[77] 웹사이트 Finally, a book that talks about gender-neutral workplace http://www.hindustan[...] 2016-04-02
[78] 웹사이트 Book Review: Aparna Jain's 'Own It' brings out of unarticulated darkness the indescribable things that happen to women at the workplace http://www.firstpost[...] 2016-02-06
[79] 뉴스 Sexual harassment case against Taj CEO Rakesh Sarna made it tougher for Cyrus Mistry http://economictimes[...] 2019-05-29
[80] 웹사이트 RK Pachauri's reign at TERI http://www.caravanma[...]
[81] 서적 Promises I Can Keep: Why poor women put motherhood before marri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2] 뉴스 Women Take Almost 50 Percent More Short-term Sick Leave Than Men https://www.scienced[...] 2008-02-05
[83] 논문 The Family and Medical Leave Act of 1993
[84] 논문 Contraception in the prepill era https://www.contrace[...] 1999-01-01
[85] 웹사이트 Sex, Drugs, and Career Choices When young women first got access to the birth control pill in the late 1960s, their career options--and the future shape of the U.S. work force--changed completely. - April 3, 2000 https://money.cnn.co[...] 2021-12-14
[86] 웹사이트 Women and Men Declining in the Workforce https://www.kinlin.c[...] 2021-12-14
[87] 논문 Fertility,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he demographic dividend
[88] 웹사이트 Female Labour-Force Participation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89] 논문 Diverse Effects of Women's Employment on Fertility: Insights From Italy and Poland 2013
[90] 논문 A Note on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Rates in Developed Countries http://documentos.fe[...]
[91] 논문 Fertility in Advanced Societies: A Review of Research
[92] 서적 Early Modern Russian Writers, Lat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Gale Research Company
[93] 서적 Victorian Women John Murray (Publishers) Ltd.
[94] 서적 Victorian Women John Murray (Publishers) Ltd.
[95] 서적 Victorian Women John Murray (Publishers) Ltd.
[96] 논문 Women at Work in the United States Since 1860: An Analysis of Unreported Family Workers https://www.scienced[...] 2021-06-17
[97] 논문 The Mechanization of Women's Work https://www.scientif[...] 2024-04-04
[98] 논문 Global Women's Work: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Textile and Garment Industries https://www.jstor.or[...] 2013
[99] 논문 Made in Patriarchy: Toward a Feminist Analysis of Women and Design https://www.jstor.or[...] 1986
[100] 문서 "The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1920s",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01] 문서 "The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1920s",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02] 문서 "Life in the Age of Enterprise" Capricorn Books
[103] 문서 "The Uncertainty of Everyday Life, 1915–1945" HarperCollins
[104] 서적 An injury to all : the decline of American Unionism Verso
[105] 뉴스 A House for Mother https://timesmachine[...] 2021-05-08
[106] 서적 Homeward Bound: American Families in the Cold War Era Basic Books
[107] 뉴스 Classified ad 15 -- no title 1947-10-26
[108] 웹사이트 "Do Women's and Men's Labor Market Outcomes Differentially Affect Real Wage Growth and Inflation?" http://www.chicagof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2003-11
[109] 학술지 More Power to the Pill: The Impact of Contraceptive Freedom on Women's Life Cycle Labor Supply https://www.jstor.or[...] 2021-05-11
[110] 학술지 The Quiet Revolution That Transformed Women's Employment, Education and Family http://www.nber.org/[...] 2006
[111] 학술지 The Future of Work for Women 2023-Winter
[112] 웹사이트 Majority of workers who quit a job in 2021 cite low pay, no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feeling disrespected https://www.pewresea[...] 2022-03-09
[113] 웹사이트 Women's Health at Work http://blogs.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3-05-13
[114] 웹사이트 Women's Safety and Health Issues at Work https://www.cdc.gov/[...] NIOSH 2013-06-19
[115] 학술지 Gender differences in caregiving among family - caregiver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2016-03-22
[116] 서적 女性学への招待 : 変わる/変わらない女の一生 有斐閣
[117] 서적 女性のパートタイム労働 : 日本とヨーロッパの現状 新水社
[118] 웹사이트 「女の子が憧れる職業」1位はケーキ屋さん…それでも有名パティシエが男性ばかりなのはなぜ? https://bunshun.jp/a[...] 2024-10-16
[119] 서적 産業革命 岩波書店 1993-07-16
[120]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TBSブリタニカ
[121] 웹사이트 タイプライタと社会 http://www.ccad.sist[...] 2009-12-06
[122] 웹사이트 ファッションの社会学:1(成実准教授)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0-08-22
[123] 웹사이트 国際労働機関(ILO)とは http://www.ilo.org/p[...] ILO駐日事務所 2009-11-09
[124] 서적 アール・デコの時代 中央公論新社
[125] 학술지 1920年代の「新しい女たち」について : 「モダンガール」の日独比較 https://hdl.handle.n[...] 群馬大学社会情報学部
[126] 뉴스 日本の紡績女工夜業問題、攻撃される『東京朝日新聞』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26-06-04
[127] 웹사이트 主役は「トランジスタ・ガール」 http://www.shmj.or.j[...] 日本半導体歴史館
[128] 문서 Meritor Savings Bank v. Vinson
[129] 서적 岩波 女性学事典 岩波書店
[130] 보고서 令和元版働く女性の実情 付属統計 付表98〜113表 https://www.mhlw.go.[...] 2020-06-27
[131] 간행물 OECD Labour Force Statistics 2020 OECD 2020
[132] 문서 当時、工場で働く女性を女工(じょこう)と呼んでいた。
[133] 뉴스 会えると嬉しい“天然記念物”!? エレベーターガールは本当にムダなお仕事なのか http://diamond.jp/ar[...] ダイヤモンド社 2017-02-09
[134] 뉴스 東洋モスリンが初めて外出自由に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27-06-15
[135] 뉴스 女性労働者の結婚退職にも適用決まる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36-09-08
[136] 보고서 令和元版働く女性の実情 付属統計 付表1~53表 https://www.mhlw.go.[...] 2020-06-27
[137] 웹사이트 第3章 労働力 http://faculty.human[...] 三重大学 櫻谷勝美のホームページ 2009-11-14
[138] 문서 『続・あゝ野麦峠』
[139] 서적 日本歴史大事典 小学館
[140] 문서 前掲事典、千本暁子「職業婦人」
[141] 저널 男女間賃金格差の要因とその変遷 : 女性の社会進出がなぜ賃金格差を縮小しないのか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 1988-04
[142] 저널 女性の社会進出 https://doi.org/10.3[...] 青山学院女子短期大学 1994-12
[143] 웹사이트 労働力調査 長期時系列データ 表10(2):【年平均結果―全国】年齢階級(5歳階級)別就業者数及び年齢階級(5歳階級),雇用形態別雇用者数(正規の職員・従業員,非正規の職員・従業員) https://www.stat.go.[...] 2020-04-26
[144] 저널 日本人の「なりたかった職業」の形成要因とその行方 : JGSS-2006データの分析から(III-5部会 現代社会と教育,研究発表III,一般研究報告) https://dl.ndl.go.jp[...] 2007-09
[145] 웹사이트 第一生命 夏休みこどもミニ作文コンクールアンケート 「大人になったらなりたいもの」 https://event.dai-ic[...] 第一生命保険 2020-04-19
[146] 웹아카이브 http://www.admin.cam[...] 2007-11-07
[147] 웹인용 Statistical Overview of Women in Global Workplaces: Catalyst Quick Take https://www.catalyst[...] 2021-05-20
[148] 웹인용 Graph http://www.gapminder[...] Gapminder World 2015-02-17
[149] 웹인용 12 Stats About Working Women {{!}} U.S. Department of Labor Blog https://blog.dol.gov[...] 2020-11-10
[150] 웹인용 How advancing women's equality can add $12 trillion to global growth {{!}} McKinsey https://www.mckinsey[...] 2023-02-28
[151] 웹인용 Women's solutions stories create a world where everyone thrives https://www.eib.org/[...] 2023-02-28
[152] 웹인용 If we closed the gender gap by 2025, the global economy could see a $28 trillion windfall https://www.business[...] 2023-02-28
[153] 문서 "How women can make money married or single, in all branches of the arts and sciences, professions, trades, agricultural and mechanical pursuits'' (Philadelphia, 1862)" https://www.worldcat[...]
[154] 문서 The Employments of Women: A Cyclopaedia of Woman's Work https://books.google[...]
[155] 웹인용 Penny, Virginia http://www.anb.org/a[...]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2016-12-21
[156] 웹인용 Penny, Virginia 1826- http://worldcat.org/[...]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2016-12-21
[157] 저널 Patriarchy and Professions: The Gendered Politics of Occupational Closure 1990
[158] 저널 The Gender of Professionalism and Occupational Closure: the management of tenure-related disputes by the 'Federation of Women Teachers' Associations of Ontario' 1918–1949 Gender and Education, 15.1 2003-03
[159] 저널 Mathematical Formalism as a Means of Occupational Closure in Computing—Why "Hard" Computing Tends to Exclude Women http://www.eric.ed.g[...] 1990
[160] 웹인용 Women in informal employment as share of female employment https://ourworldinda[...] 2020-03-05
[161] 서적 Engendering Development http://dx.doi.org/10[...] 2001-01-31
[162] 저널 Women Empower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2012
[163] 뉴스 Overseas deployment of Filipino domestic workers continues to rise http://globalnation.[...] Inquirer Global Nation 2012-05-12
[164] 서적 People on the Move: An atlas of migration https://archive.org/[...]
[165] 뉴스 These women take the driver's seat, both at home and at work https://www.thehindu[...] 2022-10-24
[166] 웹인용 The World's Women 2010 http://unstats.un.or[...] 2012-05-15
[167] 웹인용 Addressing women's safety concerns in public transport in Jordan to boost their economic activity https://blogs.worldb[...] 2022-10-24
[168] 웹인용 World Bank and UN Women Launch Course on Managing Gender Equality in Transportation https://www.worldban[...] 2022-10-24
[169] 문서 Categorically Unequal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170] 저널 Gender Differences in Class Mobility: A Comparative Study of the United States, Sweden, and West Germany
[171] 문서 Visions of America A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books a La Carte Edition Pearson College Div, 2012.
[172] 문서 "Women's Rights Movement in the U.S.: Timeline of Events (1921-1979)." http://www.infopleas[...]
[173] 웨이백 "20 Women's Organizations You Need to Know" http://www.diversity[...] 2020-11-07
[174] 문서 "The American Women's Movement, 1945-2000: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Boston: Bedford/St. Martin's, 2009.
[175] 뉴스 Switzerland – A step forward for domestic workers https://www.nytimes.[...] 2012-05-12
[176] 뉴스 Domestic workers convention may be landmark https://www.nytimes.[...] 2011-10-09
[177] 웹인용 A 'Handmaid's Tale reality': one in 130 women and girls around the world held in modern slavery. Gender 'stacks the odds' from cradle to grave with women making up nearly three quarters of victims of abuse and exploitation https://www.telegrap[...] 2020-10-08
[178] 서적 Women across cultures: A global perspective McGraw-Hill 2005
[179] 웹인용 Women in National Parliaments http://www.ipu.org/w[...] Inter-Parliamentary Union 2015-02-17
[180] 웹인용 Facts on Women Officeholders, Candidates and Voters http://www.ipu.org/w[...] Center for American Women and Politics 2015-02-17
[181] 뉴스 Where Are All the Women CEOs? https://www.wsj.com/[...] 2020-02-06
[182] 뉴스 Gemensamt krafttag för ett mer jämställt Europa http://www.svd.se/na[...] 2005-01-25
[183] 웹인용 Sport is a critical lever in advancing women at all levels, according to new EY/espnW report https://www.ey.com/g[...] 2015-10-14
[184] 웹인용 What percentage of the US public approves of working wives? https://ourworldinda[...] 2020-03-05
[185] 웹사이트 Fact Sheet: Women at Cambridge http://www.admin.cam[...]
[186] 간행물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07) http://www.unicef.or[...] UNICEF
[187] 저널 Vocational and business training to improve women's labour market outcome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188] 서적 Seizing the opportunities of the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rea for the economic empowerment of women in agriculture https://doi.org/10.4[...] FAO
[189] 뉴스 DEVELOPMENT: Gender Equality Equals Growth https://web.archive.[...] 2004-06-02
[190] 뉴스 FOOD: Women Farmers are Invisible Actors in Hunger Drama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2004-02-14
[191] 문서 USAID 2016
[192] 웹인용 Women's solutions stories create a world where everyone thrives https://www.eib.org/[...] 2023-02-28
[193] 웹인용 Boosting gender equality around the world: EIB expands SheInvest initiative and strengthens cooperation with Development Bank of Rwanda https://www.eib.org/[...] 2023-02-28
[194] 웹인용 Women's solutions stories create a world where everyone thrives https://www.eib.org/[...] 2023-02-28
[195] 웹인용 Boosting gender equality around the world: European Investment Bank expands SheInvest initiative.... https://www.business[...] 2023-02-28
[196] 웹인용 Finance in Common FICS Progress Report https://financeincom[...]
[197] 웹인용 Unemployment rate, women https://ourworldinda[...] 2020-03-07
[198] 서적 Categorically Unequal Russel Sage Foundation
[199] 문서 Opting out and opting in: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of women's career transitions
[200] 간행물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07) http://www.unicef.or[...] UNICEF
[201] 서적 Women and Men at Work https://archive.org/[...] Pine Forge Press
[202] 저널 Men's work, masculinities and gender divisions of labour 1999
[203] 웹인용 Index of / http://www.womensmed[...] Womensmedia.com 2015-02-17
[204] 문서 Gender and Education in the US.
[205] 저널 Rural geography: rural gender identity and the performance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the countryside 2002
[206] 저널 'Mobilizing Masculinities': Women's Experiences of Men at Work". 2001
[207] 저널 Porn, pride, and pessimism: experiences of women working in professional construction roles 2007
[208] 저널 Who women are, who women should be: Descriptive and prescriptive gender stereotyping in sex discrimination
[209] 웹인용 Finally, a book that talks about gender-neutral workplace http://www.hindustan[...] 2016-04-02
[210] 웹인용 Book Review: Aparna Jain's 'Own It' brings out of unarticulated darkness the indescribable things that happen to women at the workplace http://www.firstpost[...] 2016-02-06
[211] 뉴스 Sexual harassment case against Taj CEO Rakesh Sarna made it tougher for Cyrus Mistry http://economictimes[...] The Economic Times 2019-05-29
[212] 웹인용 RK Pachauri's reign at TERI http://www.caravanma[...]
[213] 서적 Promises I Can Keep: Why poor women put motherhood before marri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214] 서적 Categorically Unequal Russel Sage Foundation
[215] 뉴스 Women Take Almost 50 Percent More Short-term Sick Leave Than Men https://www.scienced[...] BMJ 2008-02-05
[216] 저널 The Family and Medical Leave Act of 1993 1997
[217] 저널 Contraception in the prepill era https://www.contrace[...] 1999-01-01
[218] 웹인용 Sex, Drugs, and Career Choices When young women first got access to the birth control pill in the late 1960s, their career options--and the future shape of the U.S. work force--changed completely. - April 3, 2000 https://money.cnn.co[...] 2021-12-14
[219] 웹인용 Women and Men Declining in the Workforce https://www.kinlin.c[...] 2021-12-14
[220] 저널 Fertility,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he demographic dividend 2009
[221] 서적 Completing the Fertility Transition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Publications 2009
[222] 저널 Diverse Effects of Women's Employment on Fertility: Insights From Italy and Poland 2013
[223] 저널 A Note on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Rates in Developed Countries http://documentos.fe[...] 2002
[224] 저널 Fertility in Advanced Societies: A Review of Research 2013
[225] 서적 Early Modern Russian Writers, Lat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https://archive.org/[...] 1995
[226] 서적 Victorian Women John Murray (Publishers) Ltd. 1993
[227] 서적 Victorian Women John Murray (Publishers) Ltd. 1993
[228] 서적 Victorian Women John Murray (Publishers) Ltd. 1993
[229] 저널 Women at Work in the United States Since 1860: An Analysis of Unreported Family Workers https://www.scienced[...] 2021-06-17
[230] 문서 The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1920s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72
[231] 문서 The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1920s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72
[232] 문서 Life in the Age of Enterprise Capricorn Books 1971
[233] 문서 The Uncertainty of Everyday Life, 1915–1945 HarperCollins 1992
[234] 문서 The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1920s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72
[235] 문서 The Uncertainty of Everyday Life, 1915–1945 HarperCollins 1992
[236] 서적 An injury to all : the decline of American Unionism https://archive.org/[...] Verso 1988
[237] 뉴스 A House for Mother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2021-05-08
[238] 서적 Homeward Bound: American Families in the Cold War Era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988
[239] 뉴스 Classified ad 15 -- no title New York Times 1947-10-26
[240] 웹인용 "Do Women's and Men's Labor Market Outcomes Differentially Affect Real Wage Growth and Inflation?" http://www.chicagof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2003-11
[241] 저널 More Power to the Pill: The Impact of Contraceptive Freedom on Women's Life Cycle Labor Supply https://www.jstor.or[...] 2021-05-11
[242] 저널 The Quiet Revolution That Transformed Women's Employment, Education and Family http://www.nber.org/[...] 2006
[243] 웹인용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성/연령별 실업률 https://kosis.kr/sta[...]
[244] 저널 The Future of Work for Women 2023-Winter
[245] 웹인용 Majority of workers who quit a job in 2021 cite low pay, no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feeling disrespected https://www.pewresea[...] 2022-03-09
[246] 웹인용 Women's Health at Work http://blogs.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5-01-21
[247] 웹인용 Women's Safety and Health Issues at Work https://www.cdc.gov/[...] NIOSH 2013-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