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민주주의 정상회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민주주의 정상회의는 자유주의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하고 민주주의 가치를 확산하기 위해 미국 주도로 개최되는 회의다. 2021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111개 국가 및 지역 지도자가 참여한 가운데 온라인 형식으로 제1차 회의가 열렸다. 이후 2023년 2차 회의는 한미 공동 주최로, 2024년 3차 회의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개최되었다. 회의는 민주주의 가치 확산, 권위주의 대응, 디지털 시대의 민주주의 위협 등 다양한 쟁점을 다루지만, 참가국 선정 기준의 모호성,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 등 논란과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회의 - 2021년 러시아-미국 정상회담
    2021년 러시아-미국 정상회담은 냉전 시대 제네바에서 열린 미국과 소련 간의 두 차례 정상회담을 지칭하며, 세계 안보 및 외교 관계 개선, 핵무기 감축 문제를 논의하여 냉전 시대 긴장 완화에 기여했다.
  • 2021년 회의 - 제47회 G7 정상회의
    2021년 영국에서 개최된 제47회 G7 정상회의는 코로나19 범유행 대응, 지구 온난화, 다국적 기업 법인세 개혁 등 주요 글로벌 현안을 논의했으며 대한민국 등 일부 국가 정상이 초청되었으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에는 미흡하다는 비판과 부정적인 반응, 풍자화 논란이 있었다.
  • 2021년 12월 - 제34회 유럽 영화상
    제34회 유럽 영화상은 유럽 영화 아카데미가 2021년 유럽 영화계의 뛰어난 작품과 영화인에게 수여한 시상식으로, 《어디로 가니, 아이다?》가 작품상을, 앤서니 홉킨스와 야스나 듀리치치가 각각 남녀주연상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부문과 특별상도 수여되었다.
  • 2021년 12월 - 2020년 세계 박람회
    2020년 두바이에서 "마음을 연결하고, 미래를 창조하다"라는 주제로 개최된 세계 박람회는 190여 개국이 참가하여 기회, 이동성,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전시와 행사를 선보였으며, 코로나19로 1년 연기되었지만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경제 활성화와 외교 관계 강화에 기여했고, 종료 후에는 엑스포 시티 두바이로 탈바꿈했다.
  • 2021년 국제 관계 - 카타르 외교 위기
    2017년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아랍 국가들이 카타르의 독자 외교, 알자지라 방송, 이란 관계, 무슬림 형제단 지지 등을 이유로 단교하며 시작된 카타르 외교 위기는 2021년 알울라 선언으로 공식 종식되었으나, 양국 관계는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중동 지역에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남겼다.
  • 2021년 국제 관계 - 오커스
    오커스는 미국, 영국, 호주 3국이 핵추진 잠수함 공동 개발 및 첨단 기술 협력을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를 강화하고자 2021년 9월 창설한 안보 협력체이다.
민주주의 정상회의
개요
이름민주주의 정상회의
영어 이름Summit for Democracy
일본어 이름民主主義サミット (Minshushugi Samitto)
문화어 이름민주주의를 위한 세계수뇌자회의
민주주의 정상회의 로고
민주주의 정상회의 로고
주최 국가미국
개최 방식온라인
첫 회 개최일2021년 12월 9일 - 12월 10일
참가국 수111개국
창립자조 바이든
웹사이트민주주의 정상회의 공식 웹사이트
배경
목표권위주의에 대항
부패 척결
인권 증진
회의 정보
제1회2021년 12월 9일 - 12월 10일, 온라인 개최
제2회2023년 3월
제3회대한민국, 2024년 3월 (예정)

2. 회의 개최 배경 및 목적

조 바이든 미국 제46대 대통령은 2019년 7월,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미국의 고립을 초래한다고 비판하며,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핵안보정상회의를 참고하여 민주주의 관련 정상회의를 취임 첫해에 개최하겠다고 밝혔다.[24] 바이든은 2020년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고, 2021년 8월 11일 미국 백악관은 2021년 12월 9일부터 10일까지 민주주의 국가 정상들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25]

이 회의는 민주주의 가치 회복과 국제 협력 강화를 목표로, 자유, 인권, 법치주의 등 민주주의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이 권위주의 확산에 공동 대응하고, 민주주의 증진을 위한 국제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3. 회의 개최 연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19년 7월 대선 후보 시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을 비판하며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핵안보정상회의를 본따 취임 첫 해에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개최하겠다고 공약했다.[24] 바이든 대통령은 2020년 11월 대선에서 승리하여 2021년 1월 취임했고, 같은 해 8월, 12월 9일부터 10일까지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온라인 형식으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25]

2021년 12월 9일부터 10일까지 제1차 회의가 화상으로 개최되었다.[7] 2023년 3월 29일부터 30일까지는 대한민국미국이 공동으로 제2차 회의를 개최했고,[47] 2024년 3월 18일부터 20일까지는 대한민국이 제3차 회의를 주최했으며,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7]

3. 1. 제1차 회의 (2021)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의 개회사로 시작되었으며, 뉴질랜드 총리 재신다 아던은 코로나19 시대의 민주적 회복력 강화에 대해 발언했고, 이어서 패널 토론이 진행되었다.[7] 국제 반부패의 날 및 세계 인권의 날과 회의가 일치함에 따라 부패 방지에 관한 내용이 다루어졌다.

인권 보호에 대한 논의에서는 인권 옹호자와 독립 언론의 권한 부여 문제가 다루어졌다. 휴회 중 발언에서 홍콩 민주화 운동가 네이선 로가 연설을 했다.[7] 민주주의 제도를 강화하고 권위주의의 발생을 막기 위한 예방 조치에 대한 논의가 열렸다. 디지털 시대의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은 디지털 감시와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이날은 바이든의 폐회 연설로 마무리되었다.[7]

3. 2. 제3차 회의 (2024)

2024년 3월 18일부터 3월 20일까지 제3차 회의가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개최되었다. 처음 이틀간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렸고, 마지막 날은 화상으로 진행되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회의 의장을 맡았다.[9]

4. 참가국 선정 기준 및 논란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참가국 명단에 따르면 총 110개국이 초청되었다.[45] 민주주의 정상회의 초청 명단은 민주주의 점수보다는 미국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참가자를 초청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4] 시드니 대학교의 정치학 교수 존 킨은 초청 명단이 "어떤 기준으로 보아도 민주주의 순위가 크게 하락하거나 전혀 민주주의가 아닌 국가들을 포함하는 냉소적으로 작성되고, 관료적으로 만들어진, 기관 중심의 초대 명단"이라고 말했다.[14]

프리덤 하우스의 "세계 자유" 보고서에서 "자유롭지 않은" 국가로 평가받은 앙골라, 콩고 민주 공화국, 이라크 등이 초청되었다.[19] 반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인 터키와 유럽 연합(EU) 회원국인 헝가리는 제외되었다.[27]

필리핀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반인륜적 범죄 혐의로 ICC의 수사를 받고 있음에도 초청되어 비판을 받았다.[15] ICHRP 의장 피터 머피는 "두테르테의 공포 통치와 대량 학살은 ICC의 반인륜적 범죄 수사를 촉발했는데, 이는 그가 파시스트 포퓰리즘, 탄압 및 인권 침해 외에는 어떤 조언도 할 자격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처럼 보인다."라고 비판했다.[15]

브라질,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등도 민주주의 감시 단체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지만, 정상회의에 참여하거나 초청받았다.[16][17][19]

민주주의 정상회의 초청 참가국 (빨간색), 초청 참가국의 종속 및 자치 지역 (분홍색)

5. 대륙별 참가국 및 제외국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참가국 명단에 따르면 총 110개국이 초청되었다.[45] 아시아에서는 대한민국, 중화민국(대만),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일본이 초청되었고, 파키스탄은 초청되었으나 참석을 거부하였다.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리투아니아, 네덜란드 등도 초청되었다. 그러나 튀르키예, 베트남, 러시아, 태국, 중국, 이란, 싱가포르,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초청되지 않았다.

다당제에 따른 선거를 실시하는[30] 110개 국가와 1개 지역(유럽 연합)이 초청되었으며, 인구 면에서는 세계 상위 10개국 중 7개국이 포함되었다.

5. 1. 참가국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참가국 명단[45]에 따르면 총 110개국이 초청되었다. 아시아에서는 대한민국, 중화민국(대만),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일본이 초청되었고, 파키스탄은 초청되었으나 참석을 거부하였다.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리투아니아, 네덜란드 등도 초청되었다. 그러나 튀르키예, 베트남, 러시아, 태국, 중국, 이란, 싱가포르,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초청되지 않았다.

다당제에 따른 선거를 실시하는[30] 110개 국가와 1개 지역(유럽 연합)이 초청되었으며, 인구 면에서는 세계 상위 10개국 중 7개국이 포함되었다.

미국은 자국과 함께 이들 국가 및 영토를 정상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하도록 초청했다.[10][11][12] 각국 정상들은 짧은 화상 개회사를 할 수 있었는데, 일례로 영국 총리는 3분 연설을 했다.[13]

5. 1. 1. 아프리카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참가국 명단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는 앙골라, 보츠와나, 카보베르데, 콩고 민주 공화국, 가나, 케냐, 라이베리아, 말라위, 모리셔스, 나미비아, 니제르, 나이지리아,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남아프리카 공화국, 잠비아가 초청되었다.[45]


5. 1. 2. 동아시아ㆍ오세아니아



미 국무부가 발표한 참가국 명단에 따르면 총 110개국이 초청됐다.[45] 아시아에서는 대한민국, 중화민국(대만),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일본이 모두 초청되었고, 파키스탄은 초청되었으나 참석을 거부하였다.

다음은 동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의 초청국 목록이다.[31]

국가
오스트레일리아
피지
인도네시아
일본 -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참석했다. 인권, 자유민주주의, 법치주의 존중을 언급했으며,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국제 노동 기구에 대한 자금 지원을 표명했다.[32]
키리바시
말레이시아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몽골
나우루
뉴질랜드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사모아
대한민국
솔로몬 제도
동티모르
중화민국 (타이완) - 차이잉원 총통과 외교부 장관 대신 주미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대표 (주미 대사에 해당)인 샤오메이친과 디지털 담당 장관오드리 탕이 참석했다.[33]
통가
바누아투


5. 1. 3. 유럽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참가국 명단에 따르면, 유럽에서는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리투아니아, 네덜란드를 포함한 39개국과 유럽 연합이 초청되었다.[45] 이들 국가는 다당제에 따른 선거를 실시하는 국가들이다.[30]

초청된 유럽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과거 냉전 시대의 서방 국가는 거의 초청되었지만, 과거 동구권과 구 소련에서 독립한 국가들(독립 국가 연합)은 많은 수가 제외되었다.[23]

제외된 유럽 국가는 다음과 같다:[23]

국가제외 사유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산마리노
세르비아
타지키스탄
바티칸
헝가리대통령의 독재 정치가 문제시되고 있다.[23] 민주주의의 약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여겨진다.[38]
벨라루스대통령의 독재 정치가 문제시되고 있다.[2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리히텐슈타인
러시아대통령 푸틴이 압도적인 권력으로 장기 집권을 유지하고 있다.[23] 러시아 외무부는 "주최 측은 세계의 민주주의인권을 증진하는 리더라고 주장하지만, 그 실적은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 미국과 그 동맹국은 언론의 자유선거 제도 등에서 만성적인 문제를 안고 있으며, 민주주의의 지표가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39]


5. 1. 4. 중동ㆍ북아프리카

5. 1. 5. 남·중앙아시아


  • India영어 인도
  • Maldives영어 몰디브
  • Nepal영어 네팔
  • Pakistan영어 파키스탄 - 초청받았지만 불참했다. 초청에 사의를 표하며, 인권민주주의 문제에 대해서는 "향후 적절한 시기에 임하겠다"라고 표명했다. 친밀한 중국을 배려한 것으로 여겨졌다.[35]

5. 1. 6. 북미·중남미

5. 2. 제외국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참가국 명단에 따르면 총 110개국이 초청되었다.[45] 그러나 튀르키예, 베트남, 러시아, 태국, 중국, 이란, 싱가포르,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초청받지 못했다.[45]

제외된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23]

지역제외 국가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중동 지역은 이슬람교의 영향이 강하고 분쟁이 끊이지 않아 서유럽민주주의가 뿌리내리기 어려운 환경으로 여겨져 많은 국가가 제외되었다.[23] 아프리카 역시 개발도상국이 많고 민주주의가 정착되지 않았거나 정치가 혼미한 국가가 많아 많은 국가가 제외 대상이 되었다.[23]

6. 주요 쟁점 및 과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제안하여 개최된 민주주의 정상회의는 민주주의 가치 확산과 권위주의 대응을 위한 중요한 플랫폼으로 여겨지지만, 여러 가지 쟁점과 과제를 안고 있다. 우선, 참가국 선정 기준이 모호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실제로 필리핀, 브라질과 같이 권위주의적인 국가도 초청된 반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인 터키나 미국의 동맹국인 이집트, 유럽 연합(EU) 회원국인 헝가리는 제외되어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26][27]

또한, 회의의 실질적인 성과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2021년 12월 9일부터 10일까지 이틀간 온라인 형식으로 진행된 첫 회의에서는 구속력 있는 공동 성명이 발표되지 않았고, 일부 전문가들은 학회 발표와 같았다고 혹평했다.[26]

한편,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 러시아 연방(러시아)은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미국의 패권 유지를 위한 도구로 간주하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중화민국(대만) 초청 등을 이유로 미국이 내정 간섭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왕이 외교부장은 미국이 세계의 지도자를 자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28] 또한 중국 정부는 『중국의 민주주의』라는 백서를 통해 중국 공산당 주도의 '중국식 민주주의'를 강조하며 민주주의 정상회의에 맞대응했다.[29] 이러한 강대국 간의 갈등은 국제사회의 분열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46]

참조

[1] 웹사이트 The Summit for Democracy—American Leadership or Photo Op? https://www.heritage[...] 2021-11-05
[2] 웹사이트 An 'Illustrative Menu of Options': Biden's big democracy summit is a grab bag of vague ideas https://www.politico[...] 2021-11-05
[3] 웹사이트 The Summit for Democracy https://www.state.go[...] 2021-11-05
[4] 웹사이트 The Summit for Democracy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s 2022-11
[5] 뉴스 South Korea to host third 'Summit for Democracy' -joint statement https://www.reuters.[...] 2023-03-29
[6] 웹사이트 Press Release > The 3rd Summit for Democracy https://s4dkorea.kr/[...] 2024-03-24
[7] 웹사이트 SUMMARY AGENDA https://www.state.go[...]
[8] 웹사이트 NZ attends US President's Democracy Summit https://www.beehive.[...] Ministry of Health 2021-12-10
[9] 웹사이트 Press Release > The 3rd Summit for Democracy https://s4dkorea.kr/[...] 2024-03-24
[10] 웹사이트 The Summit for Democracy - Participant List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2021-11-25
[11] 뉴스 Biden administration invites Taiwan to the Summit for Democracy, a move likely to anger China https://www.cnbc.com[...] CNBC News 2021-11-25
[12] 웹사이트 Countries and/or governments invited to the Summit for Democracy in 2021 https://www.politico[...]
[13] 웹사이트 PM remarks – Summit for Democracy: 9 December 2021 https://www.gov.uk/g[...] UK Government 2021-12-09
[14] 뉴스 Congo in, China out: Biden's democracy summit guest list raises eyebrows https://www.smh.com.[...] 2021-12-09
[15] 뉴스 Biden's Summit For Democracy: A Showcase For Populist Autocrats And Human Rights Violators https://www.scoop.co[...] 2021-12-09
[16] 웹사이트 Pakistan Descending Into A "Banana Republic", Says Imran Khan https://www.ndtv.com[...] 2023-03-17
[17] 간행물 Joe Biden's Democracy Summit Is the Height of Hypocrisy https://time.com/612[...] 2021-12-10
[18] 웹사이트 Pakistan snubbed US democracy summit to please China https://asiatimes.co[...] 2021-12-13
[19] 뉴스 Diplomacy Alone Can't Save Democracy https://www.theatlan[...] 2021-12-10
[20] 웹사이트 The Summit for Democracy https://www.state.go[...] 2021-11-05
[21] 웹사이트 The Summit for Democracy—American Leadership or Photo Op? https://www.heritage[...] 2021-11-05
[22] 웹사이트 An 'Illustrative Menu of Options': Biden’s big democracy summit is a grab bag of vague ideas https://www.politico[...] 2021-11-05
[23] 뉴스 一色清の「このニュースって何?」「民主主義サミット」開かれる → 世界地図で民主主義の分布を見てみよう https://www.asahi.co[...] 2021-12-10
[24] 뉴스 バイデン氏、同盟国との関係回復を主張 米の孤立を懸念 https://jp.wsj.com/a[...] 2019-07-12
[25] 뉴스 「民主主義サミット」12月に開催 直面する課題を議論 https://www.asahi.co[...] 2021-08-11
[26] 뉴스 民主主義サミットが閉幕 米専門家冷ややか「学会発表のよう」 https://www.asahi.co[...] 2021-12-11
[27] 뉴스 米、民主主義サミットに台湾招待 中国は反発 https://www.sankei.c[...] 2021-11-24
[28] 뉴스 「世界の指導者気取り」 中国外相、民主主義サミット巡り再び米批判 https://www.asahi.co[...] 2021-11-27
[29] 뉴스 中国、独自の「民主」強調 白書公表、米けん制 https://web.archive.[...] 2021-12-04
[30] 뉴스 Biden Rallies Global Democracies as U.S. Hits a ‘Rough Patch’ https://www.nytimes.[...] 2021-12-10
[31] 웹사이트 Countries and/or governments invited to the Summit for Democracy in 2021 https://www.politico[...] 2021-11-25
[32] 뉴스 首相、人権重視強調 資金拠出も 民主主義サミット https://www.sankei.c[...] 2021-12-10
[33] 뉴스 民主主義サミット開幕 唐鳳氏「台湾は世界に貢献できる」 https://japan.focust[...] フォーカス台湾 2021-12-10
[34] 뉴스 民主主義サミットにオードリー・タン氏 対中考慮で「絶妙な人選」 https://www.asahi.co[...] 2021-12-10
[35] 뉴스 パキスタン、民主主義サミット欠席=対中配慮か https://sp.m.jiji.co[...] 2021-12-10
[36] 뉴스 民主主義サミット開幕、参加の顔ぶれが示す課題 https://jp.wsj.com/a[...] 2021-12-10
[37] 웹사이트 国・地域 https://www.mofa.go.[...] 外務省 2021-12-10
[38] 뉴스 民主主義サミット開幕、参加の顔ぶれが示す課題 https://jp.wsj.com/a[...] 2021-12-10
[39] 뉴스 ロシア アメリカが開催する「民主主義サミット」を痛烈批判 https://web.archive.[...] 2021-12-10
[40] 뉴스 民主主義サミット、不参加の中ロ「守るのは米国の覇権」と反発 https://www.asahi.co[...] 2021-12-10
[41] 뉴스 民主主義サミット開幕、参加の顔ぶれが示す課題 https://jp.wsj.com/a[...] 2021-12-10
[42] 뉴스 문 대통령, 민주주의 정상회의 참석.."가짜뉴스로 민주주의 도전 직면" https://news.v.daum.[...]
[43] 뉴스 바이든 야심작 '민주주의 정상회의' 막 올랐지만..초청국 적절성 논란에 시끌 https://news.v.daum.[...]
[44] 뉴스 민주주의정상회의 폐막…바이든 "독재가 자유의 불길 못 꺼뜨려" https://n.news.naver[...]
[45] 웹사이트 미 국무부, 110개국 초청국 목록 https://www.state.go[...]
[46] 뉴스 美 주도 ‘민주주의 정상회의’…배제된 중·러 “미국이 민주 훼손” https://n.news.naver[...]
[47] 뉴스 中, 한미 공동 개최 '민주주의 정상회의' 비판…"세계 분열 조장" https://v.daum.net/v[...]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