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상희 (190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상희는 1905년 경상북도 칠곡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신간회 간부,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항일운동에 참여했다. 광복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구미지부장과 민주주의민족전선 선산군지부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1946년 10.1 대구 사건 당시 구미경찰서 습격 사건에서 시위대를 설득하여 경찰을 보호하려 했으나, 충청도 경찰 병력에 의해 사살되었다. 그의 유족으로는 동생 박정희, 사위 김종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국동맹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여운형이 건국동맹을 모체로 일본 패망 직후 조선총독부로부터 치안권과 행정권을 이양받아 발족한 단체로, 일제 타도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전국적인 치안 유지와 행정 공백 해소에 기여했으나 미군정의 불인정으로 해체되었다.
  • 건국동맹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박성빈 가 - 박지만
    박지만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EG테크 회장을 역임했으며, 박정희 전 대통령의 아들이자 기업인이며, 마약 투약 혐의로 체포된 적이 있고 변호사 서향희와 결혼하여 네 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김대중을 지지했다.
  • 박성빈 가 - 은지원
    은지원은 젝스키스 리더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와 예능인으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고 젝스키스 재결합 후에도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방송인이다.
  • 신간회 - 홍명희
    홍명희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소설가, 정치인으로, 장편소설 《임꺽정》으로 유명하며, 독립운동 참여, 언론 및 교육계 활동 후 해방 후 남북협상 참여, 월북하여 북한에서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역할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신간회 - 허헌
    허헌은 일제강점기 변호사이자 독립운동가로서 3·1 운동 관련자 변호와 신간회 활동을 했고, 해방 후에는 건준위 부위원장, 민전 공동의장 등을 지내며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월북 후 김일성종합대학 총장 등을 지냈다.
박상희 (190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상희
한자 표기朴相熙
로마자 표기Bak Sang-hui
출생일1906년 9월 10일
출생지대한제국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사망일1946년 10월 6일
사망지미 군정 조선 경상북도 선산군
국적대한제국 (1905-1910)
대일본제국 (1910-1945)
남조선(미국군 점령 하) (1945-1946)
배우자조귀분 (1908년 12월 16일 - 1992년 11월 14일)
자녀박영옥 (1929-2015)
박계옥 (1936-)
박금자 (1942-)
박설자 (1945-)
박준홍 (1947-)
직업독립운동가
언론인
종교무종교
정치 활동
소속 정당무소속
직책민주주의민족전선 경상북도 선산군지부 사무국 국장
임기1946년 2월 15일 ~ 1946년 10월 6일
가족 관계
아버지박성빈
어머니백남의
형제자매박씨 (큰형님)
박동희 (형님)
박무희 (형님)
박귀희 (누님)
박한희 (남동생)
박재희 (여동생)
박정희 (남동생)
친인척김종필 (맏사위)
윤경임 (며느리)
박순용 (손자)
기타 정보
본관고령
학력경상북도 구미보통학교 졸업
관련 인물존 하지 (미군정청 군정 장관)
박상희

2. 생애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양몽면) 출신으로, 본관은 고령(高靈) 고령 박씨(高靈朴氏)이다. 박성빈(朴成彬)과 백남의(白南義) 사이의 6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신간회(新幹會)에서 활동했으며, 1934년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 지국장, 1935년 동아일보(東亞日報) 기자 등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40년대 여운형(呂運亨)이 결성한 건국동맹(建國同盟)에서도 활동했다.

광복 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朝鮮建國準備委員會) 구미지부를 설립했고, 1946년 민주주의민족전선(民主主義民族戰線) 선산군(善山郡) 지부 사무국장을 맡았다. 대구 10월 사건(大邱十月事件)으로 경상북도 일대에 시위가 확산되자, 10월 1일 경찰의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9][13]

2. 1. 독립운동

1920년대 말 박상희는 신간회 간부, 선산청년동맹의 준비위원과 상무위원을 겸직하고, 1928년 집행위원직으로 올라가 항일활동에 앞장섰다.[8] 1931년 신간회가 해소되자, 1934년 항일민족지 ‘조선중앙일보’에 입사하여 대구지국장을 맡았다. 이듬해 1935년 동아일보의 구미지국장 겸 주재기자로 옮겨 활동했다.[8]

1944년에는 황태성과 같이 건국동맹의 일원으로 가담해 활동하다가 경찰에 체포된 상태에서 광복을 맞았다. 한편 박정희의 만주행과 본처 김호남과의 이혼을 반대하여 박정희를 설득, 훈계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한다.

2. 2. 광복 후

광복 이후 박상희는 일제강점기 조선중앙일보, 동아일보 등에서 구미지국장 겸 주재기자로 일했고, 신간회 간부로서 항일투쟁에 앞장섰던 경력 덕분에 큰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8] 그는 건국준비위원회의 구미지부를 창설하고, 인민위원회 지부 내정부장을 역임하였다.

1945년 11월, 박상희는 전국인민위원회 대표자회의에 선산 대표로 참가하였다.

1946년에는 민주주의민족전선 선산군지부 사무국장을 맡았다. 신탁통치가 결정되자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지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김일성, 박헌영 등 공산주의자들이 모스크바 삼상회의 지지로 입장을 바꾸자, 그는 침묵을 선택했다.

2. 3. 10.1 대구 사건과 사망

10.1 대구 항쟁 당시 민주주의민족전선 선산지부 사무국장이던 박상희는 경상북도 구미시에 머물면서 대구의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었다.[9] 1946년 10월 3일 구미에서도 2000명 가량의 군중이 구미경찰서를 공격하며 경찰관과 우익인사들을 감금했다. 그러나 박상희의 도움으로 구미 경찰관들을 포함한 이들 대다수는 피신하게 되었는데, 구미사람들은 박상희 덕분에 유혈사태가 빚어지지 않았다고 얘기하고 있다.[13] 다만, 박상희가 '구미 경찰서 습격'을 기획했는지, 아니면 사건 수습 과정에서 저절로 지도자가 됐는지는 확실치 않다.[9]

'구미 경찰서 습격' 이틀 뒤인 10월 5일 새벽, 대구에 파견되었던 충청도 경찰 병력이 구미로 쳐들어왔다. 하루 전 박상희의 중재로 석방된 백철상[14] 서장이 박상희에게 "자네는 우리 생명을 구해준 사람이니까 우리가 보증을 서 겠네"라며 안심시켰다. 그러나 순간 서장실로 밀려든 경찰관들은 박상희를 향해 집중사격을 가했다.[9]

박상희의 동생이자 박정희 대통령의 바로 위 누나인 박재희는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박상희의 큰딸 박영옥씨는 2010년 7월 15일 구미 박상희 묘역에서 열린 추모비 제막식에서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

위 인용문에서 나타나듯이, 박상희는 대구 10월 사건 와중에 경찰을 보호하려다 오히려 경찰의 총에 맞아 사망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부친박성빈1871년 6월 6일 ~ 1938년 9월 4일
모친백남의1872년 9월 22일 ~ 1949년 8월 12일
박동희1895년 ~ 1972년
박무희1898년 ~ 1960년
누나박귀희1902년 ~ 1974년
여동생박재희1913년 ~ 1996년
남동생박정희김호남과 결혼 후 이혼, 육영수와 재혼
부인조귀분1908년 12월 16일 ~ 1993년 11월 14일
장남박준홍1947년 1월 26일 ~정치인
며느리윤경님1956년 ~윤응렬의 딸
친손자박순용1984년 ~
친손녀박주영1986년 ~
장녀박영옥1929년 10월 30일 ~ 2015년 2월 21일
사위김종필1926년 1월 7일 ~ 2018년 6월 23일
외손녀김예리1951년 9월 7일 ~
외손자김진1961년 9월 3일 ~환경무역업 운영 (미국)
차녀박계옥1937년 ~
사위김용태청와대 경호실 근무
외손녀김영혜|
외손녀김영란|
외손자김병규|
외손녀김지현|
삼녀박화자1940년 ~ 2007년
사녀박금자1942년 ~
사위반기언1942년 ~
외손자반승재1967년 ~
외손자반정하1970년 ~
외손녀반정현1975년 ~
오녀박설자1945년 ~
사위김희용1942년 ~벽산그룹 부회장, 벽산그룹 창업주 김인득의 차남
외손자김태식1973년 ~
외손녀김소원1978년 ~
외손자김식1979년 ~


참조

[1] 웹사이트 http://kajiritate-no[...]
[2] 웹사이트 高霊朴氏系図 http://chungheongong[...]
[3] 웹사이트 항일좌익운동가 박상희와 박정희 일가 http://www.jabo.co.k[...] 대자보
[4] 웹사이트 그래픽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가계도) https://www.yna.co.k[...] 2012-12-20
[5] 웹사이트 항일좌익운동가 박상희와 박정희 일가 http://www.jabo.co.k[...] 대자보
[6] 뉴스 박정희의 생애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74)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7] 뉴스 박정희의 생애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82)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8] 웹사이트 http://www.516.co.kr[...]
[9] 웹사이트 좌우익 대결에서 친일경찰 항쟁으로 이어진 대구 10·1사건 https://shindonga.do[...]
[10] 웹사이트 미군정은 왜 일제도 안 했던 하곡 공출을 강행했나 https://www.hani.co.[...]
[11] 웹사이트 독립운동가 열전 삶과 넋 62 박정희 셋째 형, 경북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박상희 https://www.labortod[...]
[12] 웹사이트 박정희는 왜 '빨갱이'가 되었나? http://www.ohmynews.[...]
[13] 웹사이트 나는 역사다 10월6일의 사람, 박정희 친형 박상희(1906~1946) https://www.hani.co.[...]
[14] 웹사이트 역대서장 https://www.gbpolice[...]
[15] 웹사이트 남로당과 박정희 소령 연구(1) http://www.chogabj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