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니나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니나 철도는 스위스 생모리츠와 이탈리아 티라노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1904년 알불라 철도 완공 이후, 베르니나 고개를 통해 수력 발전소 접근과 관광객에게 고산 지역 관광 명소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1905년 베르니나-반게젤샤프트(BB)가 설립되었다. 1908년부터 1910년까지 구간별 개통을 거쳐 전 노선이 완성되었으며, 처음에는 DC 전류로 전기 운행을 시작했다. 1943년 래티셰 철도에 인수된 후 노선 현대화가 이루어졌고, 1980년대부터는 관광 노선으로 적극 홍보되었다. 현재 베르니나 익스프레스 노선으로 운행되며, 2011년에는 구글 스트리트 뷰에 사진이 기록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프스산맥의 교통 - 베르니나 익스프레스
베르니나 익스프레스는 스위스와 이탈리아를 연결하는 파노라마 열차로, 험준한 산악 지형과 혁신적인 철도 건설 기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철도 구간, 그리고 알프스의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대표적인 관광 열차이다. - 알프스산맥의 교통 - 융프라우 철도
융프라우 철도는 스위스 융프라우 지역의 산악 철도로, 클라이네 샤이덱역에서 융프라우요흐역까지 운행하며, 유럽에서 가장 높은 기차역인 융프라우요흐역을 포함하고 관광 산업에 기여한다. - 그라우뷘덴주의 건축물 - 비젠 고가교
비젠 고가교는 스위스 알불라 계곡 상부에 위치한 다보스-필리주어 철도 노선상의 석조 아치교로서, 험준한 지형을 극복하고 철도 운행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주변 환경과의 연계성, 특히 비젠산 등산로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지역 랜드마크이자 문화 관광 자원으로 기능한다. - 그라우뷘덴주의 건축물 - 브루지오 나선형 고가교
스위스 브루지오 남쪽에 있는 베르니나 철도의 브루지오 나선형 고가교는 열차 경사도 제한을 위해 나선형으로 건설되어 계곡의 고도 차이를 극복하며 지역 교통 및 관광 발전에 기여했고, 주변 노선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래티셰 철도와 베르니나 특급을 상징한다. - 등산 철도 - 빙하특급
빙하특급은 스위스 체르마트와 생모리츠를 잇는 관광 열차로, 알프스의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하며 91개의 터널과 291개 이상의 다리를 지나가는 "세계에서 가장 느린 급행열차"라는 별칭을 가진 열차이다. - 등산 철도 - 베르니나 익스프레스
베르니나 익스프레스는 스위스와 이탈리아를 연결하는 파노라마 열차로, 험준한 산악 지형과 혁신적인 철도 건설 기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철도 구간, 그리고 알프스의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대표적인 관광 열차이다.
베르니나 철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베르니나선 |
로마자 표기 | Berninalinie |
이탈리아어 표기 | Linea del Bernina |
로망슈어 표기 | Lingia dal Bernina |
위치 | 그라우뷘덴주, 스위스 |
노선 구간 | 베르니나 고개 |
기점 | 장크트모리츠 (스위스) |
종점 | 티라노 (이탈리아) |
운영자 | 래티셰 철도 |
노선 거리 | 60.688 km |
궤간 | 1,000 mm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000V 가공 전차선 방식 |
최대 경사 | 72퍼밀 |
최소 곡선 반경 | 45 m |
최고 고도 | 2,253 m |
최저 고도 | 1824 m |
역 수 | 22 |
개통 정보 | |
부분 개통 | 1908년 7월 1일 |
전체 개통 | 1910년 7월 5일 |
통년 운행 시작 | 1913년 |
사진 | |
![]() | |
![]() | |
![]() | |
기타 정보 | |
차량 기지 | 포스키아보 |
노선 구조 | 중궤도 단선 |
2. 역사
1904년 알불라 철도가 완성된 다음 해, 베르니나 고개를 통해 생모리츠와 티라노 사이의 철도 노선을 개통할 목적으로 베르니나-반게젤샤프트(BB)가 설립되었다. 베르니나 고개 남쪽에 있는 수력 발전소에 대한 접근과 관광객들이 높은 산악 지역의 관광 명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가지 목적이었다. 1906년에 노선 허가를 받았으며, 건설은 수력전기공사 건설사인 크라프트베르케 브루지오 AG의 투자자에 의해 자금을 조달했다.[13]
1908년부터 여러 구간에서 개통되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간 | 거리 (km) | 개통일 | 비고 | |
---|---|---|---|---|
생모리츠 | 체레리나-슈타츠 | 2.0 | 1909년 7월 1일 | 하계 운행 |
체레리나-슈타츠 | 폰트레시나 | 3.8 | 1908년 8월 18일 | |
폰트레시나 | 모르테라치 | 6.4 | 1908년 7월 1일 | |
모르테라치 | 베르니나-하우저 | 3.6 | 1908년 8월 18일 | |
베르니나-하우저 | 베르니나 호스피츠 | 6.6 | 1909년 7월 1일 | |
베르니나 호스피츠 | 포스키아보 | 21.3 | 1910년 7월 5일 | |
포스키아보 | 티라노 | 17.0 | 1908년 7월 1일 | 연중 운행 |
1910년 7월 5일에 전체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처음부터 DC 전류로 전기 작동되었다. 1935년에는 전압이 750V에서 1000V로 증가했다.
원래 베르니나 철도는 여름에만 운행할 예정이었지만, 1913년/1914년에 겨울 운행을 시작하면서 눈사태 장벽을 추가로 세워야 했다.
개업 초기 BB는 항상 파산 직전이었다. 1915년까지 건설 비용은 약 1500만스위스 프랑에 달했다. 1928년 식당차 도입과 관광객을 위한 패키지 상품을 출시했으나, 재정 상황으로 인해 1943년에 래티셰 철도에 인수되었다.
래티셰 철도는 군사적 이유로 노선을 근본적으로 현대화하고 고개 상단의 구간을 완전히 리뉴얼했다. 이전 베르니나 고개 북쪽 경사면 선로는 곡선으로 배치되어 승객에게 넓은 시야를 제공했지만, 눈사태 코스 경로에 놓이기도 했다. 새 구간은 이러한 곡선을 차단하고 가공선과 기존 형성의 평저 레일은 제거되었지만, 하부 구조는 여전히 높은 산에서 볼 수 있다.
1980년대 중반부터 래티셰 철도는 베르니나 철도의 자연적, 기술적 매력을 관광객들에게 특별히 마케팅해 왔다. 폰트레시나에서 티라노까지의 구간은 베르니나 익스프레스 경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2011년 10월, 세계 최초의 철도 노선이 구글 스트리트뷰에 게재되었다.[14][15][16]
2. 1. 베르니나 철도 주식회사 설립과 초기 건설 (1904년 ~ 1910년)
1904년 알불라 철도 완공 이듬해, 생모리츠와 티라노를 베르니나 고개를 경유하여 잇는 철도 노선 개통을 목표로 베르니나 철도 회사(Bernina-Bahngesellschaft, BB)가 설립되었다.[1] 계획에는 베르니나 고개 남쪽에 있는 수력 발전소 접근과 고산 지역 관광 명소에 대한 관광객 접근 제공이라는 두 가지 요구 사항이 작용했다. 1906년 노선에 대한 영업권을 획득했고, 건설 자금은 주정부 보조금 없이 수력 발전소 건설업체인 크라프트베르케 브루시오 AG(Kraftwerke Brusio AG)의 투자자들에 의해 조달되었다.[13]1908년부터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개통되었다.
구간 | 개통일 | |
---|---|---|
폰트레시나 | 모르테라치 | 1908년 7월 1일 |
티라노 | 포스키아보 | |
폰트레시나 | 첼레리나 | 1908년 8월 18일 |
모르테라치 | 베르니나 수오트 | |
첼레리나 | 생모리츠 | 1909년 7월 1일 |
베르니나 수오트 | 모르테라치 | |
베르니나 수오트 | 포스키아보 | 1910년 7월 5일 |
1910년 7월 5일, 베르니나 수오트와 포스키아보 사이의 가장 어려운 구간이 완공되면서 전체 노선이 개통되었다. 노선은 처음부터 직류 전류로 전기 운행되었으며, 1935년에는 전압이 750V에서 1000V로 증가했다.
처음에 베르니나 철도는 여름에만 운영될 예정이었지만, 1913년/1914년에 겨울 운행도 시작했다. 이로 인해 주요 기상 문제가 발생하여 눈사태 방지 시설 추가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개업 초기, 베르니나 철도는 항상 파산 직전이었다. 1915년까지 건설 비용은 약 1,500만 스위스 프랑에 달했다. 1928년 식당차 도입과 관광객을 위한 패키지 상품 출시에도 불구하고, 이 작은 철도 회사는 파산을 면치 못했다. 어려운 재정 상황으로 인해 1943년 래티셰 철도에 인수되었다.
2. 2. 베르니나 철도의 겨울철 운행과 경영난 (1913년 ~ 1943년)
1904년 알불라 철도 완공 이듬해인 1905년, 생모리츠와 티라노를 베르니나 고개를 경유하여 연결하는 철도 노선 개통을 목표로 베르니나 철도 회사(BB)가 설립되었다. 베르니나 고개 남쪽의 수력 발전소 접근과 고산 지역 관광 명소에 대한 관광객 접근 제공이라는 두 가지 요구 사항이 계획을 주도했다. 1906년 노선에 대한 영업권을 획득했고, 건설 자금은 주정부 보조금 없이 수력 발전소 건설업체인 크라프트베르케 브루지오 AG의 투자자들에 의해 조달되었다.[13]1908년 7월 1일, 폰트레시나-모르테라치 구간과 티라노-포스키아보 구간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8월 18일에는 폰트레시나-첼레리나 구간이 개통되었다. 1909년 7월 1일에는 첼레리나-생모리츠 구간과 모르테라치-베르니나 수오트 구간이 개통되었다. 1910년 7월 5일, 베르니나 수오트-포스키아보 사이의 가장 어려운 구간이 완공되면서 전체 노선이 개통되었다. 처음부터 베르니나 철도는 직류 전류로 전기 운행되었으며, 1935년에는 전압이 750V에서 1000V로 증가했다.
원래 베르니나 철도는 여름에만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1913년/1914년 겨울부터 겨울철 운행을 시작했다. 이로 인해 심각한 기상 문제가 발생하여 눈사태 방지 시설을 추가로 설치해야 했다.
개통 초기부터 BB는 파산 직전에 놓였다. 1915년까지 건설 비용은 약 1,500만 스위스 프랑에 달했다. 1928년 식당차 도입과 관광객을 위한 패키지 상품 출시에도 불구하고, 이 작은 철도 회사는 재정난을 극복하지 못했다. 결국 1943년 BB는 어려운 재정 상황으로 인해 래티셰 철도에 인수되었다.
2. 3. 래티셰 철도로의 인수와 현대화 (1943년 ~ 현재)
1904년 알불라 철도 완공 이듬해, 생모리츠와 티라노를 베르니나 고개를 경유하여 잇는 철도 노선 개통을 목표로 베르니나 철도 회사(Bernina-Bahngesellschaft, BB)가 설립되었다.[13] 베르니나 고개 남쪽에 있는 수력 발전소 접근과 고산 지역 관광 명소에 대한 관광객 접근 제공이라는 두 가지 요구 사항이 계획에 작용했다. 1906년 노선에 대한 영업권을 획득했고, 건설 자금은 주정부 보조금 없이 수력 발전소 건설업체인 크라프트베르케 브루시오 AG(Kraftwerke Brusio AG)의 투자자들에 의해 조달되었다.[1]1908년부터 여러 구간으로 노선이 개통되었다.
구간 | 거리 (km) | 개통일 | 비고 | |
---|---|---|---|---|
생모리츠 | 체레리나-슈타츠 | 2.0 | 1909년 7월 1일 | 하계 운행 |
체레리나-슈타츠 | 폰트레시나 | 3.8 | 1908년 8월 18일 | |
폰트레시나 | 모르테라치 | 6.4 | 1908년 7월 1일 | |
모르테라치 | 베르니나-하우저 | 3.6 | 1908년 8월 18일 | |
베르니나-하우저 | 베르니나 호스피츠 | 6.6 | 1909년 7월 1일 | |
베르니나 호스피츠 | 포스키아보 | 21.3 | 1910년 7월 5일 | |
포스키아보 | 티라노 | 17.0 | 1908년 7월 1일 | 연중 운행 |
베르니나 철도는 스위스의 생모리츠에서 출발하여 베르니나 고개를 넘어 이탈리아의 티라노까지 이어지는 노선이다. 1910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최대 70‰(퍼밀)의 급경사를 오르내리지만 랙 철도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레일만으로 운행되는 접착식 철도이다. 최고점은 오스피치오 베르니나역으로 해발 2253m에 달한다.[5]
1910년 7월 5일, 베르니나 수오트와 포스키아보 사이의 가장 어려운 구간이 완공되면서 전체 노선이 개통되었다. 노선은 처음부터 DC 전류로 전기 운행되었다. 1935년에는 전압이 750V에서 1000V로 증가했다.
베르니나 철도는 처음에 여름에만 운영될 예정이었지만, 1913년/1914년에 겨울 운행을 시작하면서 주요 기상 문제와 관련되어 추가로 눈사태 장벽을 세워야 했다.
개업 초기 BB는 항상 파산 직전이었다. 1915년까지 건설 비용은 약 1500만스위스 프랑에 달했다. 1928년 식당차 도입과 관광객을 위한 패키지 상품 출시에도 불구하고, 재정 상황이 어려워 1943년에 래티셰 철도에 인수되었다.
래티셰 철도(RhB)는 군사적 이유로 노선을 근본적으로 현대화하고 고개 상단의 구간을 완전히 리뉴얼했다. 이전에는 베르니나 고개 북쪽 경사면의 선로가 곡선으로 배치되어 승객에게 넓은 시야를 제공했지만, 눈사태 코스 경로에 놓이기도 했다. 라인의 새로운 부분은 이러한 곡선을 차단하고 가공선과 기존 형성의 평평한 바닥 레일은 제거되었지만, 하부 구조는 여전히 높은 산에서 볼 수 있다.
1980년대 중반부터 래티셰 철도는 베르니나 철도의 자연적, 기술적 매력을 관광객들에게 특별히 마케팅해 왔다. 폰트레시나에서 티라노까지의 구간은 베르니나 익스프레스 경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2011년 10월, 세계 최초의 철도 노선이 촬영되어 구글 스트리트뷰에 게재되었다.[14][15][16]
3. 노선
베르니나 철도는 아름다운 낙엽송 숲, 폭포, 4000m급 베르니나 산맥의 봉우리들, 빙하, 산상 호수 등 알프스의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특히 다뉴브 강과 포 강의 분수령이 되는 라고 비안코, 브루지오 근처의 나선형 다리, 발 포스키아보의 중심지 포스키아보 등은 놓칠 수 없는 볼거리이다.
일반 열차 외에도 스위스를 대표하는 인기 관광 열차인 베르니나 익스프레스가 이 구간을 운행한다. 베르니나 익스프레스는 생모리츠-티라노 구간뿐만 아니라 쿠어-티라노, 다보스-티라노 구간도 연결한다.
베르니나 철도는 알프스의 자연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건설된 뛰어난 철도 기술과 아름다운 경관을 인정받아 알불라선과 함께 2008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베르니나 철도는 생모리츠역에서 출발하여 베르니나 계곡을 따라 올라가다가 알프그륌역부터는 엥가딘 지역을 지나 이탈리아어권 지역으로 들어선다. 이후 발 포스키아보를 따라 내려가 이탈리아의 티라노에 도착하며, 이곳에서 이탈리아 철도(FS)와 연결된다. 최고 고도는 2253m로 접착식 철도 중에서는 유럽에서 가장 높으며, 1824m의 고도 차이를 최대 70‰의 경사와 최소 45m의 곡선 반경으로 극복하는 산악 노선이다. 폰트레시나역 이후 약 1800m 이상의 구간은 수목 한계선을 넘어선다.
몰테라치역 부근에서는 베르니나 알프스의 주봉인 피츠 베르니나(해발 4049m)와 몰테라치 빙하를, 오스피치오 베르니나역 부근에서는 캄브레나 빙하와 빙하 호수인 비안코 호 및 레이 나이어[6]를, 알프그륌역 부근에서는 팔뤼 빙하를 감상할 수 있다.
알프그륌역에서 포스키아보역까지는 10개의 헤어핀 커브와 연속적인 급경사로 인해 직선 거리로 약 6km 정도에 불과하지만 고도는 약 1070m나 낮아진다.
브루지오역과 캄파시오역 사이에는 반경 50m~70m, 경사 70‰의 360도 루프 구간이 있으며, 이 구간의 중심에 있는 석조 브루지오 다리는 베르니나 철도의 명소 중 하나이다.
캄포콜로뇨역 부근에는 인입선이 있으며, 이곳에서 목재를 실은 화차는 정기 여객 열차에 연결되어 혼성 열차 형태로 티라노로 운송된다.
캄포콜로뇨역과 티라노역 사이에서 스위스와 이탈리아의 국경을 넘는다. 2008년 이후 기본적으로 출입국 심사는 필요 없지만, 2022년 현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이 실시되고 있다.[7] 또한, 이탈리아 국경 바로 앞의 캄포콜로뇨역에서 베르니나 익스프레스를 임시 정차시켜 승객의 승하차를 허용하는 특별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8] 코로나19 유행으로 국경이 폐쇄되었던 시기에는 여객 열차는 캄포콜로뇨역에서 회차했고, 화물 및 혼성 열차는 특별히 화물 운송에 한해 티라노역까지 운행되었다.[9]
포스키아보역 부근과 이탈리아로 들어선 후 티라노 시내 일부 구간은 노면전차처럼 도로와 선로를 함께 사용하는 궤도 공용 구간이다.
3. 1. 생모리츠 - 오스피치오 베르니나
생모리츠는 알불라 철도와 베르니나 철도의 종점이다. 두 철도는 서로 다른 전기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같은 역에서 만나지만, 별도의 승강장에서 별도의 노선으로 운행된다. 베르니나 철도는 생모리츠역에서 동쪽으로 출발해 64m 길이의 육교를 타고 인강을 건넌다. 그런 다음 전체 경로에서 가장 긴 터널인 689m 길이의 차르나뒤라 제2터널을 통과한다. 다음 역인 셀레리나 스타츠는 해발 1716m에 있는 베르니나 고개 북쪽의 가장 낮은 지점이다. 거기에서 오스피치오 베르니나까지, 노선은 이제 거의 연속적으로 올라갈 것이다. 인강 강변으로 돌아온 후 노선은 작은 역인 푼트 무랄 스타츠에 도달한다. 이 지점은 1907년에 개장한 무오타스 무랄로 가는 케이블카의 계곡 역이다.
폰트레시나의 다음 역은 생모리츠역과 함께 RhB 네트워크에 대한 호기심을 나타낸다. 두 개의 완전히 다른 전기 시스템이 여기에서 만난다. 사메단에서 역으로 들어가는 11kV AC 전원 열차는 1~3번 선로를 사용하고, 1,000V DC 전원 베르니나 열차는 3~7번 선로를 사용한다. 3번 선로에는 교류에서 직류로 전환할 수 있는 가선과 열차 승무원에게 사용 중인 전류 유형을 표시하는 특수 신호가 있다. 3번 선로를 통해 핵심 네트워크(사메단)를 사용하는 열차와 베르니나선 열차는 서로 다른 전기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선로를 사용할 수 있다. 3번 선로는 또한 유명한 베르니나 익스프레스와 쿠어나 다보스 플라츠와 티라노 사이를 운행하는 기관차 교환도 이루어진다.
이제 노선은 남동쪽으로 향한다. 수로바스역(이전에는 "Sans Souci" (Carefree)이라고 함)을 지나 로제크바흐를 건너 베르니나바흐강을 건너 마침내 모테라치 빙하 아래 약 2km 아래 모테라치역에 도달한다. 역의 다른 쪽 끝을 지나면 세계적으로 유명한 몬테벨로 커브가 있다. 이 곡선은 고개 너머 도로와 만나는 지점이다. 선과 도로는 이제 오스피치오 베르니나까지 서로 동행하게 된다. 최근에 현대화된 베르니나 수오트 대피선에서 이미 삼림한계선에 도달했다. 다음 역은 디아볼레차 및 베르니나 레갈프이며, 둘 다 케이블카의 출발점이다.
다음 구간은 아마도 고개 북쪽에서 가장 흥미로울 것이다. 여기에서 경로는 매우 구불구불하며 계곡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한다. 먼저 37m 길이의 하부 베르니나바흐 다리를 사용하여 베르니나바흐를 건너고, 이 노선은 베르니나바흐의 지류인 아를라스바흐를 가로지른다. 상부 베르니나바흐 다리에서 노선은 계곡의 동쪽으로 다시 이동한다. 이곳의 남서쪽에는 베르니나봉과 팔뤼봉이 장엄하게 솟아 있다. 다음은 175m 길이의 아를라스 갤러리를 따라간다. 이 갤러리는 눈이 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남서쪽에는 피첸 호수(''Lej Pitschen'')와 나이어 호수(''Lej Nair'')로 알려진 작은 호수가 있다. 바로 뒤에는 15m 높이와 283m 길이의 비앙코 호수 댐이 우뚝 솟아 있으며, 이 댐은 다뉴브강과 포강 사이의 분수령이기도 하다.
철도는 이제 호수의 동쪽 제방을 따라 달리고 오스피치오 베르니나 근처에서 해발 2253m의 가장 높은 지점에 도달한다. 따라서 베르니나 철도(산악 철도 제외)는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철도 노선으로 연중 내내 운행되는 공공 철도이다.
3. 2. 오스피치오 베르니나 - 티라노
오스피치오 베르니나역에서 포스키아보까지의 구간은 특히 눈이 많이 내리기 때문에, 남쪽 댐벽부터 여러 구조물이 세워졌다. 대표적으로 140m 길이의 스칼라 갤러리, 192m 길이의 스칼라 터널, 자살 마손 갤러리, 348m와 54m 길이의 드라고 터널이 있다.[13]
그륌 갤러리를 지나면 알프그륌역이 나온다. 이 역은 삼림한계선에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어 사용 지역 이전의 마지막 역이기도 하다. 여기서부터 노선은 최대 7%의 기울기로 올라가고 여러 S자 굴곡을 통해 포스키아보 계곡으로 내려간다. 랙 철도 시스템 없이 운행한다는 점은 베르니나 철도를 세계에서 가장 가파른 접착식 철도 중 하나로 만든다.[13]
알프그륌역 바로 뒤에서 노선은 180°로 꺾여 알프그륌 아래에서 상부 팔뤼 갤러리를 통과한다. 다시 180° 꺾이면 팔뤼 터널을 지나고 더 낮은 팔뤼 갤러리를 통과한다. 노선이 카발리아역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로 4개의 반원 루프를 거친다. 2000년경부터 알프그륌과 카발리아 사이에 새로운 자동 통과 루프인 슈타블리니가 설치되어, 이전에는 교통 지연이 잦았던 구간을 이등분한다. 지그재그 방식으로 노선은 카발리아에서 카데라를 거쳐 프리빌라소까지 계곡으로 이어진다. 거기에서 노선은 급커브 구간을 지나 최대 기울기로 포스키아보 계곡에 도달한다. 포스키아보에서 마침내 베르니나 고개 도로와 다시 만난다.[13]
포스키아보 지역 사회의 요청에 따라 포스키아보역은 마을 경계 바로 바깥에 지어졌다. 이곳에는 베르니나 철도의 유서 깊은 철도 차량 몇 대가 보관된 철도 창고와 작업장이 있다. 티라노까지 약 17km의 나머지 구간은 부분적으로는 산악 철도처럼, 부분적으로는 트램처럼 놓여 있다.[13] 1977년에 건설된 리쿠르트 지점을 지나면, 노선은 르프레제 마을의 거리에 놓인다. 르프레제와 미라라고 사이의 노선은 포스키아보 호수 유역을 따라가므로 호수의 해발 965m 고도에 머무른다.[13]
브루지오 아래에는 철도의 마지막 하이라이트인 브루지오 나선형 고가교가 있다. 이 교량은 선의 고도를 조정하는 역할만 한다. 나선형 교량을 따라가면 브루지오에 속한 캄파시오 마을의 정류장이 있다. 통관 시설로 인해 이례적으로 큰 캄포콜로뇨 국경역을 넘어 이탈리아에 도착하고, 티라노의 중심 광장을 지나면 종착역이 나온다. 여기서 베르니나 철도는 티라노에서 발텔리나를 거쳐 밀라노까지 연결하는 이탈리아 국영 철도 기반 시설 회사인 레테 페로비아리아 이탈리아나(RFI)의 표준궤 역과 노선을 만난다.[13]
4. 차량
오늘날 베르니나 철도의 정기 상업 서비스에는 다음과 같은 등급의 철도 차량과 기관차가 사용된다. 2010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15대의 ABe 8/12I는 ABe 4/4I 4대와 ABe 4/4II 9대와 같은 기존 엔진 시리즈를 대체했다. 내부에 디젤 발전기(이중 엔진 기관차) 덕분에 전기 공급 없이 작동할 수 있는 6대의 ABe 4/4III와 2대의 Gem 4/4도 여전히 사용 중이다.
철도 차량으로 구성된 이 함대에는 화물 차량도 있다. 일부 화물 차량은 140ton의 최대 견인 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여객 열차에 추가된다. 안전상의 이유로 위험물 존재로 인해 다른 화물 차량은 순수 화물 열차로 운행된다. 원래는 관광용으로만 설치되었지만 베르니나 철도는 현재 대부분 난방유, 연료와 목재로 구성된 상당한 양의 화물을 운송함으로써 이탈리아와의 무역을 지원한다. 또한 포스키아보 계곡의 지역 쇼핑 사업은 부분적으로 철도로 제공된다.
시간표는 각 방향으로 시간당 한 대의 여객 열차가 연중 내내 운행되도록 엄격하게 설계되었다. 주력 서비스는 이제 완전히 파노라마 차량으로 장착된 베르니나 익스프레스와 트레니노 로소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겨울에는 1913년식 증기 회전제설차가 정기적으로 사용되지만, 1968년의 전기 회전식 제설기 2대와 2010년의 현대식 엔진 2대도 사용된다. 그들의 운영은 또한 전 세계의 철도 애호가, 특히 증기 기관을 끌어들이는 관광 명소이다. 두 개의 Gem 4/4는 회전식 제설기의 분류를 보장한다.
베르니나 철도의 눈사태 위험과 관련하여 래티셰 철도는 이러한 높은 고산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특이한 절차를 개발했다. 눈사태의 위험이 가장 큰 늦은 겨울에, 눈사태 발생을 통제하기 위해 눈사태가 발생한 지점에 포를 발사한다.
5. 갤러리
6. 역 목록
(레기온)
(칸톤)
무오타스·무라이유행 케이블카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