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바이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바이역은 1891년 홋카이도 탄광 철도 역으로 개업하여,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가 운영하는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1906년 국유화, 1987년 JR 홋카이도 소속으로 변경되었으며, 2002년 교상역으로 개축되었다. 2024년 3월부터는 IC 카드 Kitaca를 사용할 수 있다. 역 주변에는 미바이 시청 등 주요 시설이 있는 서쪽 출구와 상업 시설이 개발된 동쪽 출구가 있으며, 버스 노선도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바이시의 철도역 - 미네노부역
    미네노부역은 1891년 홋카이도 탄광 철도 미네노부역으로 개업하여 일본국유철도를 거쳐 1987년 JR 홋카이도가 되었고 단선 및 섬식 승강장을 갖춘 무인 지상역으로 2024년 3월부터 Kitaca 사용이 가능하며, 하코다테 본선 상에 위치하여 오타루역, 호로무이역 방면으로 운행된다.
  • 비바이시의 철도역 - 고슈나이역
    고슈나이역은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에 있는 2면 3선의 지상역으로, 목조 역사를 사용하며, 1920년 신호소로 개설되어 1952년 역으로 승격되었고, 2024년 3월부터 IC 카드 Kitaca를 사용할 수 있다.
  • 1891년 개업한 철도역 - 아오모리역
    아오모리역은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역으로, 혼슈와 홋카이도를 잇는 교통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는 아오모리 시의 주요 교통 허브이다.
  • 1891년 개업한 철도역 - 모지역
    모지역은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모지구에 위치한 JR큐슈의 철도역으로 가고시마 본선과 산요 본선이 연결되는 교통 중심지이며, 1891년 개업 후 간몬터널 개통과 함께 현재 위치로 이전하여 기타큐슈 지역의 중요한 교통 및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 하코다테 본선 - 삿포로역
    삿포로역은 홋카이도 삿포로시에 위치한 JR 홋카이도 철도역이자 삿포로 시영 지하철 환승역으로, 홋카이도 주요 교통 중심지 역할과 대규모 상업시설 연결, 홋카이도 신칸센 종착역 건설 예정 등으로 교통 중심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 하코다테 본선 - 놋포로역
    놋포로역은 홋카이도 에베쓰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삿포로와 이와미자와 방면을 연결하며 지역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덴마크 국철과의 협업으로 디자인된 역사는 "빛"을 테마로 지역과 세계를 잇는 상징성을 지닌다.
비바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2004년 비바이 역
양쪽의 둥근 부분은 시에서 건설한 자유 통로. 계단 사이가 교상 역사 (2004년 7월)
기본 정보
역 이름비바이 역
일본어 역명美唄駅
로마자 역명Bibai-eki
역 종류지상역 (교상역)
소재지홋카이도 비바이시 히가시 1조 미나미 2초메 3번 1호
개업일1891년 7월 5일
전보 약호히하
역 번호A16
비고직영역 (관리역)
미도리노마도구치 있음
말하는 발매기 설치역
운영 정보
운영 주체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플랫폼2면 2선
구조지상
통계 연도2017년
1일 평균 승차 인원1,368명
노선 정보 (JR 홋카이도)
노선하코다테 본선
기점으로부터의 거리하코다테 기점 343.7 km
이전 역고슈나이 (A15)
역간 거리3.9 km
다음 역자시나이 (A17)
역간 거리4.4 km
운행 계통{{Adjstn|system=JR Hokkaido|line1=Hakodate|type1=Local 3|left1=Kōshunai|right1=Chashinai




과거 노선 (미쓰비시 비바이 탄광 철도)
노선명미쓰비시 광업 비바이 철도선
역간 거리3.7 km
다음 역히가시메이
영업 개시일1915년 (다이쇼 4년) 10월 11일
폐지일1972년 (쇼와 47년) 6월 1일
과거 노선 (일본국유철도)
노선명하코다테 본선미나미비바이 지선
역간 거리3.0 km
다음 역미나미비바이
영업 개시일1931년 (쇼와 6년) 12월 1일
폐지일1971년 (쇼와 46년) 9월 9일

2. 역사

1891년 홋카이도 탄광 철도의 역으로 처음 문을 열었으며[6], 초기에는 침수 피해로 인해 역사를 현재 위치로 이전하는 과정을 겪었다[7]. 1906년 철도 국유법에 따라 관설철도로 편입되었고[6], 이후 지역의 주요 산업이었던 석탄 운송을 위해 미쓰비시미쓰이 계열의 탄광 철도 노선(미쓰비시 광업 미바이 철도선, 남미바이 지선)이 연결되어 운영되었다[10]. 여러 차례의 역사 개축[8][9]을 거치며 지역 교통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1970년대 탄광 산업의 쇠퇴와 함께 관련 철도 노선들이 차례로 폐지되었다.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로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소속이 되었다. 2002년에는 현대적인 교상역사로 새롭게 단장하고[12][13] 특급열차 정차, Kitaca 도입[15][16][17] 등 이용객 편의를 위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2. 1. 홋카이도 탄광 철도 시대 (1891년 ~ 1906년)

1891년 7월 5일, 홋카이도 탄광 철도의 역으로 개업하였다. 당시에는 여객과 화물을 모두 취급하는 일반역이었다[6]. 처음 역사는 현재 위치에서 고슌나이 방면으로 약 250m 떨어진 곳에 세워졌다[7].

1901년 9월 1일, 반복되는 침수 피해 때문에 현재의 위치로 역사를 옮겼다[7].

1906년 10월 1일, 철도 국유법 시행에 따라 홋카이도 탄광 철도의 철도 노선이 국가에 매수되면서, 관설철도 소속 역이 되었다[6].

2. 2. 관설 철도 시대 (1906년 ~ 1987년)


  • 1906년(메이지 시대 39년) 10월 1일: 홋카이도 탄광 철도의 철도 노선이 국유화됨에 따라 관설철도로 이관되었다[6].
  • 1914년(다이쇼 시대 3년) 11월 5일: 미쓰비시 광업 미바이 철도선의 전신인 이시카리 석탄 주식회사의 미바이 경편 철도가 미바이 - 누마카이(후에 미바이 탄산으로 역명 변경) 구간을 개업하였다.
  • 1915년(다이쇼 시대 4년) 10월 11일: 미바이 경편 철도가 미쓰비시 합자 회사가 설립한 미바이 철도 주식회사에 매수되어, 미바이 철도에 의한 영업이 시작되었다.
  • 1919년(다이쇼 시대 8년): 다나카 기선 광업 주식회사 누마카이 탄광이 후에 미쓰이 미바이 소유가 되는 광구에 개광한 갱구(이치노사와 안쪽)에서, 시가지 남동쪽 외곽(히가시 5조 미나미 9초메 부근)에 설치한 적재 설비까지 트로코의 엔드리스 궤도(견삭 궤도)를 부설하였다[5]. 또한 미바이 철도선을 미바이역에서 해당 적재 설비까지 연장하였다[5]. (참고: 해당 갱구는 다이쇼 13년 3월에 일본 석유가 매수하였고, 쇼와 3년 8월 1일부터 미쓰이 광산과 공동 소유하며 미쓰이 측이 경영하였다. 닛세키는 누마카이 탄광 시설을 개량하여 계속 미바이 철도 측선을 이용했다.)
  • 시기 불명(1915년 이후 1922년 이전): 역사 개축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8].
  • 1922년(다이쇼 시대 11년): 미바이 철도와의 공동 사용역이 되었다[9].
  • 1931년(쇼와 시대 6년) 12월 1일: 미쓰이 광산의 요청에 따라 하코다테 본선 화물 지선(남미바이 지선)이 개업하였다[10].
  • 1936년(쇼와 시대 11년) 3월: 역사를 개축하였다[9].
  • 1954년(쇼와 시대 29년) 8월 11일: 쇼와 천황, 고준 황후가 탑승한 어전 열차가 정차했으며, 역 앞에서 봉영 행사가 열렸다[11].
  • 1971년(쇼와 시대 46년) 8월 3일: 남미바이 지선의 여객 영업을 폐지하였다.
  • 1972년(쇼와 시대 47년) 6월 1일: 미쓰비시 광업 미바이 철도선이 폐선되었다.
  • 1973년(쇼와 시대 48년) 9월 9일: 남미바이 지선이 폐지되었다.
  • 1982년(쇼와 시대 57년) 11월 15일: 화물 취급을 폐지하였다.
  • 1985년(쇼와 시대 60년) 3월 14일: 소화물 취급을 폐지하였다.

2. 3. JR 홋카이도 시대 (1987년 ~ 현재)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의 역이 되었다.

2002년 2월 5일, 교상역사의 공용이 개시되었다[12][13]. 같은 해 3월 16일에는 특급열차 슈퍼 화이트 애로우(현 카무이)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2007년 9월 13일, 역 번호(A16)가 설정되었다.

2022년 2월 24일, 말할 수 있는 발권기가 도입되었다[14].

2024년 3월 16일, IC 카드 "Kitaca"의 이용이 가능해졌다[15][16][17].

3.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교상역으로, 2선 사이에 중선도 있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직원 배치역이다. 미도리의 창구, 말할 수 있는 발권기[2], 자동 개찰기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번선노선방향행선
1하코다테 본선상행삿포로오타루 방면
3하행다키카와아사히카와 방면



(출처: [https://www.jrhokkaido.co.jp/network/station/station.html#80 JR 홋카이도: 역 정보 검색])

4. 이용 현황

2017년(헤이세이 29년)도의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은 '''1,368명'''이다[19].

과거 석탄 산업 호황기였던 1951년에는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이 4,491명[20], 1960년에는 5,219명[21]에 달했으나, 이후 탄광 폐쇄 등으로 이용객이 감소하여 2010년대에는 1,300명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 각 연도의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은 다음과 같다.

연도하루 평균
승차 인원
출처
1951년(쇼와 26년)4,491[20]
1960년(쇼와 35년)5,219[21]
2008년(헤이세이 20년)1,357
2009년(헤이세이 21년)1,280[22]
2010년(헤이세이 22년)1,243
2011년(헤이세이 23년)1,312
2012년(헤이세이 24년)1,381[23]
2013년(헤이세이 25년)1,378
2014년(헤이세이 26년)1,300
2015년(헤이세이 27년)1,275[19]
2016년(헤이세이 28년)1,377
2017년(헤이세이 29년)1,368


5. 역 주변

비바이시의 주요 시설은 대부분 역 서쪽 출구 쪽에 집중되어 있다. 동쪽 출구 쪽은 과거 화물 야드 부지였으나, 재개발을 통해 상업 시설 등이 들어서고 있다.

5. 1. 서쪽 출구


  • 국도 제12호선
  • 비바이시 시청
  • 비바이 경찰서 역전 파출소
  • 비바이 우체국
  • 소라치 신용금고 비바이 지점
  • 소라치 상공 신용조합 본점
  • 호쿠요 은행 비바이 지점
  • 홋카이도 은행 비바이 지점
  • 비바이시 농업협동조합 (JA 비바이)
  • 홋카이도 비바이 쇼에이 고등학교
  • 비바이 시립 비바이 중학교
  • 비바이 시립 중앙 초등학교
  • 비바이시 종합 체육관
  • 시립 비바이 병원

5. 2. 동쪽 출구


  • 도매 슈퍼 미바이점
  • 홋카이도 미바이 세이카 고등학교
  • 미바이 시립 동중학교
  • 홋카이도 척추 손상 센터 (구 미바이 재해 병원)

6. 버스 노선

역 서쪽 출구 광장에 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홋카이도 중앙 버스 노선은 2006년 10월 9일까지 역에서 조금 떨어진 홋카이도 중앙 버스 미바이 터미널에서 승하차했으나, 터미널 폐지 후 역 앞에서 운행하게 되었다.


  • 홋카이도 중앙 버스: 이와미자와시 방면(이와미자와 영업소), 다키카와시 방면 및 삿포로 운전 면허 시험장 노선[24](다키카와 영업소)을 운행한다[25].
  • 미바이 자동차 학교 (미자교 관광 버스): 미바이 시내 노선을 운행한다[27][28].
  • 미바이 시민 버스[26]: 미바이 시내 노선을 운행한다[27][28].


발착 노선 등의 자세한 내용은 각 사업자(홋카이도 중앙 버스는 영업소) 문서를 참조.

7. 인접 정차역

(오타루 방면)비바이역 (A16)자시나이역 (A17)
(아사히카와 방면)


8. 과거 존재했던 노선

미쓰비시 미바이 탄광으로 이어지던 미쓰비시 광업 미바이 철도선이 있었다. 이 노선은 '''비바이역'''에서 출발하여 히가시미바이 신호소(경유)를 거쳐 도메이역까지 운행했다.

또한 일본국유철도(국철) 시절에는 하코다테 본선의 미나미미바이 지선이 분기하여 '''비바이역'''과 미나미미바이역을 연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駅構内放送用スピーカーが垂下した事象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3-08-19
[2] 웹사이트 指定席券売機/話せる券売機|駅・鉄道・旅行|JR北海道-Hokkaido Railway Company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2-03-13
[3] 서적 停車場一覧 昭和41年3月現在 https://doi.org/10.1[...] 日本国有鉄道 1966
[4] 문서 鉄道・航路旅客運賃・料金算出表 昭和59年4月20日現行 日本国有鉄道旅客局 1984
[5] 문서 『足跡』三井美唄35年史
[6] 문서 北海道鉄道百年史 下巻 年表
[7] 문서 美唄市百年史 通史編
[8] 문서 美唄市百年史 通史編
[9] 문서 美唄市史 1970年版
[10] 문서 北海道鉄道百年史 中巻
[11] 서적 昭和天皇御召列車全記録 新潮社
[12] 간행물 2月のメモ帳 전기차연구회 2002-05-01
[13] 뉴스 きょう美唄新駅舎開業 街づくりへ高まる期待 駅前復活の起爆剤に/新通路できれば便利/人呼び込むもの必要 北海道新聞社 2002-02-05
[14] 보도자료 駅業務等のコスト削減策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1-08-19
[15] 보도자료 20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3-12-15
[16] 보도자료 2024(令和6)年3月ICカードKitacaエリアを拡大します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3-12-13
[17] 보도자료 ICカードKitacaエリアを拡大します! ~2024年春、函館・旭川各エリアでKitacaサービスを開始します~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2-09-14
[18] 웹사이트 アイヌ語地名リスト ノブト~ヒラキ P101-110 http://www.pref.hokk[...] 北海道 環境生活部 アイヌ政策推進室 2017-10-20
[19] 웹사이트 第10編 運輸・通信 http://www.city.biba[...] 美唄市 2020-04-18
[20] 문서 美唄市百年史 資料編 平成3年9月発行、市制申請書による年間乗車
[21] 문서 美唄市百年史 資料編 平成3年9月発行、美唄駅統計資料による年間乗車
[22] 웹사이트 第10編 運輸・通信 http://www.city.biba[...] 美唄市 2017-12-13
[23] 웹사이트 第10編 運輸・通信 http://www.city.biba[...] 美唄市 2017-12-13
[24] 문서 毎週水曜日に運行。
[25] 웹사이트 美唄駅前 のりば地図 https://transfer.nav[...] 北海道中央バス 2019-06-07
[26] 문서 西線は美自校観光バス、東線はフラワー観光バスに委託。
[27] 웹사이트 南美唄線時刻表(美唄自動車学校運行バス) http://www.city.biba[...] 美唄市 2019-06-07
[28] 웹사이트 市民バス(東線・西線)時刻表 http://www.city.biba[...] 美唄市 2019-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