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벌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벌주는 신라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첨해 이사금 때 사벌국을 정복하고 주를 설치한 것에서 유래한다. 지증왕 때 주가 설치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685년 신문왕 때 일선주에서 사벌주로 개칭되었으며, 757년 경덕왕 때 상주로 변경되어 고려와 조선을 거쳐 현재까지 상주시로 그 명칭이 이어지고 있다. 사벌주는 10개 군과 30~31개 현을 관할했으며,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예천군, 안동시, 의성군, 구미시, 김천시, 영동군, 옥천군, 보은군, 문경시 등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역사 - 한산주
    한산주는 삼국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한반도 중부 지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하고 신주를 설치하면서 한산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1개 소경, 27개 군, 46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 충청북도의 역사 - 충청북도의 코로나19 범유행
    충청북도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2월 증평군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하여, 2022년에 확진자가 급증하고 2023년 5월까지 105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 신라의 주 - 한산주
    한산주는 삼국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한반도 중부 지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하고 신주를 설치하면서 한산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1개 소경, 27개 군, 46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 신라의 주 - 완산주
    완산주는 신라 신문왕 때 설치된 구주 중 하나로, 후백제 건국 시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와 영역이 대체로 일치한다.
  • 경상북도의 역사 - 경상북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일제강점기)는 1925년부터 1944년까지의 인구, 행정 구역, 도지사, 사법, 경찰, 세무, 교육, 교통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1945년 당시 대구부와 20개 군, 울릉도를 관할 구역으로 두었다.
  • 경상북도의 역사 - 독도의 달
    독도의 달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에 대한 반발로 제정되어 독도가 대한민국 고유 영토임을 알리고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10월에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개최되는 행사 기간이다.
사벌주
기본 정보
관습적인 긴 이름사벌주
토착 이름충청도
일반적인 이름사벌
하위 구분
국가신라
시대고대
수도상주군
시작 연도685년
시작 사건설치
종료 연도?
종료 사건해체
행정 구역 명칭10군 31현
오늘날대한민국 경상남도, 충청북도

2. 연혁

사벌국진한의 소국이었다. 신라 첨해 이사금(재위 247~261년) 때 석우로가 사벌국을 정복하고 사벌주를 설치하였다고 한다.[1] 그러나 실제 신라에서 주를 설치하는 제도가 시행된 것은 지증왕 때이므로 이때 설치되었다고 보기는 어렵고, 실제로는 사벌국의 옛 강토가 행정구역으로 유지되다가 지증왕 때 주가 설치된 것으로 이해된다. 525년(법흥왕 12년)에 군주(軍主)를 임명하고 상주(上州)로 고쳤다.[2] 557년(진흥왕 18년)에 사벌주는 폐지되고[3] 감문주(甘文州)가 설치되었으며, 다시 일선주(一善州)로 옮겨졌다.

685년(신문왕 5년)에 전국에 9주가 정비되었는데, 이때는 일선주였으나 687년에 사벌주로 옮겼다. 757년(경덕왕 16년)에 전국의 행정구역 명칭을 중국식으로 고치면서 사벌주도 상주로 개칭되었다.[4] 이후 상주의 명칭은 고려, 조선을 거쳐 지금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다. 혜공왕 때 행정구역 명칭을 원래 명칭으로 되돌렸다고 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경덕왕이 중국식으로 고친 명칭을 기준으로 기록되어 있다.

3. 소속 군현

757년 경덕왕이 지명을 고칠 당시 사벌주(상주)에는 10개 군, 30개 현이 소속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사기》 〈권34〉(〈지리지〉)에 전해지는 상주 조(條)에는 10개 군 31개 현이 나타나고 있다.[5]

'''사벌주의 소속 군현'''
군의 이름원래 군명현재 지명소속 현원래 현명현재 지명
상주(尙州)사벌주(沙伐州)경상북도 상주시청효현(靑驍縣)·다인현(多仁縣)·화창현(化昌縣)음리화현(音里火縣)·달기현(達己縣)·지내미지현(知乃彌知縣)상주시 청리면·의성군 다인면·상주시 외서면[6]
예천군(醴泉郡)수주군(水酒郡)경상북도 예천군영안현(永安縣)·안인현(安仁縣)·가유현(嘉猷縣)·은정현(殷正縣)하지현(下枝縣)·난산현(蘭山縣)·근품현(近品縣)·적아현(赤牙縣)안동시 풍산읍·문경시 동로면 남단·문경시 산양면·예천군 은풍면
고창군(古昌郡)고타야군(古陁耶郡)경상북도 안동시직녕현(直寧縣)·일계현(日谿縣)·고구현(高丘縣)일직현(一直縣)·열혜현(熱兮縣)·구화현(仇火縣)안동시 일직면·의성군 옥산면·의성군 단촌면
문소군(聞韶郡)소문국(召文國)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진보현(眞寶縣)·비옥현(比屋縣)·안현현(安賢縣)·단밀현(單密縣)칠파화현(柒巴火縣)·아화옥현(阿火屋縣)·아시혜현(阿尸兮縣)·무동미지(武冬彌知)청송군 진보면·의성군 비안면·의성군 안계면·의성군 단밀면
숭선군(嵩善郡)일선군(一善郡)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효령현(孝靈縣)·지명 미상·군위현(軍威縣)모혜현(芼兮縣)·이동혜현(尒同兮縣)·노동멱현(奴同覓縣)군위군 효령면·구미시 혜평면·군위군 군위읍
개령군(開寧郡)감문소국(甘文小國)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어모현(禦侮縣)·금산현(金山縣)·지례현(知禮縣)·무풍현(茂豐縣)금물현(今勿縣)·동잠현(桐岑縣)·지품천현(知品川縣)·무산현(茂山縣)김천시 어모면·김천시 신음동·김천시 지례면·무주군 무풍면
영동군(永同郡)길동군(吉同郡)충청북도 영동군양산현(陽山縣)·황간현(黃澗縣)조비천현(助比川縣)·소라현(召羅縣)영동군 양산면·영동군 황간면
관성군(管城郡)고시산군(古尸山郡)충청북도 옥천군이산현(利山縣)·안정현(安貞縣)소리산현(所利山縣)·아동혜현(阿冬兮縣)옥천군 이원면·옥천군 안내면
삼년군(三年郡)삼년산군(三年山郡)충청북도 보은군청천현(淸川縣)·기산현(耆山縣)살매현(薩買縣)·굴현(屈縣)괴산군 청천면·옥천군 청성면
고령군(古寧郡)고령가야국(古寧加耶國)·고동람군(古冬攬郡)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가선현(嘉善縣)·관산현(冠山縣)·호계현(虎溪縣)가해현(加害縣)·관현(冠縣)·호측현(虎側縣)문경시 가은읍·문경시 문경읍·문경시 호계면
화령군(化寧郡)답달비군(荅達匕郡)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도안현(道安縣)도량현(刀良縣)상주시 모동면


3. 1. 상주 (尙州)

757년 경덕왕이 지명을 고쳤을 당시 상주에는 10개 군, 30개 현이 소속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사기》 〈권34〉(〈지리지〉)에 전해지는 상주 조(條)에는 10개 군 31개 현이 나타나고 있다.[5]

사벌주의 소속 군현
군의 이름원래 군명현재 지명소속 현원래 현명현재 지명
상주(尙州)사벌주(沙伐州)경상북도 상주시청효현(靑驍縣)·다인현(多仁縣)·화창현(化昌縣)음리화현(音里火縣)·달기현(達己縣)·지내미지현(知乃彌知縣)상주시 청리면·의성군 다인면·상주시 외서면[6]


3. 2. 예천군 (醴泉郡)

醴泉郡중국어757년 경덕왕이 지명을 고쳤을 당시 수주군(水酒郡)에서 개칭된 이름이다. 현재의 경상북도 예천군에 해당한다. 당시 예천군에는 4개의 현이 소속되어 있었다.

사벌주 소속 예천군의 현
현 이름원래 현명현재 지명
영안현(永安縣)하지현(下枝縣)안동시 풍산읍
안인현(安仁縣)난산현(蘭山縣)문경시 동로면 남단
가유현(嘉猷縣)근품현(近品縣)문경시 산양면
은정현(殷正縣)적아현(赤牙縣)예천군 은풍면

[5]

3. 3. 고창군 (古昌郡)

사벌주의 소속 군현
군의 이름원래 군명현재 지명소속 현원래 현명현재 지명
고창군(古昌郡)고타야군(古陁耶郡)경상북도 안동시직녕현(直寧縣)일직현(一直縣)안동시 일직면

[5]

3. 4. 문소군 (聞韶郡)

문소군()은 원래 소문국(召文國)이었는데,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해당한다. 소속 현은 다음과 같다.[5]

문소군() 소속 현
현 이름원래 현명현재 지명
진보현(眞寶縣)칠파화현()청송군 진보면
비옥현(比屋縣)아화옥현()의성군 비안면
안현현(安賢縣)아시혜현()의성군 안계면
단밀현(單密縣)무동미지()의성군 단밀면


3. 5. 숭선군 (嵩善郡)

'''숭선군'''(嵩善郡)은 757년 (신라 경덕왕)에 일선군(一善郡)의 명칭을 변경한 것으로,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지역이다. 숭선군에는 3개의 현이 소속되어 있었다.

숭선군의 소속 현
현의 이름원래 현명현재 지명
효령현(孝靈縣)모혜현(芼兮縣)군위군 효령면
지명 미상이동혜현(尒同兮縣)구미시 혜평면
군위현(軍威縣)노동멱현(奴同覓縣)군위군 군위읍

[5]

3. 6. 개령군 (開寧郡)

757년 경덕왕이 지명을 고쳤을 때, 김천시 개령면은 감문소국(甘文小國)에서 개령군(開寧郡)으로 개칭되었다.[5] 개령군에는 어모현(禦侮縣), 금산현(金山縣), 지례현(知禮縣), 무풍현(茂豐縣)이 소속되어 있었다.

개령군 소속 현
현의 이름원래 현명현재 지명
어모현(禦侮縣)금물현(今勿縣)김천시 어모면
금산현(金山縣)동잠현(桐岑縣)김천시 신음동
지례현(知禮縣)지품천현(知品川縣)김천시 지례면
무풍현(茂豐縣)무산현(茂山縣)무주군 무풍면


3. 7. 영동군 (永同郡)

757년 경덕왕이 지명을 고칠 당시 상주에 소속되어 있었다고 전해지는 10개 군 가운데 하나이다.[5]

사벌주의 소속 군현 : 영동군(永同郡)
군명원래 군명현재 지명소속 현명원래 현명현재 지명
영동군길동군충청북도 영동군양산현
황간현
조비천현
소라현
영동군 양산면
영동군 황간면


3. 8. 관성군 (管城郡)

관성군(管城郡)은 옥천군의 옛 이름으로, 원래 고시산군(古尸山郡)이었다. 757년(경덕왕 16)에 관성군으로 개칭되었다. 관성군에는 2개의 현이 소속되어 있었다.[5]

관성군의 소속 현
현의 이름원래 현명현재 지명
이산현(利山縣)소리산현(所利山縣)옥천군 이원면
안정현(安貞縣)아동혜현(阿冬兮縣)옥천군 안내면


3. 9. 삼년군 (三年郡)

삼년군은 원래 삼년산군(三年山郡)이었으며, 현재의 충청북도 보은군이다. 삼년군에는 청천현(淸川縣)과 기산현(耆山縣)이 소속되어 있었다. 청천현은 원래 살매현(薩買縣)이었으며 현재의 괴산군 청천면이고, 기산현은 원래 굴현(屈縣)이었으며 현재의 옥천군 청성면이다.[5]

3. 10. 함창군 (古寧郡)

古寧加耶國일본어 또는 고동람군(古冬攬郡)이라고 불렸던 고령군(古寧郡)은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일대에 해당한다.[5] 함창군은 가선현(嘉善縣), 관산현(冠山縣), 호계현(虎溪縣)을 소속 현으로 거느렸다.[5]

고령군(古寧郡)의 소속 현
현 이름원래 현명현재 지명
가선현(嘉善縣)가해현(加害縣)문경시 가은읍
관산현(冠山縣)관현(冠縣)문경시 문경읍
호계현(虎溪縣)호측현(虎側縣)문경시 호계면


3. 11. 화령군 (化寧郡)

경덕왕 때 지명을 고칠 당시 상주에는 10개 군, 30개 현이 소속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사기》〈권34〉(〈지리지〉)에는 상주에 10개 군, 31개 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5]

화령군은 답달비군(荅達匕郡)이라고 불렸으며 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지역이다. 화령군 소속 현으로는 도안현(道安縣)이 있었는데, 도량현(刀良縣)이라고도 불렸으며 현재의 상주시 모동면이다.

참조

[1] 서적 삼국사기 권34 삼국사기
[2] 서적 삼국사기 권34 삼국사기
[3] 서적 삼국사기 권34 삼국사기
[4] 서적 삼국사기 권34 삼국사기
[5] 서적 삼국사기 권34 삼국사기
[6]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1-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