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경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경운수는 1980년 1월 1일에 설립된 운수업체로, 자회사 성우운수를 설립하고 도시형 버스 노선을 이관했다. 현재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다양한 도시형버스 및 일반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했다. 보유 차량으로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유니시티, 현대 유니버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권선구 - 수원여자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는 1969년 수원간호고등기술학교로 설립되어 현재 다양한 학부와 학과를 운영하는 사립 전문대학으로, 높은 취업률과 사회 공헌 활동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 권선구 - 세류동
세류동은 수원시의 법정동으로, 세류1동, 세류2동, 세류3동의 3개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세류2동은 장지동을 관할하고 수원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경부선 세류역과 국도 제1호선이 지나간다. - 1979년 설립된 기업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1997년 대전 둔산동에 동양백화점 둔산점 타임월드로 개점하여, 한화그룹에 인수된 후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 중인 백화점이다. - 1979년 설립된 기업 - 롯데리아
롯데리아는 1972년 신격호가 일본에서 설립한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매장망을 구축하고 새우버거와 김치버거 등 다양한 메뉴를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2023년 젠쇼홀딩스에 매각되었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삼경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삼경운수 주식회사 |
원어 이름 | Samgyeong Transport Corp.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 11 (오목천동) |
사업 지역 | 서탄영업소 :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서탄로 448-46 진위영업소 : 경기도 평택시 삼남로 583 (지산동) |
창립일 | 1979년 11월 13일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경영진 | |
대표이사 | 김기성 |
재무 정보 (2018년) | |
자본금 | 1,592,640,000원 |
매출액 | 8,623,230,135원 |
영업이익 | -1,599,542,837원 |
순이익 | 6,818,976,120원 |
자산총액 | 6,323,293,049원 |
주주 구성 | |
주주 | 김기성: 42.02% 이상복: 12.50% 김지호: 16.22% 윤은주: 29.26% |
직원 | |
종업원 수 | 113명 (2018년) |
기타 | |
계열사 | 성우운수 |
2. 역사
1980년 1월 1일 설립되었다. 2002년 8월 2일 구 용일여객 (2006년 최종 부도처리, 현재는 인강여객으로 사명 변경) 수원 영업소를 인수하여 자회사 성우운수를 설립하였고, 2003년 6월 10일 삼경운수의 도시형버스 노선들을 모두 성우운수로 이관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80년대)
1980년 1월 1일에 설립되었다.2. 2. 사업 확장 (2000년대)
2002년 8월 2일에 용일여객(2006년 최종 부도처리, 현재는 인강여객으로 사명 변경 됨) 수원 영업소를 인수하여 자회사 성우운수를 설립하였고, 2003년 6월 10일에는 삼경운수의 도시형버스 노선들을 모두 성우운수로 이관하였다.3. 운행 노선
삼경운수는 경기도 공공버스에 참여하는 시내버스 회사이다. 삼경운수는 일반좌석버스와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3. 1. 일반좌석버스
三|삼중국어경운수는 경기도 공공관리제에 참여하는 일반좌석버스 회사이다. 운행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300번: 수월암리차고지 - 서탄면사무소 - 진위역 - 오산역 - 병점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시청사거리 - KBS수원센터 - 창룡문 - 파장동 - 수원종합운동장 - 고천 - 호계사거리 - 범계역
3. 2. 직행좌석버스
2007번: 평동 - 수원역 - 병무청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홈플러스 북수원점 - 파장동 - 북수원 나들목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학의 분기점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청계요금소) - 성남 나들목 - 모란역 - 수진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 (이 노선은 용남고속에서 이관받은 노선이다.)[1]4. 과거 운행 노선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비고 |
---|---|---|---|
300-1번 | 파장동 | 하북차고지 |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1] |
301번 | 수월암리차고지 | 범계역 |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
301-1번 | 하북차고지 | 동원고등학교 | 2002년 폐선 |
302번 | 수원역 | 서정리 | |
303번 | 수원역 | 서정리 |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
305번 | 하북차고지 | 범계역 |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후 폐선 |
310번 (1990년대) | 수원역 | 하북차고지 | |
310번 | 경희대학교 | 범계역 | 1999년 삼영운수로부터 인수,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
311번 | 파장동 | 하북차고지 |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
500번 | 동수원 | 구로공단 | 1999년 삼영운수로부터 인수, 원래는 좌석버스. 성우운수로 이관 후 폐선 |
501번 | 수원비행장 | 호계신사거리 | 성우운수로 이관 후 폐선 |
306번 | 하북차고지 | 범계역 | |
333번 | 영통동 | 신림동 | 용남고속으로 이관 후 폐선 |
377번 | 수원역 | 사당역 | 1995년 1월 27일에 용남고속이 경일여객에서 운행하던 노선을 인계받아 운행하다가 1996년 8월 5일에 용남고속으로부터 인계받았으나 1997년 8월 12일에 경진여객으로 이관 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 |
4000번 | 사송동공영차고지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이 노선은 성남시 소재 성남시내버스와 공동배차 운행하였으나, 2021년부터 성우운수가 단독 운행 |
7770번 | 수원역 | 사당역 | 1996년 8월 12일에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던 노선을 인계받아 운행하다가 1997년 8월 12일에 경진여객으로 노선 이관 |
4. 1. 도시형버스
●영어 300-1번: 파장동 - 한일타운 - 창룡문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병점역 - 오산 - 하북차고지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영어 301번: 수월암리차고지 - 서탄면사무소 - 오산역 - 병점역 - 수원역 - 장안문 - 파장동 - 의왕시청 - 호계사거리 - 범계역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영어 301-1번: 하북차고지 - 운암단지 - 오산역 - 병점역 - 수원역 - 장안문 - 파장동 - 동원고등학교 (2002년 폐선)
●영어 302번: 수원역 - 세류동 - 병점 - 오산 - 하북리 - 서정리
●영어 303번: 수원역 - 수원터미널 - 영통 - 오산 - 하북리 - 서정리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영어 305번: 하북차고지 - 오산역 - 오산대학 - 병점역 - 수원역 - 장안문 - 파장동 - 의왕시 - 범계역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후 폐선)
●영어 310번 (1990년대): 수원역 - 세류동 - 병점 - 오산 - 하북차고지
●영어 310번: 경희대학교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역 - 장안문 - 파장동 - 의왕시 - 범계역 (1999년 삼영운수로부터 인수한 노선.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영어 311번: 파장동 - 정자동 - 수원역 - 오산 - 하북차고지 (성우운수로 노선 이관)
●영어 500번: 동수원 - 창룡문 - 수원종합운동장 - 파장동 - 고천 - 호계신사거리 - 비산동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동 - 말미고개 - 구로공단 (1999년 삼영운수로부터 인수, 원래는 좌석버스. 성우운수로 이관 후 폐선)
●영어 501번: 수원비행장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동수원 - 창룡문 - 수원종합운동장 - 파장동 - 의왕시청 - 호계신사거리 (성우운수로 이관 후 폐선)
4. 2. 일반좌석버스
- 三중국어06번: 하북차고지 - 오산역 - 오산대학 - 병점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수원시청 - 동수원사거리 - 수원종합운동장 - 의왕시청 - 호계사거리 - 범계역
- 三중국어33번: 영통동 - 수원역 - 수원종합운동장 - 의왕시청 - 호계사거리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 나들목 - 구로공단역 - 신대방역 - 신림역 - 신림동 (용남고속으로 이관 후 폐선)
- 三중국어77번: 수원역 ↔ 병무청 입구 ↔ 화서문 ↔ 장안문 ↔ 수원종합운동장 ↔ 효행공원 ↔ 의왕시청 ↔ 호계신사거리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시청 ↔ 관문사거리 ↔ 남태령역 ↔ 사당역 (1995년 1월 27일에 용남고속이 경일여객에서 운행하던 노선을 인계받아 운행하다가 1996년 8월 5일에 용남고속으로부터 인계받았으나 1997년 8월 12일에 경진여객으로 이관 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4. 3. 직행좌석버스
- 4000번: 사송동공영차고지 - 여수동 - 성남시청 - 야탑역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 이매역 - 서현역 - 판교역 - 판교신도시 - 서판교 나들목 - 용인서울고속도로 - 광교상현 나들목 - 동수원 나들목 - 수원월드컵경기장 - 뉴코아 동수원점 - 수원시청역 - 갤러리아백화점 수원점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이 노선은 성남시 소재 성남시내버스와 공동배차 운행하였으나, 2021년부터 성우운수가 단독 운행한다.)[1]
- 7770번: 수원역 ↔ 고등동 주민센터 ↔ 수원여자고등학교 ↔ 화서문 ↔ 장안문 ↔ 수원전화국 ↔ 수원종합운동장 ↔ 홈플러스 북수원점 ↔ 수일중학교 ↔ 파장동 삼익아파트 ↔ 경기도 인재개발원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사당역 (1996년 8월 12일에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던 노선을 인계받아 운행하다가 1997년 8월 12일에 경진여객으로 노선이 이관되었다.)
●중국어 -> 제거됨.
5. 보유 차량
삼경운수는 현대자동차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5. 1. 현대자동차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유니시티,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