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매역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수인·분당선과 경강선이 지난다. 2000년 3월 착공하여 2004년 1월 수인·분당선이 개통되었고, 이후 경강선이 2016년 9월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두 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성남아트센터, 분당우리교회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 부발역
부발역은 경강선과 중부내륙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2016년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천역과 세종대왕릉역 사이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 세종대왕릉역
세종대왕릉역은 경기도 여주 능서면에 위치한 경강선 전철역으로, 시민단체의 요구로 영릉역에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역 주변에는 능서초등학교와 세종대왕면 행정복지센터 등의 시설이 있다. - 성남시의 전철역 - 산성역
산성역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지하철역으로, 1996년 남한산성역으로 개통되어 1998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수도권 전철 중 가장 깊은 역이며, 주변에 교육 및 주거 시설과 남한산성이 있다. - 성남시의 전철역 - 수내역
수내역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전철역으로, 1994년 초림역으로 개통되어 2002년 역명 변경을 거쳤으며, 롯데백화점과 연결되고 주변에 상업 및 교육 시설이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이매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129-1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승강장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2개 (상대식 승강장) 수도권 전철 경강선: 2개 (섬식 승강장) |
선로 | 4개 |
개업일 | 2004년 1월 16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 2016년 9월 24일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 |
역 번호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27 수도권 전철 경강선: K411 |
구조 | 지하역 |
부역명 | 성남아트센터 |
노선 정보 (수인·분당선) | |
역 종류 | 무배치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전보 약호 | (정보 없음) |
영업 거리 | 왕십리역 기점 24.8 km |
이전 역 | K226 야탑 |
다음 역 | K228 서현 |
역 간 거리 | 이전 역: 1.7 km 다음 역: 1.4 km |
노선 정보 (경강선) | |
역 종류 | 무배치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전보 약호 | (정보 없음) |
영업 거리 | 판교 기점 1.5 km |
이전 역 | K410 성남 |
다음 역 | K412 삼동 |
역 간 거리 | 이전 역: 0.8 km 다음 역: 6.9 km |
2. 역사
2004년 1월 16일 분당선 개통과 함께 이매역 영업이 시작되었다.[7] 원래 분당선 수서-오리 구간 개통 당시에는 없었으나, 야탑역과 서현역 사이 거리가 멀어 주민들의 요청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업비를 부담하여 건설되었다. 이매역은 지하 구간에 역이 나중에 신설된 첫 사례이다.
연도 | 내용 |
---|---|
1993년 | 야탑 - 서현 구간에 역 추가 요청 제기. |
2000년 3월 | 착공 |
2004년 1월 16일 | 한국철도청의 역으로 개업.[7] |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청이 한국철도공사로 변경. |
2009년 7월 20일 ~ 2016년 9월 23일 | 경강선 복선전철 공사로 3번 출입구 임시 폐쇄. |
2012년 9월 18일 |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24.8km로 변경.[7] |
2013년 11월 30일 | 급행 정차역이 됨. |
2016년 4월 29일 | 경강선 철도거리표 고시.[8] |
2016년 9월 13일 ~ 9월 18일 | 추석 연휴기간 동안 경강선 전철 무료 임시운행.[9][10] |
2016년 9월 24일 |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 - 여주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과 동시에 3번 출입구 재개통. |
2016년 9월 26일 | 판교 기점 2.0km로 변경.[11] |
2020년 9월 12일 | 수인선 수원 연장으로 노선명이 분당선에서 수인·분당선으로 변경. |
2. 1. 수인분당선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한국철도공사 관할) 역으로, 역 번호는 '''K227'''이다. 야탑 방면은 상행, 서현 방면은 하행이다.
인천 방면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인천 방면 → |
---|---|
왕십리/청량리 방면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청량리 방면 |
2. 2.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 방면 (상행) 및 삼동 방면 (하행)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환승을 고려하여 설계된 구조상 지하 대합실 통로가 긴 편이다.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 승강장 사이를 개표하지 않고 건너갈 수 없었지만, 경강선 개통과 함께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되었다.
3. 역 구조
출구는 총 9개이다. 야탑역 방면의 북쪽에 있는 1~2, 9번 출구는 기존 지하보도를 리모델링한 것이다. 3번 출구는 경강선 공사와 함께 2009년 7월 20일부터 2016년 9월 23일까지 임시 폐쇄되었다가,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다시 열렸다.
이 역과 야탑역 사이에는 경강선과의 연결 선로가 있다. 경강선 열차가 중검수를 위해 분당차량사업소로 이동할 때 이 선로를 사용한다.
수인·분당선과 경강선의 환승 통로에는 환승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지만, 통과해도 운임이 추가로 부과되지 않는다.
3. 1. 수인분당선 승강장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2. 경강선 승강장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이매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노선 | 방향 | 행선지 |
---|---|---|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상행 | 판교, 성남 방면 | ||
경기광주, 부발, 여주 방면 |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분당선한국어의 2004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4년 1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35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며, 경강선한국어의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6년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2]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분당선 | 승차 | 미개통 | 3,928 | 4,469 | 4,637 | 4,805 | 5,093 | 5,072 | [12] | |||||||
하차 | 3,688 | 4,356 | 4,597 | 4,703 | 5,019 | 4,870 | [12]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분당선 | 승차 | 5,069 | 5,082 | 4,967 | 5,283 | 5,261 | 5,337 | 5,256 | 5,269 | 5,472 | 5,501 | 3,689 | 3,944 | 4,399 | 4,711 | [12] |
하차 | 4,872 | 4,872 | 4,785 | 5,133 | 5,096 | 5,166 | 4,972 | 4,871 | 5,071 | 5,158 | 3,470 | 3,715 | 4,140 | 4,456 | [12] | |
경강선 | 승차 | 미개통 | 2,491 | 2,141 | 2,192 | 2,141 | 1,530 | 1,638 | 1,868 | 2,085 | [12] | |||||
하차 | 2,453 | 2,080 | 2,125 | 1,977 | 1,109 | 1,498 | 1,725 | 1,928 | [12] |
6. 인접한 역
6. 1. 수인분당선
6. 2. 경강선
; 한국철도공사
: -- 경강선
::: 성남역 (K410) - '''이매역 (K411)''' - 삼동역 (K412)
참조
[1]
웹사이트
이매역
https://terms.naver.[...]
2019-06-14
[2]
웹사이트
사업현황
http://www.kr.or.kr/[...]
[3]
문서
성남 여주선 지형도면 고시
http://luris.mltm.go[...]
[4]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5]
문서
수인분당선만 해당
[6]
웹사이트
이매역
http://seongnam.gran[...]
[7]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http://gwanbo.mois.g[...]
2012-09-18
[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3호
http://www.molit.go.[...]
2016-04-29
[9]
웹사이트
추석연휴기간 경강선(판교~여주) 전동열차 무료 임시운행 알림
http://info.korail.c[...]
2016-09-12
[10]
웹사이트
코레일, 추석연휴 기간 경강선(판교∼여주) 무료 임시운행
http://news.korail.c[...]
2016-09-12
[1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623호
http://gwanbo.mois.g[...]
2016-09-26
[12]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