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탑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탑역은 1994년 분당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현재는 수인·분당선이 운행된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NC백화점 야탑점, 성남종합버스터미널 등 상업 시설과 성남시청, 차병원 등의 공공기관 및 편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수인분당선 내 단독역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의 전철역 - 산성역
산성역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지하철역으로, 1996년 남한산성역으로 개통되어 1998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수도권 전철 중 가장 깊은 역이며, 주변에 교육 및 주거 시설과 남한산성이 있다. - 성남시의 전철역 - 수내역
수내역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전철역으로, 1994년 초림역으로 개통되어 2002년 역명 변경을 거쳤으며, 롯데백화점과 연결되고 주변에 상업 및 교육 시설이 위치한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과천역
과천역은 1994년 과천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7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철역으로 과천시 주거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공원역과 정부과천청사역과 인접해 있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도원역
도원역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1994년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교육, 체육 시설과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고, 완행 열차는 모든 승강장에, 급행 및 특급 열차는 일부 승강장에 정차한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야탑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688-1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역 번호 | K226 |
역 종류 | 배치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2면 2선 |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1994년 9월 1일 |
전철 개통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 |
역 위치 (수인·분당선) | |
이전 역 | 모란 |
다음 역 | 이매역 |
역 간 거리 | 모란역 2.3km, 이매역 1.7km |
통계 | |
2018년 승차 인원 | 28,805명 |
2. 역사
1994년 9월 1일, 분당선 수서 - 오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2] 2003년 9월 3일 분당선 선릉 ~ 수서 구간 개통으로 선릉 기점 16.4km로 변경되었다.[2]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2년 6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고,[4] 같은 해 9월 18일 분당선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23.1km로 변경되었다.[3] 2013년 7월 18일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사고가 발생하였다.[4] 2013년 11월 30일 분당선의 급행 운행이 개시되면서 급행 정차역이 되었다. 2020년 9월 12일 수인선의 수원 연장으로 노선명이 분당선에서 수인·분당선으로 변경되었다.
2. 1. 개요
2. 2. 연혁
1994년 9월 1일 : 분당선 수서 - 오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2]2003년 9월 3일 : 분당선 선릉 ~ 수서 구간 개통으로 선릉 기점 16.4km로 변경[2]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2012년 6월 : 스크린도어 설치[4]
2012년 9월 18일 : 분당선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23.1km로 변경[3]
2013년 7월 18일 :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사고 발생[4]
2013년 11월 30일 : 분당선의 급행 운행 개시와 함께 급행 정차역이 됨
2020년 9월 12일 : 수인선의 수원 연장으로 노선명이 분당선에서 수인·분당선으로 변경
3. 역 구조
야탑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에는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개찰구는 모란 방면과 이매역 방면 2곳에 있으며, 출구는 4개다.
3. 1. 구조
야탑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에는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개찰구는 모란 방면과 이매역 방면 2곳에 있으며, 출구는 4개다.3. 2. 승강장
모란 방면 승강장과 이매 방면 승강장이 있으며, 2개의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현·죽전·기흥·수원·인천 방면 승강장은 1번, 모란·구룡·선릉·선정릉·왕십리 방면 승강장은 2번이다.4. 역 주변
야탑역 주변에는 여러 주요 시설 및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NC백화점 야탑점, 성남종합버스터미널, 홈플러스 야탑점, CGV 야탑 등 상업 및 편의 시설이 있다. 또한, 테마폴리스, 아미고타워, 코리아디자인센터 등이 있다.
성남시청, 성남시의회, 분당구보건소, 성남시시설관리공단, 성남시립볼링장, 성남시중앙도서관 등 공공기관 및 시설도 인접해 있다.
CHA 의과학대학교 차병원 및 분당캠퍼스, 탄천종합운동장(K리그2 성남 FC 홈구장), 돌마초등학교, 야탑중학교, 야탑우체국, 야탑초등학교, 탄천이 있다.
서울교통공사 모란차량사업소와 제2경인고속도로 여수 나들목이 근처에 위치해 있다.
4. 1. 개요
4. 2. 상세
야탑역은 성남대로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역 주변에는 테마폴리스, NC백화점 야탑점, 분당구보건소, 성남시시설관리공단, 성남시립볼링장, 성남시중앙도서관, 성남종합버스터미널, 성남시청, 성남시의회, 아미고타워, CGV 야탑, CHA 의과학대학교 차병원, CHA 의과학대학교 분당캠퍼스, 탄천종합운동장(프로축구 K리그2 성남 FC 홈구장), 홈플러스 야탑점, 서울교통공사 모란차량사업소, 제2경인고속도로 여수 나들목, 돌마초등학교, 부스 리브로 야탑점, 탄천, 코리아디자인센터 등이 있다.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분당선 | 승차 | 8,566 | 16,287 | 18,668 | 20,283 | 17,662 | 18,724 | 19,855 | 20,784 | 22,245 | 22,538 | [5] | ||
하차 | 6,241 | 14,077 | 15,135 | 20,110 | 17,396 | 19,333 | 20,620 | 21,553 | 23,327 | 23,651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분당선 | 승차 | 24,575 | 25,189 | 25,574 | 27,300 | 27,727 | 27,776 | 28,058 | 28,303 | 28,805 | 29,363 | 20,523 | 20,828 | [5] |
하차 | 25,783 | 26,496 | 26,880 | 28,801 | 29,198 | 29,227 | 29,467 | 29,704 | 30,204 | 30,930 | 21,609 | 21,791 | ||
노선 | colspan="6" | | 각주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
분당선 | 승차 | 23,255 | 24,179 | colspan="7" rowspan="2" | | ||||||||||
하차 | 24,362 | 25,554 |
야탑역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내 단독역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다.[5]
5. 1. 개요
5. 2. 상세 이용객 변동
수인분당선 야탑역의 연도별, 승하차별 이용객 변동은 아래 표와 같다.[5]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분당선 | 승차 | 8,566 | 16,287 | 18,668 | 20,283 | 17,662 | 18,724 | 19,855 | 20,784 | 22,245 | 22,538 | [5] | ||
하차 | 6,241 | 14,077 | 15,135 | 20,110 | 17,396 | 19,333 | 20,620 | 21,553 | 23,327 | 23,651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분당선 | 승차 | 24,575 | 25,189 | 25,574 | 27,300 | 27,727 | 27,776 | 28,058 | 28,303 | 28,805 | 29,363 | 20,523 | 20,828 | [5] |
하차 | 25,783 | 26,496 | 26,880 | 28,801 | 29,198 | 29,227 | 29,467 | 29,704 | 30,204 | 30,930 | 21,609 | 21,791 | ||
노선 | colspan="6" | | 각주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
분당선 | 승차 | 23,255 | 24,179 | colspan="7" rowspan="2" | | ||||||||||
하차 | 24,362 | 25,554 |
수인분당선 내 단독역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다.[1]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2]
고시
철도청 고시 제2003-21호
[3]
고시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http://gwanbo.mois.g[...]
2012-09-18
[4]
뉴스
야탑역 에스컬레이터 '역주행'…짝퉁 부품 교체 탓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24-06-01
[5]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