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모토 다쓰오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모토 다쓰오(1856년 ~ 1947년)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은행가이다. 오이타현 우스키시 출신으로, 게이오기주쿠에서 수학하고 미쓰비시 상업학교를 졸업했다. 일본은행 총재, 귀족원 칙선의원, 일본권업은행 총재를 역임했으며, 제2차 사이온지 내각에서 대장대신, 제1차 야마모토 내각과 하라 내각에서 농상무대신, 사이토 내각에서 내무대신을 지냈다. 그는 재정 건전화를 추구하고 군부와 대립했으며, 만년에는 정계 원로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사카 시립 대학 교수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오사카 시립 대학 교수 - 나가타 준이치
나가타 준이치는 20세기 일본의 수학자로, 위상수학 분야에서 나가타-스미르노프 거리화 정리를 증명하여 위상 공간 연구에 기여했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현대 차원 이론, 현대 일반 위상수학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일본은행 총재 - 다카하시 고레키요
다카하시 고레키요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의 일본 정치가이자 금융가로, 일본은행 총재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러일 전쟁 외채 조달 성공, 쇼와 금융 공황 극복 등 일본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2·26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 일본은행 총재 - 이노우에 준노스케
이노우에 준노스케는 메이지 시대 후반부터 쇼와 초기까지 활동한 일본의 금융가이자 정치인으로, 일본은행 총재를 두 차례 역임하며 쇼와 금융공황 수습과 간토 대지진 이후 경제 회복에 기여했으나, 재무대신으로서 추진한 정책이 쇼와 공황을 심화시켜 암살당하는 비극을 맞이했으며 일본경제연맹회 설립과 도쿄 최초의 골프장 설립에도 기여하는 등 경제적 공헌과 정치적 책임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 일본의 농상무대신 - 소네 아라스케
소네 아라스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대한제국 통감으로서 한국 병합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한국의 국권 침탈이라는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 - 일본의 농상무대신 - 오쿠마 시게노부
오쿠마 시게노부는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자 교육자로, 두 차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재정 개혁, 철도 건설, 헌법 제정, 와세다 대학 설립 등에 기여했으나, 제국주의적 정책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야마모토 다쓰오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56년 4월 7일 |
출생지 | 분고국 아마베군 |
사망일 | 1947년 11월 2일 |
국적 | 일본 |
직업 | 정치가, 각료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입헌정우회 →) (정우본당 →) (입헌민정당) |
작위 | 남작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호다카 다호 |
주요 직책 | |
내각 | 제2차 사이온지 내각 |
임기 시작 | 1911년 8월 30일 |
임기 종료 | 1912년 12월 21일 |
내각 | 제1차 야마모토 내각 |
임기 시작 | 1913년 2월 20일 |
임기 종료 | 1914년 4월 16일 |
내각 | 하라 내각, 다카하시 내각 |
임기 시작 | 1918년 9월 29일 |
임기 종료 | 1922년 6월 12일 |
내각 | 사이토 내각 |
임기 시작 | 1932년 5월 26일 |
임기 종료 | 1934년 7월 8일 |
임기 시작 | 1898년 10월 20일 |
임기 종료 | 1903년 10월 19일 |
기타 경력 | 귀족원 칙선 의원 |
임기 시작 | 1903년 11월 20일 |
임기 종료 | 1947년 5월 2일 |
훈장 | |
훈장 | 정2위 훈1등 |
학력 | |
출신 학교 | 미쓰비시 상업학교 |
2. 생애
야마모토 다쓰오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활동한 금융인이자 정치가로, 일본은행 총재, 대장대신, 농상무대신, 내무대신 등을 역임했다.
어린 시절 번교에서 수학하고 게이오기주쿠에서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배웠으나, 집안 형편으로 학업을 중단했다. 이후 미쓰비시 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우선에 입사해 금융인의 길을 걸었다. 일본은행 총재 시절에는 정부의 재정 적자 문제에 맞서 일본은행의 독립성을 지켰다.
정계 입문 후에는 입헌정우회와 입헌민정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내각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다. 대장대신 재임 시에는 러일 전쟁 이후 악화된 재정 건전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일본 제국 육군의 증강 요구에 반대해 내각 총사퇴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제2차 호헌 운동 과정에서 입헌정우회를 탈당해 정우본당을 결성하기도 했지만, 결국 입헌민정당에 합류해 대정익찬회 결성 시까지 활동했다. 하마구치 오사치 피습 사건 이후 총리대신직을 제안받았으나 고사했다. 사이토 내각에서는 내무대신을 역임하며 고스톱 사건에서 육군과 대립했다.
말년에는 정계 원로로서 태평양 전쟁 패전과 일본국 헌법 공포 등의 격변을 지켜보았다. 1947년 11월, 92세로 사망했다.
직책 | 임기 |
---|---|
일본은행 총재 | 1898년 10월 20일 ~ 1903년 10월 19일 |
귀족원 칙선의원 | 1903년 11월 20일 ~ ? |
일본권업은행 총재 | 1909년 ~ ? |
대장대신 | 1911년 8월 30일 ~ 1912년 12월 21일 |
농상무대신 | 1913년 2월 20일 ~ 1914년 4월 16일 |
농상무대신 | 1918년 9월 29일 ~ 1922년 6월 12일 |
내무대신 | 1932년 5월 26일 ~ 1934년 7월 8일 |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야마모토 다쓰오는 1856년 4월 오이타현 우스키시에서 분고국 우스키번 번사(藩士)의 차남으로 태어났다.[1] 어렸을 때 번교에서 공부하며 문무에 모두 뛰어났으며, 13세에 종가의 양자가 되었다. 하지만 친가와 양가 모두 가난하여 부업으로 가계를 도와야 했다. 설상가상으로 폐번치현까지 겹쳤다. 17세에 오사카로 가서 3년간 소학교 교사로 일하며 학비를 벌었고, 도쿄로 가서 게이오기주쿠에서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배웠다. 그러나 수업료를 낼 수 없어 게이오기주쿠에서 배운 기간은 짧았다.[6]미쓰비시 재벌이 경영하던 미쓰비시 상업학교(메이지기주쿠)로 옮겨 조교로 일하며 학비를 벌어 간신히 졸업했다.[7] 졸업 후에는 오카야마현립 상법강습소 교장이 되었지만, 정치 비판 모임 등을 개최하여 문제를 일으켜 오사카 상업강습소 교장으로 전임될 수밖에 없었다. 그곳에서도 1년간 교장으로 근무했지만 문제를 일으켜, 1883년 우편기선 미쓰비시 회사(지금의 일본우선)에 입사했다.[7]
2. 2. 금융인 경력
야마모토 다쓰오는 오카야마현립상법강습소와 오사카상업강습소의 교장을 역임했지만, 정치 비판 문제로 해임되었다.[7] 1883년, 미쓰비시 재벌 계열사인 일본우선에 입사하여 가와다 고이치로에게 능력을 인정받아 간부 후보생으로 승진했다.[8]1890년, 일본은행에 입행했고, 1895년에는 요코하마 정금은행 이사가 되었다.[8] 1896년, 금본위제 준비를 위해 런던에 파견되었고, 1897년에는 일본은행 이사가 되었다.[8] 1898년, 이와사키 야노스케의 사임으로 제5대 일본은행 총재로 취임했다. 당시 43세로 일본은행 입행 8년 만이었다.[2]
총재 재임 기간(1898년 10월 20일 ~ 1903년 10월 19일) 동안 일본 경제는 외환시장 문제와 금 및 은본위제도 관련 위기를 겪었지만, 야마모토는 일본 정부의 재정 적자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가졌다.[2] 그는 일본은행의 독립성을 강조하며 정부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았고, 간부들의 사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지지자들로 자리를 채워 일본은행의 정치적 독립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9]
1903년, 이토 히로부미와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노력으로 총재직에서 물러났지만, 이후 귀족원 칙선의원이 되었고,[10] 1909년에는 일본권업은행 총재가 되었다.
2. 3. 정치 경력
山本 達雄|야마모토 다쓰오일본어는 제2차 사이온지 내각의 대장대신으로 입각했는데, 이는 재계 출신으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3] 당시 일본은 러일 전쟁으로 재정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어 재정 건전화가 절실했는데, 이는 평소 야마모토의 지론이었다. 이후 사이온지 긴모치와 야마모토는 재정 적자를 이유로 일본 제국 육군의 2개 사단 증설 요구를 거절했고, 이에 분노한 육군은 우에하라 유사쿠를 물러나게 한 뒤 후임자를 천거하지 않음으로써 사이온지 내각을 붕괴시켰다.[4]사이온지 내각에 참여하면서 야마모토는 입헌정우회와 깊은 인연을 맺었고, 다이쇼 정변으로 야마모토 곤노효에가 이끄는 제1차 야마모토 내각이 1913년에 출범하자 정우회의 추천을 받아 농상무대신으로 입각했다. 다카하시 고레키요와 함께 재정 재건을 추진했지만 지멘스 사건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야마모토 다쓰오는 이 무렵 정식으로 입헌정우회에 입당했다. 1918년 일본 최초의 정당 내각인 하라 내각이 출범하자 두 번째로 농상무대신이 되었다. 하라 다카시가 암살된 뒤 다카하시가 내각을 물려받자, 적극재정을 주장하는 다카하시와 건전재정을 내세우는 야마모토의 갈등은 더욱 커졌다.
1925년 제2차 호헌 운동이 일어나자 입헌정우회는 이에 참가할지 여부를 두고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그 결과 참가에 반대하는 도코나미 다케지로가 입헌정우회를 이탈했고, 야마모토도 나카하시 도쿠고로, 모토다 하지메, 하토야마 이치로 등과 함께 정우본당을 결성했다. 하지만 정우본당은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한 채 갈수록 당세가 줄어들었고, 내부 대립으로 나카하시, 모토다, 하토야마 등이 잇따라 입헌정우회에 복귀했다. 1927년 정우본당은 헌정회와 합당해 입헌민정당을 결성했고, 야마모토는 도코나미와 함께 최고고문이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도코나미도 입헌정우회로 복귀하면서 옛 정우본당 출신은 사실상 야마모토만 남게 되었다. 야마모토는 1940년 대정익찬회가 결성될 때까지 계속 입헌민정당에 남아 있었다.
하마구치 오사치 피난 사건 이후, 야마모토는 하마구치의 후임 총재가 되어 줄 것과 경우에 따라선 총리대신이 될 것을 부탁받았으나, 이를 고사했다. 1932년 사이토 내각이 성립하자 입헌민정당을 대표해 야마모토가 내무대신이 되면서 오랜만에 재입각했다. 1933년 고스톱 사건으로 육군성과 내무성이 격렬하게 대립했는데, 야마모토는 특유의 고집을 보이면서 한 치도 물러서지 않았다.
야마모토는 관료의 신분 보장 규정인 「문관임용령」 제11조를 부활시켜 정당과 내무관료의 관계를 끊고자 했다. 하지만 고토 후미오가 군부의 지지를 등에 업고 선거 숙정 운동을 추진하면서 입헌민정당은 해산됐고, 야마모토도 정치적 기반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후 야마모토는 태평양 전쟁과 일본의 패전, 일본국 헌법 공포에 따른 귀족원 폐지 등의 정치적 흐름을 정계 원로로서 그저 지켜만 보았다.
3. 평가 및 영향
야마모토 다쓰오는 일본은행 총재로서 금융 정책의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일본 제국 의회, 일본 내각, 그리고 겐로(元老)들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재정 정책을 변경하지 않고 소신을 지켰다.[2] 이러한 그의 행동은 일본은행이 앞으로 정치적 압력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야마모토는 재정 건전화를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는 러일 전쟁 이후 일본 정부의 재정 적자가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군부의 군비 확장 요구에 강력하게 반대했다.[4]
정치적으로는, 선거 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군부의 정치 개입 심화와 정당 정치 해산으로 인해 정치적 기반을 잃게 되었다.
4. 수상 경력
수여 날짜 | 훈장 및 기념장 |
---|---|
1902년(메이지 35년) 12월 28일 | 훈3등 서보장 |
1912년(다이쇼 원년) 12월 18일 | 훈2등 서보장 |
1916년(다이쇼 5년) 4월 1일 | 욱일중광장 |
1920년(다이쇼 9년) 4월 23일 | 훈1등 서보장 |
1920년(다이쇼 9년) 9월 7일 | 남작, 훈1등 욱일대수장 |
1921년(다이쇼 10년) 7월 1일 | 제1회 국세 조사 기념장 |
1925년(다이쇼 14년) 1월 14일 | 어문부은배 |
1936년(쇼와 11년) 8월 5일 |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
1938년(쇼와 13년) 2월 11일 | 금배 1개 |
1940년(쇼와 15년) 8월 15일 | 기원 2600년 축전 기념장 |
1945년(쇼와 20년) 1월 15일 | 어문부목배 어견 |
수여 날짜 | 외국 훈장 |
1913년(다이쇼 2년) | 적십자기장 |
1914년(다이쇼 3년) 4월 7일 | 이탈리아 왕국: 산모리스 에 라 자르 제1등 훈장 |
1937년(쇼와 12년) | 만주국: 훈1위 경운장 |
5. 가족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5th Governor
http://www.boj.or.jp[...]
[2]
웹사이트
List of Governors
http://www.boj.or.jp[...]
[3]
서적
Japanese Business Community and National Trade Policy, 1920–1942
[4]
서적
The Autobiography of Ozaki Yukio
[5]
웹사이트
山本達雄(やまもと たつお)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6]
서적
歴代日本銀行総裁論
[7]
서적
歴代日本銀行総裁論
[8]
서적
華族総覧
講談社現代新書
[9]
문서
日銀幹部ストライキ事件
[10]
간행물
官報
1904-11-21
[11]
간행물
官報
1900-06-07
[12]
간행물
官報
1911-09-04
[13]
간행물
官報
1913-11-22
[14]
간행물
官報
1944-09-06
[15]
간행물
官報
1902-12-29
[16]
간행물
官報
1912-12-27
[17]
간행물
官報
1916-08-21
[18]
웹사이트
中野文庫 - 旧・勲一等瑞宝章受章者一覧(戦前の部)
https://web.archive.[...]
[19]
간행물
官報
1920-09-08
[20]
간행물
官報
1922-02-14
[21]
간행물
官報
1925-01-15
[22]
간행물
官報
1936-08-06
[23]
간행물
官報
1938-02-11
[24]
간행물
官報
1941-10-23
[25]
간행물
官報
1945-01-16
[26]
간행물
官報
1914-04-09
[27]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
霞会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