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충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충류(Vermes)는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강(class)의 계급을 가지고 있었으며, 린네의 동물 분류 체계에서 여섯 번째이자 마지막 자리를 차지했다. 린네는 다양한 동물을 장내충류, 연체동물류, 각패류, 석산충류, 동물식물류로 분류했다. 라마르크는 린네의 분류 체계를 수정하여 극피동물, 거미류, 갑각류, 환형동물을 '후생동물'에서 분리했다. 다윈주의 등장 이후 연충류 동물들이 서로 가까운 관계가 아님이 밝혀졌고, 현대 분류에서는 린네가 연충류로 분류했던 연체동물만이 문으로 남아 있다. '벌레 모양의(vermiform)' 용어는 해부학에서 벌레 모양의 동물이나 기관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며, 충수(vermiform appendix)가 대표적인 예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기된 동물 분류군 - 단문류
    단문류는 나방의 하위 분류로, 긴수염나방상과, 안데스나방상과, 팔라이파투스상과, 어리굴나방상과, 꼬마굴나방상과 등을 포함하며, 일부 상과는 특정 지역에 분포하고 애벌레 시기에 잎에 굴을 파는 습성을 가진다.
  • 폐기된 동물 분류군 - 무척추동물
    무척추동물은 척추가 없는 동물을 통칭하며 지구상 동물 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다양한 문으로 구성되어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포함한 생식 방식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이는 등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생물학 연구에도 기여한다.
  • 생물 분류 - 속 (생물학)
    속은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로, 유사한 종들을 묶은 분류군이며, 학명에서 속명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이탤릭체로 표기되며, 모식종이 지정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동물과 식물 간에 속명이 중복될 수 있으며, 종을 속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 생물 분류 - 생명
    생명은 환경 속에서 자기 유지, 증진, 강화를 하는 특징으로 정의되나 논쟁적이며, 항상성 유지, 세포 구조, 물질대사, 성장, 적응, 자극 반응, 생식 능력을 포함하고, 자기 복제와 진화로 유지되는 열린 열역학계로 설명되며, 기원은 약 40억 년 전으로 추정되고, 진화와 멸종이 공존하며, 바이러스, 외계 생명체, 인공 생명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연충류
분류 정보
동물계
환형동물문 (Annelida)
유선형동물문 (Nematoda)
편형동물문 (Platyhelminthes)
악형동물문 (Acanthocephala)
내항동물문 (Entoprocta)
모악동물문 (Chaetognatha)
새예동물문 (Gnathostomulida)
구두동물문 (Priapulida)
유미동물문 (Kinorhyncha)
동문동물문 (Loricifera)
연체동물문 (Mollusca)
하위 분류예전의 분류군
현재는 다양한 무척추동물 문으로 분류
로마자 표기Vermes
특징
형태길고 가늘며, 사지나 명확한 머리가 없는 형태
서식지수생 또는 습한 환경
기타일부는 기생 생활
역사적 분류
린네의 분류10판 자연의 체계에서 동물계의 주요 분류군 중 하나로 정의
린네 이후현재는 다양한 무척추동물 문으로 분리
분류의 변화18세기 이후, 생물학의 발전과 함께 재분류
19세기 초, 조르주 퀴비에에 의해 고유한 문으로 분리
칼 폰 지볼트에 의해 유선형동물과 편형동물로 분리
연충류 (한국어 명칭)
정의가늘고 긴 몸을 가진 무척추동물을 통칭
한국어에서는 '벌레'에 해당되는 단어
주의현재는 분류학적으로 유효하지 않음
일상 용어 또는 과거의 분류 개념으로 사용됨

2. 린네의 분류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충류(Vermes)는 강의 계급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동물 분류 체계에서 6번째(마지막) 자리를 차지했다. 충류는 다음과 같은 목으로 나뉘었으며, 석산충류(Lithophyta)를 제외한 모든 목은 (현대 용어로) 다양한 문에 속하는 생물들을 포함하고 있다.[1]

포함된 생물 (간략히)
장내충류(Intestina)말총벌레, 지렁이, 회충, 간디스토마, 거머리, 칠성장어, 조선소벌레 등
연체동물류(Mollusca)민달팽이, 바다민달팽이, 다모류, 갯지렁이류, 피압류, 살프, 해파리, 불가사리, 성게 등
각패류(Testacea)각석류, 따개비, 조개, 가리비, 앵무조개, 달팽이, 관벌레류 등
석산충류(Lithophyta)다양한 산호
동물식물류(Zoophyta)이끼벌레, 홍조류, 히드라, 해펜, 촌충, 볼복스



린네의 분류 체계는 1801년 장-바티스트 라마르크가 저술한 『무척추동물계』에서 개정되었다. 이 책에서 그는 극피동물, 거미류, 갑각류, 환형동물을 '후생동물(Vermes)'에서 분리하였다.[2]

린네 이후, 특히 다윈주의의 등장과 함께 연충류 동물들이 서로 가까운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그 후로 계통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연충류를 분류하고 동물들을 자연적인 계통 단위로 정리해왔다.

린네가 제안한 연충류의 강 중에서는 연체동물만이 문으로 남아 있고, 그 구성도 거의 완전히 바뀌었다. 린네의 초기 연체 동물 분류는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것이었다. 린네가 연충류로 분류한 많은 유기체들은 매우 잘 알려져 있지 않았고, 그중 일부는 동물로 간주되지도 않았다.

2. 1. 장내충류 (Intestina)

말총벌레, 지렁이, 회충, 간디스토마, 거머리, 칠성장어, 조선소벌레 등을 포함한다.[1] 린네가 죽은 물고기에서 발견했을 칠성장어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기생충 동물들이 포함되었다.[1]

2. 2. 연체동물류 (Mollusca)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충류(Vermes)는 강의 계급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동물 분류 체계에서 6번째(마지막) 자리를 차지했다. 연체동물류(Mollusca)는 다음과 같은 생물들을 포함했다.[1]

민달팽이, 바다민달팽이, 다모류, 갯지렁이류, 피압류, 살프, 해파리, 불가사리, 성게 등

현대의 문과는 매우 다르게 이해되는 연체동물을 제외하고, 린네는 매우 다양하고 다소 어울리지 않는 동물들을 여러 범주에 포함시켰다. 자포동물(해파리와 산호), 극피동물, 다모류는 다른 목에 걸쳐 분포했다.

2. 3. 각패류 (Testacea)

각석류, 따개비, 조개, 가리비, 앵무조개, 달팽이, 관벌레류 등을 포함한다.[1] 린네는 껍질이 있는 연체동물을 따개비, 관벌레와 함께 각패류(Testacea)로 분류했다.[1]

2. 4. 석산충류 (Lithophyta)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석산충류(Lithophyta)는 다양한 산호를 포함한다.[1]

2. 5. 동물식물류 (Zoophyta)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동물식물류(Zoophyta)는 이끼벌레, 홍조류, ''히드라'', 해펜, 촌충, ''볼복스'' 등을 포함한다.[1]

3. 라마르크의 수정

1801년 장바티스트 라마르크는 저서 《무척추동물계》(Système des Animaux sans Vertebres)를 통해 린네의 분류 체계를 개정하였다. 라마르크는 이 책에서 극피동물, 거미류, 갑각류, 환형동물을 '후생동물(Vermes)'에서 분리하였다.[2]

4. 현대적 관점

다윈주의의 등장과 함께 연충류 동물들이 서로 가까운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린네 이후로 계통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연충류를 분류하고 동물들을 자연적인 계통 단위로 정리해왔다.

린네가 제안한 연충류의 강들 중에서는 연체동물만이 문으로 남아 있고, 그 구성도 거의 완전히 바뀌었다. 린네의 초기 연체 동물 분류는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것이었다. 린네가 연충류로 분류한 많은 유기체들은 매우 잘 알려져 있지 않았고, 그중 일부는 동물로 간주되지도 않았다.

5. '벌레 모양의(Vermiform)' 용어

''Vermes''는 더 이상 분류학적 그룹이 아니지만, 해부학자들은 벌레 모양의 동물이나 기관을 설명할 때 "벌레 모양의(vermiform)"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 단어의 어근은 라틴어로, vermes|벌레la와 formes|모양의la이다.[3] 잘 알려진 예로는 인간과 다른 많은 포유류의 장의 작고 막힌 부분인 충수가 있다.[4]

디시에마, 작은 기생충으로 "벌레 모양의"로 묘사됨


환형동물(지렁이 및 그 친척), 선형동물(주로 기생충), 중생동물, 뉴메르테스(끈벌레), 의충동물(땅콩벌레), 피압류리스와 같은 여러 연체동물 문이 있다.

6. 한국의 관련 연구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1. 현대 한국의 기생충 연구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어 이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으므로, 이전 결과물에서 변경된 사항은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Systema Naturae https://www.biodiver[...]
[2] 서적 The copepodologist's cabinet : a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al history https://archive.org/[...]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3] 서적 Oxford Latin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4] 학술지 Comparative anatomy and phylogenetic distribution of the mammalian cecal appendix
[5] 문서 이 단어는 해충과 뿌리를 같이한다.
[6] 서적 Systema Naturae http://www.biodivers[...] 2008-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